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113B1 -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 Google Patents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113B1
KR101322113B1 KR1020090120563A KR20090120563A KR101322113B1 KR 101322113 B1 KR101322113 B1 KR 101322113B1 KR 1020090120563 A KR1020090120563 A KR 1020090120563A KR 20090120563 A KR20090120563 A KR 20090120563A KR 101322113 B1 KR101322113 B1 KR 10132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using
bar
pop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109A (ko
Inventor
양성만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12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1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로서 필요한 경우 팝 업시킨 후 회전하여 창호를 잠금하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미닫이 창호에 관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핸들을 매립하여 방충망등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함은 물론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은 필요에 따라 돌출시켜 용이하게 창호를 잠금하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매립형 핸들, 팝 업, 회전

Description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Pop up type reclaimed handle assembly of pop up type and window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로서 필요한 경우 팝 업시킨 후 회전하여 창호를 잠금하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미닫이 창호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의 경우 상기 창호를 잠금하거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핸들을 회전하여 상기 창호에 내장되는 하드웨어를 작동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하드웨어에 결합되는 회전 바아를 상기 핸들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래의 핸들은 창호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이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핸들을 파지한 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위함이다.
그런데 이러한 핸들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창호에 방충방등의 부가적인 설치물을 창내측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핸들과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즉, 상기 방충망은 창호의 실외측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사용 환경에 따 라 실내측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방충망등과 간섭이 발생하여 상기 방충망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을 창호에 매립하여 핸들이 돌출되지 않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핸들이 창호에 매립되어 있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핸들을 매립하여 방충망등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은 필요에 따라 돌출시켜 사용하기 용이한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 바아(130)가 장치되는 핸들 헤드 본체(121)와, 상기 핸들 헤드 본체 일 영역에 요홈되어 상기 회전 바아(130)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된 회전 바아(130) 일 영역은 핀(P) 결합되는 힌지부(122)를 포함하는 핸들부 헤드(120)와, 상기 핸들부 헤드(120) 일 영역에서 연장되는 그립부(110)로 구성되는 핸들부(100)와,
상기 핸들부(100)가 수용되는 한편 상기 회전 바아(130)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창호 일측면에 매립되는 하우징(200)을 더 포함하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에 특징이 있다.
이때, 하우징(200)에 수용된 핸들부(100)의 그립부(110)를 홀딩하는 그립부 홀더(30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핸들부 헤드(110) 일 영역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 바아(130)를 고정하는 핀(P)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부 헤드(110)를 회전시켜 상기 그립부(120)가 팝 업되도록 하는 탄성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 바아(130)는 바아 형상의 회전 바아 본체(131)와 상기 회전 바아 본체 일 영역에 요홈되는 그루브(132)와 상기 힌지부(122)에 삽입되는 영역 일측에 관통되어 상기 핀(P)이 삽입되는 관통공(133)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그립부 홀더(300)는 상기 그립부(110)를 가압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200)에 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치되는 홀더 본체(310)와,
상기 홀더 본체(310)와 하우징(200) 바닥면 사이에 장치되어 상기 홀더 본체(310)를 가압하는 홀더 스프링(32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핸들 헤드 본체(121) 저면에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핸들부(100)가 상기 회전 바아(130)를 회전시킬 때 상기 하우징(200)에 걸림되는 걸림턱(124,125)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핸들을 매립하여 방충망등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함은 물론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은 필요에 따라 돌출시켜 용이하게 창호를 잠금하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핸들부(100) 및 하우징(200)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우징(200)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핸들 어셈블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바아를 회전하여 창호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종래의 핸들 어셈블리에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매립되어 있다가 필요시 돌출 즉 팝 업(pop up)할 수 있는 핸들부(100) 및 하우징(200)을 포함하는 것이다.(도 1참조)
상기 핸들부(100)는 상기 회전 바아(130)가 장치되는 핸들부 헤드 (120)와 상기 핸들부 헤드(120) 일 영역에서 연장되는 그립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부 헤드(120)는 상기 회전 바아(130)가 장치되는 핸들 헤드 본체(121)와, 상기 핸들 헤드 본체 일 영역에 요홈되어 상기 회전 바아(130)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된 회전 바아(130) 일 영역이 핀(P) 결합되는 힌지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122)는 상기 회전 바아(130)가 삽입되도록 요홈되는 수용부(122a)와, 상기 수용부(122a) 양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22b)과, 상기 관통공(122b)을 관통한 후 상기 회전 바아(130)에 삽입되는 핀(P)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핸들부 헤드(120) 및 그립부(110)는 상기 회전 바아(130)를 중심으로 방향I로 회전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즉, 상기 회전 바아(130)의 일측(본 실시에에서는 도면상 좌측)이 상기 하우 징(20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회전 바아(130)의 타측(본 실시에에서는 도면상 우측)은 상기 힌지부(122)에 장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된 회전 바아(130)의 일 영역이 핀 결합되어 있어 상기 핸들부 헤드(120)는 상기 핀(P) 중심으로 방향 I로 회전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하우징(200)에 장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핸들부(100)가 팝 업(pop up)이 가능하다.
상기 팝 업이라고 하는 것은 돌출된다는 뜻으로서 평소에는 상기 핸들부(100)가 상기 하우징(200)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00)은 창호 일 측면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핸들부(100)는 상기 창호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핸들부(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부 헤드(120)를 방향 I로 회전시키면 그립부(110)가 돌출되므로 상기 그립부(110)를 파지한 후 방향II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바아(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한편 상기 힌지부(122)의 수용부(122a)는 상기 회전 바아(130)가 삽입된 후 상기 핸들부 헤드(120) 회전시 상기 회전 바아(130)가 걸림되어 같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 바아(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핀 결합되어 있어 상기 핸들부 헤드(120)의 회전에 연동되나 보다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상기 수용부(122a)의 형상이 상기 회전 바아(13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22a) 회전시 상기 회전 바아(130)가 걸림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핀 결합이라는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핀 결합이라고 하는 것은 핀에 의해 회동하도록 하는 결합을 말한다.
즉 본 실시예서와 같이 회전 바아(130)가 핸들부 헤드(120)에 장치되는 핀(P)과 결합하여 상기 핀(P)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바아(130)가 방향I로 회전할 수 있는 힌지부(122)를 포함하는 한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는 필요시 그립부(110)를 돌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탄성부(14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탄성부(140)는 상기 핸들부 헤드(110) 일 영역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 바아(130)를 고정하는 핀(P)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부 헤드(120)를 방향I로 회전시켜 상기 그립부(120)가 팝 업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탄성부(140)는 나선 형상으로 감겨져있는 코일부(141)와, 상기 코일부(141) 일측에서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200)과 접촉하는 직선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다시 말해서 코일 스프링을 채택하여 회전력을 공급하되 일 영역(본 발명에서 직선부(142))을 상기 하우징(200)에 접촉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부(140)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핸들부 헤드(120)의 핸들 헤드 본체(121) 일 영역에 요홈되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부(140)의 코일부가 장착되는 장착홈(12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탄성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 헤드(120)를 방향I로 회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탄성부(140)가 다른 방식의 탄성력을 공급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140)가 접시 스프링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든지 혹은 판 스프링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모두 본 발명이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 바아(130)는 바아 형상의 회전 바아 본체(131)와 상기 회전 바아 본체 일 영역에 요홈되는 그루브(132)와 상기 힌지부(122)에 삽입되는 영역 일측에 관통되어 상기 힌지부(122)의 핀(P)이 삽입되는 관통공(133)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바아(130)가 대략 사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상기 회전 바아(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창호의 하드웨어에 결합하여 상기 창호를 잠금하거나 혹은 잠금 해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회전 바아(130)가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회전 바아(130)의 그루브(132)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 바아(13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결속구(17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속구(170)는 상기 회전 바아(13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클립(171)과 상기 클립(171)에 장치되는 와셔(1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132)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 바아(130)가 방향 II로 회전한 경우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회전 스프링(150)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회전 스프링(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형상을 구비하여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압축되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그루브(132)의 경우 상기 회전 바아(130)의 대략 중앙부 영역에 형성되되 원주방향 전부에 걸쳐 요홈된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상기 그루브(1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속구(170) 또는 회전 스프링(150)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그루브(132)의 형상이나 위치가 다른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탄성부(140)에 의해 그립부(110)가 돌출된다.
이때 상기 그립부(110)가 원하는 때에만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 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그립부 홀더(300)가 장착된다.
상기 그립부 홀더(300)는 상기 그립부(110)를 가압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200)에 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치되는 홀더 본체(310)와, 상기 홀더 본체(310)와 하우징(200) 바닥면 사이에 장치되어 상기 홀더 본체(310)를 가압하는 홀더 스프링(3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홀더 본체(310)가 상기 그립부(110)를 누르고 있어 상기 그립부(110)가 팝 업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필요한 경우 도면상 하측 방향 일 지점(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의 A 지점)을 가압하면 상기 홀더 본체(310)가 방향II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그립부(110)와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110)는 상기 탄성부(140)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 본체(310)는 상기 홀더 스프링(32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공(211)과 상기 관통공(211) 및 상기 홀더 본체(310)를 관통하는 핀(Q)을 포함하여, 상기 홀더 본체(310)가 상기 핀(Q)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핀(Q)은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하우징(200) 내면에 돌출되는 힌지 리브(250)를 형성한 후 상기 힌지 리브(250)를 관통하는 관통공(251)을 형성 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3참조)
물론 상기 힌지 리브(250) 없이 관통공(211)만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핀(Q)이 상기 홀더 본체(310)에 형성되는 관통공(310a)을 관통한 후 상기 하우징(200)의 관통공(211)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본체(310) 일측 단부에 상기 그립부(110)와 걸림되어 상기 그립부(110)를 가압할 수 있는 돌출 형상을 가지는 걸림부(312)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창호에 매립되는 한편 상기 핸들부(100)를 수용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0)은 U자 단면의 길이가 긴 형상을 구비하는 하우징 본체(2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자 단면이라고 하는 것은 상기 하우징 본체(210) 일 영역이 만곡되어 상기 핸들부(1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212)을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본체(210)가 상기 핸들부(100)를 수용할 수 있는 한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하우징 본체(210)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바아(130)가 관통되도록 하는 회전 바아 장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 바아 장착부(220)는 상기 하우징 본체(210) 바닥면에서 연장되는 보강 리브(222)와 상기 하우징 본체(210) 바닥면 및 상기 보강 리브(22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회전 바아 삽입공(221)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 리브(222)가 원통형상을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 본체(210) 바닥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상기 보강 리브(2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바아(130)가 관통되는 영역 주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보강 리브(222)가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회전 바아 삽입공(221)의 경우 원형 형상을 구비한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상기 회전 바아 삽입공(221)은 상기 회전 바아(130)가 관통되어 창호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하드웨어와 결합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회전 바아 삽입공(221)이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회전 바아 장착부(22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0)을 고정하는 고정구(F)가 장치되는 고정구 장착부(23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구 장착부(230) 또한 상기 고정구(F)가 관통하는 관통공(231)가 형성될 수 있는 보강 리브(23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정구 장착부(230)를 덮는 마감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바닥면측에 상술한 와셔(172)나 클립(171)이 장착될 수 있는 와셔 장착홈(213)이나 클립 장착홈(214)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마감재(40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216)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215는 상술한 고정구 장착부(230) 이외에 추가적인 고정구 장착부(240,도 1 참조)를 형성할 때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들 어셈블리는 필요시 그립부(110)가 팝 업되며 상기 그립부(110)가 팝 업된후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110)를 파지하여 방향III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그립부(110)가 지나치게 회전하면 주위 부품을 파손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핸들 헤드 본체(121) 저면에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핸들부(100)가 상기 회전 바아(130)를 회전시킬 때 상기 하우징(200)에 걸림되는 걸림턱(124,125)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걸림턱(124,125)에 의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핸들부(1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110)가 돌출되는 경우 상기 핸들부 헤드(120)는 반대로 숙여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들 헤드 본체(121) 저면 중 상기 그립부(110)가 팝 업 될 때 상기 하우징(200)에 맞닿는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글립부(110)의 팝 업 변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26)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핸들 어셈블리의 작동 관계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상기 핸들부(100)가 팝업 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핸들부(100) 즉 그립부(110)와 핸들부 헤드(120)가 하우징(200)에 내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그립부(110)는 그립부 홀더(300)에 의해 가압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200)에 내장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그립부 홀더(300)를 방향II로 회전시키면(이를 위해 도 6 및 도 7의 A지점을 가압하면 됨) 상기 그립부(110)와 그립부 홀더(300)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핸들부 헤드(120)에 장치되는 탄성부(1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핸들부 헤드(120)가 방향I로 회전하며 상기 핸들부 헤드(120)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그립부(110) 또한 방향I로 회전하면서 결국 팝 업 즉 돌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100)는 방향I로 돌출한 후 방향III으로도 회전 가능하다.
즉,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A지점을 가압하여 핸들부(100)를 돌출시킨 후 방향III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회전 바아(130)가 회전하면서 창호의 하드웨어를 작동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100)의 회전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걸림턱(124,125)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면상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걸림턱(124)가 걸림되고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걸림턱(125)가 걸림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핸들 어셈블리를 미닫이 창호에 적용하면 창호 내측에 방충망등을 설치하는 경우라도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그립부(110)를 필요시 돌출시켜 파지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핸들부(100) 및 하우징(200)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우징(200)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핸들부 110 : 그립부
120 : 핸들부 헤드 200 : 하우징
300 : 그립부 홀더

Claims (16)

  1. 회전 바아(130)를 회전하여 창호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핸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바아(130)가 장치되는 핸들 헤드 본체(121)와, 상기 핸들 헤드 본체(121) 일 영역에 요홈되어 상기 회전 바아(130)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된 회전 바아(130) 일 영역이 핀(P) 결합되는 힌지부(122)를 포함하는 핸들부 헤드(120)와, 상기 핸들부 헤드(120) 일 영역에서 연장되는 그립부(110)로 구성되는 핸들부(100);
    상기 핸들부(100)가 수용되는 한편 상기 회전 바아(130)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창호 일측면에 매립되는 하우징(200);
    상기 핸들 헤드 본체(121) 저면에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핸들부(100)가 상기 회전 바아(130)를 회전시킬 때 상기 하우징(200)에 걸림되는 걸림턱(124,125); 및
    상기 핸들 헤드 본체(121) 저면 중 상기 그립부(110)가 팝 업 될 때 상기 하우징(200)에 맞닿는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110)의 팝 업 변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26)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바아(130)는 바아 형상의 회전 바아 본체(131)와, 상기 회전 바아 본체 일 영역에 요홈되는 그루브(132)와, 상기 힌지부(122)에 삽입되는 영역 일측에 관통되어 상기 힌지부(122)의 핀(P)이 삽입되는 관통공(133)을 포함하되,
    상기 그루브(132)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 바아(130)가 회전한 경우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스프링(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2. 회전 바아(130)를 회전하여 창호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핸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바아(130)가 장치되는 핸들 헤드 본체(121)와, 상기 핸들 헤드 본체(121) 일 영역에 요홈되어 상기 회전 바아(130)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된 회전 바아(130) 일 영역이 핀(P) 결합되는 힌지부(122)를 포함하는 핸들부 헤드(120)와, 상기 핸들부 헤드(120) 일 영역에서 연장되는 그립부(110)로 구성되는 핸들부(100);
    상기 핸들부(100)가 수용되는 한편 상기 회전 바아(130)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창호 일측면에 매립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에 수용된 핸들부(100)의 그립부(110)를 홀딩하는 그립부 홀더(300);
    상기 핸들 헤드 본체(121) 저면에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핸들부(100)가 상기 회전 바아(130)를 회전시킬 때 상기 하우징(200)에 걸림되는 걸림턱(124,125); 및
    상기 핸들 헤드 본체(121) 저면 중 상기 그립부(110)가 팝 업 될 때 상기 하우징(200)에 맞닿는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110)의 팝 업 변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26)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바아(130)는 바아 형상의 회전 바아 본체(131)와, 상기 회전 바아 본체 일 영역에 요홈되는 그루브(132)와, 상기 힌지부(122)에 삽입되는 영역 일측에 관통되어 상기 힌지부(122)의 핀(P)이 삽입되는 관통공(133)을 포함하되,
    상기 그루브(132)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 바아(130)가 회전한 경우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스프링(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 헤드(120) 일 영역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 바아(130)를 고정하는 핀(P)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부 헤드(120)를 회전시켜 상기 그립부(110)가 팝 업되도록 하는 탄성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140)는 나선 형상으로 감겨져있는 코일부(141)와, 상기 코일부(141) 일측에서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200)과 접촉하는 직선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 헤드(120)의 핸들 헤드 본체(121) 일 영역에 요홈되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부(140)의 코일부가 장착되는 장착홈(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22)는 상기 회전 바아(130)가 삽입되도록 요홈되는 수용부(122a)와, 상기 수용부(122a) 양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22b)과, 상기 관통공(122b)을 관통한 후 상기 회전 바아(130)에 삽입되는 핀(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바아(130)의 그루브(132)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 바아(13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결속구(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170)는 상기 회전 바아(13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클립(171)과 상기 클립(171)에 장치되는 와셔(1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 홀더(300)는 상기 그립부(110)를 가압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200)에 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치되는 홀더 본체(310)와,
    상기 홀더 본체(310)와 하우징(200) 바닥면 사이에 장치되어 상기 홀더 본체(310)를 가압하는 홀더 스프링(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공(211)과 상기 관통공(211) 및 상기 홀더 본체(310)를 관통하는 핀(Q)을 포함하여,
    상기 홀더 본체(310)가 상기 핀(Q)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은 U자 단면의 길이가 긴 형상을 구비하는 하우징 본체(210)와,
    상기 하우징 본체(210)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바아(130)가 관통되도록 하는 회전 바아 장착부(220)와,
    상기 회전 바아 장착부(22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0)을 고정하는 고정구(F)가 장치되는 고정구 장착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바아 장착부(220)는 상기 하우징 본체(210) 바닥면에서 연장되는 보강 리브(222)와 상기 하우징 본체(210) 바닥면 및 상기 보강 리브(22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회전 바아 삽입공(2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장착부(230)를 덮는 마감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
KR1020090120563A 2009-12-07 2009-12-07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KR101322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563A KR101322113B1 (ko) 2009-12-07 2009-12-07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563A KR101322113B1 (ko) 2009-12-07 2009-12-07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109A KR20110064109A (ko) 2011-06-15
KR101322113B1 true KR101322113B1 (ko) 2013-10-25

Family

ID=4439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563A KR101322113B1 (ko) 2009-12-07 2009-12-07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793B1 (ko) * 2015-03-19 2016-06-17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인써트 보강재로 보강된 도어 핸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08U (ja) * 1993-10-13 1995-05-19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平面ハンドル装置
JPH08151831A (ja) * 1994-11-30 1996-06-11 Tochigiya:Kk 平面ハンドル
JP3544199B2 (ja) * 2002-03-18 2004-07-21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引戸用密閉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0630388B1 (ko) * 2005-01-27 2006-09-29 최종구 밀폐형 도어핸들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08U (ja) * 1993-10-13 1995-05-19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平面ハンドル装置
JPH08151831A (ja) * 1994-11-30 1996-06-11 Tochigiya:Kk 平面ハンドル
JP3544199B2 (ja) * 2002-03-18 2004-07-21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引戸用密閉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0630388B1 (ko) * 2005-01-27 2006-09-29 최종구 밀폐형 도어핸들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109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434B2 (en) Dual mechanism lock
US9945155B2 (en) Cylinder lock device
US20070180871A1 (en) Storage lock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US20110167883A1 (en) Side hung type door or window handle lock
KR20200123755A (ko) 록킹수단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101322113B1 (ko)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JP4509142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US6398274B1 (en) Retracting spindle for mortise lock
KR20110000989A (ko) 도어락
KR102211878B1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KR101811814B1 (ko) 자동잠김을 방지하는 안전방충망 잠금장치
KR200441795Y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200225309Y1 (ko) 매립형 보조 자물쇠
KR102618779B1 (ko) 도어용 비상 개방장치
KR20120011545A (ko) 손잡이에 가압식 버튼 록킹 장치를 구비한 튜블러 록
US20030227180A1 (en) Dual function latch that can be opened using either an axial force directed aginst the latching apparatus normal to the door surface or using a rotational force against the latching apparatus parallel to the door surface
KR200378678Y1 (ko) 잠금장치를 갖는 출입문
KR100993852B1 (ko) 차량 적재함도어용 잠금장치
JP4035841B2 (ja) 解錠防止機構を持つ錠
KR200379313Y1 (ko) 강화유리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KR910006242Y1 (ko) 손잡이 겸용 자물쇠 뭉치
KR101791331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손잡이
RU2027834C1 (ru) Дверная заще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