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351Y1 -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351Y1
KR200152351Y1 KR2019970004088U KR19970004088U KR200152351Y1 KR 200152351 Y1 KR200152351 Y1 KR 200152351Y1 KR 2019970004088 U KR2019970004088 U KR 2019970004088U KR 19970004088 U KR19970004088 U KR 19970004088U KR 200152351 Y1 KR200152351 Y1 KR 200152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
tube
groove
cylinder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075U (ko
Inventor
이한성
Original Assignee
이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성 filed Critical 이한성
Priority to KR2019970004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35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0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0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4Lost motion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6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by means arranged in or on the rose or escutche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록본체(1) 내에 측방으로 출입되게 괘정간 작동구(2)가 장치되어 고정관(7)에 횡삽된 크랭크외통(3)의 크랭크(301)로 작동되고 크랭크외통 속에 내측으로 크랭크 돌편(401)이 형성된 중심회전통(4)을 장치하여 제자리 회전되게 한 속에 접속자(5)를 내장하고 코일스프링(6)으로 외향탄발되게 한 다음 중심회전통(4)의 절개홈(402)과 크랭크외통(3)의 결속홈(304)에 접속자(5)의 걸림편(501)이 출입될 수 있게 구성하며 크랭크외통(3)의 외측으로 작동관체(8)를 결합하고 작동관체(8) 외주에 손잡이축관(10)과 외측커버(11)를 피복하여 손잡이축관(10) 측으로 열쇠뭉치(12)가 내장되어 그 작동막대(121)와 크랭크외통(3) 속에 장치된 중심회전통이 직접 연결되어 회전시키도록 되고 실내측 손잡이축관(14) 속으로 잠금버튼(15)과 잠금막대(16)를 설치하고 내측 손잡이 축관(14) 속에 해지용 내측 크랭크 축관(18)이 구비되어 있으며 외측 크랭크외통(3)의 절개홈(302)에 작동관체(8)와 결합된 작동륜체(20)의 돌기(212')가 결속고정되어 있는 공지의 원통형 레버록에 있어서, 제3도처럼 반원홈(801)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관체(8) 외부에 접속봉(9)의 안내홈(802)이 형성된 결합체(803)를 설치하여 작동관체(8)의 반원홈(801)과 결합체(803)의 접속봉(9) 안내홈(802)이 일직선상이 되게 하여 그 내에 탄력스프링(24)에 의하여 수축압력을 받는 접속봉(9)을 설치하여 작동관체(8)와 결합체(803)가 스프링탄력을 받는 접속봉(9)에 의하여 결속되게 하고 결합체(803) 상부에는 결합돌기(212)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작동륜체(20)를 결합체 홈(211)에 끼워 추후 결합돌기(212)가 크랭크외통(3)의 절개홈(302)과 결합되게 하여 이탈방지용 스냅링(21)으로 고정시키고 작동관체(8)의 내부중심에는 직 4각관체(81)를 결합하며 크랭크외통(3) 입구측에 회전원통(22)을 삽입하여 회전원통의 외벽에 뚫어진 직 4각형구멍(225)에는 작동관체(8)의 중심부에 고정된 직 4각관체(81)와 결합되게 하고 회전원통(22) 표면에는 환상요입홈(223)을 형성하여 크랭크외통(3)의 내향돌기(303)와 결합되게 구성하고 그 주벽에 나선구멍(224)을 뚫어 회전원통(22) 내측에 삽입된 해정구(13)의 안내돌기(132)가 나선구멍(224)으로 돌출안내되게 하며 해정구(13)의 중심부에는 작동막대(121) 삽입공(133)을 헐겁게 뚫어 작동막대(121) 끝에 횡삽하여서 열쇠(25)로 열쇠뭉치(12)와 연결된 작동막대(121)를 회전시키면 작동관체(8) 내의 중심부에 고정되어 있는 직 4각관체(81)가 회전원통(22)을 잡고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정구(13)만 나선구멍(224)을 따라 내외로 이동되며 해정구의 접속돌편(131)이 중심회전통(4)의 걸림돌기(403)와 크랭크외통(3) 내에서 접속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한 것으로 도어 록을 실내에서 잠구어 놓은 상태에서 외부의 도어록 손잡이를 잡고 강제 회전시킬 경우 외부의 도어록 손잡이에 무리한 힘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잠금장치에 영향을 주지않고 손잡이가 360도 공회전되어 도어록 내부의 잠금장치 관련부품이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본 고안은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에 관한 새로운 고안으로 보다 구체적인 특징은 도어록을 실내에서 잠구어 놓은 상태에서 외부의 도어록 손잡이를 잡고 강제 회전시킬 경우 외부의 도어록 손잡이에 무리한 힘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잠금장치에 영향을 주지않고 손잡이가 360도 공회전되게 하여 도어록 내부의 잠금장치 관련부품이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으로 동일인이 앞서 출원(96년 실용신안원 제15515호)한 것을 부분적으로 변경보완한 것이다.
종래의 레버형 도어록이 문 안쪽에서 잠금 버어튼이 눌리면 잠금막대(16)가 외향하면서 접속자(5)를 이동시켜 크랭크외통(3)을 고정관(7)에 결속하면서 스토퍼(17)가 잠금막대(16) 홈으로 삽입되어 외부에서 손잡이(12a)를 회전시켜도 크랭크외통(3)이 회전하지 않도록 제동이 되어 괘정간 작동구가 제동되므로 잠금기능이 풀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손잡이가 ㄱ형으로 된 레버형 도어록에 있어서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은 지렛대처럼 작은 힘으로도 강력한 회전력을 작동시킴으로 둥근 손잡이와 비교할 수 없는 센 힘으로 외부측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힘이 강력하여 손잡이축과 결속되어 있는 부속품이 억지회전력의 영향을 받아 변형되거나 파손이 되어 자물쇠의 기능을 상실하는 일이 잦아 이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국에서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구성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접속구 부분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접속구 부분 결합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접속구가 작동되는 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크랭크외통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7도는 또다른 접속구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물쇠 본체 2 : 괘정간 작동구
3 : 크랭크외통 4 : 중심회전통
5 : 접속구 6 : 코일스프링
7 : 고정관 8 : 작동관체
9 : 접속봉 10 : 손잡이축관
11 : 외측카버 12 : 열쇠뭉치
13 : 해정구 14 : 손잡이축관
15 : 잠금버튼 16 : 잠금막대
17 : 스토퍼 18 : 내측크랭크축관
20 : 작동륜체 21 : 스냅링
22 : 회전원통 23 : 손잡이복원스프링
24 : 탄력스프링 25 : 열쇠
제1도에서 제6도까지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과 분해사시도가 예시되어 있다.
도어록본체(1) 내에 측방으로 출입되게 괘정간 작동구(2)가 장치되어 고정관(7)에 횡삽된 크랭크외통(3)의 크랭크(301)로 작동되고 크랭크외통 속에 내측으로 크랭크돌편(401)이 형성된 중심회전통(4)을 장치하여 제자리 회전되게 한 속에 접속자(5)를 내장하고 코일스프링(6)으로 외향탄발되게 한 다음 중심회전통(4)의 절개홈(402)과 크랭크외통(3)의 결속홈(304)에 접속자(5)의 걸림편(501)이 출입될 수 있게 구성하며 크랭크외통(3)의 외측으로 작동관체(8)를 결합하고 작동관체(8) 외주에 손잡이축관(10)과 외측커버(11)를 피복하여 손잡이축관(10) 측으로 열쇠뭉치(12)가 내장되어 그 작동막대(121)와 크랭크외통(3) 속에 장치된 중심회전통이 직접 연결되어 회전시키도록 되고 실내측 손잡이축관(14) 속으로 잠금버튼(15)과 잠금막대(16)를 설치하고 내측 손잡이 축관(14) 속에 해지용 내측 크랭크 축관(18)이 구비되어 있으며 외측 크랭크외통(3)의 절개홈(302)에 작동관체(8)와 결합된 작동륜체(20)의 돌기(212')가 결속고정되어 있는 공지의 원통형 레버록에 있어서, 제3도처럼 반원홈(801)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관체(8)의 외부에 접속봉(9)의 안내홈(802)이 형성된 결합체(803)를 설치하여 작동관체(8)의 반원홈(801)과 결합체(803)의 접속봉(9) 안내홈(802)이 일직선상이 되게 하여 그내에 탄력스프링(24)에 의하여 수축압력을 받는 접속봉(9)을 설치하여 작동관체(8)와 결합체(803)가 스프링탄력을 받는 접속봉(9)에 의하여 결속되게 하고 결합체(803) 상부에는 결합돌기(212)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작동륜체(20)를 결합체(803) 홈(211)에 끼워 추후 결합돌기(212)가 크랭크외통(3)의 절개홈(302)과 결합되게 하여 이탈방지용 스냅링(21)으로 고정시키고 작동관체(8)의 내부중심에는 직 4각관체(81)를 결합고정시킨다.
그리고 크랭크외통(3) 입구측에 회전원통(22)을 삽입하여 회전원통의 외벽에 뚫어진 직 4각형구멍(225)에는 작동관체(8)의 중심부에 고정된 직 4각관체(81)와 결합되게 하고 회전원통(22) 중심부에 고정된 직 4각관체(81)와 결합되게 하고 회전원통(22) 표면에는 환상요입홈(223)을 형성하여 크랭크외통(3)의 내향돌기(303)와 결합되면 회전원통(22)의 이탈방지는 물론 해정구(13)가 외향상태일때는 중심회전통(4)의 걸림돌기(403)와 항시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된다.
또한, 그 주벽에 나선구멍(224)을 뚫어 회전원통(22) 내측에 삽입된 해정구(13)의 안내돌기(132)가 나선구멍(224)으로 돌출안내되게 하고 해정구(13)의 중심부에는 작동막대(121) 삽입공(133)을 헐겁게 뚫어 작동막대(121) 끝에 횡삽한다.
열쇠(25)로 열쇠뭉치(12)와 연결된 작동막대(121)를 회전시키면 작동관체(8) 내의 중심부에 고정되어 있는 직 4각관체(81)가 회전원통(22)을 잡고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정구(13)만 나선구멍(224)을 따라 내외로 이동되며 해정구의 접속돌편(131)이 중심회전통(4)의 걸림돌기(403)와 크랭크외통(3) 내에서 접속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1은 스프링 받침돌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도어록에 설치해 놓고 열린 상태로 사용시에는 작동이 기존과 동일하나 실내에서 잠금버어튼을 누르면 잠금막대(16)가 내향하면서 스토퍼(17)가 잠금막대의 홈에 결합되고 잠금막대 끝이 접속자(5)를 밀어서 그 돌기(501)가 크랭크외통(3)의 결속홈(304)을 통해 고정관(7)의 결속홈과 결합되므로(501)(3)(7) 3자가 고정되어 잠금상태가 되는 것은 기존 구조와 같다.
이때에 외부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키려하면 고정상태인 크랭크 외통(3)의 절개홈(302)에 작동륜체(20)의 걸림돌기(212)가 삽입되어 있고 또한 탄력을 받고 있는 접속봉(9)에 의해 결속되어 있는 작동관체(8)와 결합체(803)의 구조로 인해 쉽게 회전되지 않는다.
그러나 외부손잡이를 무리하게 강한 힘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손잡이 축관(10)과 연결된 작동관체(8)가 회전힘을 받아 그 반원홈(801) 속에 탄력스프링(24)에 의해 조여서 장치된 접속봉(9)을 밀어 올리면서 탄력스프링(24)을 확장시켜 잠긴 상태에서는 고정인 결합체(803)의 안내홈(802)을 따라 접속봉(9)이 상승외향되어 작동관체(8)의 외면에 얹히게 된다.[제5도(b)]
따라서 탄력을 받는 접속봉(9)에 의하여 결속되어 있던 작동관체(8)와 잠긴 상태에서 고정인 결합체(803)와의 결속이 해지되므로 외부손잡이와 작동관체(8)가 함께 공회전하게 되며 이때, 작동관체(8)와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12a)와 그 손잡이 속에 고정된 열쇠뭉치(12)의 작동막대(121)와 작동관체(8) 속에 고정된 직 4각관체(8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직 4각관체(81)와 연결된 회전원통(22)과 작동막대(121)와 연결된 해정구(13)도 크랭크외통(3) 속에서 동시에 회전함으로 해정구 안내돌기(132)가 나선구멍(224)을 따라 이동할 수 없으므로 중심회전통(4)의 걸림돌기(403)와 해정구의 접속돌편(131)이 연결되지 않게되어 작동관체(8)와 연결된 손잡이(12a)만 공회전하게 되어 연관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다시 손잡이를 강제 회전시키면 작동관체(8)가 또한 회전되면서 접속봉(9)을 상승외향시켜 결합체(803)에서 분리되어 따로 돌게되며 작동관체(8)의 반원홈(801)이 결합체(803)의 안내홈(802)과 다시 일치하면 일단 접속봉(9)이 함몰되었다가 무리한 회전력이 작용하면 또다시 회전하게 되는 작용을 반복하므로 계속적으로 회전시켜도 같은 효과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외부에서 열쇠를 사용하여 열쇠뭉치(12)의 작동막대(121)를 회전시키면 이때는 작동관체(8)와 고정된 직 4각관체(81)가 회전원통(22)을 고정시키고 있는 상태임으로 작동막대(121)만 직 4각관체(81) 속에서 회전이 됨으로 작동막대(121) 삽입공(133)과 헐거운 상태의 해정구(13)가 강제 회전하면서 안내돌기(132)가 회전원통(22)의 나선구멍(224)을 따라 이동하므로 해정구(13)가 회전원통(22) 내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그 접속돌편(131)이 중심회전통(4)의 걸림돌기403)에 접속하기 때문에 그 중심회전통(4)이 회전하면서 중심회전통(4)의 크랭크(401)가 괘정간작동구(2)를 작동시키므로 문을 열 수 있게 되며 도어록을 해정시킨 뒤 열쇠를 빼기 위해선 작동막대(131)가 반대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는 해정구(13)가 역방향으로 작동되면서 안내돌기(132)가 나선구멍(224)을 따라 실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중심회전통(4)과 해정구(13)를 다시 분리시켜 놓게 된다.
이렇게 하므로서 ㄱ형 손잡이가 장치된 원통형 레버록이 잠겨져 있는 상태에서 외부손잡이를 잡고 무리한 힘을 가할 때 손잡이가 360도 공회전하는 구조여서 그와 분리되어 있는 잠금장치 관련부품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내구적인 도어록을 얻게되며 도어록의 구조자체를 크게 변동시키지 않고 몇 개의 부품을 추가하는 구성으로 새로운 안전장치의 실현이 가능하므로 원가의 부담이 적은 상태에서 제작실현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는 실용성이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도어록본체(1) 내에 측방으로 출입되게 괘정간 작동구(2)가 장치되어 고정관(7)에 횡삽된 크랭크외통(3)의 크랭크(301)로 작동되고 크랭크외통 속에 내측으로 크랭크 돌편(401)이 형성된 중심회전통(4)을 장치하여 제자리 회전되게 한 속에 접속자(5)를 내장하고 코일스프링(6)으로 외향탄발되게 한 다음 중심회전통(4)의 절개홈(402)과 크랭크외통(3)의 결속홈(304)에 접속자(5)의 걸림편(501)이 출입될 수 있게 구성하며 크랭크외통(3)의 외측으로 작동관체(8)를 결합하고 작동관체(8) 외주에 손잡이축관(10)과 외측커버(11)를 피복하여 손잡이축관(10) 측으로 열쇠뭉치(12)가 내장되어 그 작동막대(121)와 크랭크외통(3) 속에 장치된 중심회전통이 직접 연결되어 회전시키도록 되고 실내측 손잡이축관(14) 속으로 잠금버튼(15)과 잠금막대(16)를 설치하고 내측 손잡이 축관(14) 속에 해지용 내측 크랭크 축관(18)이 구비되어 있으며 외측 크랭크외통(3)의 절개홈(302)에 작동관체(8)와 결합된 작동륜체(20)의 돌기(212')가 결속고정되어 있는 공지의 원통형 레버록에 있어서, 제3도처럼 반원홈(801)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관체(8)의 외부에 접속봉(9)의 안내홈(802)이 형성된 결합체(803)를 설치하여 작동관체(8)의 반원홈(801)과 결합체(803)의 접속봉(9) 안내홈(802)이 일직선상이 되게 하여 그 내에 탄력스프링(24)에 의하여 수축압력을 받는 접속봉(9)을 설치하여 작동관체(8)와 결합체(803)가 스프링탄력을 받는 접속봉(9)에 의하여 결속되게 하고 결합체(803) 상부에는 결합돌기(212)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작동륜체(20)를 결합체 홈(211)에 끼워 추후 결합돌기(212)가 크랭크외통(3)의 절개홈(302)과 결합되게 하여 이탈방지용 스냅링(21)으로 고정시키고 작동관체(8)의 내부중심에는 직 4각관체(81)를 결합하며 크랭크외통(3) 입구측에 회전원통(22)을 삽입하여 회전원통의 외벽에 뚫어진 직 4각형구멍(225)에는 작동관체(8)의 중심부에 고정된 직 4각관체(81)와 결합되게 하고 회전원통(22) 표면에는 환상요입홈(223)을 형성하여 크랭크외통(3)의 내향돌기(303)와 결합되게 구성하고 그 주벽에 나선구멍(224)을 뚫어 회전원통(22) 내측에 삽입된 해정구(13)의 안내돌기(132)가 나선구멍(224)으로 돌출안내되게 하며 해정구(13)의 중심부에는 작동막대(121) 삽입공(133)을 헐겁게 뚫어 작동막대(121) 끝에 횡삽하여서 열쇠(25)로 열쇠뭉치(12)와 연결된 작동막대(121)를 회전시키면 작동관체(8) 내의 중심부에 고정되어 있는 직 4각관체(81)가 회전원통(22)을 잡고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정구(13)만 나선구멍(224)을 따라 내외로 이동되며 해정구의 접속돌편(131)이 중심회전통(4)의 걸림돌기(403)와 크랭크외통(3) 내에서 접속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한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KR2019970004088U 1997-03-05 1997-03-05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KR200152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088U KR200152351Y1 (ko) 1997-03-05 1997-03-05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088U KR200152351Y1 (ko) 1997-03-05 1997-03-05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075U KR19980060075U (ko) 1998-11-05
KR200152351Y1 true KR200152351Y1 (ko) 1999-07-15

Family

ID=1949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088U KR200152351Y1 (ko) 1997-03-05 1997-03-05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3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15B1 (ko) 2006-09-05 2008-01-14 주식회사 정화테크 실린더형 레버록의 클러치장치
KR100794214B1 (ko) 2006-09-05 2008-01-14 주식회사 정화테크 클러치 기능을 갖는 실린더형 레버록의 레버 공회전각도확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475B1 (ko) * 2007-02-09 2008-05-06 주식회사 현대금속 도어잠금장치
KR100958540B1 (ko) * 2008-05-29 2010-05-18 씨리우스코리아 주식회사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CN108569413A (zh) * 2017-03-09 2018-09-25 昊翔电能运动科技(昆山)有限公司 快拆结构及云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15B1 (ko) 2006-09-05 2008-01-14 주식회사 정화테크 실린더형 레버록의 클러치장치
KR100794214B1 (ko) 2006-09-05 2008-01-14 주식회사 정화테크 클러치 기능을 갖는 실린더형 레버록의 레버 공회전각도확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075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1299B1 (en) Combination lock and padlock combination with opening warning device
CA2138708C (en) Reinforcing apparatus for a lever handle of a door lock
US20070017265A1 (en) Lock device
KR890005209B1 (ko) 프리 노브 로테이션과 프런트 엔드 로딩을 포함하는 문자물쇠용 노브 조립체
CA2511241C (en) Adjustable width coupler latch lock
CA2433900C (en) Cuff lock and push button locking mechanism
CA1061830A (en) Plastic door lock
US6742367B2 (en) Inside locking device of flat handle lock
US20080086844A1 (en) Knob for an electronic locking cylinder
EP1192325B1 (en) Door locking device
BG64399B1 (bg) Обков за прозорци и/или врати
MXPA03002220A (es) Ensamble de perilla para puerta de rapida instalacion.
US4169618A (en) Plastic door lock
KR200152351Y1 (ko)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KR102449071B1 (ko) 볼 스크류 드라이버
KR100352469B1 (ko)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KR940005680Y1 (ko) 손잡이의 공회전을 이용한 도어로크의 해정 방지 장치
KR200180493Y1 (ko) 원통형 레버록의 안전장치
KR101322113B1 (ko)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WO1997003267A2 (en) Improved door privacy latch apparatus
KR200431564Y1 (ko) 맨홀 커버 개폐장치
KR940005313Y1 (ko) 감지예방용 다이얼을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KR200431563Y1 (ko) 맨홀 커버 개폐장치
KR200218304Y1 (ko) 도어록 해정 보호장치
KR101958184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