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047Y1 - 전원표시기능이 복합된 리모콘수광부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전원표시기능이 복합된 리모콘수광부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047Y1
KR200183047Y1 KR2019970040872U KR19970040872U KR200183047Y1 KR 200183047 Y1 KR200183047 Y1 KR 200183047Y1 KR 2019970040872 U KR2019970040872 U KR 2019970040872U KR 19970040872 U KR19970040872 U KR 19970040872U KR 200183047 Y1 KR200183047 Y1 KR 200183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ceiving
light
power
lens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247U (ko
Inventor
임선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40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04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82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2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0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채용되고 있는 전원LED부와 리모콘수광부가 일체화되도록하여 상기 리모콘수광부가 전원표시기능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디자인 개선과 조립성 향상이 도모되도록 개선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론트케이스에 형성된 수광부홀에 결합되는 수광렌즈와, 상기 수광렌즈를 통해 리모콘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를 구비하고 콘트롤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수광부앗세이와, 상기 콘트롤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전원표시기능을 하는 전원LED의 점,멸등 표시가 상기 수광부렌즈를 통해 식별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원표시기능이 복합된 리모콘수광부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채용되고 있는 전원LED부와 리모콘수광부가 일체화되도록하여 상기 리모콘수광부가 전원표시기능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디자인 개선과 조립성 향상이 도모되도록 개선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면 전원LED가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전원이 온(ON)된 것을 알 수 있게 하고 있고, 이러한 전원 온(ON)/오프(OFF) 및 기능 제어는 리모콘으로 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는 그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보인 것으로서, 프론트케이스(1)의 전면부에는 전원버튼(2)과, 전원공급 및 차단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전원LED부(3) 및 리모콘(미도시)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수광부(5)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원LED부(3) 및 리모콘수광부(6)는 콘트롤회로기판(4)에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도록 하고 있고, 이러한 구성을 도 2에서 보여 주고 있다.
즉, 전원LED부(3)는 콘트롤회로기판(4)에 설치되는 LED(3a)가 프론트케이스(1)에 형성된 램프홀(3b)에 끼워지도록 결합되게하여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리모콘수광부(5)는 프론트케이스(1)에 형성되는 수광부홀(5a)에 아크릴 재질의 수광렌즈(5b)가 결합되어 리모콘의 전파신호를 콘트롤회로기판(4)에 설치된 수광부앗세이(5c)가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전원LED부와 리모콘수광부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프론트케이스(1)에 램프홀(3b) 및 수광부홀(5a)을 각각 구비하게 하므로, 결과적으로 프론트케이스(1)의 한지점에 전원버튼(2)과 램프홀(3b) 및 수광렌즈(5b)가 모두 위치하는 상태가 되므로 제품 외관의 미려성을 저해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즉, 제품의 프론트케이스 전면부에 3개의 부품이 한군데에 집중적으로 있는 상태가 되면 매우 복잡하게 보이게 되므로서 제품이 산뜻하게 보이도록 하는 디자인에 있어 저해를 가져 오게 되고, 이러한 디자인 저해는 상품성을 나쁘게 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이 전원버튼을 비롯하여 전원LED부 및 리모콘수광부가 별도로 구성되면 이들의 조립성이 나쁘게 되므로 생산성 저하의 문제를 가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구비하는 전원LED부의 기능인 전원표시기능을 리모콘수광부가 복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디자인 개선과 조립성 향상이 도모되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론트케이스의 전면부에 하나의 수광부홀이 형성되도록하여 상기 수광부홀을 통해서 리모콘 수신 기능 및 전원표시 기능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프론트케이스에 형성된 수광부홀에 결합되는 수광렌즈와, 상기 수광렌즈를 통해 리모콘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를 구비하고 콘트롤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수광부앗세이와, 상기 콘트롤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전원표시기능을 하는 전원LED의 점,멸등 표시가 상기 수광부렌즈를 통해 식별되도록 구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LED는, 수광부렌즈를 통해 점,멸등표시가 식별되도록 하기 위해 수광부앗세이와 최대한 근접되도록 콘트롤회로기판에 설치됨을 부수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광부렌즈를 통해 점,멸등 표시가 식별되도록 하기 위해 전원LED는 수광부앗세이에 포함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됨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광렌즈 일측으로 전원LED의 불빛을 전달하는 유도렌즈부를 형성하여 수광렌즈를 통해 전원LED 불빛이 발광되도록 구성되는 다른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레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B - B'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C - C'선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9는 도 8의 C - C'선 확대 단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프론트케이스 12 : 전원버튼
13 : 수광부홀 14 : 수광렌즈
15 : 콘트롤회로기판 16 : 수광부앗세이
17 : 전원LED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프론트케이스(11)의 전면부에는 전원버튼(12)을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옆에는 하나의 수광부홀(13)에 수광렌즈(14)가 결합되어 외부에서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수광렌즈(14)를 통해 리모콘에서 전파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수광렌즈(14)를 통해서 전원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여 준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론트케이스(11)의 내측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콘트롤회로기판(15)에 설치된 수광부앗세이(16)의 수광부(16a)가 상기 수광렌즈(14)의 정중앙 위치에 오도록 설치하고, 상기 수광부앗세이(16)와 최대한 근접되도록 전원LED(17)가 콘트롤회로기판(15)에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원LED(17)가 수광렌즈(14)의 후미 일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원LED(17)가 점등되면 그로부터 발산되는 불빛이 수광렌즈(14)를 비추어서 수광렌즈(14)가 밝은 빛을 발하게 되어 사용자는 그것을 보고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것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모콘조작, 또는 전원버튼(12)의 조작으로 전원을 오프(OFF)시키면 회로적인 구성으로 인해 전원LED(17)가 멸등되고, 아울러서 수광렌즈(14)는 불빛을 받지 못하게 되어 발광하지 않게 되므로 이것을 육안으로 보고 식별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원이 차단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광렌즈(14)를 통해서는 리모콘의 발신 전파를 수광부앗세이(16)의 수광부(16a)가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하나의 수광렌즈(14)를 통해서 리모콘수신 기능과 전원표시 기능을 모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도면에서 수광부(16a)로 화살표 도시된 것은 리모콘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가 도 6 및 도 7에 나타나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원LED(17)가 수광부앗세이(16)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게 한것으로서, 상기 수광부앗세이(16)에 구비하는 수광부(16a)는 수광부앗세이(16)의 일측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설치시에는 상기 수광부(16a)가 도 6에 보인바와 같이 수광렌즈(14)의 정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게 한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수광렌즈(14)의 정중앙부에 수광부(16a)가 위치하므로 리모콘의 발신 신호를 수신하는데 별다른 문제없이 수신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수광렌즈(14)의 바로 뒤에 전원LED(17)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전원LED(17)에서 발산되는 빛을 수광렌즈(14)가 받아서 빛을 발하거나 멸등되는 상태가 되므로 전원표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3실시예는 콘트롤회로기판(15)에 설치되는 수광부앗세이(16)와 전원LED(17)가 각각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전원LED(17)에서 발광되는 빛은 수광렌즈(14)를 통해서 발광될 수 있도록 상기 수광렌즈(14)의 일측으로 빛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렌즈부(14a)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렌즈부(14a) 하측으로 전원LED(17)가 위치하도록 콘트롤회로기판(15)에 전원LED(17)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전원LED(17)가 비록 수광렌즈(14) 하측에 곧바로 위치하지는 않지만 상기 전원LED(17)에서 발광하는 빛은 유도렌즈부(14a)를 통해서 수광렌즈(14)가 발광하므로 사용자는 수광렌즈(14)가 발하는 빛을 보고 전원이 온(ON) 된 것을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리모콘수광부를 가지고서 리모콘수신 기능은 물론이거니와 전원표시 기능을 복합적으로 하게 되므로 2가지기능이 단일화됨에 따른 조립성이 양호해지게 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프론트케이스에 기존에 있던 램프홀이 없어지게 되고 단지 수광렌즈가 결합된 수광부홀만이 있게 되므로 제품의 전면부 디자인이 간결하고 산뜻한 이미지를 갖게 하는 향상된 디자인은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4)

  1. 프론트케이스에 형성된 수광부홀에 결합되는 수광렌즈와,
    상기 수광렌즈를 통해 리모콘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를 구비하고 콘트롤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수광부앗세이와,
    상기 콘트롤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전원표시기능을 하는 전원LED의 점,멸등 표시가 상기 수광부렌즈를 통해 식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표시기능이 복합된 리모콘수광부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LED는, 수광부렌즈를 통해 점,멸등표시가 식별되도록 하기 위해 수광부앗세이와 최대한 근접되도록 콘트롤회로기판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표시기능이 복합된 리모콘수광부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렌즈를 통해 점,멸등 표시가 식별되도록 하기 위해 전원LED는 수광부앗세이에 포함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표시기능이 복합된 리모콘수광부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렌즈 일측으로 전원LED의 불빛을 전달하는 유도렌즈부를 형성하여 수광렌즈를 통해 전원LED 불빛이 발광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표시기능이 복합된 리모콘수광부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KR2019970040872U 1997-12-26 1997-12-26 전원표시기능이 복합된 리모콘수광부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KR200183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872U KR200183047Y1 (ko) 1997-12-26 1997-12-26 전원표시기능이 복합된 리모콘수광부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872U KR200183047Y1 (ko) 1997-12-26 1997-12-26 전원표시기능이 복합된 리모콘수광부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47U KR19990028247U (ko) 1999-07-15
KR200183047Y1 true KR200183047Y1 (ko) 2000-06-01

Family

ID=1951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872U KR200183047Y1 (ko) 1997-12-26 1997-12-26 전원표시기능이 복합된 리모콘수광부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0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444B1 (ko) * 2004-11-09 2006-07-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영상장치의 무선수신장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47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8526B2 (ja) 表示付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100637220B1 (ko) 주변에 간접 조명을 비추는 디스플레이 장치
US4977486A (en) Illuminating display device
US10730430B2 (en) Sidemarker light assembly and motor vehicle light assembly incorporating that sidemarker light assembly
GB2487928A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wo overlapping graphics independently, in particular on a push button type switch.
RU2397449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ибор, содержащий облицовочную панель с функцией подсветки
JP2015194693A (ja) 表示灯
WO2019057554A1 (en) ANTENNA HOUSING, ANTENNA AND COMBINED INDICATOR MODULE AND VEHICLE
US7088259B2 (en) Infant monitor
KR200183047Y1 (ko) 전원표시기능이 복합된 리모콘수광부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JP4746168B2 (ja) 携帯端末
JP6162163B2 (ja) 車載用アナログ時計の組立構造
JP4218457B2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CN218883788U (zh) 一种发光组件、电子设备及车辆
CN213844599U (zh) 一种交互显示大屏
CN216744280U (zh) 一种新型手扫感应开关模块
KR200443891Y1 (ko) 에이브이기기의 볼륨노브 조명 구조
KR200161366Y1 (ko) 리모콘 버튼의 불빛 반사장치
WO2006134574A2 (en) Control device having a control panel with backlighting elements
KR200157020Y1 (ko) 카오디오용 노브의 장착구조
KR19980061760U (ko) 텔레비젼의 엘이디(led) 불빛반사 방지용 윈도우
JPH05110968A (ja) 表示装置
JPH0353254Y2 (ko)
KR20020057316A (ko) 컴퓨터 시스템
JP3928266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