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151Y1 -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 - Google Patents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151Y1
KR200248151Y1 KR2020010021020U KR20010021020U KR200248151Y1 KR 200248151 Y1 KR200248151 Y1 KR 200248151Y1 KR 2020010021020 U KR2020010021020 U KR 2020010021020U KR 20010021020 U KR20010021020 U KR 20010021020U KR 200248151 Y1 KR200248151 Y1 KR 200248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container
hinge shaft
lower mol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령
Original Assignee
박하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하령 filed Critical 박하령
Priority to KR2020010021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1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151Y1/ko

Link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과 같은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그릇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목재·금속재·합성수지·석재·토기재·도자기로 형성된 특징이 있음 -이하 '케이스'라 함)의 내향 일측부에 대나무통(대나무의 죽간 연통을 열처리 수단으로 소정 각도 굴절시켜 물건이나 음식물을 담을 수 있게형태로 절개한다. -이하 '대나무통'이라 함)을 안전하게 내설하여 대나무통에 음식물과 같은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그릇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대나무통의 자연적인 형태를 이용한 용도로서, 물건이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로서는 대나무를 가로 형태로 절개하여 대나무통의 자연적인 형태 그대로 죽간 사이의 칸막이를 이용하여 붓통과 같은 공예품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대나무를 새로 형태로 절개하여 물건이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는 아직도 미개발 되어 왔던 것이다.
따라서, 대나무통의 자연적인 형태를 수용하고 음식물과 같은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구성의 고안이 요구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나무통의 자연적인 형태를 이용한 용도로서,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용기의 고안으로 본 고안에서는 케이스의 하단형틀체 상단 중심부에 대나무통의 하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대나무통수용부와 일측부에 힌지축이 수용될 수 있는 힌지축요홈을 형성하고, 케이스의 상단덮개체에 음식물출입구와 하단형틀체의 힌지축요홈과 대향되는 면에 힌지축요홈을 형성하고, 힌지축과 접착제를 구비하여하단형틀체의 대나무통수용부에 소정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대나무통의 하단부를 삽설하고, 대나무통이 삽설된 상태의 케이스 하단형틀체의 상단부에 상단덮개체를 접착제와 힌지축으로 더욱 견고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은 대나무통의 자연상태를 활용하여 음식물과 같은 물건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담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의 고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omitted}
본 고안은 음식물과 같은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그릇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목재·금속재·석재·토기재·도자기로 형성된 특징이 있음 -이하 '케이스'라 함)의 내향 일측부에 대나무통( 대나무의 죽간(竹竿) 일측부를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소정 각도로 굴절 시켜서 굴절된 부분을 세로 형태로 절개하여형태로 형성한다. -이하 '대나무통'이라 함)을 안전하게 내설하여 천연형태의 대나무통에 음식물과 같은 물건을 담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천연상태의 미(美)적 아름다움을 시각적으로 느끼면서 동시에 용기로서의 안전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대나무통의 자연적인 형태를 이용한 용도로서, 물건이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로서는 대나무를 가로 형태로 절개하여 대나무통의 자연적인 형태 그대로 죽간 사이의 칸막이를 이용하여 붓통과 같은 공예품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대나무를 새로 형태로 절개하여 물건이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는 아직도 미개발 되어 왔던 것이다.
따라서, 대나무통의 자연적인 형태를 수용하고 음식물과 같은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구성의 고안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대나무통의 자연적인 형태를 수용하고 음식물과 같은 물건을 담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대나무통의 독자적인 형태 그대로는 물건이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한계성과 용기로서의 부적합을 보완하는 한편, 용기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하단형틀체와 상단덮개체로 이루어진 케이스의 하단형틀체 상단 중심부에 대나무통의 하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대나무통수용부와 일측부에 힌지축이 수용될 수 있는 힌지축요홈을 형성하고, 케이스의 상단덮개체에 음식물출입구의 천공부와 하단형틀체의 힌지축요홈과 대향되는 면에 힌지축요홈을 형성하고, 힌지축과 접착제를 구비하여 하단형틀체의 대나무통수용부에 소정의 접착재를 사용하여 대나무통의 하단부를 삽설하고, 대나무통이 삽설된 상태의 케이스 하단형틀체상단부에 상단덮개체를 접착제와 힌지축으로 접합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단형틀체 상단 중심부에 대나무통의 하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대나무통수용부를 대나무통의 외주연 형태보다 소정 크게 형성하여 이와 같은 대나무통수용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대나무통의 하단부를 삽설하고, 또한, 하단형틀체 상단 일측부에 상단덮개체와 견고한 접합 수단으로 힌지축이 삽설될 힌지축요홈을 형설하여 대나무통이 삽설된 하단형틀체상단부에 상단덮개체를 접착제와 힌지축으로 견고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요부구성을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상단덮개체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상단덮개체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하단형틀체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상단덮개체의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변형 구성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 구성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대나무통의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대나무통이탈방지턱
12 : 대나무통
12-1 :대나무통의 하단부
12-2 : 대나무통의 상단면
13 : 상단부덮개체
14 : 하단형틀체
15 : 천공부
16 : 힌지축
17 : 힌지축요홈
18 : 대나무통수용부
19 : 접착제
20 : 하단형틀체의상단면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요부구성을 예시한 분해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상단덮개체의 평면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상단덮개체의 저면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하단형틀체의 평면도 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상단덮개체의 저면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변형 구성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사시도 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 구성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사지도 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대나무통의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이다.
도1 및 도2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형틀체(14)와 상단덮개체(13)로 이루어진 케이스(10)의 상단부 중심부에는 물건이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천연형태의 대나무통(12)이 오목하게 삽설되며 막혀진 케이스(10)의 저면에는 케이스(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나무통(12)은 대나무의 죽간(竹竿) 일측부를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소정 각도로 굴절 시켜서 굴절된 부분을 세로 형태로 절개하여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하단형틀체(14)의 상단 중심부에는 대나무통(12)의 하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대나무통수용부(18)를 대나무통(12)의 외주연 형태보다 소정 크게 형성하여 이와 같은 대나무통수용부(18)에 접착제(19)를 도포하고 대나무통(12)의 하단부(12-1)를 삽설한다.
이때, 하단형틀체(14)의상단면(20)과 대나무통(12)의 상단면(12-2)이 수평이 되도록 형성하여 상단덮개체(13)를 대나무통(12)이 삽설된 하단형틀체(14)의 상단면(20)에 접합 하였을 때 상단덮개체(13)와 대나무통(12)이 삽설된 하단형틀체(14)의 접합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형성한다.
또한, 하단형틀체(14) 상단 일측부에 상단덮개체(13)와 견고한 접합 수단으로 힌지축(16)이 삽설될 힌지축요홈(17)을 형성하여 대나무통(12)이 삽설된 하단형틀체(14) 상단부에 상단덮개체(13)를 힌지축(16)으로 견고하게 착설되어 있으며, 하단형틀체(14) 상단면(20)과, 하단형틀체(14)상단면(20)과 대향하여 접합되어 있는 상단덮개체(13)의 하단형틀체(14) 대향면과, 힌지축(16)과, 힌지축요홈(17)은 접착제(19)를 사용하여 상호간에 접합력을 높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 상단덮개체(13)의 중심부에 형성된 천공부(15)의 내주연은 하단형틀체(14)에 착설된 대나무통(12)의 견고한 삽설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형틀체(14)에 착설된 대나무통의 상단부(12-2) 외주연보다 0.5∼1.0mm 소정 작게 형성하여 대나무통이탈방지턱(11)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힌지축(16)의 형태는 상단덮개체(13)와 하단형틀체(14)에 형성된 힌지축요홈(17)에 상호 입설되어 상단덮개체(13)와 하단형틀체(14)가 접합되어을 때 유격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는 형태와 크기로 형성한다.
도4 및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덮개체(13)는 중심부가 천공되고,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에는 하단형틀체(14)에 형성된 힌지축요홈(17) 대향면에 상단덮개체(13)의 힌지축요홈(17)이 형성된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형틀체(14)의 상단 중심부에는 대나무통의 하단부(12-1)가 수용될 수 있는 대나무통수용부(18)를 대나무통(12)의 외주연 형태보다 0.2∼0.5mm 소정 크게 형성하여 그 대나무통수용부(18)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대나무통(12)을 삽설할때에 용이하게 착설될 수 있게 형성한다.
또한, 하단형틀체(14)의 상단 일측부에 상단덮개체(13)에 형성된 힌지축요홈(17) 대향면에 동일 형태의 하단형틀체(14)의 힌지축요홈(17)이 형성된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형틀체(14)의 저면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평면으로 형성한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스(10) 형태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으로 하여 외관의 미(美)적 요소가 가미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의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나무의 죽간(竹竿) 일측부를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소정 각도로 굴절 시켜서 굴절된 부분을 세로 형태로 절개하여형태로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30은 대나무의 죽간(竹竿) 의 굴절된 부분을 나타낸 것이고, 미설명부호 31은 대나무의 죽간(竹竿) 의 굴절된 부분을 용도에 알맞게 절취하는 절단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대나무통을 케이스에 삽설하여 물건이나 음식물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게 형성하여 대나무통이 지니는 고유한 천연형태의 미적 요소가 가미될 수 있음은 물론 물건이나 음식물을 천연 소재의 그릇에 안전하게 담을 수 있는 용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는 것이다.

Claims (4)

  1. 하단형틀체(14)와 상단덮개체(13)로 이루어진 케이스(10)의 하단형틀체(14) 상단 중심부에 대나무통(12)의 하단부(12-1)가 수용될 수 있는 대나무통수용부(18)와 일측부에 힌지축(16)이 수용될 수 있는 힌지축요홈(17)을 형성하고, 케이스(10)의 상단덮개체(13)에 하단형틀체(14) 상단 중심부에 대나무통(12)의 상단면의 형태와 같은 천공부(15)와, 하단형틀체(14)의 힌지축요홈(17)과 대향되는 면에 상단덮개체(13)의 힌지축요홈(17)을 형성하고, 힌지축(16)과 접착제(19)를 구비하여 하단형틀체(14)의 대나무통수용부(18)에 소정의 접착재(19)를 사용하여 대나무통의 하단부(12-1)를 삽설하고, 대나무통(12)이 삽설된 상태의 케이스(10) 하단형틀체상단부(20)에 상단덮개체(13)를 접착제(19)와 힌지축(16)으로 접합하는 대나무통(12)을 이용한 그릇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하단형틀체(14) 상단 중심부에 대나무통(12)의 하단부(12-1)가 수용될 수 있는 대나무통수용부(18)를 대나무통(12)의 외주연 형태보다 0.2∼0.5mm 소정 크게 형성하여, 이와 같은, 대나무통수용무(18)에 접착제(19)를 도포하고, 대나무통(12)의 하단부(12-1)를 삽설하고, 하단형틀체(14)의 상단면(20)과 대나무통(12)의 상단면(12-2)이 수평이 되도록 형성하고, 하단형틀체(14) 상단 일측부에 상단덮개체(13)좌 견고한 접합수단으로 힌지축(16)을 수용할 수 있는 힌지축요홈(17)을 형성하여 대나무통(12)이 삽설된 하단형틀체(14)상단부(20)에 상단덮개체(13)를 접착제(19)와 힌지축(16)으로 견고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0)는 목재·금속재·석재·토기재·도자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
  3. 제1항에 있어서 대나무통(12)은 대나무의 죽간(竹竿) 일측부를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소정 각도로 굴절 지켜서 굴절된 부분을 세로 형태로 절개하여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
  4.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0) 상단덮개체(13)의 중심부에 형성된 천공부(15)의 내주연은 하단형틀체(14)에 착설된 대나무통(12)의 견고한 삽설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형틀체(14)에 착설된 대나무통의 상단부(12-2) 외주연보다 0.5∼1.0mm 소정 작게 형성하여 대나무통이탈방지턱(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
KR2020010021020U 2001-07-07 2001-07-07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 KR200248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020U KR200248151Y1 (ko) 2001-07-07 2001-07-07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020U KR200248151Y1 (ko) 2001-07-07 2001-07-07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151Y1 true KR200248151Y1 (ko) 2001-10-29

Family

ID=7310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020U KR200248151Y1 (ko) 2001-07-07 2001-07-07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1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690B1 (ko) * 2017-12-27 2019-03-27 주식회사 큐성 대나무통의 방부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690B1 (ko) * 2017-12-27 2019-03-27 주식회사 큐성 대나무통의 방부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02095S1 (en) Food container
USD414238S (en) Bottle fishing bobber
USD490278S1 (en) Food storage container
USD509408S1 (en) Container
USD539100S1 (en) Food container
USD518336S1 (en) Container which contains food
USD504318S1 (en) Container
USD527222S1 (en) Bowed mug drinking vessel with tabbed lid
USD462266S1 (en) Container
CA103592S (en) Lid for a container for a blender
USD517405S1 (en) Container and lid with recess
USD486997S1 (en) Bell mug
KR200248151Y1 (ko) 대나무통을 이용한 그릇
USD468203S1 (en) Container
USD522378S1 (en) Cosmetic container
USD440016S1 (en) Cosmetic container pot with removable lid and decoration
USD495248S1 (en) Storage container with lid
USD472432S1 (en) Wine rack
USD562680S1 (en) Container lid with utensil holder
USD468204S1 (en) Container
KR200249916Y1 (ko) 패각껍질을 이용한 그릇
CA112870S (en) Cosmetic container
USD498851S1 (en) Syringe cases and tray
USD428767S (en) Eating container
USD336728S (en) Condiment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