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014Y1 -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014Y1
KR200183014Y1 KR2019990027989U KR19990027989U KR200183014Y1 KR 200183014 Y1 KR200183014 Y1 KR 200183014Y1 KR 2019990027989 U KR2019990027989 U KR 2019990027989U KR 19990027989 U KR19990027989 U KR 19990027989U KR 200183014 Y1 KR200183014 Y1 KR 200183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screw
handle assembly
milk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문
Original Assignee
김승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문 filed Critical 김승문
Priority to KR2019990027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류 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 핸들 조립구조는 상기 호퍼 조립체(30)의 일단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베어링(162, 164)을 개재하여 상기 스크류 바(50)의 체결단(55)에 결합된 베어링 축(15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외주부에는 다수의 제 1손잡이(132)가 고정된 제 1핸들 조립체(130)와, 상기 제 1핸들 조립체(13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162, 164)의 축방향 이동을 제지하는 베어링캡(170)과, 상기 제 1핸들 조립체(13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다수의 제 2손잡이(142)를 지닌 제 2핸들 조립체(140)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HANDLE ASSEMBLY FOR USE IN A MILKING MACHINE}
본 고안은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 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참깨나 들깨를 짜내 기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착유기를 이용한다. 대부분 종래의 착유기는 착유부 본체의 분해 결합이 어렵고 착유율이 낮으며, 착유과정에서 유출되는 기름에 깻묵입자가 함유되어 기름이 청결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개발한 착유기의 구조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73548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착유기는 모터의 회전력이 구동축을 통해 이송 스크류와 착유 스크류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구동축의 비틀림 및 진동을 최소화하여 결합강도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청소 및 부품의 교체시에 이송 스크류와 착유 스크류를 착유부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해·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세한 기름배출로가 형성된 격자체를 제공하여 깻묵입자의 혼입을 막고 기름만 배출되도록 하여 청결한 기름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지닌다.
이를 위해서, 호퍼가 설치된 착유부본체와 이송 및 착유 스크류를 감싸며 사각형의 격자 및 육각형의 격자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격자체를 장축을 이용하여 구동부에 대해 분해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격자체의 일단은 장축이 삽입 관통되는 격자체 설치구를 이용하여 지지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 제 173548호에 개시되어 있는 착유기의 경우에는 착유가 완료된 깻묵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며 호퍼를 통해서 이물질 등이 유입된 경우에는 이를 배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은 스크류 바의 일단에 베어링 축을 결합한 다음, 이 베어링 축의 일단에는 베어링캡을 씌워 베어링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 조립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 조립구조를 보인 조립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20:커버
26, 26':기름통 30:호퍼 조립체
32:호퍼 35:배출구
40:배출도어 50:샤프트 바
52:스플라인 60:이송 스크류
70:착유 스크류 80, 80':장축
90, 90':튜브 120:격자 조립체
130, 140:제 1, 2핸들 조립체 132, 142:제 1, 2손잡이
150:베어링 축 160:베어링 커버
162, 164:베어링 170:베어링 캡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샤프트 바와, 이 샤프트 바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이송 스크류 및 착유 스크류와, 장축을 개재하여 상기 구동부에 고정되는 호퍼 조립체와, 이 호퍼 조립체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제 1 및 제 2핸들 조립체와, 상기 호퍼 조립체의 플랜지 및 격자체 캡의 안착부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크류 및 착유 스크류가 내장되는 격자 조립체와, 상기 격자 조립체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히터와, 상기 격자 조립체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분기관을 통해 기름통으로 안내하는 기름 안내레일을 구비한 착유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 조립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상기 스크류 바의 체결단에 결합된 베어링 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외주부에는 다수의 제 1손잡이가 고정된 제 1핸들 조립체와, 상기 제 1핸들 조립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의 축방향 이동을 제지하는 베어링캡과, 상기 제 1핸들 조립체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다수의 제 2손잡이를 지닌 제 2핸들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 조립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 조립구조를 보인 조립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착유기의 구성을 보면, 상부의 각종 기구들을 지지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일측에 부착되며 모터 및 각종 구동기어가 내장되어 있는 구동부(12)와, 이 구동부(12)의 일측에 부착되는 제어부(14)와, 참깨나 들깨 등의 착유물을 집어넣는 호퍼(32)가 구비되어 있는 호퍼 조립체(30)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착유 스크류에 의해 만들어진 기름을 배출하기 위한 격자 조립체(120)와, 격자 조립체(120)로부터 배출된 기름을 분기관(24)을 개재하여 2개의 기름통(26, 26')으로 안내하는 기름 안내레일(22) 및 호퍼 조립체(30)의 일측에 체결되어 있는 제 1 및 제 2핸들 조립체(130, 140)로 이루어져 있다.
구동부(12)와 호퍼 조립체(30)사이에는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한 덮개(16)를 비롯하여, 경첩(18)에 의해서 덮개(1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20)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분해 사시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유기에는 구동기어(2)와 종동기어(4) 및 종동축(6)을 통해서 전달되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샤프트 바(50)와, 이 샤프트 바(5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이송 스크류(60) 및 착유 스크류(70)가 구비되어 있으며, 호퍼 조립체(30)는 장축(80, 80')을 개재하여 구동부(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장축(80, 80')은 구동부(12)의 체결홀(12a, 12a')에 고정된다. 또한, 호퍼 조립체(30)의 일단에 제 1 및 제 2핸들 조립체(130, 140)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이 호퍼 조립체(30)의 플랜지(34) 및 격자체 캡(86)의 안착부(88)사이에는 격자 조립체(120)가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 바(50)상에는 착유 스크류(70)가 체결되는 스플라인(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플라인(52)의 일단에는 너트(110)가 체결되는 나사부(54)가 형성되어 있어 착유 스크류(70)를 샤프트 바(5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착유 스크류(70)의 일단에는 기름을 압착하기 위한 테이퍼부(74)가 형성되어 있다.
격자 조립체(120)내에는 이송 스크류(60) 및 착유 스크류(70)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주부에는 깨를 볶기 위한 히터(82, 8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격자 조립체(120)는 육각 격자와 사각 격자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제 1 및 제 2격자체(121, 121')로 이루어져 있다.
스크류 바(50)에는 착유 스크류(70)가 결합되는 스플라인(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플라인(52)의 일단에는 너트(110)가 체결되는 나사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송 스크류(60)와 착유 스크류(7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류 바(50)의 스플라인(52)의 끝단에 나사(54)를 형성하고 너트(110)를 체결하는 방식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스플라인 결합을 통해서 이송 스크류(6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62)과 착유 스크류(7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72)이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조립할 수 있으며, 착유 스크류(70)의 조립후에는 나사부(54)에 너트(110)를 고정시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송 스크류(50)는 키이(53)에 의해 스크류 바(50)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스크류 바(50)에는 이송 스크류(60)의 길이방향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턱(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턱(51)과 인접한 스크류 바(50)상에는 스플라인(52) 보다 다소 직경이 큰 확대부(56)가 형성되어 있어, 착유 스크류(7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스크류 바(50)의 일단에는 구동부(12)내의 구동기어에 작동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키이(58)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착유기에 있어서, 스크류 바의 회전시에 베어링의 축방향 이동을 제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 1핸들 조립체(130)에 베어링캡을 결합시키는 구조를 예시하였다.
즉, 본 고안의 핸들 조립구조에서는 상기 호퍼 조립체(30)의 일단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베어링(162, 164)을 개재하여 상기 스크류 바(50)의 체결단(55)에 결합된 베어링 축(15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외주부에는 다수의 제 1손잡이(132)가 고정된 제 1핸들 조립체(130)와, 상기 제 1핸들 조립체(13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162, 164)의 축방향 이동을 제지하는 베어링캡(170)과, 상기 제 1핸들 조립체(13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다수의 제 2손잡이(142)를 지닌 제 2핸들 조립체(140)를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여기에서, 제 1핸들 조립체(130)의 내주면에는 베어링 캡(170)이 결합되는 암나사(136)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호퍼 조립체(30)에 결합되는 수나사(1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단에는 제 1손잡이(132)가 고정되는 다수의 체결홀(134)이 형성되어 있다.
제 2핸들 조립체(140)의 내주면에는 제 1핸들 조립체(130)의 수나사(138)와 결합되는 암나사(1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주상에는 제 2손잡이(142)가 고정되는 다수의 체결홀(144)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축(150)의 일단은 스크류 바(50)의 체결단(55)에 결합되며 외주면은 2개의 베어링(162, 164)에 의해서 베어링 커버(1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베어링 커버(160)는 제 1핸들 조립체(130)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어링 축(150)과 베어링 캡(170)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베어링 축(150)이 축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베어링 축(150)에는 단차부(152, 1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단차부(152, 154)에는 각각 베어링(162, 164)이 끼워져 있다. 베어링 축(150)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156)에는 와셔(151) 및 너트(180)가 체결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베어링 축(150)에는 베어링(162, 164)의 윤활을 위한 오일홈(15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그리스 주입을 위한 니플(182)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니플(182)을 통해 주입된 그리스는 오일홈(150a)을 통해서 베어링(162, 164)으로 공급되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크류 바의 일단에 베어링 축을 결합한 다음, 이 베어링 축의 일단에는 베어링캡을 씌워 베어링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착유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구동부(1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샤프트 바(50)와, 이 샤프트 바(5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이송 스크류(60) 및 착유 스크류(70)와, 장축(80, 80')을 개재하여 상기 구동부(12)에 고정되는 호퍼 조립체(30)와, 이 호퍼 조립체(30)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제 1 및 제 2핸들 조립체(130, 140)와, 상기 호퍼 조립체(30)의 플랜지(34) 및 격자체 캡(86)의 안착부(88)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크류(60) 및 착유 스크류(70)가 내장되는 격자 조립체(120)와, 상기 격자 조립체(120)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히터(82, 82')와, 상기 격자 조립체(120)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분기관(24)을 통해 기름통(26, 26')으로 안내하는 기름 안내레일(22)을 구비한 착유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 조립체(30)의 일단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베어링(162, 164)을 개재하여 상기 스크류 바(50)의 체결단(55)에 결합된 베어링 축(15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외주부에는 다수의 제 1손잡이(132)가 고정된 제 1핸들 조립체(130)와,
    상기 제 1핸들 조립체(13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162, 164)의 축방향 이동을 제지하는 베어링캡(170)과,
    상기 제 1핸들 조립체(13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다수의 제 2손잡이(142)를 지닌 제 2핸들 조립체(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
KR2019990027989U 1999-12-13 1999-12-13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 KR200183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989U KR200183014Y1 (ko) 1999-12-13 1999-12-13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989U KR200183014Y1 (ko) 1999-12-13 1999-12-13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014Y1 true KR200183014Y1 (ko) 2000-05-15

Family

ID=1960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989U KR200183014Y1 (ko) 1999-12-13 1999-12-13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0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50758A1 (en) Gear for an adjusting device
US4331043A (en) Gear crank for a bicycle
US7845253B2 (en) Tansmission arrangement
EP1877193B1 (de) Rotor für eine zentrifuge
EP1157919A2 (de) Integrierter Drehgriffschalter
KR102637875B1 (ko) 전동 공구용 부착 부분 및 공구 조립체
DE102018212509A1 (de) Fahrradkomponente
DE2750801C2 (de) Pumpe, insbesondere Faßpumpe
EP2108751A2 (de) Ablaufarmatur für Bade- oder Duschwannen mit Bodenzulauf
KR200183014Y1 (ko) 착유기용 핸들 조립구조
DE29914381U1 (d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Zugmitteltrieb
EP1612337B1 (de) Überlaufgarnitur mit stufenloser Niveaueinstellung für eine Sanitärwanne
CN116209617A (zh) 电动自行车驱动单元固定结构
DE20005322U1 (de) Freilaufnaben-Getriebemechanismus
KR200183013Y1 (ko) 착유기용 스크류
KR200394544Y1 (ko) 비닐하우스의 커튼 개,폐용 축수베어링
WO2009049432A1 (de) Spinnspindel mit ölbecher
KR200183015Y1 (ko) 착유기의 격자체 조립구조
SU1281163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иксации резьбовых элементов
EP2561151B1 (de) Ablauf mit integrierter pumpe, die einen hydraulisch antrieb aufweist
US20190191956A1 (en) Wiping device
EP3782896B1 (de) Vibrationsentkopplung einer tretlagereinheit für ein elektrofahrrad
KR200183012Y1 (ko) 착유기
EP1079032A2 (de) Zu- und Ablaufgarnitur für Bade- oder Duschwannen
EP1673501A2 (de) Laugenbehälter für waschmaschinen oder trockner aus kunstst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