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452Y1 - 황토를 이용한 통닭구이기 - Google Patents

황토를 이용한 통닭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452Y1
KR200179452Y1 KR2019990023635U KR19990023635U KR200179452Y1 KR 200179452 Y1 KR200179452 Y1 KR 200179452Y1 KR 2019990023635 U KR2019990023635 U KR 2019990023635U KR 19990023635 U KR19990023635 U KR 19990023635U KR 200179452 Y1 KR200179452 Y1 KR 200179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heat source
ocher
cooking space
infrared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김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섭 filed Critical 김종섭
Priority to KR2019990023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4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닭을 굽는 데 있어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통닭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황토를 이용한 통닭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통닭구이를 함에 있어서는 단순히 가스와 같은 열원에 의해서만 조리를 하게 되므로 닭의 육질 내부 깊숙이까지 익히기 위해서는 열원의 세기를 강하게 하여 장시간 구워야 되어 연료 및 전기의 소모량이 많아지게 되며, 통닭의 외피면이 타거나 전체적인 육질이 딱딱해져 맛좋고 연하게 조리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정한 형상의 케이스에 상하로 조리공간과 보온실이 구비되어 있는 통닭구이기에서 조리공간의 내벽면과, 문의 내벽면과, 조리공간 상부뚜껑 내벽면에 각각 황토층을 형성하여 열원의 가열에 의해 내부각면에 형성된 황토층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하여 열원에 의한 직접 가열과 더불어 황토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한 간접 가열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 통닭 내부 깊숙이까지 균일하게 익게됨은 물론 부드럽고 쫄깃쫄깃한 맛을 살릴 수 있고 닭 특유의 냄새까지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부수적으로 열원에 의한 직접 조리와 더불어 원적외선에 의한 간접 조리가 가능하여 통닭구이에 필요한 연료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황토를 이용한 통닭구이기{Chicken baker using waste land}
본 고안은 황토를 이용한 통닭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닭구이기의 사방 벽면에 황토층을 형성하여 통닭을 굽는 데 있어 이 황토층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통닭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고래로부터 사람들은 단백질 공급을 위해 닭을 가축으로 키워 왔으며, 그런 만큼 닭에 대한 요리의 형태도 백숙, 닭매운탕, 닭칼국수, 닭튀김, 통닭구이, 양념통닭 등 다양하게 변천되어 왔다.
이 중 통닭구이는 닭을 바비큐(Barbecue) 형태로 봉에 끼워 회전시키면서 열을 가해 익히는 요리로, 기름기가 적고 육질이 쫄깃쫄깃하여 많은 사람들의 미감을 충족시키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최근에는 자동으로 통닭구이를 할 수 있는 통닭구이기가 등장하였는데, 일정한 형태의 케이스에 하부로부터 가스, 전기, 연탄, 장작과 같은 열원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케이스의 중간부에는 모터에 기어 결합된 다수의 봉을 구비하여 닭을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균일하게 구워지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통닭구이는 단순히 가스, 전기, 연탄, 장작과 같은 열원에 의해 닭을 굽게 되므로 닭의 육질 내부 깊숙이까지 익히기 위해서는 열원의 세기를 강하게 하여 장시간 구워야 한다.
따라서, 연료 및 전기의 소모량이 많아지게 되며, 통닭의 외피면이 타거나 전체적인 육질이 딱딱해져 맛좋고 연하게 조리하는데는 한계가 있고, 특히 두께가 두꺼운 가슴살은 팍팍하여 잘 먹지 않게 되는 결점이 있어 전체적으로 맛있게 구워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결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갑체의 내벽면에 가열되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성분의 층을 형성하여 열원에 의한 가열 및 원적외선에 의한 가열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게 하여 육질이 부드럽고 맛좋은 통닭을 굽기 위한 황토를 이용한 통닭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본 고안에 따른 통닭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닭구이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리공간 2 : 보온실 3 : 격벽
4 : 뚜껑 5 : 문 6 : 열원
7 : 봉 8 : 할로겐 램프 9 : 황토층
10 : 통닭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닭구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닭구이기의 종단면도로서,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격벽(3)에 의해 상하로 분할되어 상부는 조리공간(1)을 이루고 하부는 보온실(2)을 이루며, 조리공간(1)의 상부에는 뚜껑(4)이 위치되고, 조리공간(1)의 전면에는 통닭(10)의 반입/반출을 위한 문(5)이 형성되며, 조리공간(1)의 하부에는 열원(6)이 위치되고, 조리공간(1)의 중간부를 가로질러 도시 생략된 모터에 기어 결합되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3∼4개의 통닭걸이용 봉(7)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보온실(2)은 익혀진 통닭(10)을 담기 위해 일정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익혀진 통닭(10)을 보온과 동시에 살균하기 위한 할로겐 램프(8)가 구비된다.
또한, 조리공간(1)의 4방 내벽면, 문(5)의 내벽면, 뚜껑(4)의 내벽면에 각각 일정한 두께로 황토층(9)이 형성되며, 이러한 황토층(9)은 판상으로 정형화하여 불에 구운 토기형 판체로 형성하여 조립하는 것이 제조상 바람직하며, 한 면을 한 개의 판체로써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하거나 소형의 것을 여러장 결합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열원(6)에 의해 가열되면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열원(6)에 의한 직접 가열과 이 원적외선에 의한 간접 가열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여기서, 열원(6)으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가스가 가장 접합하나 이외에도 전기, 연탄, 장작 등 열을 낼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황토라 함은 붉은색을 띈 점토성이 강한 흙이며 화강암, 편마암, 구조토 등이 주류를 이루는 휘토류로서, 이 흙에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철, 망간, 마그네슘, 칼슘, 미네랄 및 콘트라친 등 다량의 광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전통적으로 황토를 적용해온 옹기, 토담집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피부 미용분야, 음식물 분야, 벽지 또는 장판류 등에 많이 적용하고 있으며, 특히 습도 조절능력, 축열효과, 탈취 및 방습효과 등이 있어 건축자재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는 전적으로 황토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한 효과라 할 수 있다.
원적외선이라 함은 전자파의 파장영역중 30∼1000㎛의 적외선으로써 가시광선보다 강한 열 작용을 하며 방사 에너지가 직접적이고 순간적인 열 전달로 빠르게 가열되어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크며, 파장이 크며 진동수가 적은 빛인 적외선은 흡수의 성질을 가진다.
특히, 적외선 중에서도 원적외선은 체내 흡수가 잘되는 것으로 56 ∼ 14㎛내외의 원적외선을 흡수하게 되면 분자 운동을 촉진하게 되며 육질 내부에까지 침투하여 원자의 공진 운동을 일으키며 원자의 공진 운동(신축, 변각, 회전)이 시작되면 분자 내에 큰 에너지가 발생하여 분자의 운동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효과 효능이 잘 알려진 황토를 이용하여 통닭구이를 하고자 한 것이다.
황토는 미가열 상태에서도 어느 정도의 원적외선 방출은 있지만, 황토의 온도가 어느 정도의 범위를 넘어서면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음식물 조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황토를 어느 정도의 온도로 가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황토를 가열하여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하여 열원에 의한 직접 가열과 더불어 원적외선을 이용한 간접 가열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통닭구이기의 경우 조리공간(1)의 4방 내벽면, 문(5)의 내벽면, 뚜껑(4)의 내벽면에 각각 일정한 두께로 황토층(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리공간(1)의 하부로부터 가스 불과 같은 열원(6)을 통해 열을 가하게 되면 황토층(9)이 가열되며, 황토층(9)의 온도가 어느 정도 올라가 원적외선 분출 한계를 넘어서면 황토층(9)으로부터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된다.
이때, 모터에 연결되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봉(7)에는 통닭(10)들이 걸려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열원(6)에 의해 직접 가해지는 열이 통닭(10)의 전체면에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어 균일 조리가 가능하며, 아울러 원적외선에 의한 간접 가열이 가능하다.
즉, 원적외선은 분자 운동을 촉진하게 되며 육질 내부에까지 침투하여 원자의 공진 운동을 일으키며 원자의 공진 운동(신축, 변각, 회전)이 시작되면 분자 내에 큰 에너지가 발생하여 분자의 운동을 활성화시키는 성질이 있으므로, 원적외선의 방출이 시작되면 이 원적외선은 통닭(10)의 내부 깊숙이 작용하여 원자나 분자에 흡수되어 공진 운동을 유발시킴으로써 통닭(10)이 그 내부 깊숙이까지 균일하게 익을 수 있음은 물론 원적외선에 의한 통닭(10)의 원자나 분자 공진 작용에 의해 분자의 운동이 활성화됨에 따라 부드럽고 쫄깃쫄깃한 맛을 살릴 수 있으며, 아울러 원적외선의 탈취 효과에 의해 닭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미감을 저하시키는 냄새까지 제거된 완벽한 통닭(10)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리공간(1)에서 통닭(10)이 열원에 의한 직접 가열 및 황토로부터 방출된 원적외선에 의한 간접 가열에 의해 완전히 조리되면 조리공간(1) 전면의 문(5)을 통해 통닭(10)을 반출하여 보관실(2)에 보관하게 되는데, 보관실(2) 내에는 할로겐 램프(8)가 구비되어 있어 통닭(10) 보관에 알맞은 온도를 제공하면서 유해한 균을 없애주게 되어 통닭(10)의 위생에 대해서도 완벽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조리공간의 4방 내벽면과, 문의 내벽면, 뚜껑의 내벽면에 각각 황토층을 형성하여 열원의 가열에 의해 이 황토층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게 함으로써 통닭 내부 깊숙이까지 균일한 조리가 가능해짐은 물론 통닭의 부드럽고 쫄깃쫄깃한 맛을 살릴 수 있고 원적외선의 탈취작용에 따라 닭 특유의 냄새까지 제거할 수 있어 완벽한 통닭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부수적으로 열원에 의한 직접 가열과 더불어 원적외선에 의한 간접 가열이 가능하여 통닭 구이에 필요한 연료 소비량을 줄일 수 있게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케이스 내부가 상하로 분할되어 상부는 조리공간(1)을 이루고 하부는 보온실(2)을 이루며, 상기 조리공간(1)의 전면에는 통닭 반출구 및 이를 개폐하는 문(5)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공간(1)의 하부에는 가스 불과 같은 열원(6)이 위치하며, 상기 조리공간(1)의 중간부를 가로질러 모터에 기어 결합되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3∼4개의 통닭걸이용 봉(7)이 형성되어 있는 통닭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공간(1)의 내벽면과, 상기 문(5)의 내벽면과, 상기 조리공간 상부뚜껑(4) 내벽면에 각각 황토층(9)을 형성하여 상기 열원(6)의 가열에 의해 상기 황토층(9)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하여 상기 열원(6)에 의한 직접 가열과 상기 원적외선에 의한 간접 가열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통닭구이기.
KR2019990023635U 1999-10-30 1999-10-30 황토를 이용한 통닭구이기 KR200179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635U KR200179452Y1 (ko) 1999-10-30 1999-10-30 황토를 이용한 통닭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635U KR200179452Y1 (ko) 1999-10-30 1999-10-30 황토를 이용한 통닭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452Y1 true KR200179452Y1 (ko) 2000-04-15

Family

ID=1959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635U KR200179452Y1 (ko) 1999-10-30 1999-10-30 황토를 이용한 통닭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4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5976B2 (ja) 加熱調理器
US8334488B2 (en) Cooker
JPH09506205A (ja) 光波オーブンによる食物調理方法および調理装置
JP2011038765A (ja) 食べ物調理装置
JPWO2007132930A1 (ja) マイクロ波の波長を、磁性体によって波長転換するとき、加熱する物質が持つ熱吸収波長と最適温度に合わせて、磁性体を選択し最適温度のなかで波長の領域とその密度を高めて加熱加工、熱処理を行う方法並びに赤外線、遠赤外線エネルギーのトンネル効果の構造を示す。
KR200397274Y1 (ko) 고기구이용 화덕
KR200179452Y1 (ko) 황토를 이용한 통닭구이기
KR0123078Y1 (ko) 원적외선 압력 구이장치
KR200166371Y1 (ko) 구이기
KR200214856Y1 (ko) 원적외선 방사체와 천연옥 반사경을 이용한 구이기
KR200347909Y1 (ko) 자갈고기구이기
KR100285083B1 (ko) 원적외선 공기방울을 이용한 튀김 조리방법 및 장치
KR200180947Y1 (ko) 맥반석이 설치된 전기오븐
KR101748088B1 (ko) 친환경 숯 내장 한지 구이판 및 이에 사용되는 프라이팬
RU269124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ясных и рыбных блюд в ограниченн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KR200206888Y1 (ko) 황토 숯불 구이기
KR20050108664A (ko) 음이온방출기능이 부가된 오븐형 원적외선 구이기
RU269126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ясных блюд
KR102457253B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의 훈증에 의한 간접 가열 조리기구
KR101202937B1 (ko) 차단판이 구비된 바비큐구이기
KR100285084B1 (ko) 원적외선 공기방울을 이용한 튀김 조리방법
KR200359458Y1 (ko) 원적외선 오징어 구이기
KR20010099235A (ko) 원적외선방사 원석 및 황토를 이용한 황토 구운 생선 가공방법에 관한
JP3837668B2 (ja) 遠赤外線調理器
KR200179529Y1 (ko) 전열식 구이기용 세라믹 히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