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625Y1 - 간접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간접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625Y1
KR200183625Y1 KR2019970021371U KR19970021371U KR200183625Y1 KR 200183625 Y1 KR200183625 Y1 KR 200183625Y1 KR 2019970021371 U KR2019970021371 U KR 2019970021371U KR 19970021371 U KR19970021371 U KR 19970021371U KR 200183625 Y1 KR200183625 Y1 KR 2001836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illed water
steam
tank
steam tan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381U (ko
Inventor
오일균
Original Assignee
권호택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호택,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호택
Priority to KR2019970021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62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3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3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6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6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2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 F22B37/44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of safe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2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 F22B37/46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low or high water level, e.g. for checking, suppressing, extinguishing combustion in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탈콘덴서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증류수 탱크의 증류수를 일정량씩 스팀조에 제공할 수 있도록 고안한 간접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팀조로 공급되는 미세한 양의 증류수를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대로 조절하는 미세 밸브를 증류수 출구관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댐퍼의 사이에 설치하여 스팀조에서 발생되는 증기량과 스팀조의 내부로 들어오는 증류수의 양을 일치시키도록 한다.
본 고안은, 순수 저장조와 스팀조를 상호연결하는 증류수 출구관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호연결하고 상기 스팀조의 일측에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상한 레벨센서 및 하한 레벨센서를 설치하여 증류수를 스팀조로 공급하는 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순수 저장조와 스팀조를 상호 연결하는 증류수 출구관의 상측부위부터 순수 온-오프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미세 밸브 및 댐퍼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미세 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증류수를 임의대로 조절하여 스팀조로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간접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Steam tower of an indirect standard capacity type}
본 고안은 일정량의 증기를 사용하여 탄탈콘덴서를 소성하는 소성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탈콘덴서의 소성을 진행하는 동안 소성공정에서 발생되는 탄탈콘덴서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미세 밸브를 설치하여 증류수 탱크에 공급되는 증류수를 필요에 따라 임의대로 일정량씩 제공할 수 있도록 고안한 간접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성로에서 탄탈소자를 소성시 상기 소성로의 내부에는 이산화망간 함침액이 존재하고 상기 함침액으로 탄탈소자를 담가 소성을 하게 되는데, 상기 소성로로 증기를 공급하는 방식으로는 흔히 순수 직접 공급방식과 정량 토출방식에 의하여 증기를 공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순수 직접 공급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스팀조(7)의 일단상측에는 순수 저장조(도면상 미도시)를 형성한다. 상기 순수 저장조에는 일단의 증류수 출구관(3)을 연결하고 상기 증류수 출구관(3)에는 중간부에 솔레노이드 밸브(5)를 설치하며, 상기 증류수 출구관(3)의 타단은 스팀조(7)와 연결한다.
상기 스팀조(7)의 일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와 연결되는 상한 레벨센서(9)와 하한 레벨센서(11)를 설치하여 스팀조(7)의 수위조절을 하게 된다. 상기 스팀조(7)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증기 토출관(30)을 통하여 체크 밸브(33)를 거쳐 소성로로 이동하게되고 상기 소성로에 있는 제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간접 정량 토출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순수 저장조(1)와 스팀조(7)는 증류수 출구관(3)으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증류수 출구관(3)에는중간부쯤에 순수 온-오프 밸브(13) 및 유량기(15)를 설치한다.
상기 순수 저장조(1)는 하부로 연결되어 있는 순수 온-오프 밸브(13)에 의해 일정량의 증류수를 공급하는데, 상기 순수 온-오프 밸브(13)를 설치한 하부에는 유량기(15)를 설치하여 순수 온-오프 밸브(13)를 통과한 증류수의 양을 측정하여 증류수를 스팀조(7)로 필요한 양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스팀조(7)의 상부에는 증기 토출관(30)이 형성되고 상기 증기 토출관(30)의 중간에는 체크 밸브(33)를 위치시키며, 상기 증기 토출관(30)의 말단을 소성로(도면상 미도시)와 연결시킨다. 상기 소성로의 내측에는 질산 망간액이 함침되어 있어 탄탈소자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게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일반적인 스팀조는 내부로 들어오는 증류수의 양과 소성로로 배출되는 증기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며 계속적으로 증기를 배출하여 소성로로 증기를 공급해야 되는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및 광센서(상한 레벨센서 및 하한 레벨센서)를 사용하여 증류수를 스팀조로 공급하는 경우, 스팀조에서 발생되는 증기량을 광센서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다.
또한, 정량 토출방식에 의한 유량기를 사용하는 경우 유량기의 구조상 기포가 발생되어 증류수가 유량기를 통과하지 못하여 정확한 양의 증류수를 스팀조로 공급할 수 없게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상기와 같은 연유로 인해, 상기 스팀조에서 발생하는 증기량을 일정량씩 소성로로 공급할 수 없어 소성로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았고, 소성로 내부에서 탄탈 소자(제품)를 소성시 질산 망간액의 화학 작용을 원활하게 유지시킬 수 없어 탄탈소자의 표면을 매끄럽게 접착시키지 못하게되어 접착력 취약 또는 노출불량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완성된 탄탈 소자(제품)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스팀조로 공급되는 미세한 양의 증류수도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미세 밸브를 증류수 출구관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댐퍼의 사이에 설치하여 스팀조에서 발생되는 증기량과 스팀조의 내부로 들어오는 증류수의 양이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간접정량 토출방식에 사용하는 미세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순수 저장조와 스팀조를 상호연결하는 증류수 출구관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호연결하고 상기 스팀조의 일측에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상한 레벨센서 및 하한 레벨센서를 설치하여 증류수를 스팀조로 공급하는 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순수 저장조와 스팀조를 상호 연결하는 증류수 출구관의 상측부위부터 순수 온-오프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미세 밸브 및 댐퍼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미세 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증류수를 임의대로 조절하여 스팀조로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순수 직접 공급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간접 정량 토출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미세 밸브를 간접정량 토출방식 소성로 시스템에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순수 저장조 3 : 증류수 출구관
5 : 솔레노이드 밸브 7 : 스팀조
9 : 상한 레벨센서 11: 하한 레벨센서
13: 순수 온-오프 밸브 15: 유량기
17: 댐퍼 19: 미세 밸브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미세 밸브를 간접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에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스팀조로 들어오는 증류수의 양을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순수 저장조(1) 및 스팀조(7)에 연결되는 증류수 출구관(3)에는 중간부에 순수 온-오프 밸브(13)를 설치하고 상기 순수 온-오프 밸브(13)의 하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5)를 설치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의 하부에는 미세 밸브(19)를 설치하고 상기 미세 밸브(19)의 하부에는 댐퍼(17)를 설치해 상기 스팀조(7)의 일측과 상호 연결한다.
상기 스팀조(7)의 일측 상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5)와 연결되는 상한 레벨센서(9) 및 하한 레벨센서(11)를 설치한다. 상기 스팀조(7)의 최상부에는 증기 토출관(30)에 설치된 체크 밸브(33)를 통해 상부에 위치하는 소성로(도면의 표기상 미표시)로 스팀조(7)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공급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순수 저장조(1)와 스팀조(7)의 사이에는 증류수 출구관(3)을 상호 연결설치하고, 상기 증류수 출구관(3)에는 순수 온-오프 밸브(13), 솔레노이드 밸브(5), 미세 밸브(19) 및 댐퍼(17)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에는 스팀조(7)의 일측 상부에 설치한 상,하한 레벨센서(9)(11)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 미세 밸브(19)는 종래의 유량기를 대체하며 스팀조(7)에서 발생시키는 증기량에 따라 작업자가 임의대로 조절이 가능한 간접정량 토출방식을 사용하며, 특히 미세 밸브(19)의 개폐에 따라 댐퍼(17)에 공급되는 증류수의 양을 조절하고 그로인해 스팀조(7)로 유입되는 증류수의 양을 작업자가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팀조(7)에는 솔레노이드 밸브(5)와 연결된 상,하한 레벨센서(9)(11)를 근접부에 설치하여 스팀조(7)의 증류수량을 측정한다. 상기 레벨센서(9)(11)는 스팀조(7)의 증류수량이 설정값을 벗어나게 되면 자동으로 증류수 출구관(3)의 솔레노이드 밸브(5)를 제어하여 순수 저장조(1)로부터 스팀조(7)로 증류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순수 저장조(1)로부터 스팀조(7)로 증류수가 정상적으로 유입되지 않아 스팀조(7)의 증류수량이 적정량보다 작게 되면 작업자가 미세 밸브(19)를 조작하여 순수 저장조(1)로부터 스팀조(7)로 유입되는 증류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스팀조(7)의 증류수량을 적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조(7)에는 하부로 설치된 히터(도면상 미도시)에 의해 증기의 온도가 항상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되고 그로인해 그 증기가 소성로로 이동시 소성로내의 온도를 일정(230-290°)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순수 저장조(1)와 스팀조(7)를 증류수 출구관(3)으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증류수 출구관(3)에는 중간부에 미세 밸브(19)를 설치하여 스팀조(7)에서 소성로로 보내지는 증기량과 스팀조(7)로 공급되는 증류수의 양을 간접 정량 방식에 의해서 일치시킬 수 있고, 특히 미세 밸브(19)의 조절에 의하여 증류수를 매분당 또는 매시간당 정확하게 스팀조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간접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으로 인하여 소성로에는 일정한 양의 증기를 연속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게 되고, 그로인해 후공정으로 진행되는 소성공정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어 탄탈소자(제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시킬 수 있고 탄탈소자의 노출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접착력이 강화된 안정된 탄탈소자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순수 저장조와 스팀조를 상호연결하는 증류수 출구관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호연결하고 상기 스팀조의 일측에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상한 레벨센서 및 하한 레벨센서를 설치하여 증류수를 스팀조로 공급하는 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순수 저장조(1)와 스팀조(7)를 상호 연결하는 증류수 출구관(3)의 상측부위부터 순수 온-오프 밸브(13), 솔레노이드 밸브(5), 미세 밸브(19) 및 댐퍼(17)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미세 밸브(19)의 작동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증류수를 임의대로 조절하여 스팀조(7)로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
KR2019970021371U 1997-08-02 1997-08-02 간접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 KR2001836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371U KR200183625Y1 (ko) 1997-08-02 1997-08-02 간접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371U KR200183625Y1 (ko) 1997-08-02 1997-08-02 간접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381U KR19990008381U (ko) 1999-03-05
KR200183625Y1 true KR200183625Y1 (ko) 2000-06-01

Family

ID=1950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371U KR200183625Y1 (ko) 1997-08-02 1997-08-02 간접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6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381U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963B1 (ko) 순환식 부식시험장치
SU1827006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сти нефтяной скважины
JPH04253693A (ja) 送液システム
KR200183625Y1 (ko) 간접정량 토출방식의 소성로 시스템
FI108150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massan käsittelemiseksi
KR100742367B1 (ko) 약액 혼합 공급장치
KR102166363B1 (ko) 폐열을 활용한 스팀 세차 장치
KR20000014379U (ko) 반도체 웨이퍼 세정용 약액 공급장치
JP2652693B2 (ja) 流量調節弁の制御方法
KR19990000679A (ko) 간접정량 토출방식 소성로 시스템
KR0122440Y1 (ko) 온수세정기
KR0163551B1 (ko) 반도체소자 제조용 화학용액의 공급장치
JPH09260332A (ja) 基板処理装置の薬液供給装置
JP6746255B2 (ja) 中和処理装置
JP3661757B2 (ja) 気化器
US1170239A (en) Measuring apparatus for liquids.
JPH0517708U (ja) シヤワー試験機用の水タンク
JPH0446814Y2 (ko)
JPH05288587A (ja) 流体貯留容器
JP4530120B2 (ja) 液体の定量供給装置
JPH06308066A (ja) アルコール濃度検出装置
KR20070090358A (ko) 유량 제어시스템
JP3115525B2 (ja) バッチ式稀釈装置
US64723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dispensing a wafer etchant
KR900007600Y1 (ko) 세탁기의 액체 세제 자동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