KR200184251Y1 - 고저각 회전운동 기구에서의 불평형 모멘트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고저각 회전운동 기구에서의 불평형 모멘트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251Y1
KR200184251Y1 KR2019990030076U KR19990030076U KR200184251Y1 KR 200184251 Y1 KR200184251 Y1 KR 200184251Y1 KR 2019990030076 U KR2019990030076 U KR 2019990030076U KR 19990030076 U KR19990030076 U KR 19990030076U KR 200184251 Y1 KR200184251 Y1 KR 200184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angle
center
unbalanced moment
actuator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락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30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2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2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8Counterweights, i.e. additional weights counterbalancing inertia forces induc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masses in the system, e.g. of pistons attached to an engine crankshaft; Attaching or mount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8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고저각 회전운동기구에 있어, 고저각 운동체의 무게중심과 회전중심이 서로 상이하여 발생되는 불평형 모멘트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저각 회전운동체(10)를 고저각 구동장치에 의해 고저각운동을 시킴에 있어 회전운동체의 무게중심과 회전중심의 상이로 발생하는 불평형 모멘트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저각 회전운동체(10)측에 고정 지지된 가이드레일(62A,62B) 및 작동기(70)와; 상기 가이드레일(62A,62B)에 슬라이딩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기에 연결되어 고저각 회전체의 무게중심을 가변시키는 밸런싱 웨이트(80A,80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저각 회전운동체(10)의 위치 각도 신호값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기 (70)의 구동을 제어하고 밸런싱 웨이트(80A,80B)의 위치를 이동시켜 불평형 모멘트를 보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저각 회전운동 기구에서의 불평형 모멘트 보상장치{Unbalanced Moment Compens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고저각 회전운동기구에 있어, 고저각 운동체의 무게중심과 회전중심이 서로 상이하여 발생되는 불평형 모멘트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저각도에 대응하여 밸런싱 웨이트를 이동시켜 불평형모멘트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 고저각 회전운동 기구에서의 불평형 모멘트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보상장치는 기본적으로 도5에서와 같이 저각용 및 고각용 평형기(1,2), 와이어 로우프 조립체(3), 로울러 조립체(4) 등으로 구성되며, 고저각 회전운동체(10)가 회전운동을 하면 회전운동체의 무게중심이 회전운동을 하면서 이동되고, 무게 중심이 어느 한지점을 기준으로 대칭형태의 불평형 모우멘트를 형성한다.
이에 평형기(1,2)도 저각용 및 고각용 2개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구조물을 가지는 회전 운동체에서 운동체의 무게가 가변적이라면 더욱더 불평형 모우멘트를 보상하기가 어려웠다.
통상적으로 평형기의 보상량은 총가변 부하의 1/2에 맞추어 평형기내의 스프링을 설계하지만 운동체의 무게가 변하여 총부하시나, 부하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불평형 모운멘트 보상장치가 구동하여 역효과(부하)로 작용하며, 이때 스프링에 축적된 힘은 운용시나 정비시 항상 위험을 초래할 수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회전운동체의 무게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밸렁싱 웨이트를 이용해 고저각 회전운동체의 불평형모멘트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 고저각 회전운동 기구에서의 불평형 모멘트 보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고저각 회전운동체(10)를 고저각 구동장치에 의해 고저각운동을 시킴에 있어 회전운동체의 무게중심과 회전중심의 상이로 발생하는 불평형 모멘트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저각 회전운동체(10)측에 고정 지지된 가이드레일(62A,62B) 및 작동기(70)와;
상기 가이드레일(62A,62B)에 슬라이딩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기에 연결되어 고저각 회전체의 무게중심을 가변시키는 밸런싱 웨이트(80A,80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저각 회전운동체(10)의 위치 각도 신호값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기 (70)의 구동을 제어하고 밸런싱 웨이트(80A,80B)의 위치를 이동시켜 불평형 모멘트를 보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불평형 모우멘트장치가 설치된 고저각 회전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2a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2b는 도 2a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작동기와 밸런싱 웨이트를 연결하는 커넥팅 플레이트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도.
도 5는 종래 고저각 회전운동기구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저각 회전운동체 62A,62B : 가이드 레일
70 : 작동기 80A,80B : 밸런싱 웨이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불평형 모우멘트장치가 설치된 고저각 회전운동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일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50은 고저각 구동장치로서, 감속기 및 구동모터를 가지고 베이스(40)측에 장착되어 있다.
고저각 구동장치(50)의 출력단에는 고저각 회전운동체(10)가 연결되어 있고, 이 고저각 회전운동체(10)는 회전축선(11)상에서 고저각 운동을 하게 되어 있다.
상기 고저각 회전운동체(1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저각 구동장치(50)를 피하여 일측에 불평형 모멘트 보상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불평형 모멘트 보상장치(100)는, 고저각 조작시 도 1에서 회전운동체 (10)의 무게중심(P1)과 회전중심(P2)의 상이로 발생하는 불평형 모멘트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고저각 회전운동체(10)측에 지지된 가이드레일(62A,62B) 및 내부에 위치감지기(포텐셔 메타)를 갖는 작동기(70)와, 상기 가이드레일(62A,62B)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기(70)에 도 3과 같이 커넥팅 플레이트(76)를 매개로 연결된 밸런싱 웨이트(80A,80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62A,62B)은 서포트 프레임(90)을 매개로 상기 고저각 회전운동체(10)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작동기(70)의 위치감지기는 상기 고저각 구동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박스(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있어, 고저각 구동장치(50)를 구동하기 위해 지령되는 각도 신호값을 동시에 작동기(70)의 위치감지기측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어박스에서 지령된 각도 신호값은 작동기(7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위치감지기에서 밸런싱 웨이트(80A,80B)의 이동량을 검출하여 최고 각도 신호값과 밸런싱 웨이트의 이동값이 매칭될 경우 작동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고저각 회전운동체(10)가 수평상태일 경우 고저각 회전운동체 (10)의 무게중심(P1)은 회전중심(P2)에서 거리(L1)만큼 떨어져 있는 상태에 있고, 이때는 밸런싱 웨이트(80A,80B)가 회전중심(P2)의 후방(좌측)끝단에 위치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저각 회전운동체(10)를 고각으로 조정하기 위해 제어박스로부터 설정된 설정고각의 신호값이 출력되면 고저각 구동장치(50)가 작동을 개시하여 고저각 회전운동체(10)가 도 4에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되면 고저각 회전운동체(10)의 무게중심(P1)은 후방(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본 고안의 불평형모멘트 보상장치(100)가 작동을 개시하게 되는데, 상기에서 설정고각의 신호값은 작동기(70)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작동기(70)에 커넥팅 플레이트(76)를 매개로 연결된 밸런싱 웨이트(80A,80B)가 전방(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배런싱 웨이트(80A,80B)의 이동 위치를 위치감지가가 감지하여 제어박스로부터 인가된 신호값과 일치될 때 밸런싱 웨이트(80A,80B)는 고저각 회전운동체 (10)와 함께 이동동작이 멈춤되고 불평형 모멘트가 보상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저각 회전운동체의 각운동시 설정각 신호값에 의해 작동기에 의해 밸런싱 웨이트를 위치이동시켜 고저각 운동체의 무게중심과 회전중심의 상이로 인한 불평형 모멘트를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평형기를 이용하는 스프링방식에 비해 설계 및 설치가 간단하고, 또 부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나타나는 종래의 불평형모우멘트 보상장치의 구동역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본 고안은 고각 구동장치의 부하감소로 고저각 구동장치 및 구동모터의 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제어 및 장치의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다.

Claims (1)

  1. 고저각 회전운동체(10)를 고저각 구동장치에 의해 고저각운동을 시킴에 있어 회전운동체의 무게중심과 회전중심의 상이로 발생하는 불평형 모멘트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저각 회전운동체(10)측에 고정 지지된 가이드레일(62A,62B) 및 작동기(70)와;
    상기 가이드레일(62A,62B)에 슬라이딩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기에 연결되어 고저각 회전체의 무게중심을 가변시키는 밸런싱 웨이트(80A,80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저각 회전운동체(10)의 위치 각도 신호값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기 (70)의 구동을 제어하고 밸런싱 웨이트(80A,80B)의 위치를 이동시켜 불평형 모멘트를 보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각 회전운동 기구에서의 불평형 모멘트 보상장치.
KR2019990030076U 1999-12-28 1999-12-28 고저각 회전운동 기구에서의 불평형 모멘트 보상장치 KR200184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076U KR200184251Y1 (ko) 1999-12-28 1999-12-28 고저각 회전운동 기구에서의 불평형 모멘트 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076U KR200184251Y1 (ko) 1999-12-28 1999-12-28 고저각 회전운동 기구에서의 불평형 모멘트 보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251Y1 true KR200184251Y1 (ko) 2000-06-01

Family

ID=1960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076U KR200184251Y1 (ko) 1999-12-28 1999-12-28 고저각 회전운동 기구에서의 불평형 모멘트 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2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033B1 (ko) 2010-10-12 2012-08-10 국방과학연구소 고각구동시스템, 이를 구비한 유도탄 발사시스템 및 고각구동시스템의 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033B1 (ko) 2010-10-12 2012-08-10 국방과학연구소 고각구동시스템, 이를 구비한 유도탄 발사시스템 및 고각구동시스템의 작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3971B1 (en) Elevator horizontal suspensions and controls
EP0525812B1 (en) Elevator cab guidance assembly
US5072801A (en) Vibration absorber
US7665585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GB2433107A (en) Weapon stabilisation means
JP2008195382A (ja) アクチュエータを稼動するための方法、特にスタビライザ装置内の電気アクチュエータを稼動するための方法
JP2018162059A (ja) 鉄道車両のホイールセットを制御する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
JP2865949B2 (ja) エレベータの制振装置
KR200184251Y1 (ko) 고저각 회전운동 기구에서의 불평형 모멘트 보상장치
JP2013529759A (ja) 円錐摩擦リングギヤ
US20080021620A1 (en) Control of Driveline Geometry
US20130154208A1 (en)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of varying a stiffness of a suspension of a vehicle
CN100336690C (zh) 一种新型的磁悬浮列车空气悬架高度控制装置
EP1163140B1 (en) A member arranged to act between two in relation to each other movable parts of a vehicle
KR20160069842A (ko)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
KR102530061B1 (ko) 진동 상쇄 시스템
JP2002154433A (ja) 踏切しゃ断機
JP3981086B2 (ja) 車高調整装置
CN111183267B (zh) 控制车辆举升门的方法、控制装置、举升门组件和机动车
WO2020136578A1 (en) Motorcycle with chain drive and adjustable balance
JPH10278802A (ja) 台車駆動装置
KR20020018769A (ko)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
JP2693377B2 (ja) 高低装置
JPS603215B2 (ja) 自動重量平衡装置
JP2567461Y2 (ja) バラン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