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874Y1 - 액체용 통의 통기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용 통의 통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874Y1
KR200179874Y1 KR2019990025326U KR19990025326U KR200179874Y1 KR 200179874 Y1 KR200179874 Y1 KR 200179874Y1 KR 2019990025326 U KR2019990025326 U KR 2019990025326U KR 19990025326 U KR19990025326 U KR 19990025326U KR 200179874 Y1 KR200179874 Y1 KR 200179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ain body
rib
container
fold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순
Original Assignee
한석유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석유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석유화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8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4Handles formed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 화공약품, 오일과 같은 액체를 담기 위한 액체용통의 통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을 이루는 본체의 상면을 움푹들어간형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상면중앙에 절첩손잡이를 연결하고, 액체를 넣고 따르기 위한 주수구를 본체의 상면보다 약간 낮게 형성하여 적층하기에 편리하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절첩손잡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브를 중공체로 요입부에 길게 형성하여 본체의 내부와 주수구의 내경사이까지 이르는 공기유통로를 구비시켜 액체를 따를때 절첩손잡이의 꺽임이 자유로워 통을 쉽게 기울일 수 있고, 또한 통의 외부체적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유통로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진공상태를 해소되게 하므로서 액체가 쿨렁거림없이 단시간내에 따르게 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체용 통의 통기장치{The ventilation apparatus for the liguid barrel}
본 고안은 오일이나 물과 같은 액체를 담아두기위한 통에 액체를 따를때 통내부에 진공상태를 방지하여 액체가 쉽게 따러 액체용 통의 통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액체를 쉽게 따르기 위하여 통 상면위로 형성한 손잡이를 중공체로 통기로가 형성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우선 손잡이가 위로 돌출되어 있어 통위에 다른 통을 적층시킬 수 없는 것일 뿐만 아니라 통기로가 손잡이 자체에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손잡이가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통과 통을 상하로 적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 자체도 견고하도록한 액체통의 통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에 맞추어 기재된 목적을 제공하는 액체용 통의 통기장치는 통본체의 상면에 형성한 요부의 중간에 절첩작용을 하게 되는 절첩손잡이를 연결하는 리브를 중공체로 형성하여 상기 리브의 중공부를 통기로로 구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이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보인 종단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보면, 부호 1은 통의 본체를 표시한 것이며, 상기 본체(1)의 상면을 오목하게 형성한 요입부(2)의 선단측에는 액체를 주입하거나, 따기 위한 주수구(3)를 형성하며, 상기 주수구(3)로부터 요입부(2)의 끝까지 리브(4)를 길게 형성하여 리브(4)의 중간에 힌지돌기(5)를 돌출시켜 이 힌지돌기(5)에 절첩손잡이(6)를 핀(7)으로 연결하여 상기 절첩손잡이(6)를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리브(4)는 중공체로 형성하여 본체(1)의 상면 내저부에 통기로(8)를 형성하는데, 상기 통기로(8)는 그 일단이되는 외부입기공(9)은 주수구(3)와는 반대방향이 되는 끝부분에 형성하여 본체에 담은 액체를 따를때 주수구(3)가 하향되도록 본체(1)를 기울면 본체(1)내의 액체가 수평을 유지하게 될 때 내부입기공(10)이 액체로부터 해방되어 외부공기가 외부입기공(9)과 통기로(8)를 통하여 내부입기공으로 본체내부로 유입되어 액체가 따러짐에 의한 진공상태를 방지하게되어 액체따름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된 본 고안은 본체(1)의 상면에 형성한 요입부(2)에 중공체로 하여 통기로(8)를 구비한 리브(4)를 형성시켜 절첩손잡이(6)를 절첩되게 연결하여서된 것으로서 액체를 따르기 위하여 손잡이(6)를 접으면 본체의 상면이 평면상으로 되어 본체위에 다른 본체를 얹어 적층이 가능한 것일 뿐만 아니라 통기로(8)에 의하여 액체를 용이하고 빠른 시간내에 따르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또한 통기로(8)를 형성함에 있어서, 리브(4)를 중공체로하여 형성하여서 된 것이고, 또한 상기 리브(4)는 요입부(2)에 두텁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어서 통기로(8)에 의하여 리브(4)를 중공체로하여 형성하여서 된 것이고, 또한 상기 리브(4)는 요입부(2)에 두텁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어서 통기로(8)에 의하여 리브(4)가 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므로 종래 손잡이 자체를 중공체로 형성하여서 되는 것보다는 견고한 장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의 상면에 형성한 요입부(2)에 주수구(3)로 부터 이어지는 리브(4)를 형성하여 상기 리브(4) 중간에 돌출시킨 힌지돌기(5)에 핀(7)으로 절첩손잡이(6)를 절첩이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리브(4)를 중공형으로 형성하여서되는 통기로(8)의 외부입기공(9)은 주수구(3)의 내경과 연통되게하며, 내부입기공(10)은 주수구(3)와는 반대방향이되는 끝부분에 형성하여서 되는 액체통의 통기장치.
KR2019990025326U 1999-03-30 1999-11-18 액체용 통의 통기장치 KR20017987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163U KR19990033257U (ko) 1999-03-30 1999-03-30 액체용 통의 통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163U Division KR19990033257U (ko) 1999-03-30 1999-03-30 액체용 통의 통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874Y1 true KR200179874Y1 (ko) 2000-04-15

Family

ID=195743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163U KR19990033257U (ko) 1999-03-30 1999-03-30 액체용 통의 통기장치
KR2019990025326U KR200179874Y1 (ko) 1999-03-30 1999-11-18 액체용 통의 통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163U KR19990033257U (ko) 1999-03-30 1999-03-30 액체용 통의 통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33257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257U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2110A (en) Container closure
US20080210658A1 (en) Liquid Container
US2978131A (en) Bottle structure
US6431382B1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a self-contained pop-up drinking straw or tube
KR200179874Y1 (ko) 액체용 통의 통기장치
JP4597537B2 (ja) 容器のキャップ
KR101029915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US5794824A (en) Vessel for containing liquid
US20040035894A1 (en) Pouring apparatus for containers
US4971230A (en) Container for liquids
JP2003054606A (ja) 整流栓
EP0662914B1 (en) Vessel for containing liquid
JP4386232B2 (ja) 容器の中栓
KR200192261Y1 (ko) 비누방울 용기
JP2019006475A (ja) 液体注出用の部材及び容器
JPS588197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KR200280924Y1 (ko) 공기유입구가 있는 용기
JP2568985Y2 (ja) 液体注出容器
JP3077684U (ja) 飲料水貯留容器
US20010019057A1 (en) Water pail equipped with air passageway
JPS6340461Y2 (ko)
KR20000058375A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고, 그구부에는 내용물을 빨아 먹고 다른 용기에 배출시킬 수있게 된 형의 작동용 유출대 및 그 구조
JPH04102254U (ja) スクイズ容器
JPH0811916A (ja) 注ぎキャップ
JP2569450Y2 (ja) 液体注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