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493Y1 -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493Y1
KR200180493Y1 KR2019990022041U KR19990022041U KR200180493Y1 KR 200180493 Y1 KR200180493 Y1 KR 200180493Y1 KR 2019990022041 U KR2019990022041 U KR 2019990022041U KR 19990022041 U KR19990022041 U KR 19990022041U KR 200180493 Y1 KR200180493 Y1 KR 200180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nnector
rotary tube
connecting ro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영
Original Assignee
이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영 filed Critical 이한영
Priority to KR2019990022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4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4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특징은 도어록을 실내에서 잠그어 놓은 상태에서 외부의 도어록 손잡이를 잡고 강제 회전시킬 경우 부품파손 및 잠금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 것인데 아웃레버(14)를 강력한 힘으로 억지 회전시키면 공회전이 되고 해정구(5)는 이와 별개로 필요에 따라 해정작용과 공회전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여 잠금장치와 관련 부품에 무리한 회전력이 미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공지의 원통형 레버록에 있어서 잠김상태에서 아웃레버(14)의 공회전을 이루고자 아웃스핀들(3)의 측면 절개홈(301)과 연결된 결합원통(10)에 접속봉(9) 안내홈(101)을 형성하고 아웃레버(14)와 연결된 회전관체(8)에는 반원홈(801)을 형성하여 접속봉 안내홈(101)과 반원홈(801)이 일치되게 결합하며 거기에 접속봉(9)을 내장하고 외부에 탄력스프링(21)을 끼워 탄력으로 조여있는 접속봉(9)으로 결합원통(10)과 회전관체(8)가 결속(도4)되어 무리한 회전력이 작용하면 접속봉(9)이 외향상승되며 아웃레버(14)가 공회전되는 구조는 앞서 취득한 내용과 같고(실용신안등록 제0152351호) 이때 해정구(5)는 접속자 회전통(7)에 횡삽된 접속자(6)와 결속 또는 분리 공회전하는 구조인데 접속자 회전통(7)에 조립된 접속자(6)는 회전관체(8)에 형성된 경사면홈(802)에 스프링(20)탄력으로 밀려 있다가 작동막대(11)로 접속자 회전통(7)을 회전시킬 때 수평이동하면서 같이 조립된 해정구 절개홈(501)으로 돌출편(602)이 삽입되어 결속되고 열쇠(13)을 빼기 위해 역회전하면 접속자(6)가 회전관체(8) 경사면 홈(802)으로 복귀되므로 해정구(5)와 접속자(6)의 결속이 분리되는 것으로 해정구(5)는 필요에 따라 공회전기능과 해정작용이 가능한 구조로 고안된 것이 변경한 특징이다.

Description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본 고안은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특징은 도어록을 실내에서 잠그어 놓은 상태에서 외부의 도어록 손잡이를 잡고 강제 회전시킬 경우 잠금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아웃레버가 360도 공회전되게 하여 도어록의 파손 및 내부의 잠금장치 관련부품이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으로 권리를 취득한 동일인이 앞서 내용(등록 제0152351호)을 부분적으로 변경 보완한 것이다.
공지의 레버형 도어록은 실내에서 잠금 보턴을 누르면 아웃스핀들(3)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동하여 이와 접속된 괘정간 작동구(2)가 움직이지 못해 잠금기능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손잡이가 'ㄱ'형으로 된 레버형 도어록에 있어서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은 지렛대처럼 작은 힘으로 강력한 회전력이 작용함으로 둥근 손잡이와 비교할 수 없는 센 힘으로 외부측 도어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힘이 강력하여 손잡이축과 결속되어 있는 부속품이 억지회전력의 영향을 받아 변형되거나 파손이 되어 자물쇠의 기능을 상실하는 일이 잦아 이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국에서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아웃레버(14)를 강력한 힘으로 억지 회전시키면 공회전이 되고 해정구(5)는 이와 별개로 필요에 따라 해정작용과 공회전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여 잠금장치와 관련부품에 무리한 회전력이 미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공지의 원통형 레버록에 있어서 잠김상태에서 아웃레버(14)의 공회전을 이루고자 아웃스핀들(3)의 측면절개홈(301)과 연결된 결합원통(10)과 아웃레버(14)와 연결된 회전관체(8)가 서로 결합상태에서 필요할 때 공회전이 가능토록 한 구조. 또한 해정구(5)는 회전관체(8) 내부에서 접속자 회전통(7)과 결속과 분리공회전되는 구조를 이룬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측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구성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회전구 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접속자 회전통 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접속봉이 작동되는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접속자 작동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스핀들과 소스핀들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어록 본체 2. 괘정간 작동구
3. 아웃 스핀들 4. 소스핀들(小spindle)
5. 해정구 6. 접속자
7. 접속자 회전통 8. 회전관체
9. 접속봉 10. 결합원통
11. 작동막대 12. 열쇠뭉치
13. 열쇠 14. 아웃레버
15. 부착판 16. 스프링 걸개
17. 스프링걸개 스냅링 18. 손잡이 복원 스프링
19. 뚜껑 20. 접속자 스프링
21. 탄력스프링 301. 아웃스핀들 절개홈
401. 소스핀들구멍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의 원통형 레버록 구조는 실내쪽 잠금 보턴을 누르면 아웃스핀들(3)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동되어 이와 접속된 괘정간 작동구(2)가 작동할 수 없어 잠금상태를 유지하지만 열쇠(13)로 작동막대(11)를 회전시켜 이와 연결된 소스핀들(4)을 제자리 회전시키면 괘정간 작동구(2)가 움직여서 해정시키는 구조인 것이다. 이와 같은 공지의 원통형 레버록 구조는 도2처럼 회전관체(8')가 스프링 걸개(16')의 내향돌기(162')로 결속되고 이 돌기(162')는 또한 아웃 스핀들(3)의 측면 절개홈(301)과 결합되므로 아웃스핀들(3)과 직결 상태가 된 회전관체(8')와 연결된 아웃 레버(14)도 일체상태로 고정인 것이다. 따라서 아웃레버(14)의 공회전을 이루고자 도3처럼 반원홈(801)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관체(8)를 구성하고 또한 접속봉(9) 안내홈(101)과 스프링 걸개(16)의 결합돌기(162)가 삽입될 수 있는 홈(163)도 형성된 결합원통(10)을 별도 구성하여 회전관체의 반원 홈(801)이 같은 방향으로 뚫린 결합원통(10)의 접속봉 안내홈(101)에 일치되게 삽입하여 거기에 접속봉(9)을 내장하고 외부에 탄력스프링(21)을 끼워 탄력으로 조여 있는 접속봉(9)으로 회전관체(8)와 결합원통(10)이 결속되게 하고(도4) 결합원통 상부홈(163)에는 아웃레버 복원 스프링(18)이 내장된 스프링 걸개(16)의 내향돌기 (162)와 끼워 고정한다. 스프링 걸개(16) 내향돌기(162)는 추후 아웃스핀들(3)의 측면 절개홈(301)과도 결합되므로 결합원통(10)에 삽입되어 있는 회전관체(8)와 연결된 아웃레버(14)도 동일체가 된다. 이 구조로 완성된 본 고안의 원통형 레버록은 실내측 잠금 보턴을 눌러 잠그어서 문이 열리지 않는데도 아웃레버(14)를 회전시키려 하면 제동상태인 아웃 스핀들(14)의 측면 절개홈(301)에 삽입된 스프링걸개 돌기(162)는 또한 결합원통(10)과도 결속되어 있어 결합원통(10)도 제동상태이고 제동된 결합원통(10)내부에 스프링(21) 탄력을 받는 접속봉(9)에 의해 결속된 회전관체(8)와 연결되어 있는 아웃레버(14)도 제동상태일 것이다. 그러나 강제로 무리하게 회전시키면 회전관체(8)의 반원홈(801)과 결합원통 안내홈(101)속에 탄력 스프링(21)으로 조여서 장치된 접속봉(9)이 제동상태인 결합원통 안내홈(101)속에서 탄력 스프링(21)을 확장시키며 외향상승되어 회전관체(8)의 외면에 얹히므로(도5(나)) 결합원통(10)과 회전관체(8)의 결속이 해지되어 회전관체(8)와 연결되어 있는 아웃레버(14)가 공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결합원통 안내홈(101)과 회전관체 반원홈(801)이 다시 일치하면 접속봉(9)이 함몰되었다가 무리한 회전력이 작용하면 또 다시 공회전하는 작용을 반복하므로 계속적으로 회전시켜도 같은 효과가 일어나게 되는 이 부분은 앞서 등록한(등록 제0152351호)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때 공지의 원통형 레버록에다 상기구조만 적용하면 소스핀들(4)과 직결되어 있는 작동막대(11)가 아웃레버(14)와 같이 회전하면서 소스핀들(4)을 제자리 회전시켜 해정이 될뿐아니라 해정각도 이상부터는 작동막대(11)가 꽈배기처럼 꼬이는 상황이 된다. 따라서 이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작동막대(11)와 소스핀들(4) 사이에 접속자회전통(7)과 접속자(6) 해정구(5)등을 장치하여 아웃레버(14)와 연결된 회전관체(8)가 공회전할 때 소스핀들(4)과 연결된 해정구(5)도 자연히 공회전이 되고 해정시에는 해정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는데 그 구조는, 회전관체(8)내부의 원주상 내벽에 경사면 홈(802)을 구성하고(도3) 그 경사면 홈(802)과 평행되게 접속자 회전통(7)을 내장설치하는데 접속자회전통(7) 구조는 도4처럼 원주형태로 중심하부에 직사각형 구멍(704)을 종방향으로 뚫고 중앙부에 접속자(6)를 삽입할 횡방향의 절개홈(701)을 형성하며 외벽에 형성한 홈(703)에는 접속자 스프링(20)을 삽입한다. 절개홈(701) 속에는 한쪽 끝은 반원 형태(601)의 원주면과 돌출편(602)이 형성되고 반대쪽 끝에는 스프링 홈(603)을 형성한 막대모양의 접속자(6)를 횡삽하여 반원면(601)이 경사면 홈(802)속에 위치하도록 하고서 접속자 회전통(7) 중심 상부에는 해정구(5)가 제자리 회전할 원형턱(702)을 형성한 다음 이곳에다 하부쪽 원주에는 횡방향 절개홈(501)이 형성되고 상부는 직4각 형태의 기둥(502)을 형성한 해정구(5)를 얹어 뚜껑(19)을 덮는다. 완조립하면 해정구(5)의 4각기둥(502)은 소스핀들(4) 구멍(401)과 연결되면서 접속자 회전통(7) 절개홈(701)과 해정구(5) 절개홈(501)방향이 자연히 일치되도록 한다. 접속자 회전통(7)의 중심하부 직4각형 구멍(704)은 추후 작동막대(11) 삽입공이 된다. 이 구조에서 해정구(5)가 필요에 따라 공회전과 해정작용을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접속자 돌출편(602)이 해정구(5)의 절개홈(501)밖으로 이탈되어 있는 상태여서 (도6(가)) 해정구(5)가 자연히 공회전 되도록 되어 있으나 레바록의 잠김상태를 해제할 때는 열쇠 뭉치(12)에 열쇠(13)을 끼워 돌리므로서 이와 결합되어 있는 작동막대(11)가 회전하게 되고 작동막대(11)는 접속자 회전통(7)하부의 직4각구멍(704)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20)의 탄력을 받아 회전관체(8)의 경사면 홈(802)속에 밀려있던 접속자(6)가 반원면(601)을 이용하여 회전관체(8)의 내벽 경사면(802)을 타고 상승하면 접속자(6)는 평행이동하여 접속자 회전통(7) 절개홈(701)과 방향이 일치되어 있는 해정구(5)의 하부 절개홈(501)속으로 접속자 돌출편(602)이 삽입되는데 (도6(나)) 이 때 접속자 돌출편(602)이 쉽게 삽입되도록 접속자 돌출편(602) 폭보다 해정구(5) 절개홈(701)을 상당히 넓게 형성한다. 이렇게 해정구(5)와 접속자 회전통(7)이 결속되어 함께 회전하면 해정구(5)와 연결되어 있는 소스핀들(4)도 회전하게 되므로 이와 접속된 괘정간 작동구(2)가 후진되어서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이다. 해정후 열쇠(13)를 빼기 위해 열쇠(13)을 원위치로 역회전하면 작동막대(11)로 연결된 접속자 회전통(7)도 역시 역회전하게 되어 접속자 회전통(7)속에서 스프링(20)의 탄력을 받고 있던 접속자(6)가 회전관체(8)의 내벽 경사면 홈(802)속으로 다시 복귀되어 접속자 돌출편(602)이 해정구 절개홈(501) 외부로 이탈되므로 (도6(가)) 해정구(5)가 공회전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아웃레버(14)와 연결된 회전관체(8)의 공회전과 별개로 해정구(5)가 필요에 따라 공회전과 해정작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ㄱ'형 손잡이가 장치된 원통형 레버록이 잠겨져 있는 상태에서 아웃레버(14)에 무리한 힘을 가할 때 손잡이가 360도 공회전하는 구조여서 무리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아 잠금장치와 관련부품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내구적인 원통형 레버록을 얻게 되며 도어록의 구조자체를 변동시키지 않고 몇 개의 부품을 추가하는 구성으로 새로운 안전장치의 실현이 가능하므로 원가의 부담이 적은 상태에서 제조 생산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는 실용성이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원통형 레버록에 있어서 아웃레버(14)의 공회전을 이루고자 도3처럼 반원홈(801)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관체(8)를 구성하고 또한 접속봉(9) 안내홈(101)과 스프링 걸개(16)의 결합돌기(162)가 삽입될 수 있는 홈(163)도 형성된 결합원통(10)을 구성하여 회전관체 반원 홈(801)과 같은방향의 결합원통(10) 접속봉 안내홈(101)이 일치되게 회전관체(8)를 삽입하여 거기에 접속봉(9)을 내장하고 외부에 탄력스프링(21)을 끼워 탄력으로 조여 있는 접속봉(9)으로 회전관체(8)와 결합원통(10)이 결속되게 하고 도4처럼 결합원통 상부홈(163)에는 아웃레버 복원 스프링(18)이 내장된 스프링 걸개(16)의 내향돌기 (162)와 끼워 고정하는 구조,
    또한 해정구(5)가 꽈배기처럼 꼬이지 않고 필요에 따라 공회전과 해정작용이 되게 하고자 회전관체(8)내부의 원주상 내벽에 경사면 홈(802)을 구성하고(도3) 그 경사면 홈(802)과 평행되게 접속자 회전통(7)을 내장설치하는데 접속자회전통(7)구조는 도4처럼 원주형태로 중심하부에 직사각형 구멍(703)을 종방향으로 뚫고 중앙부에 접속자(6)를 삽입할 횡방향의 절개홈(701)을 형성하며 외벽에 형성한 홈(703)에는 접속자 스프링(20)을 삽입한다. 절개홈(701)속에는 한쪽 끝은 반원 형태(601)의 원주면과 돌출편(602)이 형성되고 반대쪽 끝에는 스프링 홈(603)을 형성한 막대모양의 접속자(6)를 횡삽하여 반원면(601)이 경사면 홈(802)속에 위치하도록 하고서, 접속자 회전통(7) 중심 상부에는 해정구(5)가 제자리 회전할 원형턱(702)을 형성한 다음 이곳에다 하부쪽 원주에는 횡방향 절개홈(501)이 형성되고 상부는 직4각 형태의 기둥(501)을 형성한 해정구(5)를 얹어 뚜껑(19)을 덮어 내장하는 구조.
    상기구조와 조합된 원통형 레버록은 무리한 힘으로 아웃레베(14)를 회전시킬 경우 공회전이 됨으로 잠금장치와 관련 부품에 영향을 주지않아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KR2019990022041U 1999-10-09 1999-10-09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KR200180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041U KR200180493Y1 (ko) 1999-10-09 1999-10-09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041U KR200180493Y1 (ko) 1999-10-09 1999-10-09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329A Division KR100352469B1 (ko) 2000-01-21 2000-01-21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493Y1 true KR200180493Y1 (ko) 2000-05-01

Family

ID=19592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041U KR200180493Y1 (ko) 1999-10-09 1999-10-09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4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15B1 (ko) 2006-09-05 2008-01-14 주식회사 정화테크 실린더형 레버록의 클러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15B1 (ko) 2006-09-05 2008-01-14 주식회사 정화테크 실린더형 레버록의 클러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1340B2 (en) Locking device
KR200469274Y1 (ko)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KR200180493Y1 (ko)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JPH0243179Y2 (ko)
KR100352469B1 (ko)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JPH0626247A (ja) 取っ手及び取っ手装着装置
KR200152351Y1 (ko)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CN111512405B (zh) 电气开关的旋转手柄结构件
KR101116329B1 (ko) 도어록 안전손잡이
CA2094467C (en) Lockable handle
JP2004324204A (ja) キーシリンダの操作ノブ
KR20150001050U (ko) 도어락용 클러치 방식 기어박스
KR940005680Y1 (ko) 손잡이의 공회전을 이용한 도어로크의 해정 방지 장치
JPH019056Y2 (ko)
JP7179361B2 (ja)
KR20120011545A (ko) 손잡이에 가압식 버튼 록킹 장치를 구비한 튜블러 록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KR920005009Y1 (ko) 카드키 장치
KR101322113B1 (ko)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KR100558852B1 (ko)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
JPH0417860Y2 (ko)
KR101793491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KR200185964Y1 (ko) 출입문용 보조키
KR910006242Y1 (ko) 손잡이 겸용 자물쇠 뭉치
KR200337685Y1 (ko)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