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685Y1 -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 - Google Patents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685Y1
KR200337685Y1 KR20-2003-0033139U KR20030033139U KR200337685Y1 KR 200337685 Y1 KR200337685 Y1 KR 200337685Y1 KR 20030033139 U KR20030033139 U KR 20030033139U KR 200337685 Y1 KR200337685 Y1 KR 200337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rotating body
door
bundle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노
Original Assignee
이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노 filed Critical 이병노
Priority to KR20-2003-0033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6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6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3Preventing opening by insertion of a tool, e.g. flexible, between door and jamb to withdraw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구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외출 또는 취침시 도어의 잠김 상태를 유지하는 출입구 도어의 잠금 장치의 키 뭉치에 관한 것으로, 키 뭉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키 뭉치를 구성하는 실린더 또는 회전체를 강제로 회전시키더라도 잠금 손잡이의 축에 끼워진 연결대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반드시 키를 삽입하여 키의 잠긴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키의 선단이 연결대에 형성된 키 삽입홈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만 잠금 손잡이의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실린더(6)와 회전체(9)로 이루어진 키 뭉치(16)의 회전체(9)에 연결대(11)를 결합하여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잠금 손잡이(12)의 축(12a)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도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체(9)의 내부에 수용홈(9b)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 내에는 키 삽입홈(11b)을 갖는 머리부(11a)가 수용되도록 연결대 (11)를 삽입하여 코일스프링(17)으로 탄력 설치하고 회전체(9)에는 연결대(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18)을 나사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 {omitted}
본 고안은 출입구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외출 또는 취침시 도어의 잠김 상태를 유지하는 출입구 도어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키의 회전으로 슬라이더를 승, 하강시켜 손잡이가 회전되거나, 또는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출입구 도어용 키 뭉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도어에는 도어레버를 출몰시키기 위한 손잡이만이 설치되어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도어레버를 문설주에 형성된 요입홈으로부터 인출하여 도어를 개방하거나, 또는 손잡이의 내부에 별도의 도어 정을 구비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출입구 도어에는 외출시 도어에 내장된 도어레버가 문설주의 요입홈 내에 삽입된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가 회전되지 않도록 도어의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내의 슬라이더를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하여 키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더가 손잡이의 축에 고정된 링의 걸림턱에 걸려 손잡이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출입구를 통해 침입자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취침시에는 실내에서 잠금 손잡이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더를 하강시켜 상기 슬라이더가 손잡이의 축에 고정된 링의 걸림턱에 걸려 손잡이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출입구 도어의 잠금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출입구 도어(1)의 안쪽(실내측)에 도어 정 본체(2) 및 고정판(3)이 보울트(4)로 도어(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도어의 바깥쪽(실외측)에는 도어에 형성된 구멍(5)을 통해 실린더(6)가 끼워져 도어(1)의 안쪽에서보울트(7)로 고정되어 있으며 실린더(6)의 외측에는 장식 커버(8)로 감싸여져 있다.
그리고 실린더(6)의 내부에는 키 구멍(9a)을 통해 키(10)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의 선단에는 막대형상의 연결대(11)가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대(11)는 잠금 손잡이(12)의 축 (12a)에 끼워져 키(1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더(도시는 생략함)를 승,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잠금 장치는 키 뭉치(실린더+회전체)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키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간단한 도구에 의해 키의 잠긴 상태를 손쉽게 해제하므로 최근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6)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 내에 제1가동편(13)을 각각 코일스프링(14)으로 탄력 설치하고 회전체 (9)에 형성된 복수개의 키 구멍(9a)에는 제2가동편(15)을 설치하여 상기 제2가동편 (15)이 키 구멍(9a)으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제1가동편(13)은 제2가동편(15)의 길이가 비교적 짧아 회전체(9)의 키 구멍(9a)으로 삽입되어 통상의 상태(키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재1가동편이 실린더(6) 및 회전체(9)의 경계면상에 위치되어 회전체(9)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데, 실린더(6) 및 회전체(9)에 복수개 설치되는 제1,2가동편(13)(15)의 길이는 각각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을 갖는 키 뭉치(16)를 잠그거나, 잠긴 상태를 해제하는 키(10)는 도 3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즉, 회전체(9)에 형성된 키 구멍(9a)으로 노출된 각각의 제2가동편(15)이 키(10)에 깊이가 다르게 형성된 각각의 위치결정홈(10a)내에 끼워져 도 4b와 같이 복수개의 제2가동편(15)이 회전체(9)의 외주면과 일치된 상태에서만 키(10)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어(1)가 잠긴 상태에서는 키(10)를 사용하지 않고는 키 뭉치 (16)의 회전체(9)를 회전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지만,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잠금 장치는 회전체에 연결대(11)가 고정되어 있어 침입자가 도어(1)의 외측으로 노출된 키 뭉치(16)를 강제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연결대(11)가 끼워진 잠금 손잡이 (12)의 축(12a)이 회전되어 도어의 잠긴 상태가 해제되므로 침입자가 침입할 수 있게 되는데, 키 뭉치를 강제로 회전시키는 사례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어의 바깥측으로 노출된 장식커버와 키 뭉치의 측면을 드릴링하여 드릴링한 구멍 내에 공구를 삽입하여 장식커버 및 키 뭉치를 강제로 회전시키면 키 뭉치를 고정하고 있던 보울트가 부러지면서 실린더 및 회전체가 함께 회전하면서 잠금 손잡이의 축에 끼워진 연결대가 축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하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슬라이더가 상승하여 손잡이의 잠긴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침입자가 수동으로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둘째, 도어의 외부로 노출된 장식커버를 절단한 후, 플라이어 등으로 키 뭉치를 홀딩한 다음 키 뭉치를 강제로 회전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침입자가 도어를 수동으로 열 수 있게 된다.
셋째, 키 구멍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한 후 회전체를 강제로 회전시키면 제1,2가동편이 변형되면서 실린더로부터 회전체가 회전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침입자가 도어를 수동으로 열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키 뭉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키 뭉치를 구성하는 실린더 또는 회전체를 강제로 회전시키더라도 잠금 손잡이의 축에 끼워진 연결대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반드시 키를 삽입하여 키의 잠긴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키의 선단이 연결대에 형성된 키 삽입홈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만 잠금 손잡이의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실린더와 회전체로 이루어진 키 뭉치의 회전체에 연결대를 결합하여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잠금 손잡이의 축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도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체의 내부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 내에는 키 삽입홈을 갖는 머리부가 수용되도록 연결대를 삽입하여 코일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고 회전체에는 연결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을 나사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출입구 도어의 잠금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장치에 사용되는 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종래 볼 타입의 키 뭉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키 뭉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도 6a는 출입구 도어가 잠긴 상태도
도 6b는 키의 삽입으로 키와 연결대가 일체화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실린더 9 : 회전체
9b : 수용홈 10 : 키
11 : 연결대 11a : 머리부
11b : 키 삽입홈 16 : 키 뭉치
17 : 코일스프링 18 : 캡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키 뭉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키 뭉치(16)를 구성하는 회전체(9)의 내부에 수용홈(9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는 연결대(11)가 삽입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대(11)에는 키 삽입홈(11b)을 갖는 머리부(11a)가 형성되어 있어 수용홈(9b) 내에 머리부 (11a)가 수용되고 나머지부분인 막대부(11c)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9)의 수용홈(9b) 내에 머리부(11a)가 수용되는 연결대(11)의 막대부(11c)에 코일스프링(17)이 끼워져 있고 상기 연결대(11)는 회전체(9)에 나사 결합되는 캡(1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키 뭉치는 반드시 회전체(9)의 키 구멍(9a) 내에 키(10)가 삽입되고 각 제2가동편(15)은 키(10)에 형성된 각 위치결정홈(10a) 내에 끼워져 복수개의 제2가동편(15)이 회전체(9)의 외주면에 일치되고, 키(10)의 선단이 연결대(11)의 머리부(11a)에 형성된 키 삽입홈(11b)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만 연결대(11)가 회전하여 잠금 손잡이(12)의 축(12a)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실내에서 잠금 손잡이(12)를 회전시킴에 따라 잠금 손잡이의 축(12A)에 끼워진 연결대(11)가 임의로 회전되어 키 구멍(9a)과 머리부(11a)에 형성된 키 삽입홈(11b)이 일치되지 않고 상호 어긋나 있더라도 연결대(11)를 회전시켜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 구멍(9a)과 머리부(11a)에 형성된 키 삽입홈(11b)이 어긋난 상태에서 키 구멍(9a)으로 키(10)를 삽입하면 키의 선단이 연결대(11)의 키삽입홈(11b)으로 삽입되지 않고 키의 선단에 의해 연결대(11)가 밀려 코일스프링 (17)을 압축시키면서 키 삽입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키(10)를 완전한 삽입한 상태에서 키(10)를 회전시키면 회전체 (9)가 공 회전하는 과정에서 최초 키 구멍(9a)과 어긋나 있던 키 삽입홈(11b)이 키(10)와 일치되는 지점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키(10)의 회전으로 머리부 (11a)에 형성된 키 삽입홈(11b)과 키(10)가 일치되면 연결대(11)가 코일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여 키 삽입홈(11b)이 키(10)의 선단부에 끼워지게 되므로 키(10)의 회전에 따라 연결대(11)가 함께 회전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도어를 잠그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이를 해정하는 과정은 키(10)의 회전 방향만이 반대로 이루어지고 그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반드시 키에 의해 키 뭉치의 잠긴 상태를 해제한 다음 키의 선단부가 연결대의 머리부에 형성된 키 삽입홈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만 연결대가 회전하여 잠금 손잡이의 축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침입자가 키 뭉치를 강제로 회전시키더라도 회전체에 끼워진 연결대가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회전체로부터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손잡이의 잠금 장치를 해제할 수 없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실린더와 회전체로 이루어진 키 뭉치의 회전체에 연결대를 결합하여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잠금 손잡이의 축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도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체의 내부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 내에는 키 삽입홈을 갖는 머리부가 수용되도록 연결대를 삽입하여 코일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고 회전체에는 연결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을 나사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
KR20-2003-0033139U 2003-10-22 2003-10-22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 KR200337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139U KR200337685Y1 (ko) 2003-10-22 2003-10-22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139U KR200337685Y1 (ko) 2003-10-22 2003-10-22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595A Division KR100558852B1 (ko) 2003-10-21 2003-10-21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685Y1 true KR200337685Y1 (ko) 2004-01-03

Family

ID=4942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139U KR200337685Y1 (ko) 2003-10-22 2003-10-22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6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1976B1 (en) Door lock assembly
US4108482A (en) Disengaging spindle locking mechanism
US6851287B1 (en) Lock having a quick unlocking function
EP2942456A1 (en) Anti-theft lockset
EP1192325B1 (en) Door locking device
US5157953A (en) Push and pull type cylinder lock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CA2315444A1 (en) Drill and drive apparatus having arrangement to accommodate long drill bits
KR950010293B1 (ko) 관상의 자동 데드볼트 래치(Deadbolt Latch)
KR200418819Y1 (ko) 스프링이 내재된 잠금쇠
US5460417A (en) Tubular lock assembly
US6889533B2 (en) Removable keyless turning mechanism for locks
KR101833414B1 (ko) 안전래치볼트가 구비된 도어락 모티스
KR200337685Y1 (ko)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
KR20060114840A (ko)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JP2008308943A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100558852B1 (ko) 출입구 도어의 키 뭉치
US7966852B1 (en) Two-stage lock cylinder structure
KR200420247Y1 (ko) 모티스록을 조작하기 위한 도어 핸들 레버 장치
KR102211878B1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CN210343026U (zh) 一种防风自锁机械门吸
KR100623160B1 (ko) 디지털 도어록
JP4344723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EP2865825A1 (en) Cylinder lock arrangement
CN104790724A (zh) 一种内开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