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779Y1 - 플라즈마 표시소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779Y1
KR200179779Y1 KR2019960027298U KR19960027298U KR200179779Y1 KR 200179779 Y1 KR200179779 Y1 KR 200179779Y1 KR 2019960027298 U KR2019960027298 U KR 2019960027298U KR 19960027298 U KR19960027298 U KR 19960027298U KR 200179779 Y1 KR200179779 Y1 KR 200179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side wall
screen
panel
pd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7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3697U (ko
Inventor
이춘우
김봉출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19960027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779Y1/ko
Publication of KR199800136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6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7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16Vessels;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18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01J17/183Seals between parts of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2217/38Cold-cathode tubes
    • H01J2217/49Display panels, e.g. not making use of alternating current
    • H01J2217/492Details
    • H01J2217/49207Electrodes
    • H01J2217/4925Mounting, supporting, spa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2217/38Cold-cathode tubes
    • H01J2217/49Display panels, e.g. not making use of alternating current
    • H01J2217/492Details
    • H01J2217/49264Vessels
    • H01J2217/49271Spacers between front and back panels

Landscapes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멀티스크린장치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개선된 PDP를 개시한다.
종래의 PDP는 격벽으로 화소를 한정하고 그 외곽에서 측벽으로 봉합하므로 유효화면이 작고, 멀티스크린장치의 구성시 구획선이 두드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외단 화소의 외곽을 격벽이 아닌 측벽으로 한정하도록 함으로써 유효화면을 증대시키고 멀티스크린장치의 구성시 인접패널간의 구획선의 폭을 감소시켰다.

Description

플라즈마 표시소자
제1도는 멀티스크린장치의 문제점을 보이는 부분확대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두 패널의 인접단부를 보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한 PDP의 단부를 보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PDP 패널의 인접단부를 보이는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PDP) 패널(panel) P1,P2 : 기판
E1,E2 : 전극 B : 격벽(barrier rib)
W : 측벽(side wall) B′: 부분격벽
W′: 부분측벽
본 고안은 플라즈마 표시소자(PDP : Plasma Display Panel)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스크린(multi screen) 장치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PDP에 관한 것이다.
멀티스크린장치는 다수의 표시소자를 배열하여 대화면을 구성하도록 한 장치로서, 제1도에는 다수의 PDP 패널(P)들을 배열하여 구성된 멀티스크린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멀티스크린장치(100)의 가장 큰 문제점은 패널(P)의 유효화면이 작아 복수의 패널(P)이 인접된 경계부에 폭(d1)만큼의 구획선이 발생되는 것인바, 이 구획선이 두드러지면 화상이 구획되어 보이게 되므로 멀티스크린장치(100)의 가시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획선은 PDP 패널(P) 자체의 구성에 의해 발생되는 것인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널(P)은 서로 대향하는 두 기판(P1,P2)에 전극(E1,E2)을 교차배열하고 격벽(B)으로 화소를 구획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각 패널(P)은 각 기판(P1,P2)상에 전극(E1,E2)과 격벽(B)등의 소요 기능층들을 형성한 뒤 측벽(W)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구성한다.
이에 따라 구획선의 폭(d1)은 두 패널(P)의 측벽(W) 내측의 최외단 격벽(B)의 내단간의 거리, 즉 격벽(B)의 두께와, 측벽(W)의 두께, 그리고 격벽(B)과 측벽(W)간의 거리와, 측벽(W)과 패널(P) 외단간의 거리를 합한 거리의 2배와 패널(P)간의 간격을 합한 거리가 되어 상당히 큰 폭이 되고 이에 따라 멀티스크린장치(100)를 구성하는 경우 구획선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적은 패널의 유효화면의 면적을 확대시킴으로써, 특히 복수의 패널을 인접시켜 멀티스크린장치를 구성할 때 구획선을 감소시킬 수 있는 PDP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고안에 의해 PDP는 패널의 외단에 위치하는 화소의 외곽을 측벽이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최외단의 격벽역할을 측벽이 대체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격벽의 두께와 격벽과 측벽간의 거리만큼 유효화면을 확대시킬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이러한 PDP 패널을 인접배열하여 멀티스크린장치의 구성시 패널간의 구획선의 폭을 크게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서, 두 기판(P1,P2)간에 교차 대향 배치된 전극(E1,E2)들은 격벽(B)에 의해 구획되어 화소들을 이루게 되고 각 화소에는 필요에 따른 형광체(F)가 충전되며, 두 기판(P1,P2)이 측벽(W)에 의해 접합되어 패널(P)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패널(P)에 있어서 패널(P)의 외단에 위치하는 외곽 화소의 외단은 종래와 같이 격벽(B)이 한정하는 대신 본 고안에서는 측벽(W)이 한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도의 종래구성과 비교할 때 외단화소에 있어서 적어도 외측격벽(B)과 측벽(W)간의 거리와 격벽(B)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유효화면이 증대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PDP 패널(P)을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배열하여 멀티스크린장치를 구성할 때 인접패널(P)간에 비유효화면으로 형성되는 구획선의 폭(d2)은 양 패널(P)의 측벽(W)의 내단간의 거리가 되어, 종래에 비해 유효화면의 증대거리의 2배만큼 크게 감소한다.
이에 따라 멀티스크린장치에 표시되는 대형화면이 구획선에 의해 두드러지게 구획 분할되지 않게 되어 그 가시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PDP 제조과정에 따르면 각 기판(P1,P2)에 전극(E1,E2)과 격벽(B) 및 형광체(F)등의 소요 기능층들을 별도로 형성한 뒤, 한 기판(예를들어 P2)상의 둘레에 측벽(W)을 형성할 페이스트(paste)를 도포하고 다른 기판(P1)을 얹어 측벽(W)을 소성함으로써 패널(P)을 형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측벽(W) 페이스트는 다른 기판(P1)의 가압에 의해 퍼지게되므로 외곽 화소의 외단을 정확히 한정하기 곤란하게 된다.
한편 형광체(F)를 도시된 바와 같이 L자형의 거어스(girth)를 가지도록 형성하기 위해서는 격벽(B)과 형광체(F)의 교호적인 적층인쇄나 완성된 격벽(B)상에 형광체(F)를 흘려넣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외관 격벽(B)을 측벽(W)으로 대체하는 경우에는 형광체(F)를 외측에서는 L자형으로 형성하기 곤란하게 되고, 그 결과 패널(P)의 휘도가 외단부에서 낮아져서 전체적으로 불균일하게 될 우려가 잇다.
이에 따라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외곽화소의 외측의 측벽(W) 위치에 격벽(B)보다 낮은 높이의 부분격벽(B′)을 형성하여 형광체(F)를 형성한 뒤, 이 부분격벽(B′)상에 측벽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소성함으로써 양 기판(P1,P2)을 봉합하는 부분측벽(W′)을 형성한다.
이러한 부분격벽(B′)은 격벽(B)의 형성시 함께 형성될 수 있는바, 폭에 비해 높이가 상당한 격벽(B)은 통상 수획의 반복적인 적층인쇄에 의해 형성되므로 부분격벽(B′)은 격벽(B)과 적층회수를 달리함으로써 격벽(B)의 형성과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부분측벽(W′)은 이 부분격벽(B′)의 상면에 봉합재를 도포하여 소성시키는 종래의 측벽(W) 형성과정과 유사한 과정을 통해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각 패널의 유효화면이 크게 증가되어 공간효율이 향상될 뿐아니라, 특히 패널의 인접배열로 멀티스크린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화상의 구획선이 두드러지지 않아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두 기판에 복수의 전극이 교차대향 배열되고 이 전극들의 교차점을 격벽이 구획하여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여 상기 두 기판이 측벽으로 봉합되어 구성되는 플라즈마 표시소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중 외단에 위치하는 화소의 외곽을 상기 측벽(W)이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W)의 위치에 상기 격벽(B)보다 낮은 높이의 부분격벽(B′)을 형성하고, 상기 부분격벽(B′)상에 부분측벽(W′)을 형성하여 상기 두 기판(P1,P2)을 봉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소자.
KR2019960027298U 1996-08-31 1996-08-31 플라즈마 표시소자 KR200179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298U KR200179779Y1 (ko) 1996-08-31 1996-08-31 플라즈마 표시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298U KR200179779Y1 (ko) 1996-08-31 1996-08-31 플라즈마 표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697U KR19980013697U (ko) 1998-06-05
KR200179779Y1 true KR200179779Y1 (ko) 2000-05-01

Family

ID=1946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7298U KR200179779Y1 (ko) 1996-08-31 1996-08-31 플라즈마 표시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7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980B1 (ko) * 2002-12-10 2008-09-04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멀티 스크린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697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969B1 (ko) 더미 격벽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31654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7501759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4471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6661170B2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179779Y1 (ko) 플라즈마 표시소자
US7045963B2 (en) Plasma display panel
JPH05342992A (ja)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83681B1 (ko)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50046353A1 (en) Address electrode design in a plasma display panel
JP364138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0123741A (ja) 表示用放電管
KR100420033B1 (ko) 가스 방전 표시장치
JP4000944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19677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
JP2000331613A (ja) 表示用放電管
KR10063746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93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118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266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2083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4425314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389685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7804246B2 (en) Plasma display panel with address electrode having projections
JP2002008543A (ja)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