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820Y1 -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 - Google Patents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820Y1
KR200180820Y1 KR2019950025683U KR19950025683U KR200180820Y1 KR 200180820 Y1 KR200180820 Y1 KR 200180820Y1 KR 2019950025683 U KR2019950025683 U KR 2019950025683U KR 19950025683 U KR19950025683 U KR 19950025683U KR 200180820 Y1 KR200180820 Y1 KR 200180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traverse device
traverse
brake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5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629U (ko
Inventor
정상근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25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820Y1/ko
Publication of KR9700136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6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8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량물을 권상, 권하하여 이송하는 마그네트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트 크레인으로 공급되는 전류가 돌발적으로 차단되는 경우, 중량물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와 설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를 신속히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마그네트 크레인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돌발적으로 차단되는 경우,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를 1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신속하게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서 다수명의 작업자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횡행장치의 이동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횡행장치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함으로서 중량물의 추락을 방지하여 설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실용상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서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를 이동시키는 방식을 도시한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를 구비한 횡행 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의 요부상세도로서,
(a)도는 횡행장치용 이동기구의 상세도,
(b)도는 횡행브레이크 개방장치의 구성도,
(c)도는 승하강 브레이크 개방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횡행장치 구동부 12 : 체결구
18 : 스프로켓(sprocket) 20 : 수직대
26 : 핸들 30 : 제 1개방부
40 : 제 2개방부 100 : 마그네트 크레인
110 : 횡행장치 c : 이송물
본 고안은 중량물을 권상, 권하하여 이송하는 마그네트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트 크레인으로 공급되는 전류가 돌발적으로 차단되는 경우, 중량물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와 설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마그네크 크레인의 횡행장치를 신속히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마크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공장의 소둔라인에는 제 1도및 제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량물인 코일제품을 자력을 이용하여 부착시켜 이송하는 마그네트 크레인(100)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 크레인(100)은 코일제품을 이송하는 경우에 돌발적으로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비상사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마그네트크레인은 코일제품을 부착하고 있는 마그네트(105)에는 마그네트 크레인(100)에 장착된 비상축전지에서 전원이 신속하게 공급되어 코일제품을 마그네트(105)상에 지속적으로 부착시키게 되며, 이러한 비상축전지에서 마그네트(105)로 공급되는 전원은 대략 10~15분 정도이며, 이러한 시간동안에 마그네트(105)가 부착하고 있는 코일제품 또는 그밖의 중량물을 안전한 장소에 내려 놓아야 한다.
한편, 마그네트 크레인(100)의 몸체(girder)위에는 레일(112)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 위에는 마그네트(105)에 부착된 이송물(c)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횡행장치(110)(crab)가 장착되며, 상기 횡행장치(110) 위에는 횡행장치 구동모터(115)와, 횡행장치 브레이크(117), 마그네트 승강장치(120)와, 마그네트 승강 브레이크(122)등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 크레인(10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다수의 작업자(130)가 마그네트 크레인(100)의 상부로 올라가서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명은 횡행장치 브레이크(117)를 개방시키고 다른 다수명의 작업자는 횡행장치(110)를 마그네트 크레인(100)의 일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킨다음, 마그네트 승강브레이크(122)를 열고, 마그네트 승강장치(120)를 개방하여 이송물(c)을 안전하게 내려놓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작동은 마그네트 크레인(100)에 돌발사태가 발생하는 순간부터 10내지 15분사이에 이루어져야 하며, 횡행장치(110)를 이동시키는 작업은 수분내에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만일 횡행장치(110)의 이동이 늦어지면 마그네트(105)에 매달린 중량의 이송물(c)이 하부의 소둔설비(140)에 낙하되어 대형 설비사고및,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횡행장치(110)이동작업은 다수명의 작업자가 크레인(100)의 상부에 올라가서 횡행장치(110)를 일측으로 밀어야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이러한 작업이 좁은 면적의 마그네트 크레인(100)위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추락재해와 같은 안전사고가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큰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그네트 크레인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돌발적으로 차단되는 경우,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를 1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신속하게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서 횡행장치의 이동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중량물의 추락을 방지하여 설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고안은,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를 무전원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횡행장치 구동모터의 냉각용 임펠러에 결합가능한 체결구가 원형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샤프트는 횡행장치 구동모터의 일측에 고정된 원형지지구내에서 좌,우이동및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는 스프로켓이 고정되는 한편, 상기 스프로켓은 샤프트의 일측에 직립고정된 수직대의 상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동 스프로켓에 체인으로서 연결되고, 상기 구동스프로켓은 수직대에 마련된 핸들에 연결되어 상기 체결구가 임펠러에 연결되고, 핸들을 회전시키면 횡행장치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회전되어 횡행장치가 전,후진되는 횡행장치 구동부; 횡행장치 브레이크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대의 상부에 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에는 버팀봉의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버팀봉의 일단에는 상기 횡행장치 브레이크 개방레버가 연결되고, 버팀봉의 반대측단부에는 횡행장치에 고정된 걸고리가 마련되어 횡행장치 브레이크를 개방시키는 제 1 개방부; 마그네트 승강 브레이크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대의 상부에 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에는 버팀봉의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버팀봉의 일단에는 상기 마그네트 승강 브레이크 개방레버가 연결되어 마그네트 승강 브레이크를 개방시키는 제 2개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1)가 제 3도및 제 4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기구(1)는 마그네트 크레인(100)에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횡행장치(110)를 무전원으로 이동시키는 횡행장치 구동부(10)와, 상기 횡행장치 구동부(10)에 의해서 횡행장치(1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횡행장치 브레이크(117)를 열어주는 제 1개방부(30)및, 중량이송물(c)이 부착된 마그네트(105)를 하향시키도록 마그네트 승강 브레이크(122)를 열어주는 제 2개방부(40)를 갖추고 있다.
상기 횡행장치 구동부(10)는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행장치 구동모터(115)의 냉각용 임펠러(115a)에 결합가능한 체결구(12)가 원형 샤프트(14)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샤프트(14)는 횡행장치 구동모터(115)의 일측에 고정된 원형지지구(116)내에서 좌,우이동및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샤프트(14)의 중앙에는 스프로켓(18)이 고정되고, 상기 스프로켓(18)은 원형샤프트(14)의 일측에 직립고정된 수직대(20)의 상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동 스프로켓(22)에 체인(24)으로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구동스프로켓(22)은 수직대(20)에 마련된 핸들(26)에 연결되어 핸들(26)을 회전시키면 구동스프로켓(22)이 회전되고, 이는 체인(24)을 통하여 스프로켓(18)과 원형샤프트(14)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횡행장치 브레이크(117)의 일측에는 제 1개방부(30)가 위치되는 바, 상기 제 1개방부(30)는 횡행장치 브레이크(117)의 일측에 지지대(32)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32)의 상부에는 힌지(34)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34)에는 버팀봉(36)의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버팀봉(36)의 일단부는 상기 횡행장치 브레이크(117)측으로 연장되어 개방레버(38)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버팀봉(36)의 반대측 단부에는 횡행장치(110)에 고정된 걸고리(39)가 마련되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마그네트 승강 브레이크(122)의 일측에는 제 2개방부(40)가 위치되는 바, 상기 제 2개방부(40)는 마그네트 승강 브레이크(122)의 일측에 지지대(42)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42)의 상부에 힌지(45)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45)에는 버팀봉(47)의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버팀봉(47)의 일단에는 상기 마그네트 승강 브레이크 개방레버(49)가 연결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50)는 마그네트(105)의 승하강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멍이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기구(1)를 이용하여 마그네트 크레인(100)의 횡행장치(1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마그네트 크레인(100)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된 즉시 제 1개방부(30)를 이용하여 횡행장치 브레이크(117)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제 4도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개방구(30)에 갖춰진 버팀봉(36)의 일측단부를 하부로 눌러서 횡행장치 브레이크 개방레버(38)를 상승시키고, 버팀봉(36)의 일측단부를 걸고리(39)에 걸친상태를 유지시키면, 횡행장치 브레이크 개방레버(38)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 브레이크(117)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횡행장치의 브레이크(117)를 개방한 다음에는 횡행장치 구동부(10)의 원형 샤프트(14)를 횡행장치 구동모터(115)의 임펠러(115a)측으로 전진시켜서 체결구(12)가 임펠러(115a)에 결합되도록 고정시킨다음, 수직대(20)에 마련된 핸들(26)을 회전시키면, 구동스프로켓(22)과 체인(24)을 통하여 원형샤프트(14)의 스프로켓(18)이 회전되어 횡행장치 구동모터(115)의 회전축(미도시)을 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서 횡행장치(110)는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횡행장치(110)의 이동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마그네트(105)의 자력에 의해서 매달린 이송물(c)을 하부로 내려놓게 되는 바, 작업자는 제 2개방구(40)의 버팀봉(47)의 일단부를 하부로 눌러서 횡행장치 승강 브레이크(122)의 개방레버(49)를 상승시키면 상기 횡행장치 승강 브레이크(122)가 서서히 개방되면서 마그네트(105)에 매달린 이송물(c)의 자중에 의해서 마그네트(105)가 점차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횡행장치(110)에 마련된 점검구멍(50)을 통하여 마그네트(105)의 하강상태를 확인하면서 이송물(c)을 안전하게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1)에 의하면, 마그네트 크레인(10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돌발적으로 차단되는 경우, 마그네트 크레인(100)의 횡행장치(110)를 1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신속하게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서 다수명의 작업자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횡행장치(110)의 이동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횡행장치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함으로서 중량물의 추락을 방지하여 설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실용상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1)

  1. 마그네트 크레인(100)의 횡행장치(110)를 무전원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횡행장치 구동모터(115)의 냉각용 임펠러(115a)에 결합가능한 체결구(12)가 원형 샤프트(14)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샤프트(14)는 횡행장치 구동모터(115)의 일측에 고정된 원형지지구(16)내에서 좌,우이동및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14)의 중앙에는 스프로켓(18)이 고정되는 한편, 상기 스프로켓(18)은 샤프트(14)의 일측에 직립고정된 수직대(20)의 상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동 스프로켓(22)에 체인(24)으로서 연결되고, 상기 구동스프로켓(22)은 수직대(20)에 마련된 핸들(26)에 연결되어 상기 체결구(12)가 임펠러(115a)에 연결되고, 핸들(26)을 회전시키면 횡행장치 구동모터(115)의 회전축이 회전되어 횡행장치(110)가 전,후진되는 횡행장치 구동부(10); 횡행장치 브레이크(117)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대(32)의 상부에 힌지(34)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34)에는 버팀봉(36)의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버팀봉(36)의 일단에는 상기 횡행장치 브레이크 개방레버(38)가 연결되고, 버팀봉(36)의 반대측단부에는 횡행장치(110)에 고정된 걸고리(39)가 마련되어 횡행장치 브레이크(117)를 개방시키는 제 1 개방부(30); 마그네트 승강 브레이크(122)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대(42)의 상부에 힌지(45)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45)에는 버팀봉(47)의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버팀봉(47)의 일단에는 상기 마그네트 승강 브레이크의 개방레버(49)가 연결되어 마그네트 승강 브레이크(122)를 개방시키는 제 2개방부(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
KR2019950025683U 1995-09-21 1995-09-21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 KR200180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683U KR200180820Y1 (ko) 1995-09-21 1995-09-21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683U KR200180820Y1 (ko) 1995-09-21 1995-09-21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629U KR970013629U (ko) 1997-04-25
KR200180820Y1 true KR200180820Y1 (ko) 2000-05-15

Family

ID=1942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5683U KR200180820Y1 (ko) 1995-09-21 1995-09-21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8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235B1 (ko) * 2007-05-30 2009-03-16 주식회사 엔케이 고압가스용기 내압 시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235B1 (ko) * 2007-05-30 2009-03-16 주식회사 엔케이 고압가스용기 내압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629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0110A (en) Positive grip lifting mechanism
US3675961A (en) Horizontal load positioner
US3001812A (en) Tongs
KR200180820Y1 (ko) 마그네트 크레인의 횡행장치용 이동기구
WO2023036202A1 (zh) 传送平台自动调平装置及装载机
CN213463350U (zh) 一种牲畜称重输送一体装置
JPH01242400A (ja) ポジショナの落下防止装置
JPH09163526A (ja) 電気機器ユニット搬送装置
US2945608A (en) Coil lifting and positioning mechanism
JPH08324713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ケージ昇降装置
JP3222003B2 (ja) 作業者昇降用牽引装置及びその延長方法
CN220182701U (zh) 一种提升机人货分离安全装置
CN220866964U (zh) 一种深基坑一体化装置
CN218709001U (zh) 一种施工升降平台
JPH05162991A (ja) 昇降搬送装置の安全装置
CN220745168U (zh) 一种低净空双梁葫芦小车
CN215439402U (zh) 一种建筑物料提升装置
US5139827A (en) Statue
JPH061762Y2 (ja) 手動排出装置を備えたコンクリート自動搬送テルハ
CN220948117U (zh) 一种转辙机运输装置
CN214360084U (zh) 一种物流仓储用托举装置
CN211545636U (zh) 一种塔机的重量检测装置
CN210944657U (zh) 一种石油化工管道安装起吊装置
JP3361193B2 (ja) 吊り荷の吊支機構
JPS63207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