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818Y1 -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 - Google Patents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818Y1
KR200179818Y1 KR2019990023818U KR19990023818U KR200179818Y1 KR 200179818 Y1 KR200179818 Y1 KR 200179818Y1 KR 2019990023818 U KR2019990023818 U KR 2019990023818U KR 19990023818 U KR19990023818 U KR 19990023818U KR 200179818 Y1 KR200179818 Y1 KR 200179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ood
container
container body
sp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일
Original Assignee
김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일 filed Critical 김천일
Priority to KR2019990023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8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8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뚜껑의 외측 둘레면 적소에 개량스푼을 지지시킬 수 있도록 일부 구성을 추가하여 용기 몸체의 요입홈에 담겨져 보관되는 식품을 필요에 따라 적정량 만큼 퍼내는데 이용되는 개량스푼이 분실됨이 없도록 함과 함께 사용자에 의한 개량스푼의 이용도 매우 편리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용기 몸체(1)의 상단에 뚜껑(2)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식품 보관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의 외측둘레면 적소에 수직통공(5a)을 갖는 지지고리(5)를 일체 형성하여 개량스푼(4)의 손잡이부분을 상기 지지고리(5)의 수직통공(5a)으로 끼워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cap of container for keeping foods}
본 고안은 식품 보관용 용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용기 몸체의 상부 개방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조미용 식품(설탕, 소금, 깨소금, 고춧가루, 다짐마늘, 등)은 통상 별도의 식품 보관용 용기에 담아 보관하고 있고, 상기 식품 보관용 용기에 담겨져 보관되는 식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정량 만큼 퍼내면 되는데, 상기 보관된 식품을 적정량 만큼 퍼내기 위해서는 통상 개량스푼을 이용하고 있다.
식품 보관용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요입홈(1a)이 일체로 형성된 용기 몸체(1)와,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요입홈(1a)의 상부 개방부분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는 뚜껑(2)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뚜껑 내에는 용기 몸체(1)와의 결합시 밀폐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한 패킹(3)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식품 보관 용기를 이용해 식품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기 몸체(1)에서 뚜껑(2)을 분리하여 상기 용기 몸체(1)에 일체 형성된 요입홈(1a)을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용기 몸체(1)에 일체 형성된 요입홈(1a)이 개방되면, 상기 요입홈의 상부 개방부분을 통해 요입홈(1a) 내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을 담고, 이후 상기 용기 몸체(1)의 상단으로 뚜껑(2)을 다시 결합시켜 요입홈(1a)의 상부 개방부분을 뚜껑(2)에 의해 폐쇄시켜 주면 식품이 식품 보관용 용기에 보관 완료되는데, 상기 뚜껑(2)에 의해 용기 몸체(1)의 요입홈(1a) 상부 개방부분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뚜껑(2) 내에 끼워진 패킹(3)이 용기 몸체(1)와 뚜껑(2) 사이를 완벽하게 밀폐시켜 줌에 따라 식품의 안전 및 장기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식품 보관용기에 보관된 상태의 식품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 몸체(1)의 상단에 결합되어 요입홈(1a)의 상부 개방부분을 폐쇄하고 있는 뚜껑(2)을 분리한 다음 보관된 식품을 개량스푼(4)을 이용해 적당량 만큼 퍼내면 되는데, 통상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식품 저장용 용기에 조미식품을 보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조미식품을 적당량 만큼 퍼내어 조리되는 음식물에 첨가하여야 음식물이 항상 재맛을 내게 되므로 상기 보관된 음식물을 퍼내는 도구로 개량스푼(4)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용기 몸체(1)의 상단에 뚜껑(2)을 결합하거나 결합된 뚜껑을 다시 분리하는 것은, 상기 용기 몸체(1)의 뚜껑(2) 결합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의 용기 몸체(1) 결합부분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식품 보관용 용기에서 종래 뚜껑(2)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된 식품을 적정량 퍼내는데 이용되는 개량스푼(4)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지금까지 각 가정이나 음식점에서는 상기 개량스푼(4)을 별도의 적당한 장소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이용하거나 아니면 적정한 장소가 아닌 아무곳에나 놓고 필요시 이용하고 있음에 따라 개량스푼의 분실이 자주 발생됨과 함께 식품 보관용 용기와 개량스푼의 거리가 떨어져 있어 상기 개량스푼의 이용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개량스푼(4)이 분실될 경우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하나의 스푼을 가지고 용기에 보관된 식품을 퍼내야 하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 식품의 퍼내는 량이 정확하지 않아 만약 식품이 음식물의 맛을 내는데 사용되는 조미식품이었다면조리되는 음식물의 맛이 항상 일정하지 못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뚜껑의 외측 둘레면 적소에 개량스푼을 지지시킬 수 있도록 일부 구성을 추가하여 용기 몸체의 요입홈에 담겨져 보관되는 식품을 필요에 따라 적정량 만큼 퍼내는데 이용되는 개량스푼이 분실됨이 없도록 함과 함께 사용자에 의한 개량스푼의 이용도 매우 편리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이 용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이 용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 용기 몸체 2. 뚜껑
4. 개량스푼 5. 지지리브
5a. 수직통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용기몸체의 상단에 뚜껑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식품 보관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측둘레면 적소에 수직통공을 갖는 지지고리를 일체 형성하여 개량스푼의 손잡이부분을 상기 지지고리의 수직통공으로 끼워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이 용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뚜껑(2)의 외측 둘레면 적소에 수직통공(5a)을 갖는 지지고리(5)를 형성하여 개량스푼(4)의 손잡이부분을 상기 지지고리(5)의 수직통공(5a)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끼워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식품 보관용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몸체(1)에 식품이 보관된 상태에서는 뚜껑(2)의 외측둘레면 적소에 일체 형성된 지지고리(5)의 수직통공(5a)으로 상기 보관된 식품을 퍼내기 위해 이용되는 개량스푼(4)의 손잡이부분이 끼워져 있음에 따라 결국 상기 개량스푼이 지지고리(5)에 수직상태로 지지되어 있게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 몸체(1)의 요입홈(1a)에 담겨져 보관된 식품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기 위해 퍼내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뚜껑(2)에 형성된 지지고리(5)의 수직통공(5a)으로 손잡이부분이 끼워져 지지되어 있는 개량스푼(4)을 도면상 상방으로 잡아당겨서 일단 지지상태를 해제한 다음 계속해서 상기 뚜껑(2)을 용기 몸체(1)에서 분리시키고, 이후 개량스푼(4)을 이용해 용기 몸체(1)의 요입홈(1a)에 담겨진 식품을 적정량 만큼 퍼내면 된다.
한편 용기 몸체(1)에 보관된 식품을 적정량 만큼 퍼내었을 경우에는 상기 분리된 뚜껑(2)을 용기 몸체(1)의 상단에 다시 결합시키면 되는데,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에 뚜껑(2)을 결합시킨 이후에는 식품을 퍼내는데 이용하였던 개량스푼(4)의 손잡이부분을 상기 뚜껑(2)에 형성된 지지고리(5)의 수직통공(5a)을 통해 꺼꾸로 삽입하여 다시 지지시킨다.
상기에서 개량스푼(4)의 손잡이부분을 상기 뚜껑(2)에 형성된 지지고리(5)의 수직통공(5a)에 꺼꾸로 삽입하면 상기 개량스푼(4)의 머리부분은 어느 순간 지지고리(5)에 걸리게 되므로 결국 개량스푼(4)이 뚜껑(2)에 형성된 지지고리(5)에 수직상태로 지지됨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 뚜껑은 용기 몸체에 보관된 식품을 적정량 퍼내는데 이용되는 개량스푼(4)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각 가정이나 음식점에서는 상기 개량스푼(4)을 별도의 다른 장소에 지지시키거나 아무곳에나 내버려두지 않아도 되므로 개량스푼의 분실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식품 보관용 용기와 개량스푼의 거리가 항상 근접되어 있어 상기 개량스푼의 이용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개량스푼(4)이 분실될 염려가 없으므로 종래에서 처럼 다른 용도의 스푼으로서 용기에 보관된 식품을 퍼내는 일도 없음에 따라 만약 용기에 저장된 식품이 음식의 맛을 내는데 사용되는 조미식품이었다면 항상 적정량의 조미식품이 조리되는 음식물에 첨가되게 되어 결국 음식물의 맛이 변함이 없게되는 부가적인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용기 몸체의 상단에 뚜껑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식품 보관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측둘레면 적소에 수직통공을 갖는 지지고리를 일체 형성하여 개량스푼의 손잡이부분을 상기 지지고리의 수직통공으로 끼워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
KR2019990023818U 1999-11-02 1999-11-02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 KR200179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818U KR200179818Y1 (ko) 1999-11-02 1999-11-02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818U KR200179818Y1 (ko) 1999-11-02 1999-11-02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818Y1 true KR200179818Y1 (ko) 2000-04-15

Family

ID=1959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818U KR200179818Y1 (ko) 1999-11-02 1999-11-02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8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2685A (ko) 밀봉식 분배 용기
KR200179818Y1 (ko) 식품 보관용 용기의 뚜껑
KR101584591B1 (ko) 한손 열림기능을 갖는 양념통과 거치대를 갖는 조리 기구
KR200238404Y1 (ko) 가스와 버너의 수납기능을 갖는 코펠
KR200201402Y1 (ko) 조미료 보관용구
KR200281761Y1 (ko) 국자 보관수단이 구비된 조리용기
KR102096907B1 (ko)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KR200322101Y1 (ko) 조미료 용기
CN208761317U (zh) 一种多功能容器
CN211093603U (zh) 一种食用品存储盒
KR920005899Y1 (ko) 물통수납형 도시락
KR200279673Y1 (ko) 휴대용 음식물 혼합용기
KR200260698Y1 (ko) 접시기능을 갖는 냄비뚜껑
JPS6017186Y2 (ja) 洋食器セツト
KR200230695Y1 (ko) 상판 개방형 싱크대
KR200194280Y1 (ko) 인스턴트식품 용기
JP2522280Y2 (ja) 振り出し容器
KR200232800Y1 (ko) 일회용 라면 용기
JPH0449928Y2 (ko)
KR200248151Y1 (ko)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
KR840001475Y1 (ko) 보온병 겸용 보온 도시락
KR200483378Y1 (ko)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KR200296730Y1 (ko) 냉동 보관 도시락 용기
KR200337446Y1 (ko) 찬함이 구비된 컵라면 용기
KR200200551Y1 (ko) 병 뚜껑이 달린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