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385B1 - 창문회전손잡이 - Google Patents

창문회전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385B1
KR101103385B1 KR1020090071142A KR20090071142A KR101103385B1 KR 101103385 B1 KR101103385 B1 KR 101103385B1 KR 1020090071142 A KR1020090071142 A KR 1020090071142A KR 20090071142 A KR20090071142 A KR 20090071142A KR 101103385 B1 KR101103385 B1 KR 101103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fixing member
fixing
handl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601A (ko
Inventor
이장근
Original Assignee
이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근 filed Critical 이장근
Priority to KR102009007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3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회전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틀에 고정되는 손잡이틀 일측에 마련되는 자력부재와, 회전손잡이의 회전판 일측에 마련되는 자력부재가 마련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편리하고, 작동이 쉽도록 하는 창문회전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은 창문틀에 고정되어 구비된 손잡이틀; 상기 손잡이틀의 외면 중앙에 위치된 결착고정판; 상기 결착고정판의 중앙에 형성된 결착통공에 결합된 회전손잡이부; 상기 회전손잡이부의 선단에 위치되어 상기 결착고정판과 결합되는 손잡이회전판이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창문, 손잡이, 회전손잡이, 자석, 자력

Description

창문회전손잡이{WINDOW ROTATION HANDLE}
본 발명은 창문회전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틀에 고정되는 손잡이틀 일측에 마련되는 자력부재와, 회전손잡이의 회전판 일측에 마련되는 자력부재가 마련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편리하고, 작동이 쉽도록 하는 창문회전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물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창문을 개페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그러나 외출하거나 야간에 취침할 경우에는 도난방지를 위하여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창문의 잠금장치로는 양측 창문이 핀에 의해 요동되지 않도록 하는 핀결합형, 창문의 틀에 걸려지도록 하는 걸이체결형, 미닫이 창문에서 양측 창이 열러지는 정도가 정하여 지도록 하는 블록걸림구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하여 창문의 잠금장치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열려질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개방-잠금용 회전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손잡이는 대부분 축봉에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돌기 또는 홈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력을 받는 탄성지지체가 마련되어, 회전손잡이의 회전각도에 따라 탄성스프링 및 탄성지지체의 힘에 의하여 돌기 또는 홈에 끼워지거나 체결되어 잠금상태 또는 해지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창문 잠금해지 구조에 의하면, 다수의 부재가 마련되어, 하나의 부재가 손상되면 작동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특히 탄성스프링이 녹슬거나 오랜 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탄성력이 약하게 되면, 잠금 또는 해지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많은 작동부재가 있어야 하고,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수리에도 상당한 곤란한 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문틀에 고정되는 손잡이틀 일측에 마련되는 자력부재와, 회전손잡이의 회전판 일측에 마련되는 자력부재가 마련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편리하고, 작동이 쉽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자력의 극성을 달리하여 실시할 경우에는 다양한 작동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등 전체 구조는 바뀌지 않고 작동에 따른 부재만 달리하여 다양하게 작동되도록 할 수 있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이에 더하여 간단한 구조 및 변형이 용이하여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잠금 및 해지 구조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여,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문회전손잡이는, 창문틀(11)에 고정되어 구비된 손잡이틀(12); 상기 손잡이틀(12)의 외면 중앙에 위치된 결착고정판(13);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중앙에 형성된 결착통공(14)에 결합된 회전손잡이부(15); 상기 회전손잡이부(15)의 선단에 위치되어 상기 결착고정판(13)과 결합되는 손잡이회전판(16)이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결착고정판(13)과 상기 손잡이회전판(16)은 비철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일측 또는 다수 곳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1)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회전판(16)의 대향되는 다수 곳에 복수 개의 회전결착부재(3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21) 또는 회전결착부재(31)는 철재, 자석,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 중 어느 한 가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상측과 하측에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회전판(16)의 상측과 하측에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가 구비되며, 상기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는 철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는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상측과 하측에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회전판(16)의 상측과 하측에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가 구비되며, 상기 상고정부재(22)와 상결착부재(32)는 서로 다른 극성의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고정부재(23)와 하결착부재(33)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되며, 상기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되고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된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상측과 하측에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 재(23)가 구비되고, 좌측과 우측에 좌고정부재(24)와 우고정부재(25)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회전판(16)의 상측과 하측에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가 구비되고, 상기 상고정부재(22), 하고정부재(23), 좌고정부재(24), 우고정부재(25)는 서로 같은 극성의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되며, 상기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는 서로 같은 극성으로 되고, 상기 상고정부재(22), 하고정부재(23), 좌고정부재(24), 우고정부재(25)와 다른 극성으로 된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창문틀에 고정되는 손잡이틀 일측에 마련되는 자력부재와, 회전손잡이의 회전판 일측에 마련되는 자력부재가 마련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편리하고, 작동이 쉽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자력의 극성을 달리하여 실시할 경우에는 다양한 작동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등 전체 구조는 바뀌지 않고 작동에 따른 부재만 달리하여 다양하게 작동되도록 할 수 있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간단한 구조 및 변형이 용이하여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잠금 및 해지 구조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여,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방향작동형 창문회전손잡이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방향작동형 창문회전손잡이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작동형 창문회전손잡이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작동형 창문회전손잡이에 대한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창문회전손잡이(1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틀(11)에 고정되어 구비된 손잡이틀(12), 그리고 손잡이틀(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부분이 함께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창문회전손잡이(10)는 창문틀(11)에 고정되게 설치된 손잡이틀(12)에 대하여 손잡이 부분을 회전시킴으로써, 창문이 열릴 수 있거나 또는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 일예로 본 발명의 발명자가 선행 발명하여 특허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 제0870117호(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에서와 같이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선행발명에 의하면 두 개가 한 벌로 되는 미닫이 창문 양측의 겹쳐지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레일(500)을 따라 이동되는 걸림구(510)가 블럭(520)에 고정설치되고, 창문틀(530)에 고정설치된 손잡이(540)를 회동시키면 회전축(550)의 회동으로 와이어(560)가 당겨지면서 레일(500)로부터 걸림구(510)가 이탈될 수 있어, 창문을 열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창문틀에 고정설치되는 손잡이틀에 대하여 손잡이를 회동시키면 함께 연동되는 회전축에 의하여 창문을 열 수 있거나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창문회전손잡이는 다양한 방식의 창문 또는 출입문 잠금장치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예로 들은 선행발명(대한민국 특허 제0870117호)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선행발명을 비롯하여 다양하게 창문 또는 출입문 잠금장치로 활용이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회전손잡이(1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손잡이틀(12)의 외면 중앙에 위치된 결착고정판(13)이 구비되는 것으로, 주로 비철금속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중앙에 형성된 결착통공(14)에 결합된 회전손잡이부(15)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부(15)의 선단에 위치되어 상기 결착고정판(13)과 결합되는 손잡이회전판(16)이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결착고정판(13)과 상기 손잡이회전판(16)은 비철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주로 알루미늄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수지재, 기타 금속에서도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채용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일측 또는 다수 곳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1)가 구비되고, 상기 결착고정판(13)에 구비된 일측 또는 다수 곳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1)에 대향토록 손잡이회전판(16)의 일측 또는 다수 곳에 복수 개의 회전결착부재(31)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재(21) 또는 회전결착부재(31)는 철재, 자석,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 등이 포함되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자석의 종류로는 페라이트자석(소결자석), Alnico자석(주조자석, 소결자석), 네오디움자석, 회토류자석, 고무자석, 플라스틱자석 등이 있으며, 이러한 자석류가 포함되어 고정부재(21) 또는 회전결착부재(31) 등이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결착고정판(13)과 손잡이회전판(16)의 결착상태가 양호하도로 하기 위하여 고정부재(21) 또는 회전결착부재(31)에 적용되는 자석이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 등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기 결착고정판(13)에 위치되는 고정부재(21)는 결착고정판(13)의 상측과 하측, 그리고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 그리고 좌고정부재(24)와 우고정부재(25) 등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수의 고정부재(21)와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기 손잡이회전판(16)의 회전결착부재(31)로는 상측과 하측에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손잡이(15)를 회전시키게 되면 손잡이회전판(16)도 함께 회전되나, 이러한 손잡이회전판(16)과 밀착되어 있는 결착고정판(13)은 손잡이틀(12)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손잡이회전판(16)의 회전결착부재(31)가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어, 결착고정판(13)에 마련된 다수의 고정부재(21) 에 차례로 겹쳐지면서 자력에 의하여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회전손잡이(15)가 손잡이틀(12)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회전손잡이(10)의 개별 실시예 및 이러한 개별 실시예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내지 도 3 등에서는 이방향작동형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손잡이회전판(16)에 회전결착부재(31)가 상하와 같이 서로 회전축(17)에 대하여 대향되는 방향으로 하여,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로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와 대응되어 결착고정판(13)에 마련되는 고정부재(21)가 상하 방향으로 결착통공(14)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위치됨을 예로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이방향작동형 창문회전손잡이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의 분해사시도에서와 같이, 창문틀(11)에 고정된 손잡이틀(12)의 중앙으로 결착고정판(13)이 위치되고, 결착고정판(13)의 중앙에는 결착통공(14)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결착고정판(13)에 마련된 고정부재(21)는 상부와 하부로 각각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로 하여 마련된다. 또한 결착고정판(13)의 외부로는 손잡이회전판(16)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결착단턱(121)이 마련되어, 손잡이회전판(16) 및 회전손잡이(15)가 쉽게 결합되도록 하면서, 회전손잡이(15) 회동시 손잡이회전판(16)이 틀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방향작동형 창문회전손잡이의 실시예에서는, 결착고정판(13)의 고정부재(21)가 상하측의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로 되고, 손잡이회전판(16)의 회전결착부재(31)가 상하측의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로 되기 때문에, 손잡이틀(12)에 대하여 회전손잡이(15)가 도 1에서와 같이 아래측 방향으로 향하던가, 아니면 도 2에서와 같이 상측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상방향과 하방향의 이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실시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상측과 하측에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회전판(16)의 상측과 하측에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가 구비되는 이방향작동형의 창문회전손잡이(10)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는 철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는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의 초강력의 자력에 의하여 철재질의 상고정부재(22) 또는 하고정부재(23)와 결착되게 된다.
또한 이방향작동형의 창문회전손잡이(10)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고정부재(22)와 상결착부재(32)는 서로 다른 극성의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고정부재(23)와 하결착부재(33)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되고 상기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되고 마찬가지로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된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고정부재(22)와 상결착부재(32)는 서로 당기는 자력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하고정부재(23)와 하결착부재(33)도 서로 당기는 자력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회전손잡이(15)가 아래로 향해 있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상태가 된다.
반면 도 2에서와 같이 회전손잡이(15)를 상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고정부재(22)와 하결착부재(33)가 같은 극성을 갖고, 또한 하고정부재(23)와 상결착부재(32)가 같은 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서로 밀어내려하는 자력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2와 같이 회전손잡이(15)를 상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회동시키려는 힘이 있는 상태에서는 회전손잡이(15)가 상측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나, 사용자가 손을 떼면, 회전손잡이(15)는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각 부재의 밀어내려는 자력에 의하여 회전손잡이(15)가 하향으로 되도록 회동되게 된다.
그리하여 이처럼 실시되는 예에 의하면 하향에 있던 회전손잡이(15)를 상향으로 회동시키려는 힘만 작용하여 소기에 목적(예로 하면 잠금 일시 해제, 또는 일시 잠금유지 등과 같은 목적)을 달성한 후에는, 회전시키려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자동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복원에 대한 힘이 필요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삼방향작동형 창문회전손잡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7의 분해사시도의 예시에서와 같이,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상측과 하측에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가 구비되고, 좌측과 우측에 좌고정부재(24)와 우고정부재(25)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결착고정판(13)이 위치되는 손잡이틀(12) 부분에는 결착단턱(121)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함께 결합되는 회전손잡이(15)의 체결이 쉽도록 하고, 결합되는 손잡이회전판(16)이 회동시 요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회전판(16)의 상측과 하측에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상고정부재(22), 하고정부재(23), 좌고정부재(24), 우고정부재(25)는 서로 같은 극성의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는 서로 같은 극성으로 되고, 상기 상고정부재(22), 하고정부재(23), 좌고정부재(24), 우고정부재(25)와 다른 극성으로 된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예로 하면 상기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가 'S'극의 극성을 갖게 되면, 상기 상고정부재(22), 하고정부재(23), 좌고정부재(24), 우고정부재(25)는 반대극성인 'N'극의 극성을 갖게 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는 상고정부재(22), 하고정부 재(23), 좌고정부재(24), 우고정부재(25)와 항상 끌어당기는 힘의 자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 4에서처럼 회전손잡이(15)가 아래로 향하거나, 도 5에서처럼 좌측(또는 우측)으로 향하거나, 나아가 도 6에서처럼 상향으로 향해 있도록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각 상태에 따라 잠금 또는 해지 상태가 자유로이 변경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상고정부재(22), 하고정부재(23)는 서로 같은 극성으로 되고, 이에 상기 좌고정부재(24), 우고정부재(25)는 서로 같은 극성으로 되며, 상고정부재(22), 하고정부재(23)와, 좌고정부재(24), 우고정부재(25)는 서로 다른 극성의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로 하면,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가 'N'극의 극성을 갖게 되면, 좌고정부재(24)와 우고정부재(25)는 반대극인 'S'극의 극성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는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되고, 상기 좌고정부재(24), 우고정부재(25)와는 서로 같은 극성으로 된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에서와 같은 예로 하면,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는 'S'극의 극성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도 4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회전손잡이(15)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향하게 되면, 각 부재들이 서로 끌어당기는 자력에 의하여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되 고, 반면 도 5에서와 같이 회전손잡이(15)가 좌측(또는 우측)방향으로 향하게 되면, 각 부재들이 서로 밀어내는 자력의 힘에 의하여 안정적이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회전손잡이(15)를 사용자가 강제로 회동시켜 좌측(또는 우측)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일시적으로 잠금상태 또는 해지상태가 되도록 하고, 목적이 달성된 후 사용자가 회전손잡이(15)를 놓게 되면, 서로 밀어내려는 자력에 의하여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회전손잡이(15)가 회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도 4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상향이나 하향의 안정적인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방향작동형 창문회전손잡이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방향작동형 창문회전손잡이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작동형 창문회전손잡이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작동형 창문회전손잡이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창문개폐장치에 대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문회전손잡이 11 : 창문틀
12 : 손잡이틀 13 : 결착고정판
14 : 결착통공 15 : 회전손잡이
16 : 손잡이회전판 21 : 고정부재
31 : 회전결착부재

Claims (4)

  1. 창문틀(11)에 고정되어 구비된 손잡이틀(12);
    상기 손잡이틀(12)의 외면 중앙에 위치된 결착고정판(13);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중앙에 형성된 결착통공(14)에 결합된 회전손잡이부(15);
    상기 회전손잡이부(15)의 선단에 위치되어 상기 결착고정판(13)과 결합되는 손잡이회전판(16)이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결착고정판(13)과 상기 손잡이회전판(16)은 비철금속재로 구비되며,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일측 또는 다수 곳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1)가 구비되고,
    상기 결착고정판(13)에 구비된 일측 또는 다수 곳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1)에 대향토록 손잡이회전판(16)의 일측 또는 다수 곳에 복수 개의 회전결착부재(3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21) 또는 회전결착부재(31)는 철재, 자석,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 중 어느 한 가지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회전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상측과 하측에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회전판(16)의 상측과 하측에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가 구비되며,
    상기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는 철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는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회전손잡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상측과 하측에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회전판(16)의 상측과 하측에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가 구비되며,
    상기 상고정부재(22)와 상결착부재(32)는 서로 다른 극성의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고정부재(23)와 하결착부재(33)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되며,
    상기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되고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된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회전손잡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고정판(13)의 상측과 하측에 상고정부재(22)와 하고정부재(23)가 구비되고, 좌측과 우측에 좌고정부재(24)와 우고정부재(25)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회전판(16)의 상측과 하측에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가 구비되고,
    상기 상고정부재(22), 하고정부재(23), 좌고정부재(24), 우고정부재(25)는 서로 같은 극성의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되며,
    상기 상결착부재(32)와 하결착부재(33)는 서로 같은 극성으로 되고, 상기 상고정부재(22), 하고정부재(23), 좌고정부재(24), 우고정부재(25)와 다른 극성으로 된 초강력자석 또는 네오디움(NEODUIM)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회전손잡이.
KR1020090071142A 2009-08-03 2009-08-03 창문회전손잡이 KR101103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42A KR101103385B1 (ko) 2009-08-03 2009-08-03 창문회전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42A KR101103385B1 (ko) 2009-08-03 2009-08-03 창문회전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01A KR20110013601A (ko) 2011-02-10
KR101103385B1 true KR101103385B1 (ko) 2012-01-05

Family

ID=4377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142A KR101103385B1 (ko) 2009-08-03 2009-08-03 창문회전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58Y1 (ko) * 2010-09-03 2013-08-13 (주)엘지하우시스 틸트 앤드 턴 창호용 핸들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122A (ja) 2002-08-30 2004-03-25 Usc Corp 建物の開閉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122A (ja) 2002-08-30 2004-03-25 Usc Corp 建物の開閉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01A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6442B2 (ja) レールで案内される走行装置をロックするためのロック装置
US8540292B2 (en) Reversible magnetic door stop/latch
US8308204B2 (en) Window securing means and methods
CN108868376B (zh) 装设于双扇门的锁具构造
JP5114407B2 (ja) 窓固定の手段および方法
KR101744888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1103385B1 (ko) 창문회전손잡이
EP1950370A1 (en) Locking device for door and window shutters and the like
JP4548267B2 (ja) 電磁ロック付き引戸装置
JP7096088B2 (ja) 開閉可能な減圧用開口を備えたドア及び減圧用パネルラッチ装置
KR101136435B1 (ko) 창문용 손잡이 와이어 권취장치
WO2002004773A1 (en) Closure mechanism for doors and the like
JP4274882B2 (ja) 開閉戸止め具
JP4453913B2 (ja) 自動扉の施錠装置
CN205297045U (zh) 锁闩的电控机构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200179096Y1 (ko)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JPH0453417Y2 (ko)
JPH1122350A (ja) デッドボルトによる施錠装置付門扉
KR101058948B1 (ko)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JP3005859B2 (ja) 施錠装置
KR200427188Y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JP4743632B2 (ja) ラッチ装置及びそのラッチ装置を備えた建具
KR20190036762A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JP2008082051A (ja) 電気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