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154Y1 - 착신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착신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154Y1
KR200179154Y1 KR2019990021245U KR19990021245U KR200179154Y1 KR 200179154 Y1 KR200179154 Y1 KR 200179154Y1 KR 2019990021245 U KR2019990021245 U KR 2019990021245U KR 19990021245 U KR19990021245 U KR 19990021245U KR 200179154 Y1 KR200179154 Y1 KR 200179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coming
call
uniqu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네오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4186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00193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네오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네오링크
Priority to KR2019990021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1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1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통신 전화기의 착신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전화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를 분리형 착신 표시 신호생성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 통신 전화기의 착신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동 통신 전화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동통신 전화기로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착신 신호를 생성해 송신하는 착신 신호 송신 수단과, 착신 신호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착신 신호에 응답하여 착신 표시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이동 통신 전화로 호출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분리형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착신 표시 장치{RECEIVED CALL INDICATION DEVICE}
본 고안은 이동 통신 전화기의 착신 표시 장치(received call indication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전화기에 호출 신호 (incoming call)가 수신된 경우 이를 분리형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통신 전화기에 있어서, 호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동 통신 전화기는 자체 내에 내장된 스피커, 진동기 또는 점멸형 램프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호출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 통신 전화기의 경우, 만일 사용자가 도로 등 소음이 많은 장소에 있는 경우에는 스피커에서 나오는 호출 표시 신호를 듣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이동 통신 전화기를 핸드백이나 가방 등에 넣고 있는 경우에는 진동 또는 램프의 점멸 등으로 표시되는 호출 표시 신호를 인식하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전화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를 분리형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이동 통신 전화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착신 신호 송신 수단과, 분리형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으로 구성되는 착신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착신 표시 장치에서 이동 통신 전화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착신 신호 송신 수단과, 분리형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이동 통신 전화기에 호환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착신 표시 장치가 이동 통신 전화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태양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착신 표시 장치에서의 착신 신호 송신 수단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신 표시 장치에서의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 4b, 4c는 본 고안에 따른 착신 표시 장치에서의 착신 신호 송신 수단의 예시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a, 5b, 5c, 5d, 5e는 본 고안에 따른 착신 표시 장치에서의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의 예시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 통신 전화기
20: 착신 신호 송신 수단
22: 연결 포트
24: 착신 신호 생성부
26: 증폭단
28, 31: 안테나
30: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
32: 복조기
34: 디코더/비교기부
35: 고유 ID 번호 저장부
36: 출력 신호 선택 수단
37a, 37b, 37c: 출력 신호 표시 수단
38: 출력 신호 선택 스위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한 양상에 따른 이동 통신 전화기의 착신 표시 장치는, 이동 통신 전화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동 통신 전화기로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착신 신호를 생성해 송신하는 착신 신호 송신 수단과, 착신 신호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착신 신호에 응답하여 착신 표시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이동 통신 전화로 호출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분리형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한 양상에 따른 이동 통신 전화기의 착신 신호 표시 장치는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이 진동 표시 모드와 램프 표시 모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원하는 표시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착신 표시 장치가 이동 통신 전화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태양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착신 표시 장치는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과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 통신 전화기(10)의 본체의 외부 연결 포트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착신 표시 장치에서의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은 도 1에서의 이동 통신 전화기(10)의 외부 연결 포트에 접속 가능한 연결 포트(22)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포트(22)는 적어도 접지 단자(22a), 전원 단자(22b) 및 링 인디케이터 단자(22c)를 포함하고 있다.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을 이동 통신 전화기(10)에 부착하는 경우, 접지 단자(22a), 전원 단자(22b) 및 링 인디케이터 단자(22c)는 이동 통신 전화기(10)의 외부 연결 포트의 대응하는 접지 단자, 전원 단자 및 링 인디케이터 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접지 단자(22a)는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에 그라운드를 제공하며, 전원 단자(22b)는 이동 통신 전화기(10)의 전원부로부터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링 인디케이터 단자(22c)는 이동 통신 전화기(10)로 호출 신호가 있는 경우 링 인디케이터 신호를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은 또한 링 인디케이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착신 신호를 생성하는 착신 신호 생성부(24)를 포함한다. 착신 신호생성부(24)에는 링 인디케이터 신호 검출기(24a), 고유 ID 번호 발생기(24b), 착신 신호 생성 수단(24c) 및 변조기(24d)가 구비되어 있다. 우선 이동 통신 전화기(10)로 호출 신호가 착신되어 링 인디케이터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링 인디케이터 선호 검출기(24a)는 링 인디케이터 신호를 검출한다. 링 인디케이터 신호가 검출된 경우 고유 ID 번호 발생기(24b)는 착신 표시 장치의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과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30)에 공통으로 저장되어 있는 고유 ID 번호 (unique identification number)를 출력하고, 착신 신호 생성 수단(24c)은 이를 기초로 하여 착신 신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착신 신호에는 각 착신 표시 장치 고유의 ID 번호가 반영되어 있다. 이어서, 변조기(24c)는 예를 들어, FSK 방식 등을 사용하여 착신 신호를 변조한다.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은 또한 증폭단(26)을 포함한다. 증폭단(26)은 착신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착신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28)를 통하여 송신한다.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은 그밖에 전원부를 포함한다 (도시 생략). 전원부는 이동 통신 전화기(10)로부터의 전원의 전압이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의 동작전압과 다른 경우, 이동 통신 전화기(10)로부터의 전원의 전압을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의 각 부분의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부분으로 전원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신 표시 장치에서의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30) 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30)이 안테나(31)를 통하여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복조기(32)는 수신된 착신 신호를 복조한다. 이어서, 복조된 신호는 디코더/비교기부(34)로 입력된다. 또한, 디코더/비교기부(34)에는 고유 ID 번호 저장부 (35)로부터 고유 ID 번호가 입력된다. 여기서의 고유 ID 번호는 위에서 설명한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에서의 고유 ID 번호와 동일한 번호이다. 디코더/비교기부 (34)는 복조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그 디코딩된 신호 내에 포함되는 고유 ID 번호와 고유 ID 번호 저장부(35)로부터의 고유 ID 번호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양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코더/비교기부(34)는 출력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만일 비교 결과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코더/비교기부(34)는 출력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착신 표시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30)은 또한 출력 신호 선택 수단(36)을 포함하는데, 출력 신호 선택 수단(36)은 디코더/비교기부(34)로부터 출력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예를 들어, 진동기(37a), 램프 점멸기(37b), 스피커(37c) 등 다수의 출력 신호 표시 수단중 하나를 구동한다. 출력 신호 선택 스위치(38)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출력 신호 표시 수단(37a, 37b, 37c)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디코더/비교기부 (34)로부터 출력 신호 선택 수단(36)으로 출력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출력 신호 표시 수단(37a, 37b, 37c)중 사용자가 출력 신호 선택 스위치(38)를 통해 선택한 하나의 수단, 예를 들어, 진동기(37a)가 구동되어, 사용자에게 호출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게 된다.
도 4a, 4b, 4c는 본 고안에 따른 착신 표시 장치에서의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의 예시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소정의 칩을 사용하며, 링 인디케이터 검출 신호(RING_DET)를 수신하여 ID 출력 신호(ID-OUT)를 생성하는 회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b는 ID 출력 신호(ID_OUT)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증폭단과 안테나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c는 착신 신호 송신 수단(20)의 전원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착신 신호 송신 수단은 이동 통신 전화기로부터 3.6 V의 전압(3.6V_IN)을 받아서 3.0 V의 내부 전압(TX-3V)을 생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 5a, 5b, 5c에 도시한 회로는 예시적인 것이며, 위에서 설명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구성의 회로도 얼마든지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a, 5b, 5c, 5d, 5e은 본 고안에 따른 착신 표시 장치에서의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30)의 예시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안테나를 통해 착신 신호를 수신하여 FSK 출력 신호(FSK_OUT)를 생성하는 회로 구성의 일례이고, 도 5b는 FSK 출력 신호(FSK_OUT)를 입력받아 진동기 구동 신호(VIB_CON), 램프 점멸 구동 신호(LED_CON) 등을 생성하는 회로 구성의 일례이다. 도 5c는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30)의 전원부를 나타내는 회로의 일례로서,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30)은 그 전원으로서 1.5V의 일반형 배터리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d 및 5e는 도 3에서의 진동기(36a), 램프 점멸기(36b)의 회로 구성의 예를 각각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 통신 전화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를 분리형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끄러운 장소에 있거나, 이동 통신 전화기를 핸드백 등의 속에 넣고 있는 경우에도 분리형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에 의해 호출 신호가 도착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착신 신호 송신 수단은 이동 통신 전화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애프터 마켓에서 착신 표시 장치를 구입하여 기존의 이동 통신 전화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이동 통신 전화기의 착신 표시 신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착신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전화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이동 통신 전화기로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착신 신호를 생성해 송신하는 착신 신호 송신 수단, 및
    상기 착신 신호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착신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 표시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분리형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 송신 수단은
    상기 이동 통신 전화기의 외부 연결 포트에 접속 가능하며, 적어도 링 인디케이터 단자를 포함하는 연결 포트,
    상기 링 인디케이터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전화기로 상기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전화기로부터 전달되는 링 인디케이터 신호를 검출하는 링 인디케이터 신호 검출기,
    상기 착신 신호 송신 수단과 상기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장치에 공통인 고유 ID 번호를 생성하는 고유 ID 번호 발생기, 및
    상기 링 인디케이터 신호 검출기에 의해 상기 링 인디케이터 신호가 검출된때, 상기 고유 ID 번호 발생기에서 생성된 상기 고유 ID 번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착신 신호를 생성하는 착신 신호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 송신 수단은
    상기 착신 신호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착신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 및
    상기 변조기에 의해 변조된 상기 착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표시 장치.
  4. 제2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착신 신호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착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기,
    상기 고유 ID 번호 발생기에 의해 생성되는 ID 번호와 동일한 ID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고유 ID 번호 저장부,
    상기 복조된 착신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신호 내에 포함되는 고유 ID번호와 상기 고유 ID 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ID 번호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 출력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비교기부, 및
    상기 출력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출력 신호 표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표시 수단은
    적어도 진동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출력 신호 표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착신 표시 신호 생성 수단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다수의 출력 신호 표시 수단중 하나를 사전에 설정하는 출력 신호 선택 스위치, 및
    상기 디코더/비교기로부터의 상기 출력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출력 신호 선택 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상기 다수의 출력 신호 표시 수단 중 하나의 출력 신호 표시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출력 신호 선택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표시 장치.
KR2019990021245U 1999-09-29 1999-10-04 착신 표시 장치 KR200179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245U KR200179154Y1 (ko) 1999-09-29 1999-10-04 착신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862A KR20000000193A (ko) 1999-09-29 1999-09-29 착신 표시 장치
KR2019990021245U KR200179154Y1 (ko) 1999-09-29 1999-10-04 착신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862A Division KR20000000193A (ko) 1999-09-29 1999-09-29 착신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154Y1 true KR200179154Y1 (ko) 2000-04-15

Family

ID=2663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245U KR200179154Y1 (ko) 1999-09-29 1999-10-04 착신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1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4417B1 (en) Call alerting auxiliary device for a portable radiotelephone
JPH09331577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またはその着信報知装置
KR200179154Y1 (ko) 착신 표시 장치
KR19990007744A (ko) 핸드폰 착신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00193A (ko) 착신 표시 장치
JP2518525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6195421B1 (en) Caller ID device with a power saving function
KR100286129B1 (ko) 음주측정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JP2009104357A (ja) 危険連絡通報装置
JP3925430B2 (ja) 電話装置
JP2609667B2 (ja) 無線電話装置
KR200235580Y1 (ko) 이동전화용무선핸즈프리(송.수신기)세트
JP4207057B2 (ja) 電話装置
KR200323771Y1 (ko) 이동통신 휴대폰의 무선 착신 장치
KR100532291B1 (ko)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JPH03117225A (ja) 捜査方法及び捜査装置
JPH0265415A (ja) 電池電圧表示装置
KR100317812B1 (ko) 휴대용무선이동통신기기의도난방지와원격착신표시장치및그제어방법
JP3414246B2 (ja) 通信装置
KR20000056688A (ko) 이동 전화 단말기의 에티켓 모드 설정 장치
JP2958854B2 (ja) ダイアラ機能付きページング受信機
GB2316789A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501913B1 (ko) 휴대전화 수신 알림 장치
JP2818567B2 (ja) 携帯電話機
KR100271600B1 (ko) 보조호출장치를가지는무선호출수신기및그데이터구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