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681Y1 - 볼탑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볼탑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681Y1
KR200181681Y1 KR2019990029226U KR19990029226U KR200181681Y1 KR 200181681 Y1 KR200181681 Y1 KR 200181681Y1 KR 2019990029226 U KR2019990029226 U KR 2019990029226U KR 19990029226 U KR19990029226 U KR 19990029226U KR 200181681 Y1 KR200181681 Y1 KR 200181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valve
link
hinged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박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식 filed Critical 박종식
Priority to KR2019990029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6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6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맥동 발생의 방지로 부품이 파손될 소지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물을 분무시키지 않게 됨에 따라 주변환경이 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탱크(T)의 수면에 부유되는 뜨개(2); 상기 뜨개(2)가 그 일단부에 결합되는 지렛대(4); 상기 지렛대(4)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6); 상기 링크(6)에 의해 회동되도록 링크(6)에 힌지 결합된 레버(8); 상기 지렛대(4) 및 레버(8)의 각 타단이 각각의 부위로 힌지 결합되고 유입통로(22)와 밸브시트(S) 및 밸브홀(24)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바디(10); 고무패드(18)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8)의 돌출단(16) 상부에서 밸브바디(10)의 하측 중앙으로 내장된 밸브판(12); 탱크(T)의 상부로 배치되는 도관(26)으로 그 일측단이 체결되고 그 타측단이 상기 밸브바디(10)의 상측으로 체결되는 연결관(14)을 포함하여 구성된 볼탑용 밸브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볼탑용 밸브장치{Valve device for ball top}
본 고안은 볼탑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탱크의 만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볼탑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볼탑용 밸브장치는, 수위에 따라 단수 및 통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뜨개에 작용되는 부력이 다수 링크에 의해 밸브콕에 전달되도록 하여 밸브콕의 여닫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과 도 2 및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50) 상측으로 배치된 도관(52) 단부에 밸브바디(54)가 체결되고, 이러한 밸브바디(54)의 내부로 밸브시트(56)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시트(56)에 접촉되는 밸브콕(58) 및 이 밸브콕(58)을 탄지하는 스프링(60)이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밸브바디(54)는 도관(52)과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단부(62)와, 이에 연장되어 상기 밸브콕(58) 및 스프링(60)이 내장되는 부품 내장단부(64), 그리고 상기 부품 내장단부(64)의 일측 및 하측으로 연장된 브라켓단부(66)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브라켓단부(66)의 일측 및 하측에 링크(68)(70)를 각각 힌지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한 두 개의 링크(68)(70)는 서로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의 링크(68)가 뜨개(72)와 연결되어 있고, 하측의 링크(70)는 상기 밸브콕(58)의 니플(74) 하단을 밀어올릴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종래 볼탑용 밸브장치는 탱크(50)의 저수위 상태에서 뜨개(72)가 하강되며, 이에 따라 일측의 링크(68)가 도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동됨과 아울러, 이러한 일측의 링크(68)와 힌지 결합된 하측의 링크(70)가 상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하측의 링크(70)에 의해 니플(74) 및 밸브콕(58)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밸크콕(58)으로 하여금 밸브시트(56)에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수로가 열리도록 한다.
또, 탱크(50)의 만수위 상태에서 뜨개(72)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일측의 링크(68)가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과 아울러, 이러한 일측의 링크(68)와 힌지 결합된 하측의 링크(70)가 하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니플(74) 및 밸브콕(58)이 스프링(60)력으로 하강되어 밸크콕(58)으로 하여금 밸브시트(56)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수로가 닫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볼탑용 밸브장치는, 밸브콕의 개폐작동이 급격하게 반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맥동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부품이 파손될 소지가 많아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볼탑용 밸브장치는, 수로를 직선적으로 개방시키는 구조이므로 수로가 작은 오리피스 형태로 열리게 될 때 물을 분무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주변환경을 습하게 만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완만한 개폐작동이 이루어져 맥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부품이 파손될 소지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물이 완충되면서 배출되도록 하여 분무작용의 발생에 따라 주변환경이 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볼탑용 밸브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볼탑용 밸브장치의 구조 및 작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볼탑용 밸브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일단면도,
도 3과 도 4는 종래 볼탑용 밸브장치 각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볼탑용 밸브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볼탑용 밸브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볼탑용 밸브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일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 : 탱크 2 : 뜨개
4 : 지렛대 6 : 링크
8 : 레버 10 : 밸브바디
12 : 밸브판 14 : 연결관
18 : 고무패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탱크의 수면에 부유되는 뜨개와, 상기 뜨개가 위치 조절 가능한 상태로 그 일단부에 결합되며 그 타단부를 힌지단으로 하는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의해 회동되도록 링크에 힌지 결합되며 그 상면 중앙부위로 돌출단이 형성된 레버와, 상기 지렛대 및 레버의 각 타단이 각각의 부위로 힌지 결합되고 도관으로부터의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닫힐 수 있는 밸브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밸브시트에 접촉 및 이격되어 수로를 여닫게 되며 고무패드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돌출단 상부에서 밸브바디의 하측 중앙으로 내장되고 그 외주에 다수 절취부가 형성된 밸브판과, 탱크의 상부로 배치되는 도관으로 그 일측단이 체결되고 그 타측단이 상기 밸브바디의 상측으로 체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볼탑용 밸브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 5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뜨개(2)와 지렛대(4)와 링크(6) 및 레버(8), 그리고 밸브바디(10)와 밸브판(12) 및 연결관(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뜨개(2)는 구 형태의 중공체로 수면에 부유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뜨개(2)의 상측으로 나사단(20)을 연장시켜 이러한 나사단(20)이 위치 조절 가능한 상태로 상기 지렛대(4)의 일단부에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지렛대(4)의 일단부는 절개 형성되어 있고, 뜨개(2)의 나사단(2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된 부분을 볼트부재(B)로 조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지렛대(4)의 타단부는 밸브바디(10)에 부분적으로 요입된 형태로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이와 같인 지렛대(4)의 힌지단 내측의 위치로 상기 링크(6)의 상단이 부분 요입된 형태에서 힌지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링크(6)의 하단이 상기한 레버(8)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레버(8)의 타단부는 밸브바디(10)에 힌지 결합되는 지렛대(4)의 타단과 대각선 방향의 위치에서 밸브바디(10)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레버(8)의 중앙 상측으로는 돌출단(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레버(8)의 회동시 레버(8)의 돌출단(16)에 의해 상기 밸브판(12)이 밀려 상승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밸브판(12)은 그 외주에 다수 절취홈(H)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 중앙으로는 고무패드(18)가 볼트부재(B)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10)는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그 상측으로부터 유입통로(22)와 밸브시트(S)가 조성되는 밸브홀(24)이 형성되도록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통로(22)에 도관(26)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관(14) 하측단이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밸브홀(24)에 밸브판(12)이 내재되어 있다.
또, 상기한 밸브바디(10)의 하측면 및 일측면 중앙 부위가 소정폭으로 절취된 형태로 되어 있어 이들에 상기한 레버(8)가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밸브홀(24)의 타측으로 레버(8)의 타단이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레버(8)의 타단이 부분적으로 요입된 상태에서 힌지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볼탑용 밸브장치는 탱크(T)(T)의 저수위 상태에서 뜨개(2)가 하강되며, 이에 따라 지렛대(4)가 도면(도 7 참조)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과 아울러, 링크(6)에 의해 상기한 지렛대(4)와 힌지 상태로 연결된 레버(8)가 하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레버(8)에 의해 밸브판(12)이 하측으로 이동되고 밸브판(12)의 고무패드(18)가 밸브바디(10)의 밸브시트(S)에서 이격되며, 이로써 유입통로(22)와 밸브홀(24)이 구성하는 수로가 열리게 된다.
또, 탱크(T)의 만수위 상태에서 뜨개(2)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지렛대(4)가 도면(도 7 참조)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동됨과 아울러, 링크(6)에 의해 상기한 지렛대(4)와 힌지 상태로 연결된 레버(8)가 상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레버(8)에 의해 밸브판(12)이 상측으로 이동되고 밸브판(12)의 고무패드(18)가 밸브바디(10)의 밸브시트(S)에 밀착되며, 이로써 유입통로(22)와 밸브홀(24)이 구성하는 수로가 닫히게 된다.
한편, 수로가 열릴 때 유입통로(22)로부터의 물은 밸브판(12)의 고무패드(18) 및 밸브판(12)의 상면에 부딪혀 완충된 후 밸브판(12)의 절취홈(H)들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수로가 작은 오리피스 형태로 열리게 될 때 물을 분무시키지 않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밸브장치는 모든 부품이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주로 액체의 화공약품을 일정수위로 배출시키기에 적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밸브장치는, 완만한 개폐작동이 이루어져 서 급격하게 단수될 때의 맥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부품이 파손될 소지를 줄일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 물이 완충되면서 배출되므로 수로가 작은 오리피스 형태로 열리게 되어도 물을 분무시키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주변환경이 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탱크의 수면에 부유되는 뜨개;
    상기 뜨개가 위치 조절 가능한 상태로 그 일단부에 결합되며 그 타단부를 힌지단으로 하는 지렛대;
    상기 지렛대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
    상기 링크에 의해 회동되도록 링크에 힌지 결합되며 그 상면 중앙부위로 돌출단이 형성된 레버;
    상기 지렛대 및 레버의 각 타단이 각각의 부위로 힌지 결합되고 도관으로부터의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닫힐 수 있는 밸브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밸브시트에 접촉 및 이격되어 수로를 여닫게 되며 고무패드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돌출단 상부에서 밸브바디의 하측 중앙으로 내장되고 그 외주에 다수 절취부가 형성된 밸브판;
    탱크의 상부로 배치되는 도관으로 그 일측단이 체결되고 그 타측단이 상기 밸브바디의 상측으로 체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볼탑용 밸브장치.
KR2019990029226U 1999-12-22 1999-12-22 볼탑용 밸브장치 KR200181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226U KR200181681Y1 (ko) 1999-12-22 1999-12-22 볼탑용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226U KR200181681Y1 (ko) 1999-12-22 1999-12-22 볼탑용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681Y1 true KR200181681Y1 (ko) 2000-05-15

Family

ID=1960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226U KR200181681Y1 (ko) 1999-12-22 1999-12-22 볼탑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68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41Y1 (ko) * 2010-02-08 2010-10-20 우종윤 기수 분리기
WO2011055972A3 (ko) * 2009-11-04 2011-09-2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KR200476589Y1 (ko) * 2013-09-12 2015-03-12 이석진 볼탑 역동 방지장치
CN109296817A (zh) * 2018-12-07 2019-02-01 杨召泽 一种浮球阀的改进结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972A3 (ko) * 2009-11-04 2011-09-2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KR101105441B1 (ko) 2009-11-04 2012-01-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CN102597598A (zh) * 2009-11-04 2012-07-18 浦项工科大学校产学协力团 低压气管的安全阀
US8925569B2 (en) 2009-11-04 2015-01-06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Safety valve of low-pressure gas pipe
KR200450641Y1 (ko) * 2010-02-08 2010-10-20 우종윤 기수 분리기
KR200476589Y1 (ko) * 2013-09-12 2015-03-12 이석진 볼탑 역동 방지장치
CN109296817A (zh) * 2018-12-07 2019-02-01 杨召泽 一种浮球阀的改进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1127B1 (en) Jet diffusor for a shower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181681Y1 (ko) 볼탑용 밸브장치
WO2000004426A3 (en) A control valve trim for high-pressure fluid flow
US20080251601A1 (en) Water sensor apparatus
CA2394920A1 (en) A ball tap with a water level switch
US5971299A (en) Kitchen faucet side spray
US20200392715A1 (en) Combination water outlet device and toilet
JP2006342958A (ja) 流体注入/排出バルブ装置
US4474211A (en) Pressure and vacuum relief valve with debris-catching feature
KR100346648B1 (ko) 플로우트 밸브
US2682889A (en) Tank inlet valve
AU2016202203B2 (en) Diaphgram valve guiding assembly
JPH1189450A (ja) 水田の給排水装置
KR960004550Y1 (ko) 수직형 자동수위 조절밸브
KR200191130Y1 (ko) 수도꼭지
KR200261125Y1 (ko) 농업용 드레인밸브
KR200229667Y1 (ko) 양변기용 급수조의 배수장치
CN100389281C (zh) 球阀
KR950012340B1 (ko) 원터치식 수전
KR100332375B1 (ko) 건식 드라이 파이프밸브
KR0124523Y1 (ko) 부동전
JP3877582B2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0268351Y1 (ko) 버튼식 샤워기용 절수기
AU2017201478A1 (en) Diaphragm valve sealing arrangement
KR200198098Y1 (ko)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