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842A -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 - Google Patents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842A
KR20160069842A KR1020140175967A KR20140175967A KR20160069842A KR 20160069842 A KR20160069842 A KR 20160069842A KR 1020140175967 A KR1020140175967 A KR 1020140175967A KR 20140175967 A KR20140175967 A KR 20140175967A KR 20160069842 A KR20160069842 A KR 20160069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transverse leaf
spring
spring constant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이지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9842A/ko
Publication of KR20160069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arranged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5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격된 지점에서 횡치 리프스프링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지지하고,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점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가 변경되도록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은,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상기 현가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횡치 리프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각각 지지하되 지지하는 위치가 가변되는 스프링상수 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ADJUSTING SPRING CONSTANT OF TRANSVERSE LEAF SPRING IN SUSPENSION OF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탑재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를 조절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격된 지점에서 횡치 리프스프링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지지하고,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점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가 변경되도록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현가장치에는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바퀴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차량의 폭방향으로 횡치 리프스프링(Leaf Spring)이 설치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현가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는데, 서브프레임(101)이 연결링크(102)를 통하여 휠(W)과 연결되고, 상기 현가장치(100)가 쇽업저버(103)를 통하여 차체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101)과 평행하게 횡치 리프스프링(110)이 설치되어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데,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10)은 그 단부에 인접한 부위에서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상부마운팅부시(111)와 하부마운팅부시(112)를 설치하여 상기 서브프레임(101)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110)은 상기 상부마운팅부시(111)와 상기 하부마운팅부시(11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현가장치(100)가 동일한 특성을 발휘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운전자는 취항에 따라 상기 현가장치(100)가 다른 특성을 발휘하기를 원하는데, 상기 현가장치(100)의 특성을 제어할 수가 없었다.
또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10)의 스프링상수에 따라 상기 차량의 승차감, 핸들링 특성 등이 변경될 수 있는데,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10)의 스프링상수가 고정되어 있어서, 차량의 내구에 따라 초기의 현가장치(100)의 특성이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초기의 상태로 조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현가장치의 특성을 변경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차량용 횡치 리프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프스프링의 상부마운트와 하부마운트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한 기술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KR 10-2013-0005910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현가장치에서 횡치 리프스프링을 지지하는 부분의 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가 조정되도록 하여 상기 현가장치의 특성이 가변되도록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는,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상기 현가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횡치 리프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각각 지지하되 지지하는 위치가 가변되는 스프링상수 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상수 조절수단은, 서보모터와, 일단은 상기 서보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기 서보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위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조절되는 조절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상부면에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부롤러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하부면에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를 연결하면서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를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을 밀착시키고, 상기 조절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는 연결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롤러의 직하방에 상기 하부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보모터의 출력축은 리드스크류과 연결되고,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조절링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스크류가 삽입되어 상기 리드스크류가 결합되는 베어링블록이 더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블록의 단부에 상기 조절링크의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중심과 상기 조절링크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위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를 낮추기 위해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중심과 상기 조절링크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위의 거리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은,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상기 현가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를 조절하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와, 운전자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스위치와, 상기 조작스위치로부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내의 서보모터를 작동을 제어하는 서보모터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스위치는, 노멀모드, 소프트모드 및 하드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스위치를 통하여 하드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서보모터 컨트롤러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가 증가하도록 상기 서보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스위치를 통하여 소프트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서보모터 컨트롤러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가 감소하도록 상기 서보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에 따르면, 서보모터를 작동시켜 횡치 리프스프링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점이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를 조절함으로써, 현가장치의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렇게 현가장치의 특성을 변경시킴으로써, 차량의 내구에 따른 현가장치의 특성을 초기로 유지하거나,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현가장치의 특성을 가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도로서, 현가장치에 횡치 리프스프링이 설치되는 부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의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에서 조절링크의 작동에 따른 마운팅거리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에서 마운팅부 거리와 스프링 상수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는,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상기 현가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횡치 리프스프링(10)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각각 지지하되 지지하는 위치를 가변시키는 스프링상수 조절수단이 설치된다.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서브프레임(101)과 평행하게 차량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횡치 리프스프링(10)은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현가장치의 특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스프링상수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현가장치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스프링상수 조절수단이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상수 조절수단의 구체적인 예로서, 서보모터(21)와, 상기 서보모터(21)에 의해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을 지지하는 부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링크(24)를 포함한다.
서보모터(21)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중심의 상방에 위치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하여,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스프링상수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서보모터(21)의 출력축에는 리드스크류(22)가 체결되어 있어서, 상기 서보모터(21)의 회전력은 상기 리드스크류(22)를 통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조절링크(24)는 일단은 상기 서보모터(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지지한다.
상기 조절링크(24)는 상기 서보모터(21)로부터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조절링크(2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보모터(21)로부터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좌우측 단부를 각각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조절링크(24)의 일단은 상기 서보모터(21)에 연결되는데, 상기 서보모터(21)에 체결된 상기 리드스크류(22)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베어링블록(23)을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블록(23)과 상기 조절링크(24)의 일단을 힌지연결함으로써, 상기 조절링크(24)의 일단이 상기 서보모터(21)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2)와 상기 베어링블록(23)이 결합부위에는 볼베어링이 구비되어 작동시 발생하는 마찰이 감소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링크(24)는 상기 서보모터(21)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을 지지하는 부위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길이방향(차량의 폭방향)으로 가변된다.
상기 조절링크(24)의 타단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지지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밀착되게 상부롤러(25)와 하부롤러(26)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롤러(25)와 상기 하부롤러(26)를 상기 조절링크(24)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롤러(25)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중심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상부면과 밀착되게 위치하여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상부면을 지지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롤러(26)도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중심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하부면과 밀착되게 위치하여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상기 상부롤러(25)와 상기 하부롤러(26)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중심으로서 서로 다른 거리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지만, 상기 상부롤러(25)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상부롤러(25)와 하부롤러(26)가 위치한 지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마운팅거리가 되고, 상기 조절링크(2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롤러(25)와 상기 하부롤러(26)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와 접촉되는 부위가 가변된다.
한편, 상기 상부롤러(25)와 상기 하부롤러(26)가 상기 조절링크(24)와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로드(27)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로드(27)는 상기 상부롤러(25)와 상기 하부롤러(26)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롤러(25)와 상기 하부롤러(26)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롤러(25)와 상기 하부롤러(26)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롤러(25)와 상기 하부롤러(2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27)의 중간부위가 상기 조절링크(24)의 타단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의 현가장치의 특성이 가변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서보모터(21)가 작동하면 리드스크류(22)와 베어링블록(23)을 통하여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을 변환되어 상기 조절링크(24)의 일단, 즉 상기 조절링크(24)에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중심에 가까운 부위가 승강한다.
상기 조절링크(24)의 일단이 승강함에 따라 상기 조절링크(24)의 타단이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을 지지하는 부위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스프링상수가 가변된다.
즉,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에서 스프링상수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이 지지되는 부위의 거리에 따라 가변되는데,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에서 상기 상부롤러(25)와 상기 하부롤러(26)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스프링상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상기 서보모터(21)를 조작하여 상기 조절링크(24)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스프링상수가 조절되는 원리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조절링크(24)의 길이를 L, 조절링크(24)의 일단과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중심까지의 높이인 마운팅 높이를 x, 조절링크(24)의 타단과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중심까지의 거리인 마운팅 거리를 y라 하면, 조작전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고, 조절링크(24)의 길이, 마운팅거리, 마운팅 높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한편, 상기 서보모터(21)를 작동시켜 상기 조절링크(24)의 위치를 변경시키면, Δx, Δy 만큼의 마운팅 높이와 마운팅 거리에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마운팅높이는 리드스크류(22)의 회전수와 피치와 관계가 있는 바, 다음과 같이, 리드스크류(22)의 회전수(r)와 피치(p)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3
따라서, 다시 마운팅거리의 변화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즉,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스프링상수를 변경하려면,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에서 조절링크(24)의 타단, 즉 상부롤러(25)와 하부롤러(26)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면 되고, 이는 상기 서보모터(21)의 조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링크(24)의 타단이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를 지지하는 부위를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스프링상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거리가 증가할수록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스프링상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스프링상수를 증가시키려면 상기 마운팅거리가 증가되도록 상기 서보모터(21)를 작동시키고, 스프링상수를 줄이려면, 상기 마운팅거리가 감소되도록 상기 서보모터(21)를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스프링상수를 조절함에 따라 차량의 현가장치의 특성도 조절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를 이용한다.
즉,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에 운전자가 이를 조작할 수 있는 구성요소와 운전자의 조작의지에 맞게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조작스위치(31)는 운전자가 차량의 현가장치를 자신의 취향에 맞도록 조작하기 위해 구비된다. 예컨대, 운전자는 상기 조작스위치(31)를 통하여 노멀모드, 소프트모드, 하드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현가장치의 특성이 변경되도록 한다. 하드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노멀모드에 비하여, 소위 현가장치가 딱딱해지는 느낌을 갖게 되고, 소프트모드를 선택하면, 그 반대가 된다.
또한. 상기 조작스위치(31)는 상기 3가지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소프트모드와 하드모드에서는 단계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서보모터 컨트롤러(32)를 상기 조작스위치(31)로부터 입력된 모드에 따라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스프링상수가 가변되도록 서보모터(21)를 제어한다.
상기 조작스위치(31)에서 선택된 모드가 하드모드이면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스프링상수가 증가되도록 마운팅거리가 증가되도록 상기 서보모터 컨트롤러(32)는 상기 서보모터(21)를 작동시킨다. 즉, 하드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서보모터(21)는 마운팅거리가 증가되도록 조절링크(24)의 타단, 즉 상부롤러(25)와 하부롤러(26)에 의해 횡치 리프스프링(10)이 지지되는 부위를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중심으로부터 더 이격되도록 작동시킨다. 하드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도 7에서 삼각형 T가 T'와 같은 형태가 되도록 작동한다.
만약, 소프트모드로 선택되면, 서보모터 컨트롤러(32)는 반대로 상부롤러(25)와 하부롤러(26)에 의해 횡치 리프스프링(10)이 지지되는 부위가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중심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서보모터(21)를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에 따라 횡치 리프스프링(10)의 스프링상수가 가변되면, 현가장치의 특성이 조절된 상태로 차량은 주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에 의해 현가장치에 설치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현가장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0 : 횡치 리프스프링 21 : 서보모터
22 : 리드스크류 23 : 베어링 블록
24 : 조절링크 25 : 상부롤러
26 : 하부롤러 27 : 연결로드
31 : 조작스위치 32 : 모터 컨트롤러
100 : 현가장치 101 : 서브프레임
102 : 연결링크 103 : 쇽업저버
110 : 횡치 리프스프링 111 : 상부 마운팅 부시
112 : 하부 마운팅 부시

Claims (12)

  1.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상기 현가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횡치 리프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각각 지지하되 지지하는 위치가 가변되는 스프링상수 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상수 조절수단은,
    서보모터와,
    일단은 상기 서보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기 서보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위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조절되는 조절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상부면에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부롤러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하부면에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를 연결하면서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를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을 밀착시키고, 상기 조절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는 연결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의 직하방에 상기 하부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모터의 출력축은 리드스크류과 연결되고,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조절링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가 삽입되어 상기 리드스크류가 결합되는 베어링블록이 더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블록의 단부에 상기 조절링크의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중심과 상기 조절링크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위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를 낮추기 위해서,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중심과 상기 조절링크가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위의 거리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9.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상기 현가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를 조절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의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와,
    운전자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스위치와,
    상기 조작스위치로부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내의 서보모터를 작동을 제어하는 서보모터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는,
    노멀모드, 소프트모드 및 하드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를 통하여 하드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서보모터 컨트롤러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가 증가하도록 상기 서보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를 통하여 소프트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서보모터 컨트롤러는, 상기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가 감소하도록 상기 서보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
KR1020140175967A 2014-12-09 2014-12-09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 KR20160069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967A KR20160069842A (ko) 2014-12-09 2014-12-09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967A KR20160069842A (ko) 2014-12-09 2014-12-09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842A true KR20160069842A (ko) 2016-06-17

Family

ID=5634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967A KR20160069842A (ko) 2014-12-09 2014-12-09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98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2487B3 (de) 2017-12-12 2019-04-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hrlenkerachse für ein Fahrzeug
US11046140B2 (en) 2019-05-07 2021-06-29 Hyundai Motor Company Rear suspension apparatus of vehicle
KR20210001753U (ko) 2020-01-21 2021-07-29 임빈 리프 스프링 높이조절블럭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910A (ko) 2011-07-08 2013-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횡치 리프 서스펜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910A (ko) 2011-07-08 2013-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횡치 리프 서스펜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2487B3 (de) 2017-12-12 2019-04-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hrlenkerachse für ein Fahrzeug
US10940729B2 (en) 2017-12-12 2021-03-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link axle for a motor vehicle
US11046140B2 (en) 2019-05-07 2021-06-29 Hyundai Motor Company Rear suspension apparatus of vehicle
KR20210001753U (ko) 2020-01-21 2021-07-29 임빈 리프 스프링 높이조절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6075B1 (en) Active vibration isolation system
EP2608972B1 (en) Variable-geometry suspension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such apparatus
KR101283606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GB2545652B (en) Control unit for an active suspension system
AU2011201874B2 (en) Operator ride enhancement system
US9193243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KR20050084280A (ko) 엔드 스톱으로 조절가능한 제동 제어
KR101846869B1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장치
KR20160069842A (ko)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치 리프스프링의 스프링상수 조절시스템
JP6345724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284346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CN108725122B (zh) 电磁悬架装置
US11235820B2 (en) Adaptive track assembly
KR20070079739A (ko)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의 액튜에이터 구조
CN106965722B (zh) 车辆振动装置
KR101427945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WO2019069077A1 (en) MOVEMENT DEVICE
KR101744803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US20130154208A1 (en)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of varying a stiffness of a suspension of a vehicle
US20220142833A1 (en) Adaptive track assembly
JP7136957B1 (ja) 電動サスペンション装置
EP2247491B1 (en) Cab suspension arrangement and cab suspension
JP2011131611A (ja) 車両の電磁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284339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용 슬라이딩 유닛
KR102659190B1 (ko) 차체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고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