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639Y1 - 무채 절단기 - Google Patents
무채 절단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3639Y1 KR200183639Y1 KR2019980007265U KR19980007265U KR200183639Y1 KR 200183639 Y1 KR200183639 Y1 KR 200183639Y1 KR 2019980007265 U KR2019980007265 U KR 2019980007265U KR 19980007265 U KR19980007265 U KR 19980007265U KR 200183639 Y1 KR200183639 Y1 KR 2001836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radish
- cutting
- casing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채 절단기에 적용되어진 채칼날의 결합구조를 개량하여 무가 채형태로 절삭되는 과정에서 상기 채칼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하여 채칼날의 사용수명을 극대화 함과 아울러, 상기 채칼날의 결합방식에 있어서 용접과정을 배제하여 채칼날의 조립공정을 단순화 시킨 무채 절단기(radish cutter)에 관한 것으로, 이는 무채절단기의 절삭장치내에 장착되어진 회전디스크(122)에 180도의 배치간격을 두고 채칼날(124)을 각각 장착시키되, 상기 채칼날(124)은, 본체(125a)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장공(125b)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본체(125a)에 형성되어진 장공(125b)의 저면부를 통해서 결합부재(125c)의 칼날면(125d)이 끼움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무채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채 절단기에 적용되어진 채칼날의 결합구조를 개량하여 무가 채형태로 절삭되는 과정에서 상기 채칼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하여 채칼날의 사용수명을 극대화 함과 아울러, 상기 채칼날의 결합방식에 있어서 용접과정을 배제하여 채칼날의 조립공정을 단순화 시킨 무채 절단기(radish cutt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김치를 담그는데 보조재료로 사용되거나 또는 일식집 등에서 대량으로 사용되는 무채는 무를 일정한 두께로 가늘게 절삭한 것을 지칭한다. 무채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그 사용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주부들이 직접 무를 칼로 썰어서 만들 수 있지만, 예컨대 식당, 김치공장 또는 일식집과 같이 무채가 대량으로 필요한 곳에서는, 무채를 일일이 사람의 손으로 썰어 만든다는 것은 시간적으로나 인력의 효율성 측면에서 현실적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업소에서는 무채를 자동적으로 썰어낼 수 있는 무채 절단기를 이용하여 무채를 만들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무채 절단기의 무 투입구조를 나타내는 부분파단 단면도를 도시한다. 무채 절단기(10)는 케이싱(12)을 포함하며, 케이싱(12)에는 절삭공간(20) 및 구동공간(46)이 마련된다. 절삭공간(20) 및 구동공간(46)은 격벽(48)에 의해 서로 격리된다. 구동공간(46)의 내부에는 구동모터(14)가 배설되고, 구동모터(14)의 출력측에는 감속기(16)가 배열되어 구동모터(14)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모터(14)의 출력축(18)은 상기 격벽(48)을 관통하여 절삭공간(20)의 내부로 연장된다. 절삭공간(20)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모터(14)의 출력축(18)에는 회전 디스크(22)가 고정되며, 회전 디스크(22)는 상기 출력축(18)의 회전과 동시에 일체적으로 회전된다. 구동모터(14)로부터 대향되는 상기 회전 디스크(22)의 일면에는 두 쌍의 채칼날(24) 및 절단날(26)이 서로 180。 이격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상기 절삭공간(20)을 마련하는 케이싱(12)의 외측단부에는 덮개판(50)이 고정되며, 덮개판(50)의 상단부에 근접한 부분에는 개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40)의 하반부를 마련하는 덮개판(50)의 벽부분에는 투입부(28)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투입부(28)의 상단부는 무(36)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42)를 마련한다. 상기 덮개판(50)의 상단부에는 압착판(32)이 힌지축(34)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압착판(32)에는 핸들(30)이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압착판(32) 및 핸들(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V"자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투입부(28)는, 도 1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라운딩된 형상을 취하며, 압착판(32)의 자유 단부면도 상기 투입부(28)의 라운딩된 형상에 대응되도록 라운딩된다.
따라서, 투입구(42)를 통하여 무(36)를 투입부(28)에 투입한 상태에서 핸들(30)을 하방으로 선회시키면, 압착판(32)이 투입부(28)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무(36)를 상기 개방부(40)를 관통하여 채칼날(24) 및 절단날(26)을 향하여 밀어내고, 채칼날(24) 및 절단날(26)에 의해 생성된 무채(38)는 덮개판(5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44)를 통하여 적당한 수집용 선반에 수집된다. 이 때, 상기 채칼날(24)은 무(36)의 단부를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부분으로 구분하며, 그 뒤를 이어 절단날(26)이 일정 두께로 무(36)를 절단해냄으로써 무채(38)를 생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선행기술에 따른 무채 절단기(10)에 있어서는, 무(36)가 채칼날(24) 및 절단날(26)이 장착되는 회전 디스크(22)의 평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게 투입되어진 상태에서 절삭되는 것이기 때문에, 무채(38)가 생성되어진 과정에서 발생되어진 저항력에 의해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채칼날(124)의 본체(25a) 상면에 용접부(25c)를 통하여 용접결합되어진 결합부재(25b)의 칼날면(25d) 부위가 떨어져 나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채칼날(24)의 사용수명이 용접부위의 단락으로 짧아지게 된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특히 상기 채칼날(24)의 본체(25a)에 결합되어지는 결합부재(25b)는 그 결합방식이 용접부(25c)를 통하여 결합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채칼날(124)의 결합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무채 절단기의 채칼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무채 절단기에 적용되어진 채칼날의 결합구조를 개량하여 무가 채형태로 절삭되는 과정에서 상기 채칼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하여 채칼날의 사용수명을 극대화 함과 아울러 상기 채칼날의 결합방식에 있어서 용접과정을 배제하여 채칼날의 조립공정을 단순화 시킨 무채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무채 절단기의 절삭부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단면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종래 채칼날의 일부사시도,
도 3은 종래 채칼날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채 절단기의 절삭부를 나타내는 부분파단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무채 절단기의 회전디스크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
도 6은 상기 도 5의 A - A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무채 절단기에 적용되어진 채칼날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무채 절단기에 적용되어진 채칼날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무채 절단기에 있어서 덮개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0: 무채 절단기 12,112: 케이싱
14,114: 구동모터 16,116: 감속기
18,118: 출력축 20,120: 절삭공간
22,122: 회전 디스크 22a,122a:관통공
24,124: 채칼날 25a,125a: 본체
25b,125c: 결합부재 25c: 용접부
25d,125d: 칼날면 125b: 장공
26,126: 절단날 28,128: 투입부
30,130: 핸들 32,132: 압착판
34,134: 힌지축 36,136: 무
38,138: 무채 40,140: 개방부
42,142: 투입구 44,144: 배출구
46,146: 구동공간 48,148: 격벽
50,150: 덮개판 152: 돌출부
154: 상하방향 홈 156: 안내부
158: 전원 스위치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무채 절단기가 제공되고: 상기 무채 절단기는, 구동공간을 마련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구동공간에 배설되면서 그 출력축이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케이싱의 상기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과의 사이에 무채 절삭공간을 마련하면서 상기 무채 절삭공간과 연통되는 개방부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덮개판과; 상기 무채 절삭공간내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고정되면서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대향되는 그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쌍을 이루는 채칼날 및 절단날이 고정되는 회전 디스크와; 상기 덮개판에 고정되면서 무가 상기 개방부를 향하여 소정각도를 이루면서 투입될 수 있도록 무를 지지하는 투입부; 및 상기 덮개판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무를 상기 개방부를 관통하여 상기 채칼날 및 절단날을 향하여 압압하는 압착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채칼날의 구성을 이루는 본체와 칼날면이 형성되어진 결합부재의 결합구조를 본체에 형성되어진 장공을 통하여 끼움결합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무채 절단기에 적용되어진 채칼날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에는 본 고안에 따른 무채 절단기에 있어서 덮개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채 절단기(110)는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싱(112)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112)에는 절삭공간(120) 및 구동공간(146)이 마련된다.
절삭공간(120) 및 구동공간(146)은 격벽(148)에 의해 서로 격리된다. 구동공간(146)의 내부에는 구동모터(114)가 배설되고, 구동모터(114)의 출력측에는 감속기(116)가 배열되어 구동모터(114)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모터(114)의 출력축(118)은 상기 격벽(148)을 관통하여 절삭공간(120)의 내부로 연장된다. 절삭공간(120)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모터(114)의 출력축(118)에는 회전 디스크(122)가 고정되며, 회전 디스크(122)는 상기 출력축(118)의 회전과 동시에 일체적으로 회전된다. 구동모터(114)로부터 대향되는 상기 회전 디스크(122)의 일면에는 두 쌍의 채칼날(124) 및 절단날(126)이 서로 180。 이격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상기 절삭공간(120)을 마련하는 케이싱(112)의 외측단부에는 덮개판(150)이 고정되며, 덮개판(150)의 상단부에 근접한 부분에는 개방부(140)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 개방부(140)를 마련하는 덮개판(150)의 벽부분에는 투입부(128)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투입부(128)는 당 업계에 공지된 적당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벽부분에 고정된다. 상기 투입부(128)의 상단부에는 무(136)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42)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투입부(128)는 수평면에 대해 45。 이상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덮개판(150)에 고정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투입부(128)는 수평면에 대해 57。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덮개판(150)에 고정된다. 상기 덮개판(150)의 상단부에는 압착판(132)이 힌지축(134)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압착판(132)에는 핸들(130)이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압착판(132) 및 핸들(1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v"자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무채절단기에 적용되어진 회전디스크(122)상에 180도의 배치간격을 두고 장착되어진 절단날(126)과 채칼날(124)은 칼날에 의해 생성되어진 무채(138)가 배출되는 공간인 관통공(122a)을 사이에 두고 그 상,하방향에 각각 스크류를 통하여 나사결합 되어지게 된다.
상기 채칼날(124)의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7과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125a)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장공(125b)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채칼날(124)의 본체(125a)에 형성되어진 장공(125b)의 저면부를 통해서 결합부재(125c)의 칼날면(125d)이 끼움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투입구(142)를 통하여 무(136)를 투입한 상태에서 핸들(130)을 하방으로 선회시키면, 압착판(132)이 투입부(128)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무(136)를 상기 개방부(140)를 관통하여 채칼날(124) 및 절단날(126)을 향하여 밀어내고, 채칼날(124) 및 절단날(126)에 의해 생성된 무채(138)는 덮개판(15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44)를 통하여 적당한 수집용 선반에 수집된다. 이 때, 상기 채칼날(124)은 투입되어진 무(136)에 의해 칼날면(125d)이 저항을 받게 되더라도 상기 채칼날(124)의 본체(125a)에 대해 결합부재(125c)가 저면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칼날면(125d) 부위가 떨어져 나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상기 채칼날(124)의 결합부재(125c)는 상기 채칼날(124)의 본체(125a)에 형성되어진 장공(125b)에 끼움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채칼날(124)의 본체(125a)와 결합부재(125c)의 결합시 종래와 같이 용접과정이 배제되어 채칼날(124)의 결합이 용이해지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투입되어진 무를 절식시키기 위한 채칼의 결합방식이 본체의 저면부에 칼날면이 형성되어진 결합부재가 위치하도록 하여, 무의 절단과정에서 채칼날에 마찰저항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채칼날이 파손되지가 않게 되는 것이며, 또한 채칼날의 조립시 용접과정이 배제되어 채칼날의 조립이 간편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게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예컨대, 본 고안에 따른 무채 절단기가 무채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에 따른 절단기가 무 이외의 다른 재료를 절단하기 위해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2)
- 무채 절단기에 있어서,구동공간을 마련하는 케이싱;상기 케이싱의 구동공간에 배설되면서 그 출력축이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모터;상기 케이싱의 상기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과의 사이에 무채 절삭공간을 마련하면서 상기 무채 절삭공간과 연통되는 개방부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덮개판;상기 무채 절삭공간내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고정되면서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대향되는 그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쌍을 이루는 채칼날 및 절단날이 고정되는 회전 디스크;상기 덮개판에 고정되면서 무가 상기 개방부를 향하여 소정각도를 이루면서 투입될 수 있도록 무를 지지하는 투입부; 및상기 덮개판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무를 상기 개방부를 관통하여 상기 채칼날 및 절단날을 향하여 압압하는 압착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채 절단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디스크에 180도의 간격을 두고 각각 적용되어진 채칼날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장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진 장공의 저면부를 통해서 결합부재의 칼날면이 끼움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채 절단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7265U KR200183639Y1 (ko) | 1998-05-06 | 1998-05-06 | 무채 절단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7265U KR200183639Y1 (ko) | 1998-05-06 | 1998-05-06 | 무채 절단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5138U KR19980025138U (ko) | 1998-07-25 |
KR200183639Y1 true KR200183639Y1 (ko) | 2000-06-01 |
Family
ID=1953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7265U KR200183639Y1 (ko) | 1998-05-06 | 1998-05-06 | 무채 절단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3639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5775B1 (ko) * | 2000-08-10 | 2002-07-24 | 최중길 | 무채 썰이기 |
KR101410044B1 (ko) * | 2013-01-09 | 2014-06-20 | (주)영포리머텍 | 다기능 다짐기 겸용 믹서 |
-
1998
- 1998-05-06 KR KR2019980007265U patent/KR20018363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5775B1 (ko) * | 2000-08-10 | 2002-07-24 | 최중길 | 무채 썰이기 |
KR101410044B1 (ko) * | 2013-01-09 | 2014-06-20 | (주)영포리머텍 | 다기능 다짐기 겸용 믹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5138U (ko) | 1998-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64226B1 (en) | Food processor with reversible motor feature | |
JP2011062447A (ja) | 鼻毛カッター | |
AU2001253414A1 (en) | Food processor with reversible motor feature | |
KR200183639Y1 (ko) | 무채 절단기 | |
FR2787311B1 (fr) | Robot menager multifonctions | |
US4219749A (en) | Housing for power tools | |
KR200187620Y1 (ko) | 무채 절단기 | |
JPH03112527A (ja) | 電動調理器 | |
JP3836102B2 (ja) | 壁孔穿孔器 | |
US4927087A (en) | Ice shaving system | |
JPH0217632Y2 (ko) | ||
KR900000584Y1 (ko) | 회전식 채칼 | |
JPS5921714Y2 (ja) | 食品カツタ−装置 | |
JPS6135143Y2 (ko) | ||
JPH0215614Y2 (ko) | ||
KR950002625Y1 (ko) | 채즙, 강판 및 썰기를 하는 식품가공기 | |
JPS5925337Y2 (ja) | 電動式薬味おろし器 | |
JPS5916044Y2 (ja) | 電動式切削調理機 | |
JPH0321712Y2 (ko) | ||
JPH11206582A (ja) | 調理器 | |
JPS5916045Y2 (ja) | 電動式切削調理機 | |
JPS6014419Y2 (ja) | 電動式薬味おろし器 | |
KR940000345Y1 (ko) | 다목적 카터기의 절삭 및 토출장치 | |
KR940000212Y1 (ko) | 주방용 믹서기 | |
JPH0255700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