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096Y1 -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096Y1
KR200179096Y1 KR2019990026773U KR19990026773U KR200179096Y1 KR 200179096 Y1 KR200179096 Y1 KR 200179096Y1 KR 2019990026773 U KR2019990026773 U KR 2019990026773U KR 19990026773 U KR19990026773 U KR 19990026773U KR 200179096 Y1 KR200179096 Y1 KR 200179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ed glass
glass door
pair
locking devi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수
Original Assignee
김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수 filed Critical 김강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강화유리도어의 중앙부에 설치된 개폐키의 작동에 따라, 일측 강화유리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홀딩판이, 강화유리도어를 로킹 및 해제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잠금장치를 용이하게 로킹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 및 바닥면에 힌지 결합되는 각 외측단부를 중심으로, 각 중앙측 단부가 선회되면서 개폐되는 좌우 한 쌍의 강화유리도어(710)(720)와; 상기 좌우측 강화유리도어(710)(720)의 경계부 실내외측 면에 각각 밀착되는 로킹위치와 이 로킹위치로부터 상기 좌측 강화유리도어(710)의 실내외측 면으로 각각 이동된 해제위치 사이를 왕복 할 수 있도록, 케이스(810)(820) 내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좌측 강화유리도어(710) 실내외측 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홀딩판(610)(620)과; 개폐키의 작동에 따라 상기 홀딩판(610)(620)을 좌우측으로 전후진시켜 상기 강화유리도어(710)(720)가 로킹 및 해제되도록 하는 구동부(50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Locking Device for Strengthened Glass Door}
본 고안은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강화유리도어의 중앙부에 설치된 개폐키의 작동에 따라, 일측 강화유리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홀딩판이, 강화유리도어를 로킹 및 해제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잠금장치를 용이하게 로킹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의 현관이나 상가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된 강화유리도어는 그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금속보강판이 고정 설치되며, 이 금속보강판들의 각 일측단부가 건물 바닥 및 도어프레임에 힌지로 설치됨으로써, 강화유리도어가 일측단부를 기준으로 선회되면서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 금속보강판에는, 도어를 록킹시키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잠금장치는 키뭉치의 키홀이 실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키뭉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노브가 실내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실외에서는 개폐키의 작동에 의해서 잠금장치가 절환작동되고 실내측에서는 상기 노브의 작동에 의해 잠금장치가 절환작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는 강화유리도어의 상하단부에 설치됨으로써, 하단 잠금장치를 작동시키고자 할 때마다 사용자가 몸을 심하게 구부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키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받침대없이 상단 잠금장치를 작동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는, 잠금장치의 로킹바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재를 도어의 상측과 하측에 별도로 설치하기 위하여 하며, 이를 위하여 시멘트 바닥에 일정크기의 홈을 형성시켜야 하는 등 그 시공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강화유리도어의 중앙부에 설치된 개폐키의 작동에 따라, 일측 강화유리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홀딩판이, 한 쌍의 강화유리도어 사이의 내외측에 걸쳐지는 로킹위치와 일측 강화유리도어의 내외측에 위치하는 해제위치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잠금장치를 용이하게 로킹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의 시공을 단순화하여 그 설치에 필요한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0:구동부, 502:키뭉치, 502a:키홀, 504:회동막대, 506:노브, 510,520:운동절환바, 514,524:연결바, 710,720:강화유리도어, 610,620:홀딩판, 810,820:케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 및 바닥면에 힌지 결합되는 각 외측단부를 중심으로, 각 중앙측 단부가 선회되면서 개폐되는 좌우 한 쌍의 강화유리도어와; 상기 좌우측 강화유리도어의 경계부 실내외측 면에 각각 밀착되는 로킹위치와 이 로킹위치로부터 상기 좌측 강화유리도어의 실내외측 면으로 각각 이동된 해제위치 사이를 왕복 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좌측 강화유리도어 실내외측 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홀딩판과; 개폐키의 작동에 따라 상기 홀딩판을 좌우측으로 전후진시켜 상기 강화유리도어가 로킹 및 해제되도록 하는 구동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키홀이 실외측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그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강화유리도어를 관통하는 회동막대의 선단에는 실내측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노브가 고정 연결되는 키뭉치와; 상기 키뭉치의 회동막대가 회동됨에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선회되도록, 각 일단부가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실내외측에서 각각 상기 회동막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운동절환바; 그리고, 상기 각 운동절환바의 원호운동에 따라, 상기 각 홀딩판을 왕복시켜 상기 강화유리도어를 로킹 및 해제시키도록, 상기 각 홀딩판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각 운동절환바의 타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홀이 각각 천공되는 한 쌍의 연장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강화유리도어(710)(720)에 한 쌍의 홀딩판(610)(620)과 구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강화유리도어(710)(720)는 각각의 외측단부가 상측 도어프레임 및 바닥면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그 중앙측 단부가 원호를 그리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홀딩판(610)(620)은, 상기 강화유리도어(710)(720)의 경계부 실내외측 면에 각각 밀착되는 로킹위치와, 상기 로킹위치로부터 상기 강화유리도어(710) 측으로 각각 이동된 해제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케이스(810)(820) 내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강화유리도어(710) 실내외측 면에 각각 밀착되게 설치된다. 도면번호 722는 보강판이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홀딩판(610)(620)의 후방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810)(820) 내에 삽입되어, 개폐키의 작동에 따라 상기 홀딩판(610)(620)을 각각 전후진시킴으로써 상기 강화유리도어(710)(720)를 로킹 및 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막대(504)를 갖는 키뭉치(502), 한 쌍의 운동절환바(510)(520), 연결바(514)(5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키뭉치(502)는 그 키홀(502a)이 실외측 케이스(8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키뭉치(502)의 후방에 연장되는 회동막대(504)는 상기 강화유리도어(710)에 천공시킨 홀(710)을 관통한 후 실내측 케이스(82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노브(506)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각 운동절환바(510)(520)는 상기 강화유리도어(710)의 실내외측에서 각각 상기 회동막대(504)에 수직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막대(504)가 정역방향으로 자전됨에 따라 운동절환바(510)(520)가 각각 원호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연결바(514)(524)는, 상기 각 홀딩판(610)(620)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각 연결바(514)(524)의 중앙부에는 관통홀(514a)(524a)이 천공되고, 이 관통홀(514a)(524a)에 운동절환바(510)(520)의 각 타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각 운동절환바(510)(520)의 원호운동에 따라, 상기 각 홀딩판(610)(620)이 강화유리도어(710)(720)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로킹위치와, 상기 각 홀딩판(610)(620)이 좌측 강화유리도어(710)의 실내외측면에 위치하는 해제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홀딩판(610)(620)이 좌측 강화유리도어(710)에 설치된 케이스(810)(820) 내부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강화유리도어(710)(720)를 상호 홀딩하여 주는 부재가 없으므로, 상기 강화유리도어(710)(720)는 각각 힌지 결합된 외측단부를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개폐 가능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실외측에 있는 사용자가 상기 개폐키를 키뭉치(502)의 키홀(502a)에 삽입시켜 로킹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회동막대(50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각 운동절환바(510)(520)가 반시계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선회하게 됨으로써, 상기 각 홀딩판(610)(620)이 좌우측 강화유리도어(710)(720) 사이의 경계부까지 우측 강화유리도어(720) 측으로 이동하여 그 경계부 실내외측면에 각각 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케이스(810)(820)로부터 돌출 이동된 한 쌍의 홀딩판(610)(620)이 좌우측 강화유리도어(710)(720)의 경계부 내외측면에 각각 밀착됨으로써, 상기 강화유리도어(710)(720)의 회동 개폐가 억제되게 되어 상기 강화유리도어(710)(720)가 로킹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케이스(810)(820)가 좌측 강화유리도어(710)에 강하게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왕복 이동되는 좌우측 강화유리도어(710)(720)가 각각의 케이스(810)(820) 내부에서 항상 강하게 홀딩되도록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각 연결바(514)(524)의 마주보는 면을 보강막대로 고정 연결시키고, 이 보강막대가 좌측 강화유리도어(710)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홀딩판(610)(620)과 함께 왕복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강화유리도어(710)에 장홀을 천공하는 구성이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키를 상기 키뭉치(502)의 키홀(502a)에 삽입시켜 해제방향으로 작동시키면, 회동막대(504), 운동절환바(510)(520) 및 연결바(514)(524)가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동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홀딩판(610)(620)이 강화유리도어(710)(720) 사이의 경계부 내외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각각 케이스(810)(820)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강화유리도어(710)(720)의 로킹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사용자가 실내측에서 상기 노브(506)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작동에 의하여 상기 좌우측 강화유리도어(710)(720)가 로킹 및 해제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이 기계적인 키뭉치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중 키뭉치부분을 기존의 수신센서, 전자제어부, 엑추에이터 등으로 이루어진 전자식 키장치로 대치함으로써, 전자키에 의한 자동 잠금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에 따르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강화유리도어의 중앙부에 설치된 개폐키의 작동에 따라, 일측 강화유리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홀딩판이, 한 쌍의 강화유리도어 사이의 내외측에 걸쳐지는 로킹위치와 일측 강화유리도어의 내외측에 위치하는 해제위치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잠금장치를 용이하게 로킹 및 해제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잠금장치의 설치를 위하여 바닥면과 상측 도어프레임에 별도의 홀을 뚫지 않아도 되므로 그 시공을 위한 인력과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상기 잠금장치의 구동부를 공지된 기계식 로킹장치나 카드식 로킹장치 또는 암호버튼식 로킹장치로 대치하는 등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도어프레임 및 바닥면에 힌지 결합되는 각 외측단부를 중심으로, 각 중앙측 단부가 선회되면서 개폐되는 좌우 한 쌍의 강화유리도어와;
    상기 좌우측 강화유리도어의 경계부 실내외측 면에 각각 밀착되는 로킹위치와 이 로킹위치로부터 상기 좌측 강화유리도어의 실내외측 면으로 각각 이동된 해제위치 사이를 왕복 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좌측 강화유리도어 실내외측 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홀딩판과;
    개폐키의 작동에 따라 상기 홀딩판을 좌우측으로 전후진시켜 상기 강화유리도어가 로킹 및 해제되도록 하는 구동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키홀이 실외측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그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강화유리도어를 관통하는 회동막대의 선단에는 실내측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노브가 고정 연결되는 키뭉치와;
    상기 키뭉치의 회동막대가 회동됨에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선회되도록, 각 일단부가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실내외측에서 각각 상기 회동막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운동절환바; 그리고,
    상기 각 운동절환바의 원호운동에 따라, 상기 각 홀딩판을 왕복시켜 상기 강화유리도어를 로킹 및 해제시키도록, 상기 각 홀딩판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각 운동절환바의 타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홀이 각각 천공되는 한 쌍의 연장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KR2019990026773U 1999-08-31 1999-12-01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KR20017909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279U KR200173256Y1 (ko) 1999-08-31 1999-08-31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279U Division KR200173256Y1 (ko) 1999-08-31 1999-08-31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096Y1 true KR200179096Y1 (ko) 2000-04-15

Family

ID=195868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279U KR200173256Y1 (ko) 1999-08-31 1999-08-31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KR2019990026773U KR200179096Y1 (ko) 1999-08-31 1999-12-01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279U KR200173256Y1 (ko) 1999-08-31 1999-08-31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325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331B1 (ko) * 2018-02-01 2019-07-24 허성범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256Y1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66088A1 (en) Mortise lock having double locking function
US11359408B2 (en) Indicator-type door lock
JP2007510077A (ja) 制御可能なハンドル操作を備えたドア・ロック
EA008821B1 (ru) Поворотно-откидное окно
KR20010101465A (ko) 모르티스 록크용 레버 핸들 제어기
KR101012498B1 (ko) 레버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200179096Y1 (ko)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SE544846C2 (en) Automatic bolt lock device with blocking member and magnet, and system
KR200399410Y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100544963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0667446B1 (ko) 차량의 도어래치구조
KR100380836B1 (ko) 잠금장치
KR100581520B1 (ko)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JP4953397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180024584A (ko) 디지털 푸쉬 풀 도어락
JP2007056470A (ja) 窓構造
KR101103385B1 (ko) 창문회전손잡이
CA3064591C (en) Side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496162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0263875Y1 (ko) 도어래치 연결장치
KR200417007Y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100576778B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0038159A (ko)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KR200476404Y1 (ko) 강화유리문의 도어록 장치
AU2003203786B2 (en) A Lock for a Casement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