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075Y1 -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075Y1
KR200181075Y1 KR2019990024432U KR19990024432U KR200181075Y1 KR 200181075 Y1 KR200181075 Y1 KR 200181075Y1 KR 2019990024432 U KR2019990024432 U KR 2019990024432U KR 19990024432 U KR19990024432 U KR 19990024432U KR 200181075 Y1 KR200181075 Y1 KR 200181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opening
umbrella
plate
plastic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응
Original Assignee
김학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응 filed Critical 김학응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0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2Packaging of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iners
    • B65B67/04Devices facilitating the insertion of articles or materials into bags, e.g. guide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55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characterised by positively acting means for stretching the mouth of the sack into the open condition, e.g.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66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sacks from a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2067/1261Holders wit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2067/1294Holders for multiple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대기중인 비닐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젖은 우산의 투입 및 비닐포장이 완료되고 그의 배출시 다음 비닐봉투의 입구가 자동으로 열려져 대기하도록 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사용 편의성, 작동의 신뢰성을 극대화한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닐봉지를 순차적으로 벌려 젖은 우산을 투입 포장시킨 후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봉지를 다수매 걸어놓기 위한 봉지거치대(9)를 갖는 봉지정지판(90)과, 전면으로 절개된 우산배출구(101)를 포함한 본체(100)와; 상기 봉지거치대(9)에 지지된 수천 매의 비닐봉지를 수납시키고 동시에 이들을 순차적으로 봉지거치대(9)측으로 밀어붙여 이송시키기 위한 봉지수납수단과; 상기 봉지수납수단의 여닫는 동작에 의해 상기 봉지거치대(9)측에 대기중인 비닐봉지의 입구를 벌려 유지시키고 이후 우산이 벌려진 비닐봉지에 투입되어 배출되는 동작에 의해 다음 비닐봉지의 입구를 연속적으로 벌려놓는 봉지개봉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DEVICE FOR AUTO MATI CALLY RECEIVING AN WETTED UMBRELLA IN A VINYL BAG}
본 고안은 젖은 우산을 휴대한 각자가 단시간에 편리하게 비닐봉지속에 삽입시켜 비닐포장이 완료되도록 자동화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중인 비닐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젖은 우산의 투입 및 비닐포장이 완료되고 그의 배출시 다음 비닐봉투의 입구가 자동으로 열려져 대기하도록 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사용 편의성, 작동의 신뢰성을 극대화한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오는 날 젖은 우산을 특별히 보관할 수 없는 지하철이나 백화점, 금융기관 등 다수인이 이용하는 공공장소에서, 자신은 물론 타인의 불편을 해소하고 관리자는 빗물 관리를 간편히 해결하여 물기 없는 바닥으로 고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젖은 우산에 비닐봉지를 포장시키는 장치가 요구되었다.
종래에 이러한 장치들을 살펴보면, (1) 전원을 이용한 송풍으로 비닐봉지를 개봉시켜 삽입하거나 (2) 여러개의 링크, 캠 등을 사용하여 개봉장치를 발이나 손으로 작동시키는 반자동 방식을 사용하거나 (3) 또 비닐봉지 개방장치를 우산 끝단으로 가압해서 비닐봉지를 개방시키는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1)의 경우 전원공급에 따른 누전시 감전사고의 소지를 가지고 있고, (2)의 경우 개봉의 반자동에 의한 사용의 불편성을 가지며, (3)의 경우 봉지의 입구 개방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없어 비닐봉지에 우산이 미삽입되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기중인 비닐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젖은 우산의 투입 및 비닐포장이 완료되고 그의 배출시 다음 비닐봉투의 입구가 열려져 대기하도록 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사용 편의성과 작동의 신뢰성을 극대화한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비닐 봉지를 순차적으로 벌려 젖은 우산을 투입한 후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봉지를 다수매 걸어놓기 위한 봉지거치대(9)와 전면으로 절개된 우산배출구(101)를 포함한 본체(100)와;
상기 봉지거치대(9)에 지지된 다수매의 비닐봉지를 수납시키고 동시에 이들을 순차적으로 봉지거치대(9)측으로 밀어붙여 이송시키기 위한 봉지수납수단과;
상기 봉지수납수단의 여닫는 동작에 의해 상기 봉지거치대(9)측에 대기중인 비닐봉지의 입구를 벌려 유지시키고 이후 우산이 벌려진 비닐봉지에 투입되어 배출되는 동작에 의해 다음 비닐봉지의 입구를 연속적으로 벌려놓는 개봉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지 수납전의 봉지개봉 하우징측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봉지수납장치 및 봉지개봉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 및 봉지개봉 하우징의 저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봉지수납장치 열림시 비닐봉지가 수납된 개봉판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서랍을 닫아 벌어진 비닐봉지로 젖은 우산을 투입하기 직전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지로 포장된 젖은 우산을 본체에서 배출 직전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비닐봉지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3의 K방향에서 본 개봉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10,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수납서랍 닫은 상태 및 연 상태에서의 케이블과 개봉판과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봉지개봉 하우징 1a : 우산삽입구 1b : 우산배출구
2 : 우산출구도어 9 : 봉지거치대 11 : 케이블
22 : 제1개봉스프링 25 :개봉판 27 : 회동판
28 : 제2개봉스프링 26 : 우산출구 도어 힌지스프링
90 : 봉지정지판 30 : 케이블 인장스프링
100 : 본체 101 : 우산배출구
112 : 이동레일 114 : 슬라이더 116 : 밀판지지대
117 : 밀판 122 : 인장스프링 123 : 수납서랍
9a : 봉지묶음 퇴출구 25a : 원형복원부 A: 스프링 연결판
B : 스프링 조정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도 5에서와 같이 수천 매의 비닐봉지(33)(수백매가 한 묶음으로 수천 개를 이루고 있음)를 본체(100)내의 거치대(9)에 삽입하여 봉지정지판 (90)에 밀착되게 수납시킨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수납서랍(123)을 닫게 되면 가장 앞에 대기중인 비닐봉지 입구(33b)가 벌어져 있게 되어 있다.
이같이 비닐봉지 입구(33b)를 최초로 벌려놓은 상태에서 젖은 우산(39)을 비닐개봉 하우징(1)을 통해 비닐봉지(33)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본체(100)의 전면으로 꺼내면, 봉지개봉 하우징(1)에 구비된 우산출구도어(2), 회동판(27) 및 개봉판(25)의 연계동작에 의해 계속적으로 대기중인 비닐봉지 입구(33b)가 다시 도 6과 같이 벌어져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특징은 항시 비닐봉지(33)의 입구(33b)가 봉지개봉 하우징(1)의 하방에서 벌어져 있도록 하여 종래의 압입식 방법에 비해 사용이 간편하고 외부에서 개봉상태를 확인하여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3에서 도면부호 100은 전면으로 우산배출구(101)를 갖는 본체이다.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봉지개봉 하우징(1)이 배치되어 있고, 이 봉지개봉 하우징(1)의 일측에는 봉지정지판(90)이 배치되어 있고, 봉지정지판(90)에는 봉지묶음 퇴출구(9a)와 비닐봉지 거치대(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비닐봉지 거치대(9)는 수천매의 비닐봉지(33)를 삽입 지지시켜 놓기 위한 것이고, 상기 봉지묶음 퇴출구(9a)는 수백 매씩 묶음된 비닐봉지가 전량 사용되고 난 후 다음의 봉지묶음이 봉지정지판(90)쪽으로 밀려올 때 다 사용된 앞쪽의 묶음뭉치가 자동으로 퇴출되는 공간이다.
상기 봉지정지판(90)은, 도 5에서와 같이 개봉판(25)의 회동 수평유지시 개봉판(25)의 원형복원부(25a)를 적당히 휘게 하여 개봉판(25)의 원형복원부(25a)를 비닐봉지 입구(33b) 바로 위에 위치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 본체(100)에는 비닐봉지 거치대(9)에 지지된 비닐봉지(33)를 본체(100)내에 수납시켜 순차적으로 봉지개봉 하우징(1)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봉지수납장치 (200)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100)의 상부에는 착탈가능한 재떨이(10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재털이(105)는 우기철 비가 멈출 때나 평상시 본 장치의 상부에 씌워 다용도나 겸용으로 사용하게 되어 있다.
상기 봉지수납장치(200)는 도 3, 5, 6에서와 같이 본체(100)의 상부 일측벽에 장착된 고정레일(110)과, 이 고정레일(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레일(112)과, 상기 이동레일(11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 (114)와, 슬라이더(114)에 연결된 밀판지지대(116)를 매개로 힌지 결합된 밀판 (117)과,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114)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레일(112)의 선단에 연결되어 밀판(117)이 비닐봉지(33)의 후면을 밀어붙이도록 하는 밀판스프링(122)과, 상기 이동레일(112)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배치된 수납서랍(123)과, 상기 수납서랍(123)과 링크(131,132)로 연결됨과 동시에 본체(100)의 상부에 힌지(135) 연결되어 비닐봉지를 수납할 때 넓은 공간을 확보하여 주기 위한 수납뚜껑(13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밀판 지지대(116)는 일단이 슬라이더(114)에 양단이 탄력적으로 끼워져 직각으로 벌려진 상태에서 후방으로 젖히면 밀판지지대(116)에 연결된 밀판(117)이 함께 후면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서랍(123)의 손잡이(123a)를 도 5에서와 같이 잡아당기면, 수납서랍(123)에 연결된 이동레일(112)이 고정레일(110)로부터 후퇴하고 동시에 이동레일(112)에 조립된 슬라이더(114)도 함께 후퇴 이동하여 봉지거치대(9) 끝단과 밀판 (117)의 사이에 봉지수납간격이 생기고 또, 수납서랍(123)이 열릴 때 링크(131, 132)를 매개로 수납커버(136)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벌어진다. 이 상태에서 밀판 (117)을 후방으로 젖히면 더욱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 비닐봉지의 수납 편리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밀판스프링(122)은 밀판(117)을 봉지정지판(90)까지 당겨주는 것으로, 봉지거치대(9)에 지지된 비닐봉지가 소모될 시 줄어드는 간격을 밀판스프링 (122)의 탄성력에 의해 보상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비닐봉지 거치대(9)에 걸어놓은 비닐봉지(33)를 봉지수납장치(200)와 연계시켜 상기 수납서랍(123)을 열었다 닫으면, 상기 비닐봉지 거치대(9)측에 삽입되어 대기중인 첫번째 비닐봉지(33)의 입구를 벌려 유지시킴과 동시에 젖은 우산이 벌려진 비닐봉지에 투입되어 배출되는 동작시마다 다음 비닐봉지의 입구를 연속적으로 벌려놓을 수 있도록 동작하는 개봉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봉지개봉수단은 도 2, 4, 9에서와 같이 우산삽입구(1a) 및 우산삽입구 (1a)에서 측방으로 절결된 우산배출구(1b)를 갖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설된 개봉하우징(1)과, 상기 개봉하우징(1)의 우산삽입구(1a)측 하단에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제1개봉스프링(22)으로 탄성 지지되고 원형복원부(25a)를 갖는 개봉판(25)과, 상기 개봉판(25)에 피봇 연결됨과 함께 제2개봉스프링(28)으로 개봉판(25)과 항시 동일 평면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회동판(27)과, 상기 개봉하우징(1)의 우산배출구(1b)측에 피봇 연결되고 동시에 우산출구도어 힌지스프링(26)으로 연결되어 우산삽입구(1a)내로 투입된 우산의 배출동작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회동판(27)을 연동시켜 비닐봉지(33)의 입구(33b)측에 상기 개봉판(25)의 선단을 위치시키는 우산출구도어(2)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제2개봉스프링(28)은 제1개봉스프링(22)보다 강하게 되어 있다.
상기 우산출구도어(2)는 우산을 우산삽입구(1a)를 통하여 비닐봉지(33)에 넣고 젖혀서 꺼내면 봉지 개봉장치의 회동판(27)을 젖혀 개봉판(25)의 원형복원부 (25a)를 도 5에서와 같이 상향 수평 회전하여 비닐봉지 입구(33b)의 바로 위에 놓여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개봉판(25)의 원형복원부(25a)는 부드러우면서 탄성 복원력이 강한 재질로 예컨대, 고무성질의 플라스틱류나 얇은 스프링판재 또는 형상기억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봉판(25)은 비닐봉지를 개봉하는 수단으로, 우산을 우산삽입구(1a)에 삽입후 전면의 출구로 꺼낼 때 우산출구도어(2)가 열리면서 회동판(27)이 젖혀져 상향 수평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나 우산에 걸려있던 개봉판(25)은 제2개봉스프링 (28)의 기능으로 일단 멈추었다가 우산이 출구를 3분의 2정도 벗어나면 제2개봉스프링(28)의 탄력에 의해 개봉판(25)이 상향 수평 회전하여 개봉판(25) 원형복원부 (25a)가 휘어져 비닐봉지 입구에 놓여진다.(도 5의 확대부분 참조) 우산이 개봉하우징의 출구를 완전히 벗어나면 우산출구도어(2)가 닫히고 회동판(27)이 회동하며, 개봉판(25)이 하향 수직으로 회전하여 개봉판(25)의 원형복원부(25a)가 펴지면서 비닐봉지(33)를 개봉하여 놓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판(27)에는 도 10, 11에서와 같이 케이블(1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케이블(11)의 타단은 스프링 연결판(A)을 매개로 인장스프링(30)을 통해 상기 고정레일(110)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레일(112)에는 상기 케이블 인장스프링(30)을 신장시키기 위한 스프링 조정판(B)이 구비되어 있고, 케이블(11)은 케이블 파이프(7)내에 보호되어 있어 케이블(11)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블 인장스프링(30)이 도10에서와 같이 신장되면, 케이블(11)은 느슨해져 개봉판(25)이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로 케이블 인장스프링(30)이 수축하면 도 11에서와 같이 케이블(11)이 팽팽한 상태로 당김되어 개봉판(25)이 상향 회동하여 대략 수평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즉, 비닐봉지가 본체(100)내에 수납되기 전 수납서랍(123)이 닫아져 있는 경우에는 케이블 인장스프링(30)이 신장되어 도2 및 도10에서와 같이 개봉판(25)과 회동판(27)은 제2개봉스프링(28)에 의해 수직한 동일 평면상에 놓여져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판(27)은 우산을 비닐봉지(33)에 삽입한 후 하우징(1)출구를 통하여 꺼낼 때 우산출구도어(2)가 젖혀져 회동하고 개봉판(25)이 상향 회전하여 개봉판(25)의 원형복원부(25a)가 휘어지면서 원형복원부(25a)가 비닐봉지(33) 입구(33b)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개봉판(25)과 제2개봉스프링(28)을 통해 일평면상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개봉스프링(28)은 회동판(27)과 개봉판(25)을 탄성연결하여 일평면상을 유지토록 하며, 우산을 비닐봉지에 끼운 후 본체(100) 배출구(101)로 꺼낼 때 우산출구도어(2)가 젖혀지기 시작하며, 이때 개봉판(25)이 상향 수평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용을 하며, 우산이 우산투입구(1a)를 벗어난 후 우산출구도어(2)측에 걸쳐있는 순간 튕기듯이 개봉판(25)이 상향 수평 회전하여 개봉판(25)원형복원부가 휘어져 비닐봉지(33) 입구(33b)에 위치토록 하는 작용을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비닐봉지(33)의 정면도로서 상부에 폭방향으로 도 3의 봉지거치대(9)에 삽입되는 삽입구멍(3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방으로 비닐봉지 입구(33b)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이때 타원은 비닐봉지에 밀착을 방지하여 개봉판(25)의 삽입을 원활하게 한다), 33d는 봉지절취선이다.
도면부호 33e는 봉지 하부절취선으로 접이식 우산을 고려하여 형성된 것이다. 즉, 짧은 우산일 경우(2단 또는 3단으로 접는 우산) 상부를 절취하여 하단부위면을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5의 본체(100)측에 설치된 부호 124는 비닐봉지의 펄럭임을 방지하기 위한 봉지정돈판이고, 봉지정돈판(124)의 힌지측에는 토션스프링(125)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수납서랍(123)이 닫아져 있는 경우, 도 2,10에서와 같이 개봉판(25)은 제1개봉스프링(22)력에 의해 도 4와 같이 회동판(27)과 함께 하방으로 수직되게 회동된 상태를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본체(100)내에 비닐봉지(33)를 수납시키기 위해서는 봉지수납장치(200)를 개방해야 한다.
위의 봉지수납장치(200)를 개방하기 위해 먼저, 수납서랍(123)을 도 5, 11과 같이 잡아당겨 열게 되면, 수납서랍(123)에 연결된 이동레일(112)이 후퇴 이동하고 동시에 링크(131)(132)를 매개로 수납뚜껑(136)이 상방으로 회동한다.
상기 이동레일(112)의 후퇴 동작에 의해 슬라이더(114)를 매개로 밀판(117)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케이블 인장스프링(30)이 수축되어 케이블(11)은 긴장되고 회동판(27)을 당김한다.
회동판(27)이 당김되면 제2개봉스프링(28)이 제1개봉스프링(22)보다 강하므로 개봉판(2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원형 복원 가능한 개봉판(25)의 원형복원부(25a)가 봉지정지판(25)에 닿아 휘어지며, 이 상태에서 봉지거치대(9)에 다수매의 비닐봉지(33)를 삽입시켜 봉지정지판(90)까지 밀어넣으면 비닐봉지입구(33b) 바로 위에 개봉판(25) 원형복원부(25a)가 완전히 씌워져 위치하게 된다.
다시 이 상태에서 수납서랍(123)을 닫으면, 수납뚜껑(136)은 하방으로 회동하여 닫혀지고, 케이블 인장스프링(30)이 신장되면서 도 10에서와 같이 케이블(11)의 당김력이 해소되어 제1개봉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동판(27)과 일평면상 결합되어 있는 개봉판(25)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개봉판(25)의 원형복원부 (25a)가 펴지면서 비닐봉지입구(33b)속으로 들어가 도 6과 같이 비닐봉지(33)를 벌려놓게 된다.
즉, 수납서랍(123)을 열면, 이동레일(112)측에 고정된 스프링 조정판(B)이 후퇴하고, 동시에 스프링 연결판(A)이 케이블 인장스프링(30)의 수축력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져지고 케이블(11)을 매개로 회동판(27)이 젖혀지고, 회동판(27)이 젖혀지는 회전동작에 의해 제2개봉스프링(28)을 매개로 개봉판(25)이 상향 수평으로 회전한다.
또한 비닐봉지(33)를 봉지거치대(9)에 수납하고 서랍을 닫으면 맨앞쪽의 비닐봉지가 봉지정지판(90)으로 인하여 멈추게 됨으로써 수평상태에 있던 원형복원하는 재질의 개봉판(25)의 원형복원부(25a)가 휘어져 비닐봉지 입구(33b)에 위치한다.(도 5 참조)
서랍이 완전히 닫히면 도 6,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레일(112)측 스프링 조정판(B)이 케이블측 스프링 연결판(A)을 밀어 케이블(11)이 느슨해지고 회동판 (27)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원형복원하는 개봉판(25)의 원형복원부(25a)측이 펴지면서 도 6과 같이 개봉판(25)이 하향 수직 회전하여 비닐봉지(33)의 입구(33b)를 벌려놓는다.
한편, 이때 수납서랍(123)을 열면 두 개의 링크(131,132)가 펴지면서 수납뚜껑(136)이 열리고, 반대로 닫히면 링크(131,132)가 접히면서 수납뚜껑(136)이 닫아진다.
결국, 최초에 수납서랍(123)을 한 번 여닫게 되면 최초 비닐봉지(33)의 입구가 봉지개봉 하우징(1)의 하방에서 벌어져 있게 되고, 이는 본체(100)측 우산배출구(101)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어 젖은 우산이 비닐봉지(33)속으로 투입 여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본체(100)내에 비닐봉지가 수백매 수납된 상태에서 젖은 우산을 봉지개봉 하우징(1)속으로 투입하면 도 6과 같이 삽입 간섭을 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포장된다.
젖은 우산을 비닐봉지(33)에 삽입 포장시킨 상태에서 본체(100)측 우산배출구(101)로 꺼내는 동작을 하게 되면, 우산에 의해 본체(100)의 상부측 봉지개봉 하우징(1)의 우산출구도어(2)가 열리게 되고, 우산출구도어(2)가 어느 정도 열리게 되면 우산출구도어(2)가 회동판(27)을 밀어 회동판(27)과 제2개봉스프링(28)을 매개로 연결된 개봉판(25)이 상향 수평으로 회전하며 휘어져 다음번 비닐봉지(33)의 입구에 위치하여 그 원형복원부(25a)가 개봉을 준비하게 된다.
이때 제1개봉스프링(22)에는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반발력이 작용하고 있게 된다.
계속해서 비닐 포장된 우산을 완전히 꺼내게 되면 우산출구도어(2)가 닫혀지고 동시에 회동판(27)과 개봉판(25)이 제1개봉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하향 회전하여 비닐봉지(33)의 입구를 도 6과 같이 벌려놓는다.
개봉판(25)은, 젖은 우산의 비닐봉지에 포장된 후 배출되는 동작에 의해 우산출구도어(2) 및 회동판(27)에 연동적으로 회동 작동하여 비닐봉지의 입구를 순차적으로 계속하여 벌려놓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최초에는 비닐봉지(33)의 수납시 봉지수납장치(200)의 1회 작동으로 비닐봉지의 입구가 벌어지게 되지만 그 다음부터는 우산의 배출동작에 따른 우산출구도어의 개폐동작시마다 다음번 비닐봉지의 입구가 벌어져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연속적인 반복동작에 의해 다수 묶음으로 수납된 비닐봉지가 우산을 포장하여 소모될 경우 그 전체의 두께 변화에 따라 개봉기 끝의 거리와 이격되는 현상을 스프링(122)력에 의해 밀판(117)이 계속적으로 비닐봉지를 이송시켜 비닐봉지를 휘어져있는 개봉판(25)의 원형복원부로 입구를 밀어붙이게 된다.
그리고 수백매로 묶음된 비닐이 다 소모되면 자동으로 밀판(117)의 배출력에 의해 봉지묶음 퇴출구(9a)로 자동배출된다.
한편, 본 고안의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비닐봉지(33)를 대략 반으로 접어 그 끝단을 타원형 입구(33b)에 가까이 접착하여 놓고(떨어지기 쉽게), 본체(100)의 하방에 우산이 빠져나가도록 우산배출구(101)와 연통되는 홀을 구성하면 본체(100)의 높이가 작아지는 콤팩트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어 백화점 등의 건물 출입구 벽면에 걸어놓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무전원으로 작동하여 안전성이 높고, 여러개의 링크, 캠 등을 사용하여 개방장치를 발이나 손으로 작동시키는 반자동 방식에 비해 작동신뢰성이 높고, 또 비닐봉지 개방장치를 우산 끝단으로 가압하는 종래 방식과는 달리 비닐봉지의 개방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 미삽입될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 등의 특장점을 갖는다.

Claims (8)

  1. 비닐봉지를 순차적으로 벌려 젖은 우산을 투입 포장시킨 후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봉지를 다수매 걸어놓기 위한 봉지거치대(9)를 갖는 봉지정지판 (90)과, 전면으로 절개된 우산배출구(101)를 포함한 본체(100)와;
    상기 봉지거치대(9)에 지지된 수천매의 비닐봉지를 수납시키고 동시에 이들을 순차적으로 봉지거치대(9)측으로 밀어붙여 이송시키기 위한 봉지수납수단과;
    상기 봉지수납 수단의 여닫는 동작에 의해 상기 봉지거치대(9)측에 대기중인 비닐봉지의 입구를 벌려 유지시키고 이후 우산이 벌려진 비닐봉지에 투입되어 배출되는 동작에 의해 다음 비닐봉지의 입구를 연속적으로 벌려놓는 봉지개봉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수납수단은,
    상기 본체(100)의 상부 일측벽상에 슬라이딩 지지된 이동레일(112)과;
    상기 이동레일(112)에 진퇴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이동레일과 스프링 (122)으로 연결된 슬라이더(114)와;
    상기 슬라이더(114)에 밀판지지대(116)를 매개로 연결되고 봉지거치대(9)에 삽입지지된 비닐봉지의 후면을 개봉수단측으로 밀어붙이는 밀판(117)과;
    상기 이동레일(112)에 연결되어 본체(100)의 측면에 배치된 수납서랍(123)과;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링크(131,132)를 매개로 상기 수납서랍(123)에 연결된 수납뚜껑(1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개봉수단은,
    우산삽입구(1a) 및 우산삽입구에서 측방으로 절결된 우산배출구(1b)를 갖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설된 봉지개봉 하우징(1)과;
    상기 봉지개봉 하우징(1)의 우산배출구(1b)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우산출구도어 힌지스프링(26)으로 탄지된 우산출구도어(2)와;
    상기 봉지개봉 하우징(1)의 우산삽입구측 저면에 피봇연결되고 또, 제1개봉스프링(22)으로 탄지된 개봉판(25)과;
    상기 개봉판(25)과 피봇 연결되고 또 제1개봉스프링(22)보다 적어도 강한 제2개봉스프링(28)력으로 탄지되어 상기 우산출구도어(2)의 열림시 상기 개봉판 (25)을 상하 회동시키는 회동판(27)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판(25)을 케이블(11), 스프링 연결판(A) 및 케이블 인장스프링(30)을 통해 고정레일(110)측에 연결하고, 상기 케이블(11)이 이동레일(112)측에 설치되어 케이블 인장스프링(30)을 신축시키는 스프링 조정판(B)에 의해 긴장 및 이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판(25)의 원형복원부(25a)는 유연한 탄성반발력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스프링 강판재 또는 형상기억재질중 어느 하나를 택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정지판(90)에는 봉지거치대(9)에 삽입 지지된 수백매씩 묶음된 비닐봉지(33)가 전량 사용되고 난 후 다음의 봉지묶음이 봉지정지판(90)쪽으로 밀려올 때 다 사용된 앞쪽의 묶음뭉치가 자동으로 퇴출되는 공간으로 봉지묶음 퇴출구 (9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봉지(33)의 입구(33b)가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재떨이(105)가 구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봉지(33)를 대략 반으로 접어 그 끝단을 타원형 입구(33b)에 가까이 접착하여 놓고, 본체(100)의 하방에 우산이 빠져나가도록 우산배출구(101)와 연통되는 홀을 구성하여서 본체(100)의 높이가 작아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
KR2019990024432U 1999-11-09 1999-11-09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 KR20018107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528A KR20010045978A (ko) 1999-11-09 1999-11-09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 포장시키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528A Division KR20010045978A (ko) 1999-11-09 1999-11-09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 포장시키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075Y1 true KR200181075Y1 (ko) 2000-05-15

Family

ID=196192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432U KR200181075Y1 (ko) 1999-11-09 1999-11-09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
KR1019990049528A KR20010045978A (ko) 1999-11-09 1999-11-09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 포장시키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528A KR20010045978A (ko) 1999-11-09 1999-11-09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 포장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10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164A (ko)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금융 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164A (ko)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금융 기기
KR102012406B1 (ko) * 2017-08-28 2019-10-21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금융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978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39807A1 (en) Wipes dispenser with anti-roping and anti-fallback features
CA2429975A1 (en) Refillable flexible sheet dispenser
KR0168745B1 (ko) 우산의 봉투수납장치
KR200181075Y1 (ko) 비닐봉지에 젖은 우산을 투입·자동포장시키는 장치
CN110973852B (zh) 一种防虫防霉型档案密封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BE1008203A4 (fr) Distributeurs.
EP0626315B1 (en) Apparatus for getting an umbrella received into an umbrella cover
CN108792337B (zh) 一种机械式扎口垃圾箱
WO1995001281A1 (fr) Appareil permettant d'introduire un parapluie dans une housse de parapluie
JPH06183412A (ja) テープ結束機
WO2006057076A1 (ja) 傘袋収納装置
GB2299563A (en) Stowing umbrellas into sacks
KR200397998Y1 (ko) 우산자동포장기
JP2925928B2 (ja) 傘の袋収納装置
US5657619A (en) Umbrella sack fitting device
JPH057991Y2 (ko)
JPH08295319A (ja) 傘の袋収納装置
JP2777326B2 (ja) 傘の袋収納装置
JP2889528B2 (ja) 雨傘包装機
JP2813292B2 (ja) 傘の袋収納装置
JP2820929B2 (ja) 傘袋収納スタンド
KR101095281B1 (ko) 버스요금 수납기
JPH0930518A (ja) 傘の袋収納装置
JP2000255526A (ja) 傘収納袋の装着装置
JP2925906B2 (ja) 傘の袋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