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067Y1 -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 - Google Patents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067Y1
KR200184067Y1 KR2019990030261U KR19990030261U KR200184067Y1 KR 200184067 Y1 KR200184067 Y1 KR 200184067Y1 KR 2019990030261 U KR2019990030261 U KR 2019990030261U KR 19990030261 U KR19990030261 U KR 19990030261U KR 200184067 Y1 KR200184067 Y1 KR 200184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lasses
magnifying
lenses
magnify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근
Original Assignee
강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근 filed Critical 강정근
Priority to KR2019990030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0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0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수렌즈와 동일한 광축에 2초점 확대렌즈를 일체형 또는 착탈식으로 구비하여 장시간 작은 글자나 물체를 볼지라도 눈의 피로를 적게 느낄 수 있는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도수안경(10)에 결합되어 확대기능을 갖는 이중안경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력에 맞추어 렌즈의 도수가 설정된 한쌍의 도수렌즈(11,12)를 갖는 도수안경(10)과, 각각 상기 도수안경(10)의 한쌍의 도수렌즈(11,12)와 동일한 광축상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상을 확대시켜주기 위해 도수렌즈(11,12)의 전방에 배치된 제1 및 제2 확대렌즈(21,22)와, 상기 제1 및 제2 확대렌즈(21,22)를 지지하여 도수안경(10)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30-30d)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Double Glasses Having Magnifying Lens of Two Focuses}
본 고안은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수렌즈의 일정거리 선단부에 2초점 확대렌즈를 일체형 또는 착탈식으로 구비하여 장시간 작은 글자나 물체를 볼지라도 눈의 피로를 적게 느낄 수 있는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접해 있는 작은 글자나 물체를 잘 보지 못하는 원시안 또는 노안인 사람들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보통의 도수안경의 렌즈 하단에 돋보기 렌즈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렌즈 안경을 사용하거나, 또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보통의 도수안경과 작은 글자나 물체를 자세하게 보기 위한 돋보기 안경 2개를 별개로 휴대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착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복합렌즈 안경의 돋보기 렌즈를 통하여 작은 글자를 보는 경우 눈동자를 돋보기 렌즈에 맞추기 위하여 계속 아래로 내려 깔아야 하므로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이러한 돋보기 렌즈는 크기가 작아 시야각이 좁게 된다. 더욱이 작은 글자 또는 물체 등을 확대하여 볼 필요가 있는 경우 기능을 발휘할 수 가 없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돋보기 안경을 휴대하고 필요한 경우에 돋보기 안경을 도수안경의 코걸이에 얹저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돋보기 안경이 도수안경에 단순히 걸쳐저 있는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움직일 때마다 돋보기 안경이 흔들리거나 떨어져서 손상이 가해지는 문제점과 작은 글자 또는 물체를 확대하는 데는 도수안경과 돋보기 안경이 서로 근거리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적절한 확대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또한 이 경우에도 돋보기 렌즈가 도수렌즈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어 최적의 글자 확대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한편 실용신안공고 제92-2911호에는 기존의 도수안경의 양측 다리와 테를 연결하는 한쌍의 힌지에 돋보기 렌즈(또는 색렌즈)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킨 '이중안경'이 개시되어 있다.
이 이중안경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돋보기 렌즈를 양측 다리쪽으로 고정시키고 돋보기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 돋보기 렌즈를 도수안경의 렌즈쪽으로 회전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안경은 일체식이므로 돋보기 렌즈의 위치가 도수렌즈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하측에 있는 작은 글자 등을 판독하는 데 유리하나 도수안경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위치선정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일반적으로 돋보기 렌즈는 도수렌즈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작은 글자의 확대에 바람직하나 도수렌즈의 후방에 돋보기 렌즈가 배치되어 있어 최적의 글자 확대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한편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9-9467호에는 일반 안경에 구비된 집게를 이용하여 돋보기 렌즈를 착탈식으로 지지할 수 있는 보조안경 결착구를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안경은 구조가 복잡하고 돋보기 렌즈가 도수렌즈의 바로 전면에 형성되므로 충분한 확대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당뇨병, 고혈압, 초기 백내장 등과 같은 질환이나 합병증으로 시력이 크게 저하되어 일반 돋보기 안경으로는 근거리 작업이나 독서 등이 불가능한 약시 환자에게는 상기한 종래기술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또한, 시력이 정상적인 사람인 경우에도 30-40cm의 근거리에서 미세한 조작이 필요한 금/은 세공 또는 보석 가공작업을 하는 경우 현재에는 루뻬라고 하는 확대경을 눈에 압지한 상태로 작업하고 있으나, 계속적으로 눈 주변의 근육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숙련된 사람이 아니면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근거리 물체를 확대해볼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는 손으로 들고 보는 확대경이나 머리에 착용한 상태로 필요시에 확대경을 회전시켜 사용하는 외과수술용 의료장비가 사용되고 있다.
먼저 들고 보는 확대경(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손으로 들고 책(7) 등을 보아야 하기 때문에 두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두 눈(3,5)을 모두 뜬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 눈(3,5)의 초점이 확대경(1)의 초점부(1a) 이외의 지점(1b,1c)을 통하여 관측되기 때문에 오랜시간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어지럽거나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두 눈의 광축(2a,2b)이 확대경의 초점부(1a) 이외의 부분을 지나고 있기 때문에, 즉 단일의 초점을 갖는 확대경(1)을 통하여 피사체를 인식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머리 착용식 확대경은 머리를 감싸는 머리띠가 머리를 압박하게 되며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싸서 일반인들이 사용하는데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수렌즈의 광축상 선단부에 배치된 2초점 확대렌즈를 일체형 또는 착탈식으로 구비하여 장시간 작은 글자나 물체를 볼지라도 눈의 피로를 적게 느낄 수 있는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중안경에서 확대렌즈부를 상부로 선회시킴에 의해 단일의 도수안경으로 전환하여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 연결부를 갖는 확대용 이중안경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확대용 렌즈부를 회전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확대용 이중안경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제2실시예를 사용자의 안경에 결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결부를 갖는 이중안경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1초점 확대경을 사용하여 글자를 확대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이중안경에 포함된 2초점 확대렌즈를 사용하여 글자를 확대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5 ; 눈 7 ; 책
10 ; 도수안경 11,12 ; 제1 및 제2 도수렌즈
13 ; 브리지 14 ; 테
20,20a-20c ; 확대렌즈부 21,22 ; 제1 및 제2 확대렌즈
30,30c,30d ; 연결부 30a,30b ; 수직 연결부
31,31a,31b ; 힌지 32 ; 회전축
33,33a ; 지지프레임 33b,33c ; 지지편
34 ; 고정볼트 40 ; 결합부
41 ; 지지편 42 ; 보조지지편
42a,42b ; 구멍 43,43a,43b ; 걸이부
44 ; 탄성다리 45a,45b ; 결합부
45c ; 조정레버 46 ; 결합볼트
47 ; 고정볼트 48 ; 테고정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의 도수안경에 결합되어 확대기능을 갖는 이중안경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력에 맞추어 렌즈의 도수가 설정된 한쌍의 도수렌즈를 갖는 도수안경과, 각각 상기 도수안경의 한쌍의 도수렌즈와 동일한 광축 상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상을 확대시켜주기 위해 도수렌즈의 전방에 배치된 제1 및 제2 확대렌즈와, 상기 제1 및 제2 확대렌즈를 지지하여 도수안경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확대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과 도수안경의 브리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적용 가능한 다른 지지수단은 상기 확대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과 도수안경의 테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수단은 확대렌즈를 포함한 선단부를 상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지지수단은 상기 확대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도수안경의 브리지와 렌즈 또는 안경테와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한 확대렌즈와 도수렌즈 사이의 거리는 확대렌즈의 초점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로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의 도수렌즈의 일정거리 선단부에 2초점 확대렌즈를 일체형 또는 착탈식으로 광축상에 구비함에 의해 확대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고, 2초점 구조이므로 장시간 작은 글자나 물체를 볼지라도 눈의 피로를 적게 느끼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중안경에서 확대렌즈부를 상부로 선회 또는 도수안경에서 분리시킴에 의해 단일의 도수안경으로 전환 가능하여 예를들어, 정밀 세공작업을 하다가 다른 일반 일을 하는 경우 쉽게 도수안경 상태로 전환하여 편리하게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 연결부를 갖는 확대용 이중안경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확대렌즈부를 회전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 연결부를 갖는 확대용 이중안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상적인 제1 및 제2 도수렌즈(11,12)가 테(14)에 의해 지지되는 도수안경(10)과, 도수안경(10)의 선단부에 테(14)의 브리지(13)로부터 연장된 단일의 연결부(30)를 통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제1 및 제2 확대렌즈(21,22)를 갖는 확대렌즈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연결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브리지(13)와 인접한 위치에 필요에 따라 확대렌즈부(20)를 상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힌지(31)가 삽입되어 있어, 힌지(31)의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의 선단부에는 제1 및 제2 확대렌즈(21,22)를 지지하기 위한지지 프레임(33)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 및 제2 확대렌즈(21,22)는 지지 프레임(33)에 각각 고정볼트(34)와 고정너트 또는 고정볼트(34)만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는 무테 구조를 갖는 확대렌즈부(20)를 예시한 것이나,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유테 구조의 확대렌즈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1 및 제2 확대렌즈(21,22)는 각각 작은 물체의 상을 확대하기 위한 볼록렌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30)는 확대렌즈(21,22)의 초점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중안경을 착용하고 책(7) 등을 보는 경우 확대렌즈(21,22)를 통하여 확대된 상을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손을 모두 사용 가능하여 어떤 작업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두 눈(3,5)을 모두 뜨고 볼지라도 각각의 눈(3,5)은 확대렌즈(21,22)의 초점부를 통하여 관측되기 때문에, 두 눈의 광축(2a,2b) 상에 확대렌즈(21,22)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랜시간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할지라도 눈의 피로를 덜 느끼게 된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확대렌즈부(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안경을 벗지 않고 확대렌즈부(2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자신의 도수안경을 사용하여 먼거리의 물체를 보고 다른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확대용 이중안경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제2실시예를 사용자의 안경에 결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안경은 확대렌즈부(20a)가 사용자의 통상적인 도수안경(10)과, 도수안경(10)의 브리지(13)에 후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40)를 구비하고 결합부(40)로부터 연장된 단일의 연결부(30)를 통하여 연결되며 선단부에 제1 및 제2 확대렌즈(21,22)를 갖는 확대렌즈부(20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2실시예의 확대렌즈부(20a)는 결합부(40)를 제외하면 제1실시예의 확대렌즈부(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며, 이하에 결합부(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결합부(40)는 연결부(30)로부터 한쌍으로 분지되어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연결부(30a,30b)의 하단부에 양단부가 고정용 작은 볼트(46)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는 지지편(41)과, 중앙부가 고정볼트(47)에 의해 지지편(41)에 고정되고 강선과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한쌍의 탄성다리(44)의 양단에 사용자의 도수안경 테(14)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부(45a,45b)가 일체로 형성된 테고정부(48)와, 상기 지지편(4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의 양단부에 도수안경(10)의 브리지(13)와 결합되는 한쌍의 걸이부(43a,43b)를 가지며 하단부는 상호 연결되어 있는 브리지 걸이부(4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브리지 걸이부(43)는 보조 지지편(42)이 지지편(41)의 전면에 결합되면서 양측에 한쌍의 구멍(42a,42b)이 상하로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브리지 걸이부(43)의 걸이부(43a,43b)는 단부가 도수안경(10)의 브리지(13)에 결합될 때 부식의 원인이 되는 흠집을 생성하지 않도록 타원형 형태로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한 테고정부(48)의 결합부(45a,45b)는 탄성다리(44)의 하단에서 돌기를 형성하도록 다단 절곡되어 있으며, 단부는 조정레버(45c) 역할을 하도록 타원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테고정부(48)는 2 조정레버(45c)를 오므린 경우 각각의 탄성다리(44)가 양측 외각으로 벌어지려는 복원력을 갖는다.
한편 상기 브리지 걸이부(43)의 수직부분은 서로 벌어지려는 복원력을 갖도록 성형되어 지지편(42)의 한쌍의 구멍(42a,42b)에 결합되어진다. 따라서 브리지 걸이부(43)는 지지편(42)의 구멍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브리지 걸이부(43)를 상/하로 이동시킬지라도 이동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제2실시예의 확대렌즈부(20a)를 사용자의 도수안경(10)에 결합시킬 때에는 테고정부(48)의 한쌍의 조정레버(45c)를 한손으로 잡아 오므린 상태에서 브리지 걸이부(43)의 걸이부(43a,43b)를 도수안경(10)의 브리지(13)에 전면으로부터 걸은 후 조정레버(45c)를 놓게 되면 결합부(45a,45b)의 결합돌기에 도수안경(10)의 테(14)가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정레버(45c)를 사용하여 확대렌즈부(20a)를 도수안경(10)에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함을 더해준다.
또한, 제2실시예의 확대기능과 기타의 작용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하여는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결부를 갖는 이중안경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제3실시예는 확대렌즈부(20b)가 한쌍의 연결부(30c,30d)를 통하여 사용자의 도수안경(10)에 일체로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한쌍의 연결부(30c,30d)는 양단부가 각각 도수안경(10)의 테(14)의 양측변에 고정되고 이로부터 전방으로 직선상태로 연장된후 각각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확대렌즈부(20b)의 양단과 연결된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연결부(30c,30d)는 각각 도수안경의 테(14)와 연결되는 부근에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한쌍의 힌지(31a,31b)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확대렌즈부(20b)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힌지(31a,31b)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시켜 일반적인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실시예의 확대기능과 기타의 작용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하여는 생략한다.
제3실시예는 무테 구조를 갖는 확대렌즈부(20b)를 예시한 것이나,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일반적인 유테 구조의 확대렌즈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도 5에 도시된 무테 구조의 확대렌즈부(20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은 변형된 무테 구조의 확대렌즈부(20c)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확대렌즈부(20c)는 지지 프레임(33a)에 한쌍의 지지편(33b,33c)을 통하여 제1 및 제2 확대렌즈(21,22)를 고정볼트(34)와 너트 또는 고정볼트(34)만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1쌍의 확대렌즈(21,22)를 구비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일의 확대렌즈(21 또는 22)만을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의 도수렌즈의 일정거리 선단부에 2초점 확대렌즈를 일체형 또는 착탈식으로 구비함에 의해 확대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고, 2초점 구조이므로 장시간 작은 글자나 물체를 볼지라도 눈의 피로를 적게 느끼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중안경에서 확대렌즈를 상부로 선회 또는 도수안경에서 분리시킴에 의해 단일의 도수안경으로 전환 가능하여 예를들어, 정밀 세공작업을 하다가 다른 일반 일을 하는 경우 쉽게 도수안경 상태로 전환하여 편리하게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사용자의 도수안경(10)에 결합되어 확대기능을 갖는 이중안경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력에 맞추어 렌즈의 도수가 설정된 한쌍의 도수렌즈(11,12)를 갖는 도수안경(10)과,
    각각 상기 도수안경(10)의 한쌍의 도수렌즈(11,12)와 동일한 광축상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상을 확대시켜주기 위해 도수렌즈(11,12)의 전방에 배치된 제1 및 제2 확대렌즈(21,22)와,
    상기 제1 및 제2 확대렌즈(21,22)를 지지하여 도수안경(10)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30-30d)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33)은 상기 확대렌즈(21,2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33)과,
    상기 지지 프레임(33)과 도수안경(10)의 브리지(13)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c,30d,33)은 상기 확대렌즈(21,2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33)과,
    상기 지지 프레임(33)과 도수안경(10)의 테(14)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연결부(30c,30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확대렌즈를 포함한 선단부를 상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힌지(31,31a,31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33,40)은 상기 확대렌즈(21,2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33)과,
    상기 지지 프레임(33)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도수안경(10)의 브리지(13)와 렌즈 또는 안경테와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30,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
  6.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렌즈(21,22)와 도수렌즈(11,12) 사이의 거리는 확대렌즈(21,22)의 초점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로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
KR2019990030261U 1999-12-29 1999-12-29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 KR200184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261U KR200184067Y1 (ko) 1999-12-29 1999-12-29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261U KR200184067Y1 (ko) 1999-12-29 1999-12-29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067Y1 true KR200184067Y1 (ko) 2000-06-01

Family

ID=1960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261U KR200184067Y1 (ko) 1999-12-29 1999-12-29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0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289A (ko) * 2014-04-11 2015-10-22 글로벌포커스 주식회사 안경에 탈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골프용 안경 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289A (ko) * 2014-04-11 2015-10-22 글로벌포커스 주식회사 안경에 탈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골프용 안경 보조 장치
KR101595086B1 (ko) 2014-04-11 2016-02-19 글로벌포커스 주식회사 안경에 탈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골프용 안경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15944B2 (en) Illuminated low-vision spectacles
US5541767A (en) Bioptic telescope system for use with bifocal spectacle
EP0300384B1 (en) Optical device for precision work
JP2005018068A (ja) 軽量型高分解能ビューア
JP2005538413A (ja) 低下視力に使用の二重二焦点眼球内レンズ−眼鏡望遠装置
MXPA01007456A (es) Anteojos para maquillaje.
US7339755B2 (en) Ring device with optical focusing mechanism
JP3885072B2 (ja) 眼鏡フレームおよびレンズハンガー
KR200184067Y1 (ko) 2초점 확대렌즈를 구비한 이중안경
US20040130674A1 (en) Monocular eyeglass assembly
JP4039905B2 (ja) ルーペ取付用眼鏡フレーム及びこの眼鏡フレームを用いたルーペ
US20070035694A1 (en) Light filtering nonprescription temporary reading glasses
KR20080003938U (ko) 초점 가변이 용이한 루페안경
US11526027B2 (en) Interchangeable hinge for modular eyewear
JP2001350123A (ja) 拡大鏡付きメガネ
CN218767642U (zh) 设有耳后卡位机构的眼镜架
KR200206852Y1 (ko) 램프를 구비한 이중안경
KR102319060B1 (ko) 안경 결합형 확대경
JP3318183B2 (ja) 使い勝手のよい多機能眼鏡
JPH1130768A (ja) 補助眼鏡および眼鏡
JPH06160782A (ja) 累進焦点レンズ試着用眼鏡
CA3091561A1 (en) Interchangeable hinge for modular eyewear
JP2003315688A (ja) 眼鏡を利用した医療用ルーペ
CN2783358Y (zh) 眼镜
JPH0282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