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681B1 -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681B1
KR100683681B1 KR1020040083501A KR20040083501A KR100683681B1 KR 100683681 B1 KR100683681 B1 KR 100683681B1 KR 1020040083501 A KR1020040083501 A KR 1020040083501A KR 20040083501 A KR20040083501 A KR 20040083501A KR 100683681 B1 KR100683681 B1 KR 100683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display area
partition
disposed
plasm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763A (ko
Inventor
송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681B1/ko
Priority to JP2005199318A priority patent/JP2006120608A/ja
Priority to US11/251,889 priority patent/US20060082304A1/en
Priority to CNA200510112879XA priority patent/CN1763896A/zh
Publication of KR2006003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1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shape
    • H01J2211/365Pattern of the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8Dummy spacers, e.g. in a non display reg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비표시 영역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기판;과,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방전 전극;과,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서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주격벽과,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어서 주격벽과 연결되고, 상하좌우로 대칭적인 형상으로 배치된 더미 격벽을 구비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소음 제거를 위한 더미 격벽이 소성 이후에 수축력에 의하여 내부로 휘거나, 상단부가 기울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서, 패널 조립체의 구동시에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for reducing noise}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더미 격벽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이 배치된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더미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더미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더미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더미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0...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01...전면 기판
402...배면 기판 403...X 전극
404...Y 전극 405...전면 유전체층
406...보호막층 407...어드레스 전극
408...배면 유전체층 409...격벽
410...형광체층 600...더미 격벽
610...연결 격벽 611...직선부
612...홈부 620...보강 격벽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성시의 변형으로 인하여 전면 및 배면 패널의 결합시에 들뜨게 되어서 패널 조립체의 노이즈를 유발시키는 격벽의 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방전 전극이 형성된 두 기판 사이에 방전 가스를 주입하여 방전시키고,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형광체층의 형광 물질을 여기시켜 소망하는 숫자, 문자 또는 그래픽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 장치(flat display device)를 말한다.
도 1은 국내 특허 공개 번호 제02-76603호에 개시된 플라즈마 표시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표시장치(100)는 배면판(101)과, 상기 배면판(101) 상에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102)과, 상기 어드레스 전극(102)을 매립하는 제 1 유전체층(103)과, 상기 제 1 유전체층(103)상에 형성된 주격벽(104)을 포함한다.
상기 주격벽(104)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는 인접하는 주격벽의 단부와 보조 격벽(10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조 격벽(105)은 방전 가스의 원활한 배기를 위하여 주격벽(104)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격벽(104)과 보조 격벽(105)에 의하여 구획된 방전 공간에는 적,녹,청색의 형광체층(10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면판(101)은 투명한 전면판(107)과 결합되어 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전면판(107)은 어드레스 전극(10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전극(108)(1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108)(109)에는 버스 전극(110)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및 제 2 전극(108)(109)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층(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판(107)의 하면에는 이들을 매립하는 제 2 유전체층(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유전체층(112)의 상면에는 보호막층(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플라즈마 표시장치(100)는 주격벽(104)과, 보조 격벽(105)이 연결됨으로써, 제조 공정상 주격벽(104)의 단부가 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잇으며, 방전 공간이 보조 격벽(105)에 의하여 한정되므로, 화소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격벽은 샌드 블라스트나, 프레스나, 감광법에 의하여 제조되는데, 소망하는 패턴을 형성한 이후에 450℃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을 하게 된다. 이렇게 소 성을 하는 이유는 격벽용 원소재에 포함된 불순물이나, 필요없는 바인더등을 태우고, 격벽을 더욱 견고하게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격벽은 바인더등이 태워져서 없어지는 과정에서, 수축을 하게 된다. 수축되는 주격벽(104)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S”자형으로 변형하려 하고, 보조 격벽(105)은 그 위치에서 고정되므로, 주격벽(104)의 일부가 함몰되는 형상으로 수수축되어진다.
이러한 격벽의 변형은 압력 증가에 따른 배면판(101)과, 전면판(107)간의 응력 감소시에 패널 조립체의 진동을 크게 하여서 소음 증가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배치된 격벽의 가장자리쪽으로 더미 격벽(dummy barrier rib, 200)이 형성되는데, 상기 더미 격벽(200)은 단속적인 직선으로 이루어진 부분(201)과, 상기 직선부(201)의 단부를 따라서 형성된 아크로 이루어진 부분(202)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더미 격벽(200)는 소성시의 수축으로 인한 함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지만, 최외곽에 위치한 아크부(202)의 일부는 격벽의 수축시에 그 상단부가 기울어지는 현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아크부(202)의 기울어진 갭(g)은 12 내지 15 마이크로미터 정도가 된다. 이에 따라, 전면판과 격벽과의 간격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격된 간격으로 인한 진동에 의하여 여전히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격벽의 최외곽 부 분을 상하좌우 대칭적으로 배치하여서 대칭력에 의하여 격벽이 기울어지거나 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비표시 영역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기판내의 방전 공간에 방전을 일으키도록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 전극; 및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서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주격벽과,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어서 주격벽과 연결되고, 상하좌우로 대칭적인 형상으로 배치된 더미 격벽을 구비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더미 격벽은 주격벽과 일체로 연결된 연결 격벽과, 상기 연결 격벽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된 보강 격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연결 격벽은 서로 교차하는 직선으로 연결된 부분과, 직선으로 연결된 부분 사이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직선으로 연결된 부분은 단속 또는 연속적인 직선의 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강 격벽은 상기 연결 격벽의 가장자리로부터 이와 일체로 소 정 길이 돌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인접한 보강 격벽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 격벽은 상기 연결 격벽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보강 격벽의 폭보다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더미 격벽은 주격벽과 일체로 연결된 연결 격벽과, 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된 보강 격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격벽의 내측으로는 주위의 격벽에 의하여 평행력을 받도록 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보강 격벽은 상기 연결 격벽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며, 인접한 보강 격벽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강 격벽은 소성시 내측으로 수축하는 압력을 지탱하도록 상하좌우 대칭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전면 기판(401)과, 상기 전면 기판(40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배면 기판(40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면 및 배면 기판(401)(402)은 상호 결합시에 대향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프릿트 글래스(frit glass)에 의하여 봉착되어서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상기 전면 기판(401)은 투명한 기판, 예컨대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면 기판(401)의 아랫면에는 기판(401)의 X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X 전극 및 Y 전극(403)(4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X 및 Y 전극(403)(403)는 기판(401)의 Y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방전 셀별로 한 쌍씩 위치하고 있다.
상기 X 전극(403)은 상기 전면 기판(401)의 내면에 형성된 투명한 제 1 전극 라인(403a)과, 상기 제 1 투명 전극 라인(40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버스 전극 라인(403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투명 전극 라인(403a)의 내측벽으로는 상기 Y 전극(404)을 향하여 제 1 돌출부(403c)가 소정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버스 전극 라인(403b)은 상기 제 1 투명 전극 라인(403a)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Y 전극(404)은 X 전극(403)과 실질적으로 대칭되는 형상이며, 전면 기판(401)의 내면에 형성된 투명한 제 2 전극 라인(404a)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라인(40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버스 전극 라인(404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2 투명 전극 라인(404a)의 내측벽으로는 상기 X 전극(403)을 향하여 제 1 돌출부(404c)가 소정 크기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 2 버스 전극 라인(403b)은 상기 제 2 투명 전극 라인(404a)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 라인(403a)(404a)은 전면 기판(401)의 개구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명한 도전막, 예컨대 ITO막(Indium Tin Oxide Film)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 전극 라인(403b)(404b)은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 라인(403a)(404a)의 라인 저항을 줄이고,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재, 이를테면, 은 페이스트(Ag paste)나, 크롬-구리-크롬 합금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한 쌍의 X 및 Y 전극(403)(404)과, 이와 인접한 다른 한 쌍의 X 및 Y 전극(403)(404) 사이의 공간은 비방전 영역에 해당된다. 이러한 비방전 영역에는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블랙 스트라이프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X 및 Y 전극(403)(404)은 전면 유전체층(405)에 의하여 매립되어 있다. 상기 전면 유전체층(405)은 글래스 페이스트(glass paste)에 각종 필러(filler)를 첨가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면 유전체층(405)은 상기 X 및 Y 전극(403)(404)이 형성된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인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면 기판(401)의 아랫면에 전체적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 유전체층(405)의 표면에는 이의 파손을 방지하고, 2차 전자 방출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마그네슘 옥사이드(MgO)와 같은 보호막층(406)이 증착되어 있다.
상기 배면 기판(402)은 전면 기판(4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면 기판(402) 상에는 어드레스 전극(407)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407)은 상기 X 및 Y 전극(403)(40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407)은 배면 유전체층(408)에 의하여 매립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면 및 배면 기판(401)(402) 사이에는 이들과 함께 방전 셀을 구획하는 주격벽(4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격벽(409)은 어드레스 전극(407)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주격벽(409a)과, 상기 어드레스 전극(407)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주격벽(409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주격벽(409a)은 인접한 한 쌍의 제 2 주격벽(409b)의 내측벽으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주격벽(409a)(409b)의 결합은 매트릭스형(matrix type)의 방전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대안으로는, 상기 주격벽(409)은 미앤더형(meander type)이나, 델타형(delta type)이나, 벌집형(honeycomb type)등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존재하며, 이로 인하여 구획된 방전 셀은 사각형 이외에도 다른 형상의 다각형이나, 원형등 어느 하나의 방전 공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전면 및 배면 기판(401)(402)과, 주격벽(409)에 의하여 구획된 방전 셀내에는 네온(Ne)-크세논(Xe)이나, 헬륨(He)-크세논(Xe)과 같은 방전 가스가 주입되어 있다.
또한, 방전 셀내에는 방전 가스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에 의하여 여기되어서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적,녹,청색의 형광체층(410)이 도포되어 있다. 상기 적,녹,청색의 형광체층(410)은 방전 셀의 어느 영역에도 도포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격벽(409)의 내측으로 도포되어 있다. 상기 형광체층(410)은 각각의 방 전 셀별로 코팅되어 있다. 적색의 형광체층은 (Y,Gd)BO3;Eu+3 으로 이루어지고, 녹색의 형광체층은 Zn2SiO4:Mn2+ 으로 이루어지고, 청색의 형광체층은 BaMgAl 10O17:Eu2+ 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의 전면 및 배면 기판(401)(402) 상에 배치된 방전 전극 및 격벽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및 배면 기판(401)(402)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인 표시 영역(display area, Da)과,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외부 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영역인 비표시 영역(non display area, NDa)으로 구획된다.
표시 영역(DA)에는 기판의 X 방향을 따라서 X 및 Y 전극(403)(404)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기판의 Y 방향을 따라서 X 및 Y 전극(403)(40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어드레스 전극(407)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 영역(Da)에는 매트릭스형의 주격벽(409)이 배치되어 있으며, 주격벽(409)으로 구획된 단위 방전 셀내에는 한 쌍의 X 및 Y 전극(403)(404)과, 어드레스 전극(407)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주격벽(409)의 외곽으로는 소성 공정중 격벽의 수축을 방지하고, 수축력에 의하여 주격벽(409)이 휘게 되어서 전면 및 배면 기판(401)(402)의 결합시 이격되게 결합되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좌우 대칭적인 더미 격벽(4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더미 격벽(411)은 표시 영역(Da)으로 배치된 격벽(409)과 실질적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더미 격벽의 구조는 도 6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더미 격벽(600)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더미 격벽(600)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된 주격벽과 연결되는 연결 격벽(610)과, 상기 연결 격벽(610)의 가장자리로 배치된 보강 격벽(6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 격벽(610)은 직선으로 연결된 부분(611)과, 상기 직선부(611) 사이에 형성되는 홈부(6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직선부(611)는 기판의 X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직선부(613)와, 기판의 Y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직선부(6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직선부(613)와 제 2 직선부(614)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폭을 달리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부(613)(614)는 기판의 X 및 Y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직선부(613)(614) 사이에는 서로 크기를 달리하는 홈부(6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612)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규칙적이거나,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강 격벽(620)은 연결 격벽(61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강 격벽(620)은 기판의 X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제 1 직선부(613)와 연결된 제 1 보강부(621)와, 기판의 Y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제 2 직선부(614)와 연결된 제 2 보강부(6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보강부(621)(62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며, 사각 기둥형상이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보강부(621)(622)는 기판의 X 및 Y 방향을 따라서 연결 격벽(610)의 가장자리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된 돌출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보강부(621)(622)의 단부는 인접하게 배치된 격벽의 단부간에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기판의 X 또는 Y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연결 격벽(610)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상기 보강 격벽(620)은 격벽의 소성시에 내측으로 수축하려는 힘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하좌우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즉, 종래의 아크형처럼 유선형 부분에만 압축력이 작용하지 않고, 상하좌우로 압축력이 작용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격벽이 휘어지거나, 상단부가 소정 각도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보강 격벽(620)은 연결 격벽(610)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L)와, 폭(W)과의 상대적인 관계식을 보면, 2W < L이 되는 것이 압축력을 억제하는데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600)의 격벽을 제조하기 위한 과정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면 기판(402) 상에 스트라이프형의 어드레스 전극((407)을 패턴화시키고, 상기 어드레스 전극(407)을 배면 유전체층(408)에 의하여 매립한 다음에, 상기 배면 유전체층(408)의 윗면에 격벽 형성용 원소재를 전면 도포하게 된다.
다음으로, 격벽 형성용 원소재의 윗면에 포토 레지스터층을 전면 코팅한 다 음에, 그 상부로부터 포토 마스크를 정렬하고, 노광 및 현상을 거치게 된다.
이어서, 에칭에 의하여 격벽 형성용 원소재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서, 소망하는 형상의 주격벽(409)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주격벽(409)의 윗면에는 포토 레지스터층이 잔류하고 있으며, 후속 공정으로 잔류하는 포토 레지스터층을 제거하여서 주격벽(409)을 완성하게 된다. 이때, 패턴화된 주격벽(409)은 45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을 하여서, 격벽용 원소재에 포함된 불순물이나, 바인더등을 태우는 소성 공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는 매트릭스형의 주격벽(409)과 일체로 연결되며,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는 더미 격벽(600)도 이와 동시에 패턴화된다.
상기 더미 격벽(600)은 격벽의 소성시에 휘거나 변형되는 압축력에 반하여 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하좌우 대칭적인 형상의 연결 격벽(610)과, 상기 연결 격벽(610)으로부터 외곽으로 다수개 돌출된 보강 격벽(620)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더미 격벽(600)의 보강 격벽(620)은 그 내측으로 배치된 연결 격벽(610)의 직선부(611)에 의하여 지탱하는 힘을 받게 되어서 휘지 않게 되고, 상기 직선부(611)도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또 다른 직선부(611)에 의하여 평행력을 받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미 격벽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특징부만 발췌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더미 격벽(700)은 연결 격벽(710)과, 이의 가장자리를 배치된 보강 격벽(7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 격벽(710)은 직선으로 연결된 부분(711)과, 상기 직선부(711) 사이에 형성된 홈부(71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직선부(711)는 기판의 일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직선부(713)와, 상기 제 1 직선부(713)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직선부(71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부(713)(714)는 홈부(712)를 다수개 개재된 상태에서 단속 또는 연속적인 직선의 집합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보강 격벽(720)은 연결 격벽(7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며, 제 1 직선부(713)와 연결된 제 1 보강부(721)와, 제 2 직선부(714)와 연결된 제 2 보강부(722)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 1 보강부(721)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 2 보강부(722)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더미 격벽(800)은 연결 격벽(810)과, 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보강 격벽(8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 격벽(810)은 기판의 상하좌우 방향을 따라서 단속 또는 연속적인 직선으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직선부(813)(814)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 1 및 제 2 직선부(813)(814) 사이에는 다수의 홈부(8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강 격벽(820)은 상기 제 1 직선부(813)와 연결된 제 1 보강부(821)와, 상기 제 1 직선부(814)와 연결된 제 2 보강부(822)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보강부(821)(822)는 다같이 직사각형의 단면을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보강부(821)(822)는 서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아 니라, 제 1 보강부(821)가 제 2 보강부(822)에 비하여 간격이 좁게 배치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더미 격벽(900)은 연결 격벽(910)과, 이와 연결된 보강 격벽(9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 격벽(910)은 기판의 상하좌우 방향을 따라서 단속 또는 연속적인 직선의 집합체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직선부(913)(914)로 된 직선으로 연결된 부분(911)과, 상기 직선부(911) 사이에 형성된 홈부(9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강 격벽(920)은 제 1 직선부(913)와 일체로 연결된 제 1 보강부(921)와, 제 2 직선부(914)와 일체로 연결된 제 2 보강부(922)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보강부(921)(922)는 직사각형의 단면이다. 또한, 상기 제 2 보강부(922)의 폭은 상기 제 1 보강부(921)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보강부의 간격도 좁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7 내지 도 9에 개시된 더미 격벽(700 내지 900)은 표시 영역의 격벽과 연결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가능하다. 이때, 상기 더미 격벽(700 내지 900)은 격벽의 소성시에 내측으로 수축하는 압축력을 상하좌우 대칭으로 놓여져 있는 대칭력에 의하여 휘어지거나 격벽의 상단부 일부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하좌우 대칭적인 더미 격벽이 배치됨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소음 제거를 위한 더미 격벽이 소성 이후에 수축력에 의하여 내부로 휘거나, 상단부가 기울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서, 패널 조립체의 구동시에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둘째, 소성시에 격벽이 기울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서, 격벽을 정위치에서 형성할 수가 있게 되어서, 조립 밀착도가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비표시 영역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기판;과,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기판내의 방전 공간에 방전을 일으키도록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 전극;과,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서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주격벽과,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어서 주격벽과 연결된 더미격벽을 가지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격벽은 상기 주격벽과 일체로 연결된 연결 격벽과, 상기 연결 격벽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된 보강 격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격벽은 상기 연결 격벽의 가장자리로부터 이와 일체로 소정 길이 돌출되고, 인접한 보강 격벽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하좌우로 대칭적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격벽은 서로 교차하는 직선으로 연결된 부분과, 직선으로 연결된 부분 사이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직선으로 연결된 부분은 단속 또는 연속적인 직선의 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격벽은 다수의 사각 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격벽은 상기 연결 격벽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보강 격벽의 폭보다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격벽의 내측으로는 주위의 격벽에 의하여 평행력을 받도록 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삭제
  11. 삭제
KR1020040083501A 2004-10-19 2004-10-19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3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501A KR100683681B1 (ko) 2004-10-19 2004-10-19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5199318A JP2006120608A (ja) 2004-10-19 2005-07-07 ノイズを減らすための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11/251,889 US20060082304A1 (en) 2004-10-19 2005-10-18 Plasma display panel for reducing noise
CNA200510112879XA CN1763896A (zh) 2004-10-19 2005-10-19 用于降噪的等离子体显示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501A KR100683681B1 (ko) 2004-10-19 2004-10-19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763A KR20060034763A (ko) 2006-04-25
KR100683681B1 true KR100683681B1 (ko) 2007-02-20

Family

ID=3618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501A KR100683681B1 (ko) 2004-10-19 2004-10-19 소음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82304A1 (ko)
JP (1) JP2006120608A (ko)
KR (1) KR100683681B1 (ko)
CN (1) CN17638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267B1 (ko) * 2004-11-04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97197B1 (ko) * 2004-12-29 2007-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5141072B2 (ja) 2006-04-25 2013-02-13 日本精工株式会社 軸受ユニット用外輪の製造方法
WO2007138700A1 (ja) * 2006-05-31 2007-12-06 Hitachi Plasma Display Limite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69863A (ko) * 2007-01-24 2008-07-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3419A (ja) * 2002-09-10 2004-04-02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5914B2 (ja) * 1998-01-27 2005-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6465956B1 (en) * 1998-12-28 2002-10-15 Pioneer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KR100471969B1 (ko) * 2002-09-04 2005-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더미 격벽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3419A (ja) * 2002-09-10 2004-04-02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20608A (ja) 2006-05-11
CN1763896A (zh) 2006-04-26
US20060082304A1 (en) 2006-04-20
KR20060034763A (ko) 200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7188B2 (en) Plasma display panel
EP1670022B1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6120608A (ja) ノイズを減らすための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605980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7881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90184639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47671B1 (ko) 더미 격벽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15634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301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184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14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315B1 (ko)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10084660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0771B1 (ko)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1006920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KR1005819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2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8996B1 (ko)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0770B1 (ko)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1005630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08958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전면패널
KR1006475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90160336A1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612061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KR2008006793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