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900Y1 -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900Y1
KR200182900Y1 KR2019960062096U KR19960062096U KR200182900Y1 KR 200182900 Y1 KR200182900 Y1 KR 200182900Y1 KR 2019960062096 U KR2019960062096 U KR 2019960062096U KR 19960062096 U KR19960062096 U KR 19960062096U KR 200182900 Y1 KR200182900 Y1 KR 200182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clamp
fitting lock
hoo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2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8931U (ko
Inventor
한재율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2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900Y1/ko
Publication of KR199800489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9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9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means comprising additional parts captured between housing parts an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여러 램프 또는 각종 계기에 전원 및 신호를 보내도록 배선된 와이어링의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링의 분기점에서의 용이한 클램핑이 이루어지도록 한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는, 와이어링을 삽입시키는 하우징(11)과, 삽입된 와이어링을 고정시키는 후크(13)와, 와이어링의 이탈 방지턱(14) 및 상기 후크(13)가 결합되는 결합부(12)를 각각 형성한 양 클램프(10)(10')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의 클램프(10') 하단에 차체홀에 삽입되는 끼움록(15) 및 끼움록(15) 주위로 텐셔너(16)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끼움록(15)을 통하여 다른 일측의 클램프(10)가 힌지 조립되도록 상기 클램프(10)의 일측에 조립공(17)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
본 고안은 차량의 여러 램프 또는 각종 계기에 전원 및 신호를 보내도록 배선된 와이어링의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링의 분기점에서의 용이한 클램핑이 이루어지도록 한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상기 차량의 와이어링 배선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는 램프(1) 등에 연결된 여러 와이어링(2)이 여러 방향으로 배선되어 있다.
이때 와이어링(2)과 와이어링(2)의 분기점에서는 3개 또는 2개의 클램프(3)를 사용하여 상기 와이어링(2)을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기점에서의 와이어링 고정방법은 와이어링(2)의 루트에 따라 차체의 클램프 장착 홀을 일정하게 가공하지 못하게 되고, 와이어링의 루트에 따라 차체 홀을 가공해야 하므로 홀 가공 작업이 까다롭게 되며, 와이어링 루트도 제대로 유지하지 못하게 되며, 또한 많은 양의 장착 클램프를 사용해야 하는 까닭에 작업성 및 효율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 와이어링의 분기점에서의 용이한 클램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작업성 및 효율성을 향상되도록 한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는, 2개의 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 각각에 와이어링을 파지하는 카바와, 파지된 와이어링을 고정시키는 후크를 형성하고, 일측 클램프의 하단에 차체홀에 삽입되는 끼움록을 형성하며, 상기 끼움록을 통하여 타측 클램프가 힌지 조립되도록 하여, 양 클램프가 자유로이 그 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해 사용 개수가 줄어들어 차량 패널의 강도를 보강하게 되고, 클램프가 움직이게 되어 와이어링의 자유로운 루트 선정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작업성 및 효율성을 향상되어진다.
도 1은 차량의 와이어링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램프2: 와이어링
3,10,10': 클램프11: 하우징
12: 결합부13: 후크
14: 이탈 방지벽15: 끼움록
16: 텐셔너17: 조립공
20: 차체 패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본 고안의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는, 2개의 클램프(10)(10')가 힌지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클램프(10)(10')는 와이어링을 삽입시키는 하우징(11)과, 삽입된 와이어링을 고정시키는 후크(13)와, 와이어링의 이탈 방지턱(14) 및 상기 후크(13)가 결합되도록 하우징(11)에 형성된 결합부(12)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10')의 일측 하단에는 차체홀에 삽입되는 끼움록(15) 및 끼움록(15) 주위로 텐셔너(16)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끼움록(15)을 통하여 클램프(10)가 힌지 조립되도록 상기 클램프(10)의 일측에는 조립공(17)을 형성한다.
상기 후크(13)는 그 연결부가 플렉시블 스트랩이여야 한다.
미설명 부호 (20)은 차체 패널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클램프(10)의 조립공(17)을 통하여 클램프(10')의 끼움록(15)이 삽입되도록 하여 서로를 힌지 조립되게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10')의 끼움록(15)을 차체 패널(20)에 형성된 홀에 끼워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설치상태가 되면, 클램프(10)(10') 각각은 끼움록(15)을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각의 하우징(11)으로 와이어링(2)을 삽입시킨 후, 후크(13)를 하우징(11)에 형성된 결합부(12)에 걸어 삽입된 와이어링(2)을 죄이게 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링(2)은 안정된 고정상태를 이루게 되고, 또한 그 루트의 설정이 자유롭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는, 2개의 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 각각에 와이어링을 파지하는 하우징과, 파지된 와이어링을 고정시키는 후크를 형성하고, 일측 클램프의 하단에 차체홀에 삽입되는 끼움록을 형성하며, 상기 끼움록을 통하여 타측 클램프가 힌지 조립되도록 한 구성으로, 양 클램프가 자유로이 그 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 개수가 줄어들어 차량 패널의 강도를 보강하게 되고, 클램프가 움직이게 되어 와이어링의 자유로운 루트 선정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작업성 및 효율성을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

  1. 와이어링을 삽입시키는 하우징(11)과, 삽입된 와이어링을 고정시키는 후크(13)와, 와이어링의 이탈 방지턱(14) 및 상기 후크(13)가 결합되는 결합부(12)를 각각 형성한 양 클램프(10)(10')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의 클램프(10') 하단에 차체홀에 삽입되는 끼움록(15) 및 끼움록(15) 주위로 텐셔너(16)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끼움록(15)을 통하여 다른 일측의 클램프(10)가 힌지 조립되도록 상기 클램프(10)의 일측에 조립공(17)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13)는 그 연결부가 플렉시블 스트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
KR2019960062096U 1996-12-30 1996-12-30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 KR200182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096U KR200182900Y1 (ko) 1996-12-30 1996-12-30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096U KR200182900Y1 (ko) 1996-12-30 1996-12-30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931U KR19980048931U (ko) 1998-10-07
KR200182900Y1 true KR200182900Y1 (ko) 2000-06-01

Family

ID=1948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2096U KR200182900Y1 (ko) 1996-12-30 1996-12-30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9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896A (ko) * 2012-03-06 2013-09-16 (주)브이이엔에스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931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2900Y1 (ko) 와이어링 분기점 고정 클램프
US3230499A (en) Battery clamp connectors
JP3338596B2 (ja) 樹脂クランプ
JP4201523B2 (ja) ケーブルの複合クランプおよびクランプ方法
KR200152870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0120561Y1 (ko) 전주용 전선 분기구
KR20020048059A (ko) 클램프
JPH0419414B2 (ko)
KR100312567B1 (ko) 자동차용 케이블 고정 구조
KR200213639Y1 (ko) 클램프의 파지클립 구조
KR0135613Y1 (ko) 배선관 고정클램프
KR100268574B1 (ko) 보조 클램프를 갖는 클램프
KR100439918B1 (ko) 개량형 이중 밴드 클립
KR100398325B1 (ko) 와이어링 하니스 유동방지용 고정 클립
KR0134238B1 (ko) 반사경의 결합이 용이한 보조정지등
FR3111311B1 (fr) Véhicule automobile avec une console centrale configurée pour le bridage de faisceaux électriques
KR200152872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20030015721A (ko) 자동차용 와이어 하니스 고정구
KR20000018696U (ko) 와이어링 클립
KR19990048186A (ko) 자동차의 와이어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200187945Y1 (ko) 와이어 클램프 구조체
JP3741759B2 (ja) 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
JP2775230B2 (ja) 照明器具
JPH08340618A (ja) 電気接続箱の仮保持機構
JPH0651013U (ja) ドア用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