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048Y1 - 선재코일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코일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048Y1
KR200180048Y1 KR2019990024087U KR19990024087U KR200180048Y1 KR 200180048 Y1 KR200180048 Y1 KR 200180048Y1 KR 2019990024087 U KR2019990024087 U KR 2019990024087U KR 19990024087 U KR19990024087 U KR 19990024087U KR 200180048 Y1 KR200180048 Y1 KR 200180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ransfer
base
bar
wir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강명권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4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0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0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재코일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권취공정을 거친 선재코일이 이송 컨베이어 롤러로서 이송작동시, 선재코일의 이송 불량상태를 신속하게 자동적으로 감지토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은, 이송 컨베이어(10)의 사이드벽(20)의 외측으로 일단이 결합되고, 중앙에는 수평조정부재(54)가 상향 설치되는 베이스(50)와, 상기 베이스(50)의 상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힌지(62) 고정되며, 상측으로 다수의 베어링부재(64)가 설치되는 고정판(60)과, 상기 베이스 (50)의 단부에 설치되는 감지기(70) 및, 상기 고정판(60)의 베어링부재(64)를 통하여 회동토록 연설되고, 일단부 (80a)는 상기 사이드벽(20)의 내측으로 이송되는 선재코일(C)의 접촉시 들러지도록 절곡된 접촉단(82)이 형성되며, 타단(80b)에는 상기 베이스 감지기(70)를 작동시키어 이송불량인 선재코일(C')을 감지토록 하는 감지기 텃치바아(84)가 수직 연설되며, 중앙부분에는 회전시 초기위치로의 복귀를 가능토록 하는 조정블록(86)이 연설되는 작동바아(8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선재공정의 코일 이송시 이송블량에 따른 코일파손 및 설비불량등을 신곡하게 감지하여 이송중단 및 코일회수등의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어 선재 코일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선재코일 감지장치{Apparatus for perceiving wirerod coil}
본 고안은 이송 컨베이어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이송상태를 감지토록 한 선재코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여러 제조공정을 거쳐 권취기로서 선재로서 압연된 선재코일의 후공정을 위한 이송컨베이어에 의한 이송작동시, 선재코일의 이송블량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 어 이송중단 및 불량코일의 회수와 같은 후속처리를 수행토록 함으로 인하여, 전체 선재코일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선재코일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정중에는 코일제품을 생산하는 선재공정이 있는데, 이와 같은 선재공정에서는 여러 공정을 거친후 권취기로서 연속적으로 선재 즉, 선재코일을 권취시키면서 동시에 이송 컨베이어 롤러를 이용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코일제품의 이송 컨베이어 롤러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사이드벽(110)의 하측으로 구동모터(미도시)로서 회전 작동하는 이송체인(120)이 양단부에 체결되는 다수의 이송용 컨베이어 롤러(130)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 롤러(130)의 상측으로 사이드벽(110)의 상부에는 상기 이송되는 선재코일(C) 특히, 강선재 코일인 경우에 급속 냉각을 방지토록 상기 사이드벽(110)의 일측으로 설치된 실린더(142)로서 개,폐작동되는 커버(140)가 덮여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100)의 일측으로 설치된 권취기(150)에서 최종 압연되어 성형된 일정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선재코일(C)이 사이드벽(110)의 내측에서 회동하는 이송 컨베이어 롤러(130)에 의하여 후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송 컨베이어(100)의 작동불량 특히, 이송컨베이어 롤러(130)의 일정한 구동이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또는, 권취기(130)로부터 선재코일(C)의 낙하작동시 여러 압연조건 즉, 재질, 속도, 수냉정도, 표면 거칠기, 권취기 곡선파이프의 마모정도등 따라 선재코일(C)이 이송컨베이어(100)의 중앙라인으로 낙하되지 않게된다.
결국, 상기 이송되는 선재코일(C)은 이송 컨베이어(100)의 한쪽 사이드벽 (110) 또는 다른쪽 사이드벽(110)으로 치우지면서( 도 2의 a,b) 성재코일의 이송중 쏠림이 발생되고, 결국 선재코일(C)의 표면에 마찰흠이 발생되거나, 특히 냉각작동 이 불균일하게 수행되어 선재코일(C) 인장강도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치우쳐 이송되는 코일(C)의 일부분이 사이드벽(110)의 롤러(130)와 사이드벽(11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송되어 심한 경우, 선재코일(C)의 절손을 발생시키고, 종종 이송 컨베이어롤러(130)를 구동시키는 이송체인(120')의 단락(도 1)이 발생되는 것이다.
결국, 전체 선재공정의 작업지연은 물론, 불량 선재코일의 회수작업 및 설비파손으로 인한 비용이 증가하며. 특히 보호커버(140)가 덮여진 상태로 이송되는 선강재 코일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이송불량 상태를 파악하여 후속조치를 수행하기가 어렵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선재공정시 권취된 선재코일의 이송불량상태를 신속하게 자동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설비불량 및 선재코일의 절손과 품질저하를 방지토록 하는 선재코일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보다 안정적인 선재코일의 이송작동이 수행됨으로 인하여, 전체 선재공정의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보호커버가 덮여지는 선강재의 이송시에도 용이하게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서 감지장치의 제작 및 설치작업이 용이한 이송 코일제품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컨베이어 롤러에 의한 선재코일의 이송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의 (a)-(c)는 종래 선재코일의 이송불량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롤러에 설치된 선재코일 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선재코일 감지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5의 (a)는 본 고안인 선재코일 감지장치에 있어서, 감지기와 조정블록간의 초기 설치각도를 도시한 정면도
도 5의 (b)는 본 고안인 선재코일 감지장치에 있어서, 이송불량인 선재코일에 의한 작동바아의 접촉단이 들려지는 것을 도시한 요부도
도 6은 본 고안인 선재코일 감지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선재코일 감지장치 10... 이송컨베이어장치
20... 사이드벽 30... 이송체인
40... 컨베이어 롤러 50.... 베이스
60... 고정판 70... 감지기
80... 작동바아 90... 신호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사이드벽 하측으로 구동모터와 이송체인으로서 회전 작동하는 컨베이어롤러상에 권취기로서 성형된 연속 선재코일이 이송되는 선재코일 이송작업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벽의 외측으로 일단이 결합되고, 중앙에는 수평조정부재가 상향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힌지 고정되며, 상측으로 다수의 베어링부재가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 설치되는 감지기 및,
상기 고정판의 베어링부재를 통하여 회동토록 연설되고, 일단부는 상기 사이드벽의 내측으로 이송되는 선재코일(C)의 접촉시 들려지도록 절곡된 접촉단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베이스 감지기를 작동시키어 이송불량인 선재코일(C')을 감지토록 하는 감지기 텃치바아가 수직 연설되며, 중앙부분에는 회전시 초기위치로의 복귀를 가능토록 하는 조정블록이 연설되는 작동바아로서 구성되는 선재코일 감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롤러에 설치된 선재코일 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선재코일 감지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며, 도 5의 (a)는 본 고안인 선재코일 감지장치에 있어서, 감지기와 텃치바아간의 초기 설치각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의 (b)는 본 고안인 선재코일 감지장치에 있어서, 이송불량인 선재코일에 의한 작동바아의 접촉단이 들려지는 것을 도시한 요부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선재코일 감지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인 선재코일 감지장치(1)는, 베이스(50)와 고정판(60)과 감지기(70)및, 작동바아(80)로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50)는, 구동모터(32)와 이송체인(30)으로서 회전 작동하는 이송컨베이어롤러(40)상에 권취기로서 성형된 연속 선재코일(C)이 이송되는 코일 이송용 컨베이어(10)의 양측 사이드벽(20)의 외측으로 일단(50a)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50)의 중앙에는 수평조정부재(54)가 상향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60)은, 상기 베이스(50)의 상측으로 힌지(62)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60)의 상측에는 다수의 베어링부재(64)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60)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50)는 그 일단(50a)이 상기 사이드벽(20)의 외측면 (20a)에 수평하게 용접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50)의 중앙에 설치되는 수평조정부재(54)는 상단부가 상기 고정판(60)에 접촉하여 상기 고정판(60)의 수평상태를 조정하는 조정볼트(54a)와 너트(54b)로서 이루어 지며, 상기 고정판(60)은 상기 베이스(50)상에 결합된 힌지블록(62a)에 핀(62b) 고정되어 상기 핀(62b)을 축으로 회동토록 설치된다.
상기 감지기(70)는, 상기 베이스(50)의 타단부(50b)에 블록으로서 나사 결합되며, 또한 상기 감지기(70)를 작동토록 하는 작동바아(80)는, 상기 고정판(60)의 베어링부재(64)를 통하여 회동토록 연설되고, 일단부(80a)는 절곡되어 상기 사이드벽(20)을 통하여 사이드벽(20)의 내측으로 선재코일(C)의 이송불량시 접촉되는 접촉단(8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바아(80)의 타단(80b)에는 상기 베이스 감지기(70)를 작동시키어 이송불량인 선재코일(C')을 감지토록 하는 감지기 텃치바아(84)가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작동바아(80)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고정판(60)에 고정되고 작동바아(80)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를 가능토록 하는 조정블록(86)이 연설된다.
상기 고정판(60)상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64)는, 내측으로 상기 작동바아 (80)가 내삽되는 필로우 베어링블록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베이스(50)의 타단 (50b)에 설치된 감지기(70)는 상기 작동바아(80)의 감지기 텃치바아(84)로의 밀착시 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photo senser)이며, 상기 감지기 텃치바아(84)와 감지기(70)의 설치각도(θ)는 대략 10 °로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작동바아(80)의 접촉단(82)은 이송 선재코일(C)의 이송방향으로 V 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그 하단과 컨베이어 롤러(40)간의 간격은 이송코일(C)의 두께보다 작게 조정되고, 상기 작동바아(80)의 타단(80b)에 설치되는 감지기 텃치바아(84)는 볼트(84a) 고정되며, 상기 작동바아(80)은 상기 조정블록(8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중앙부분에 형성된 사각면(80c)에는 상기 조정블록(86)을 관통한 고정볼트(86a)가 밀착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공정 즉, 선재코일의 제조공정시 권취기로서 성형 완료된 코일(C)을 이송컨베이어(10)로서 후공정으로의 이송시 코일(C)의 이송블량이 발생하면, 이를 신속하게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이송중단 및 이송불량에 따른 손상된 선재코일(C)의 회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본 고안인 선재코일 감지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기(미도시)로서 성형된 연속 선재코일(C)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10)는 크게 사이드벽(20)과 상기 사이드벽(20)의 하측으로 순차로 배열 설치된 다수의 컨베이어 롤러(40) 및. 상기 사이드벽(20)의 상부에 실린더(24)로서 개,폐작동하는 보호커버(22)로서 이루어 지는데, 상기 이송 컨베이어롤러(40)는 상기 사이드벽(20)의 일측으로 설치된 구동모터(32)로서 회전 작동하는 이송체인(30)으로서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선재코일(C)은 상기 컨베이어롤러(40)로서 실질적으로 이송되는데, 초기 권취기(미도시)에서 성형되면서 일정높이에서 낙하하여 이송롤러(40)에 적치되면서 선재코일(C)은 후공정을 위하여 이송되며, 이때 상기 이송롤러(40)에 의한 코일(C)의 이송은 여러 압연조건 또는 이송롤러(40)의 작동상태에 따라 손쉽게 사이드벽(20)에 치우쳐 이송된다.
결국, 이와 같은 선재코일(C)의 이송 불량상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C)의 손상은 물론, 설비불량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를 신속하게 감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측의 사이드벽(20)의 외측면(20a)에는 역 ㄱ자형상의 베이스(50) 일단(50a)이 용접등으로 일체로 결합 고정되면, 상기 베이스(50)의 타단(50b)에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멸하겠지만, 이송 불량상태의 코일(C)을 감지하는 감지기(7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50)의 중앙부분에는 수평조정부재(54) 즉, 상기 베이스 (50)의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는 조정볼트(54a)가 너트(54b)로서 상향으로 고정되고, 결국 상기 조정볼트(54a)의 끝부분은 상기 베이스(50)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고정판(60)의 저부에 접촉하면서 작업자는 너트(54b)를 조정하여 고정판(60)의 수평상태를 조정하는데, 상기 고정판(60)의 수평상태가 중요한 이유는 상기 고정판(60)에 실질적으로 코일(C)과 접촉하는 작동바아(80)가 설치되기 때문이다.
더하여,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0)와 고정판(60)은 서로 힌지(62) 고정되는데, 상기 베이스(50)상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블록(62a)에 상기 고정판(60)의 저부 지지블록부분이 고정핀(62b)으로서 회전 작동토록 고정되고,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60)이 베이스(50)의 상측에서 회전 가능토록 연설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6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된 베어링부재(64) 즉, 필로우베어링블록(pillow bearing block)의 내측에는 상기 작동바아(80)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토록 되며, 이때 상기 작동바바(8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사각면(80c)에는 상기 고정판(60)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작동바아(80)가 삽입되는 조정블록(86)을 관통한 고정볼트(86a)가 안착되어 상기 작동바아(80)와 조정블록(86)을 고정하며, 결국, 상기 조정블록(86)의 자체중량에 의하여 작동바아(80)는 선재코일(C')과의 접촉이 없을 경우 수직한 초기위치로 복귀되지만, 필요시 선재코일(C)의 이송속도에 따라 작동바아(80)의 각도롤 조정할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4, 도 5b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바아(80)는ㄱ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고정판(60)의 베어링부재(64)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 일단(80a)은 상기 사이드벽(20)의 내측 선재코일 이송라인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특히 상기 작동바아(80)의 일단부(80a)는 상기 이송코일(C)의 이송방향으로 절곡되어 V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작동바아(80)의 타단(80b)에는 너트(84a)로서 감지기 텃치바(84)가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고, 따라서 상기 작동바아(80)의 접촉단(82)에 이송불량인 선재코일(C')이 접촉하면 상기 작동바아(80)는 회동하는 고정판(60)으로서 위로 들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바아(80)의 텃치바(84)와 감지기(70)의 설치각도(θ)는 대략 10 °정도 벌려진 상태로 조정되어 있어, 상기 작동바아(80)가 들려지면, 상기 텃치바아(84)는 오히려 감지기(70)와 밀착되고, 포토센서인 상기 감지기(70)는 작동되며, 이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70)와 연결되고 작업자가 손쉽게 인식할 수 있는 신호기(90)가 작동하여 작업자는 신속하게 선재코일(C)의 이송불량 상태를 파악 이송중단 및 불량코일(C')의 회수작업을 수해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작동바아(80)가 이송블량인 선재코일(C')과의 접촉이 완료되고, 이를 감지 작동한후, 정상적인 선재코일(C)이 이송되면, 상기 작동바아(80)의 중앙에 고정된 조정블록(86)의 자중에 의하여 초기 위치 즉, 수직한 방향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인 코일 감지장치(1)는 별도의 작업자가 감시할 필요가 없이선재코일(C)의 이송블량 발생을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감지하여 알리게 됨으로써, 선강재의 이송시 실린더(24)가 작동하여 보호덮개(22)가 사이드벽(20)의 상부에 덮여지더라도 선재코일(C)의 이송상태를 간단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이송 코일제품 감지장치에 의하면, 선재공정의 코일 이송불량을 신속하게 자동적으로 수행토록 하여 선재공정의 생산성이 가일층 향상되며, 코일제품의 품질도 향상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코일 이송불량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이송중단 및 불량코일의 회수작업등의 후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선재코일의 이송불량에 따른 설비파손을 최소화하고, 특히 코일 불량상태를 손쉽게 감지토록 하여 강선재의 이송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사이드벽(20) 하측으로 구동모터(32)와 이송체인(30)으로서 회전 작동하는 컨베이어롤러(40)상에 권취기로서 성형된 연속 선재코일(C)이 이송되는 선재코일 이송작업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벽(20)의 외측으로 일단이 결합되고, 중앙에는 수평조정부재 (54)가 상향 설치되는 베이스(50)와,
    상기 베이스(50)의 상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힌지(62) 고정되며, 상측으로 다수의 베어링부재(64)가 설치되는 고정판(60)과,
    상기 베이스(50)의 단부에 설치되는 감지기(70) 및,
    상기 고정판(60)의 베어링부재(64)를 통하여 회동토록 연설되고, 일단부 (80a)는 상기 사이드벽(20)의 내측으로 이송되는 선재코일(C)의 접촉시 들러지도록 절곡된 접촉단(82)이 형성되며, 타단(80b)에는 상기 베이스 감지기(70)를 작동시키어 이송불량인 선재코일(C')을 감지토록 하는 감지기 텃치바아(84)가 수직 연설되며, 중앙부분에는 회전시 초기위치로의 복귀를 가능토록 하는 조정블록(86)이 연설되는 작동바아(8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50)는 그 일단(50a)이 상기 사이드벽(20)의 외측면(20a)에 수평하게 용접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50)의 중앙에 설치되는 수평조정부재(54)는 상단부가 상기 고정판(60)에 접촉하여 상기 고정판(60)의 수평상태를 조정하는 조정볼트(84a)와 너트(84b)로서 이루어 지며, 상기 고정판(60)은 상기 베이스(50)상에 결합된 힌지블록(82a)에 핀(82b) 고정되어 상기 핀(82b)을 축으로 회동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60)상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64)는 내측으로 상기 작동바아(80)가 내삽되는 필로우 베어링블록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50)의 타단(50b)에 설치되는 감지기(70)는 상기 작동바아(80)의 텃치바아(84)가 작동바아(80)의 들림시 밀착하여 작동되는 포토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감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아(80)의 접촉단(82)은 이송코일(C)의 이송방향으로 V 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접촉단(82)의 위치는 이송되는 선재코일(C)의 두께보다 낮게 되며, 상기 작동바아(80)의 타단(80b)에 설치되는 감지기 텃치바아(84)는 볼트(84a) 고정되고, 상기 작동바아(80)는 상기 조정블록(8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중앙부분에 형성된 사각면(80c)에 상기 조정블록(86)을 관통한 고정볼트(86a)가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감지장치
KR2019990024087U 1999-11-05 1999-11-05 선재코일 감지장치 KR200180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087U KR200180048Y1 (ko) 1999-11-05 1999-11-05 선재코일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087U KR200180048Y1 (ko) 1999-11-05 1999-11-05 선재코일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048Y1 true KR200180048Y1 (ko) 2000-04-15

Family

ID=1959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087U KR200180048Y1 (ko) 1999-11-05 1999-11-05 선재코일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0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464B1 (ko) * 2002-11-29 2009-08-27 주식회사 포스코 흡착그리퍼를 이용한 끝대 자동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464B1 (ko) * 2002-11-29 2009-08-27 주식회사 포스코 흡착그리퍼를 이용한 끝대 자동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868B1 (ko)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CN111169940A (zh) 一种检测带式输送机输送带打滑的装置及方法
KR200180048Y1 (ko) 선재코일 감지장치
US4954064A (en) Apparatus for winding sheets of dough on a dough reel and dough sheeter equipped with a dough sheeter winder
JP2000214104A (ja) ガラス壜口部の欠陥検査装置
KR200408111Y1 (ko) 롤 표면 자동 탐상장치
RU2301127C2 (ru) Захват для рулонов остатков, сматываемых из остаточной полосы, идущей из ленточного конвейера в конце прокатки
KR200217550Y1 (ko) 벨트 콘베어 사행 자동제어장치
KR20210000837A (ko) 철편 제거장치
KR100931240B1 (ko)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KR20010048999A (ko) 스트립의 표면결함 검출장치
KR102133100B1 (ko) 철편 검출기 테스트 장치
KR101399880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200181442Y1 (ko) 슬리브의 세척 및 공급장치
KR200189609Y1 (ko) 박형시트 이송장치
KR200228388Y1 (ko) 철편검출기감도테스트장치
JPH10263700A (ja) コイル先端位置決め機能を有するコイルトング
KR200186060Y1 (ko) 간지코일 이송장치
KR20010081358A (ko) 컨베이어 벨트의 파손 감지장치
KR100913044B1 (ko) 선재 코일 이송용 가이드 장치
KR20000004779U (ko) 수직 소둔로 리턴덕트의 스트립변형 방지장치
JPH085972Y2 (ja) 薄板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鋳片巻取装置
KR100770197B1 (ko)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결함 발생 방지장치
JPS6118680A (ja) 糸かせリ−ル等の円錐台状,円筒状物品の整列方法および設備
KR200175196Y1 (ko) 선재코일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