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959Y1 -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959Y1
KR200178959Y1 KR2019990024433U KR19990024433U KR200178959Y1 KR 200178959 Y1 KR200178959 Y1 KR 200178959Y1 KR 2019990024433 U KR2019990024433 U KR 2019990024433U KR 19990024433 U KR19990024433 U KR 19990024433U KR 200178959 Y1 KR200178959 Y1 KR 200178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enter
central shaft
central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Original Assignee
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4868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42647B1/ko
Application filed by 한승호 filed Critical 한승호
Priority to KR2019990024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9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1.본 고안은 일방의 블록과 타방의 블록이 하나의 세트(set)로 이루어진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방의 블록과 타방의 블록에는, 원통형의 돌출부와 함몰공간부가 형성되고, 아울러 중심축 지지부와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중심축용 파이프가 구비되며, 이 중심축용 파이프는 유수로(流水路)와 배수공(排水孔)이 형성되며, 중심축 지지부의 상단부에는 유수로(流水路) 홈이 형성된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2.종래의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는, 일방의 블록들과 타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에서 여러개의 블록들이 수직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유지할 수 없었으며, 임의의 각도로 곡면 등 다양한 형태의 벽 구조물을 수직적으로 안정된 구조로 구축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블록 내부에 담긴 녹화식생용 토양에 물과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3.본 고안은 일방의 블록과 타방의 블록으로 된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에 있어서, 수직으로 쌓인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도록, 상기 일방의 블록의 하측의 중심부와 상기 타방의 블록의 하측의 중심부에는 각각 원통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일방의 블록의 상측의 중심부와 상기 타방의 블록의 상측의 중심부에는 각각 함몰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방의 블록과 상기 타방의 블록에는 각각 중심축 지지부가 형성되고, 아울러 이 중심축 지지부에는, 중심축용 파이프가 끼워져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는, 내부에 중공부(中空部)로서 유수로(流水路)가 형성되며 측방으로의 관통구멍으로서 배수공(排水孔)이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중심축 지지부의 상단부에는 유수로(流水路) 홈이 형성된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4.본 고안은, 임의의 각도로 곡면 등 다양한 형태로 구축된 녹화식생용 담장에서 수직으로 쌓인 구조가 안정적으로 '수직으로 쌓인 구조'로서 유지될 수 있으며, 녹화식생토양에 필요한 물과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를 용이하게 공급함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Wall Block Set for Planting}
본 고안은 일방의 블록과 타방의 블록이 하나의 세트(set)로 이루어진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방의 블록의 하측의 중심부와 타방의 블록의 하측의 중심부에는 각각 원통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가 상응하게 끼워지도록 일방의 블록의 상측의 중심부와 타방의 블록의 상측의 중심부에 각각 함몰공간부가 형성되고, 아울러 일방의 블록의 중심축부와 타방의 블록의 중심축부에는 중심축 지지부와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일방의 블록들과 타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에서 바로 인접하는 위쪽과 아래쪽의 블록들의 각각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된 중심축용 파이프가 구비되며, 이 중심축용 파이프는 중공부로서 유수로(流水路)가 형성되며, 아울러 이 중심축용 파이프는 측방으로 배수공(排水孔)이 형성되며, 일방의 블록과 타방의 블록의 각각의 중심축 지지부의 상단부에는 유수로(流水路) 홈이 형성되어, 일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타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일방의 블록들과 타방의 블록들이 서로 섞이어 수직으로 쌓인 구조가, 임의의 각도로 곡면 등 다양한 형태로 구축된 녹화식생용 담장에서 안정적으로 '수직으로 쌓인 구조'로서 유지될 수 있으며, 녹화식생토양에 필요한 물과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를 용이하게 공급함이 가능하도록 된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는, 도8a 내지 도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의 블록의 볼록부 및 오목부와, 이에 각각 상응하는 타방의 블록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각각 서로 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일방의 블록과 타방의 블록이 하나의 세트(set)로 이루어진 구성이었으나, 일방의 블록들과 타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에서 여러개의 블록들이 수직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유지할 수 없었으며, 블록 내부에 담긴 녹화식생용 토양에 물과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으로서, 특허 공고번호 97-1721인 발명의 명칭 '벽 블록 및 벽 구조물'은, 나란히 놓이고 서로 위로 쌓아 올려서 벽구조물을 형성하며, 몸통부는 평편한 상하면을 가지며 블록의 열은 서로 겹침으로써 각 블록은 한쌍의 인접블록에 핀으로 연결되는 구성이었음에 따라, 블록의 열은 서로 위로 겹쳐서 쌓아 올릴 수 있는 기술이었으나, 이러한 기술은 임의의 각도로 곡면 등 다양한 형태의 벽 구조물을 구축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블록 내부에 담긴 녹화식생용 토양에 물과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방의 블록과 타방의 블록으로 된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에 있어서,
일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타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일방의 블록과 타방의 블록이 서로 섞이어 수직으로 쌓인 구조가 각각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도록,
상기 일방의 블록의 하측의 중심부와 상기 타방의 블록의 하측의 중심부에는 각각 원통형의 돌출부가, 일방의 블록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 또는 타방의 블록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에 끼워져 그 중심축이 안정되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일방의 블록의 상측의 중심부와 상기 타방의 블록의 상측의 중심부에는, 각각 일방의 블록의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 또는 타방의 블록의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가 끼워져 그 중심축이 안정되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함몰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방의 블록과 상기 타방의 블록에는 각각 중심축 지지부가 형성되고, 아울러 이 중심축 지지부에는, 중심축용 파이프가 끼워져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는 그 일측이,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에서 바로 위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 또는 타방의 블록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에, 끼워져 설치되며 동시에,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의 타측이 이 일방의 블록 또는 이 타방의 블록의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 또는 타방의 블록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에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을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는, 내부에 중공부(中空部)로서 유수로(流水路)가 형성되며 측방으로의 관통구멍으로서 배수공(排水孔)이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중심축 지지부의 상단부에는 유수로(流水路) 홈이 형성된 구성에 의하여,
임의의 각도로 곡면 등 다양한 형태로 구축되는 녹화식생용 담장에서 일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타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일방의 블록들과 타방의 블록들이 서로 섞이어 수직으로 쌓인 구조가 안정적으로 '수직으로 쌓인 구조'로서 유지될 수 있으며, 녹화식생토양에 필요한 물과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를 용이하게 공급함이 가능하도록 된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a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일방의 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일방의 블록의 하측의 원통형의 돌출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1c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타방의 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1d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타방의 블록의 하측의 원통형의 돌출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1e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중심축용 파이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2a는 도1a의 A-A'선 횡단면도
도2b는 도1c의 B-B'선 횡단면도
도3a는 도1a의 C-C'선 종단면도
도3b는 도1a의 D-D'선 종단면도
도4a는 도1c의 E-E'선 종단면도
도4b는 도1c의 F-F'선 종단면도
도5a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일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축소 사시도
도5b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타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축소 사시도
도5c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일방의 블록들과 타방의 블록들이 섞이어 수직으로 쌓인 구조로서 구축된 담장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축소 사시도
도6a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일방의 블록과 타방의 블록이 섞이어 수직으로 쌓인 구조에 관한 원통형의 돌출부와 함몰공간부와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과 중심축용 파이프의 구성 및 작용 및, 물의 흐름에 관한, 중심축용 파이프와,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과, 유수로 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6b는 도6a의 M의 확대도
도7a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일방의 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7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타방의 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8a는 종래의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에서의 일방의 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8b는 종래의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에서의 타방의 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8c는 종래의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에 의하여 일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성을 보인 축소 사시도
도8d는 종래의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에 의하여 타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성을 보인 축소 사시도
도8e는 종래의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에 의하여 일방의 블록들과 타방의 블록들이 섞이어 수직으로 쌓인 구조로 구축된 담장의 구성을 보인 축소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일방의 블록, 10a:원호, 10b:가상의 원호, 10b- 1:일측의 원호,
10b-2:타측의 원호, 10c:중심, 10s:가상의 원주, 11:일측볼록부,
12:타측볼록부, 13:일측오목부, 14:타측오목부, 15:돌출부,
16:함몰공간부, 17:중심축 지지부, 20:타방의 블록, 20a:원호,
20b:가상의 원호, 20c:중심, 20s:가상의 원주, 21:볼록부, 22:오목부,
25:돌출부, 26:함몰공간부, 27:중심축 지지부, 30:중심축용 파이프,
30a:일측, 30b:타측, 31:유수로, 32:배수공,
100: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200:녹화식생 토양, h:일방의 블록의 높이 및 타방의 블록의 높이,
H: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 S:공간부, W:유수로 홈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은, 도1(도1a 내지 도1e) 내지 도6(도6a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의 블록(10)의 볼록부 및 오목부와, 이에 각각 상응하는 타방의 블록(20)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각각 서로 수평방향으로 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일방의 블록(10)과 타방의 블록(20)이 하나의 세트(set)로 이루어진 녹화식생용(綠化植生用) 담장 블록 세트(100) 중, 상기 일방의 블록(10)은, 그 횡단면이, 적절한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호(圓弧)(10a)로서 볼록부인, 일측볼록부(11)와, 타측볼록부(12)가, 서로 상기 원호(圓弧)(10a)의 중심(中心)(10c)에 대한 대칭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원호(圓弧)(10a)의 지름과 같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가상(假想)의 원주(圓周)(10s) 중 상기 일측볼록부(11)와 상기 타측볼록부(12)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인 가상(假想)의 원호(圓弧)(10b)인 일측의 원호(圓弧)(10b-1)와 타측의 원호(圓弧)(10b-2)가 상기 가상의 원주(圓周)의 중심(中心)(10c)쪽으로 반전(反轉)되어 상기 중심(中心)(10c)쪽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오목부인 일측오목부(13)와 타측오목부(14)가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10s)의 중심(中心)(10c)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방의 블록(20)은, 그 횡단면이,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원호(圓弧)(10a)의 지름과 같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호(圓弧)(20a)로서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일측오목부(13) 또는 상기 타측오목부(14)에 수평방향으로 접하여 접하는 부분(21a)이 끼워지도록 된 형상으로 볼록부(21)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일측볼록부(11) 또는 상기 타측볼록부(12)가 접하여 그 접하는 부분(11a) 또는 그 접하는 부분(12a)으로서 끼워지도록, 상기 원호(圓弧)(20a)의 지름과 같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가상(假想)의 원주(圓周)(20s) 중 상기 볼록부(2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가상(假想)의 원호(圓弧)(20b)가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20s)의 중심(中心)(20c)쪽으로 반전(反轉)되어 상기 중심(20c)쪽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오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일방의 블록(10)과 상기 타방의 블록(20)은 같은 높이(h)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녹화식생토양(綠化植生土壤)(200)을 담아둘 수 있도록 된 공간부(S)가 형성된 녹화식생용(綠化植生用) 담장 블록(block) 세트(set)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블록(10)들이, 상기 일방의 블록(10)들의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10s)의 중심(中心)(10c)이 수직인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상기 타방의 블록(20)들이, 상기 타방의 블록(20)들의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20s)의 중심(中心)(20c)이 수직인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상기 일방의 블록(10)과 상기 타방의 블록(20)이 서로 섞이어,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10s)의 중심(中心)(10c)과,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20s)의 중심(中心)(20c)이 수직인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쌓인 구조[이하,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을 총칭(總稱)하여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이라고 함]가 각각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도록,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하측의 중심부에는, 횡단면으로 상기 가상의 원주(10s)의 상기 중심(10c)과 같은 중심(10c)을 가지는 원통형의 돌출부(15)가, 그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16)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26)에 상응하여 끼워져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15)의 중심축이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하측의 중심부에는, 횡단면으로 상기 가상의 원주(20s)의 상기 중심(20c)과 같은 중심(20c)을 가지는 원통형의 돌출부(25)가, 그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16)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26)에 상응하여 끼워져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25)의 중심축이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측의 중심부로서 중심축 지지부(17)의 상방에는, 그 바로 위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하측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돌출부(15)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하측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돌출부(25)가 상응하여 끼워져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15)의 중심축 또는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25)의 중심축이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함몰공간부(16)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상측의 중심부로서 중심축 지지부(27)의 상방에는, 그 바로 위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하측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돌출부(15) 또는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하측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돌출부(25)가 상응하여 끼워져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15)의 중심축 또는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25)의 중심축이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함몰공간부(26)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중심축부와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중심축부에는, 상기 함몰공간부(16)(26)의 각각의 하방으로, 각각 중심축 지지부(17)(27)가 형성되고, 아울러 이 중심축 지지부(17)(27)에는, 중심축용 파이프(30)가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의 상기 일방의 블록(10)(들) 및/또는 상기 타방의 블록(20)(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를 유지하게 수평의 임의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도록, 그 중심축부에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이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는, 그 일측(30a)이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에서, 바로 위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에 끼워져 설치되며 동시에, 그 타측(30b)이, 이 일방의 블록(10) 또는 이 타방의 블록(20)의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에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을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는 그 길이(L)가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높이(h) (원통형 돌출부(15)의 높이가 포함되지 아니한 높이임) 즉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높이(h)(원통형 돌출부(25)가 포함되지 아니한 높이임)와 같은 크기이며, 다만 최하단의 위치에 있는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는 그 길이(L)가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높이(h)의 3/2 정도의 크기 즉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높이(h)의 3/2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는, 다른 실시예로서, 그 길이(L)가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높이(h)의 2배 이상의 정수배(整數倍)의 크기, 즉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높이(h)의 2배 이상의 정수배(整數倍)의 크기도 가능하며, 다만 이때에도 최하단의 위치에 있는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은 그 길이(L)가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높이(h)의 3/2 정도의 크기 즉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높이(h)의 3/2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와 상기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는 그 사이로 물이 흘러 내릴 수 있는 틈(T)이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와 상기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은 모두 원통형의 형상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가 원통형이고 상기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이 8각형통 등의 다각형통인 경우와,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가 8각형통 등의 다각형통이고 상기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이 원통형인 경우도 그 실시예로서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는, 상기 녹화식생 토양(200)에 필요한 물(水)과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를 공급함이 가능하게 물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내부에는 중공부(中空部)로서 유수로(流水路)(31)가 형성되며, 측방으로의 관통구멍으로서 배수공(排水孔)(32)이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녹화식생 토양(200)에 필요한 물과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를 공급함이 가능하게 물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심축 지지부(17)(27)의 각각의 상단부에는 유수로(流水路) 홈(W)이 상기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쪽으로부터 상기 공간부(S)쪽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32)은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의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크기로 적절한 갯수로서 형성되며, 그 크기와 그 갯수는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7a와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블록(10)과 타측의 블록(20)에는 그 바깥쪽면에 수직의 홈(300)이 소정의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반복적으로 다수개 형성된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면의 부호 중 미설명 부호 40은 배수공(排水孔)이고, 500은 잡석(雜石)다짐이다.
상기 구성의 본 고안의 작용은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은, 도1(도1a 내지 도1e) 내지 도7(도7a와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방의 불록(10)과 타방의 블록(20)이 하나의 세트(set)로 이루어진 녹화식생용(綠化植生用) 담장 블록 세트(100)가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을 구축함에서, 상기 일방의 블록(10)은, 그 횡단면이, 적절한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호(圓弧)(10a)로서 볼록부인, 일측볼록부(11)와, 타측볼록부(12)가, 서로 상기 원호(圓弧)(10a)의 중심(中心)(10c)에 대한 대칭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원호(圓弧)(10a)의 지름과 같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가상(假想)의 원주(圓周)(10s) 중 상기 일측볼록부(11)과 상기 타측볼록부(12)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인 가상(假想)의 원호(圓弧)(10b)인 일측의 원호(圓弧)(10b-1)와 타측의 원호(圓弧)(10b-2)가 상기 가상의 원주(圓周)의 중심(中心)(10c)쪽으로 반전(反轉)되어 상기 중심(中心)(10c)쪽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오목부인 일측오목부(13)와 타측오목부(14)가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10s)의 중심(中心)(10c)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방의 블록(20)은, 그 횡단면이,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원호(圓弧)(10a)의 지름과 같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호(圓弧)(20a)로서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일측오목부(13) 또는 상기 타측오목부(14)에 수평방향으로 접하여 접하는 부분(21a)이 끼워지도록 된 형상으로 볼록부(21)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일측볼록부(11) 또는 상기 타측볼록부(12)가 접하여 그 접하는 부분(11a)(즉, 상기 일측볼록부(11)의 일부 내지 상기 일측볼록부(11)의 전부로서 접하는 부분) 또는 그 접하는 부분(12a)(즉, 상기 타측볼록부(12)의 일부 내지 상기 타측볼록부(12)의 전부로서 접하는 부분)으로서 끼워지도록, 상기 원호(圓弧)(20a)의 지름과 같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가상(假想)의 원주(圓周)(20s) 중 상기 볼록부(2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가상(假想)의 원호(圓弧)(20b)가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20s)의 중심(中心)(20c)쪽으로 반전(反轉)되어 상기 중심(20c)쪽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오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일방의 블록(10)과 상기 타방의 블록(20)은 같은 높이(h)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녹화식생토양(綠化植生土壤)(200)을 담아둘 수 있도록 된 공간부(S)가 형성된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임에 따라,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일측볼록부(11) 또는 상기 타측볼록부(12)가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상기 오목부(22)에 접하여 그 접하는 부분(11a 또는 12a)이 끼워지며, 또한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일측오목부(13) 또는 상기 타측오목부(14)에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상기 볼록부(21)가 접하여 그 접하는 부분(21a)이 끼워지므로, 임의의 각도로 곡면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녹화식생용 담장 구조물의 구축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일방의 블록(10)들로 구축된 '수직으로 쌓인 구조'에서,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하측의 중심부에는, 횡단면으로 상기 가상의 원주(10s)의 상기 중심(10c)과 같은 중심(10c)을 가지는 원통형의 돌출부(15)가, 그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16)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26)에 상응하여 끼워져 그 중심축이 안정되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측의 중심부에는, 그 바로 위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하측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돌출부(15)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하측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돌출부(25)가 상응하여 끼워져 그 중심축이 안정되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인, 함몰공간부(16)가 형성되므로,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15)가 그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함몰공간부(16)에 끼워져 안정됨에 따라,
상기 일방의 블록(10)들이, 수평방향에서 임의의 방향을 향하여 구축되어도, 상기 일방의 블록(10)들의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10s)의 중심(中心)(10c)이 수직인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쌓인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다.
한편, 상기 타방의 블록(20)들로 구축된 '수직으로 쌓인 구조'에서,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하측의 중심부에는, 횡단면으로 상기 가상의 원주(20s)의 상기 중심(20c)과 같은 중심(20c)을 가지는 원통형의 돌출부(25)가, 그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16)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26)에 상응하여 끼워져 그 중심축이 안정되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상측의 중심부에는, 그 바로 위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하측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돌출부(15)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하측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돌출부(25)가 상응하여 끼워져 그 중심축이 안정되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함몰공간부(26)가 형성되므로,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25)가 그 바로 아래쪽 인접하는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상기 함몰공간부(26)에 끼워져 안정됨에 따라,
상기 타방의 블록(20)들이, 수평방향에서 임의의 방향을 향하여 구축되어도, 상기 타방의 블록(20)들의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20s)의 중심(中心)(20c)이 수직인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쌓인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다.
또한 한편, 상기 일방의 블록(10)(들)과 상기 타방의 블록(20)(들)이 서로 섞이어 구축된 '수직으로 쌓인 구조'에서,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하측의 중심부에는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15)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하측의 중심부에는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25)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측의 중심부에는 상기 함몰공간부(16)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상측의 중심부에는 상기 함몰공간부(26)가 형성되므로,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15) 및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25)가 각각 그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함몰공간부(16) 및/또는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상기 함몰공간부(26)에 끼워져 안정됨에 따라,
상기 일방의 블록(10)(들) 및 상기 타방의 블록(20)(들)은, 수평방향에서 임의의 방향을 향하여 구축되어도, 상기 일방의 블록(10)(들)의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10s)의 중심(中心)(10c)과 상기 타방의 블록(20)(들)의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20s)의 중심(中心)(20c)이 수직인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쌓인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다.
따라서, 결국, 본 고안에서는 임의의 각도로 곡면 등 다양한 형태로 구축된 녹화식생용 담장에서, 상기 일방의 블록(10)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상기 타방의 블록(20)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상기 일방의 블록(10)(들)과 상기 타방의 블록(20)(들)이 서로 섞이어 수직으로 쌓인 구조 즉,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이 각각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중심축부와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중심축부에는 각각 중심축 지지부(17)(27)가 형성되고, 아울러 중심축 지지부(17)(27)에는 그 중심축부에 상기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이 형성되어, 이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에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가 끼워설치됨에 따라,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원통형의 돌출부(15) 및/또는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원통형의 돌출부(25)와,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함몰공간부(16) 및/또는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함몰공간부(26)의 서로간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의 안정적 유지됨의 작용에 더하여,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는, 그 일측(30a)이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에서, 바로 위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에 끼워져 설치되며 동시에, 그 타측(30b)이, 이 일방의 블록(10) 또는 이 타방의 블록(20)의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에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의 상기 일방의 블록(10)(들) 및/또는 상기 타방의 블록(20)(들)이 수평의 임의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아니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는 그 길이(L)가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높이(h) 및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높이(h)와 같은 크기이며, 다만 최하단의 위치에 있는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은 그 길이가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높이(h) 및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높이(h)의 3/2 정도의 크기임에 따라,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는, 그 일측(30a)이 상기 높이(h)의 대략 1/2 정도를 차지하며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에서, 바로 위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에 끼워져 설치되며 동시에, 그 타측(30b)이 상기 높이(h)의 대략 1/2 정도를 차지하며 이 일방의 블록(10) 또는 이 타방의 블록(20)의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에, 용이하게,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는, 다른 실시예로서, 그 길이(L)가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높이(h) 및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높이(h)의 2배 이상의 정수배(整數倍)의 크기도 그 실시예로서 가능하며, 다만 최하단의 위치에 있는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은 그 길이가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높이(h) 및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높이(h)의 3/2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므로, 마찬가지로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는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에서, 바로 위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상기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과, 이 일방의 블록(10) 또는 이 타방의 블록(20)의,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에, 용이하게, 동시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6a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는, 내부에는 중공부(中空部)로서 유수로(流水路)(31)가 형성되며 측방으로의 관통구멍으로서 배수공(排水孔)(32)이 형성되므로, 상기 녹화식생토양(200)에 필요한 물(水)(도6b에서 점들로 표시)과 물에 녹은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를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의 유수로(31)의 상방으로부터 용이하게 공급함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공급되어진 물(水)과 물에 녹은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는 상기 유수로(31)을 통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흘러 내리며(도6의 화살표P1 방향), 이때 물(水)과 물에 녹은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는, 적절한 위치에 있는 적절한 갯수의 배수공(32)를 통하여 흘러나와(도6의 화살표P2 방향),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와 상기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 사이의 틈(T)을 통하여 하방으로 흘러내리며(도6의 화살표Q 방향), 또한 수직으로 겹쳐서 놓여진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들 각각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하여도 흘러나와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와 상기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 사이의 틈(T)을 통하여 하방으로 흘러내리며, 이어서 중심축 지지부(17)(27)의 상단부의 유수로 홈(W)을 통하여 상기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쪽으로부터 상기 공간부(S)쪽으로 흘러(도6의 화살표R 방향), 결국 물과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가,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의, 개개의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내부인 공간부(S)의 녹화식생 토양(200)과, 개개의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내부인 공간부(S)의 녹화식생 토양(200)에 용이하게 공급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에서 최상단에 설치된 중심축용 파이프(30)에는 물 공급용 파이프 등 통상의 물 공급부재가 설치되어, 물과 물에 녹은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를 용이하게 계속적으로 공급함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7a와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깥쪽면에 수직의 다수개의 홈(300)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시공시에 다수개의 홈(300)의 갯수확인으로써 필요한 각도 등 수치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며, 횡단면으로 요철(凹凸)유사의 형상으로서 저항체를 형성함에 따라 인접한 블록 사이에서 마찰저항이 커져 서로간의 위치가 더욱 안정되게 한다.
본 고안은,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이외에도, 녹화식생용 옹벽 블록 세트로서도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임의의 각도로 곡면 등 다양한 형태로 구축되는 녹화식생용 담장에서 일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타방의 블록들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일방의 블록들과 타방의 블록들이 서로 섞이어 수직으로 쌓인 구조가 안정적으로 '수직으로 쌓인 구조'로서 유지될 수 있으므로, 그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하고, 그 안정성이 유지되며, 녹화식생토양에 필요한 물과 비료와 영양소 및 약제를 용이하게 공급함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녹화식생용 담장에는, 담장의 수직면에 덩쿨형 초화류뿐만 아니라 상록성 화목류 등 다양한 식재가 가능하다. 더욱이 그 담장의 안과 밖에 동시에 식재가 가능하다. 또한 수분의 공급뿐 아니라 필요한 비료, 영양소, 방충해 약제 등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녹화식생용 담장은, 적절한 형태로 구축이 가능하므로, 방음벽으로 사용될 경우 다양한 형태의 방음벽의 구축이 가능하다.
결국 본 고안에 의하면, 녹지가 부족한 도시내의 녹화가 용이하고, 방음벽 설치가 용이하고, 대기 공해 방지, 도시 열섬화 방지가 가능하며, 주민들에게 시각적이고 심리적 만족에 더하여, 식물재배에 대한 관심과 정서함양에 크게 유익하다.
본 고안은,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이외에도, 녹화식생용 옹벽 블록 세트로서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일방의 블록(10)의 볼록부 및 오목부와, 이에 각각 상응하는 타방의 블록(20)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각각 서로 수평방향으로 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일방의 블록(10)과 타방의 블록(20)이 하나의 세트(set)로 이루어진 녹화식생용(綠化植生用) 담장 블록 세트(100) 중, 상기 일방의 블록(10)은, 그 횡단면이, 적절한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호(圓弧)(10a)로서 볼록부인, 일측볼록부(11)와, 타측볼록부(12)가, 서로 상기 원호(圓弧)(10a)의 중심(中心)(10c)에 대한 대칭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원호(圓弧)(10a)의 지름과 같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가상(假想)의 원주(圓周)(10s) 중 상기 일측볼록부(11)와 상기 타측볼록부(12)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인 가상(假想)의 원호(圓弧)(10b)인 일측의 원호(圓弧)(10b-1)와 타측의 원호(圓弧)(10b-2)가 상기 가상의 원주(圓周)의 중심(中心)(10c)쪽으로 반전(反轉)되어 상기 중심(中心)(10c)쪽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오목부인 일측오목부(13)와 타측오목부(14)가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10s)의 중심(中心)(10c)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방의 블록(20)은, 그 횡단면이,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원호(圓弧)(10a)의 지름과 같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호(圓弧)(20a)로서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일측오목부(13) 또는 상기 타측오목부(14)에 수평방향으로 접하여 접하는 부분(21a)이 끼워지도록 된 형상으로 볼록부(21)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일측볼록부(11) 또는 상기 타측볼록부(12)가 접하여 그 접하는 부분(11a) 또는 그 접하는 부분(12a)으로서 끼워지도록, 상기 원호(圓弧)(20a)의 지름과 같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가상(假想)의 원주(圓周)(20s) 중 상기 볼록부(2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가상(假想)의 원호(圓弧)(20b)가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20s)의 중심(中心)(20c)쪽으로 반전(反轉)되어 상기 중심(20c)쪽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오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일방의 블록(10)과 상기 타방의 블록(20)은 같은 높이(h)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녹화식생토양(綠化植生土壤)(200)을 담아둘 수 있도록 된 공간부(S)가 형성된 녹화식생용(綠化植生用) 담장 블록(block) 세트(set)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블록(10)들이, 상기 일방의 블록(10)들의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10s)의 중심(中心)(10c)이 수직인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상기 타방의 블록(20)들이, 상기 타방의 블록(20)들의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20s)의 중심(中心)(20c)이 수직인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쌓인 구조와, 상기 일방의 블록(10)과 상기 타방의 블록(20)이 서로 섞이어,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10s)의 중심(中心)(10c)과,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상기 가상(假想)의 원주(圓周)(20s)의 중심(中心)(20c)이 수직인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쌓인 구조[이하,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을 총칭(總稱)하여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이라고 함]가 각각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도록,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하측의 중심부에는, 횡단면으로 상기 가상의 원주(10s)의 상기 중심(10c)과 같은 중심(10c)을 가지는 원통형의 돌출부(15)가, 그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16)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26)에 상응하여 끼워져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15)의 중심축이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하측의 중심부에는, 횡단면으로 상기 가상의 원주(20s)의 상기 중심(20c)과 같은 중심(20c)을 가지는 원통형의 돌출부(25)가, 그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16)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상측의 중심부의 함몰공간부(26)에 상응하여 끼워져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25)의 중심축이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상측의 중심부로서 중심축 지지부(17)의 상방에는, 그 바로 위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하측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돌출부(15)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하측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돌출부(25)가 상응하여 끼워져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15)의 중심축 또는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25)의 중심축이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함몰공간부(16)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상측의 중심부로서 중심축 지지부(27)의 상방에는, 그 바로 위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하측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돌출부(15)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하측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돌출부(25)가 상응하여 끼워져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15)의 중심축 또는 상기 원통형의 돌출부(25)의 중심축이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함몰공간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일방의 블록(10)의 중심축부와 상기 타방의 블록(20)의 중심축부에는, 상기 함몰공간부(16)(26)의 각각의 하방으로, 각각 중심축 지지부(17)(27)가 형성되고, 아울러 이 중심축 지지부(17)(27)에는, 중심축용 파이프(30)가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의 상기 일방의 블록(10) 및/또는 상기 타방의 블록(20)이 수직으로 쌓인 구조를 유지하게 수평의 임의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도록, 그 중심축부에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이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는, 그 일측(30a)이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에서, 바로 위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에 끼워져 설치되며 동시에, 그 타측(30b)이, 이 일방의 블록(10) 또는 이 타방의 블록(20)의 바로 아래쪽에 인접하는, 일방의 블록(1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 또는 타방의 블록(20)의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에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수직으로 쌓인 구조들'을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용 파이프(30)는, 내부에는 중공부(中空部)로서 유수로(流水路)(31)가 형성되며, 측방으로의 관통구멍으로서 배수공(排水孔)(32)이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중심축 지지부(17)(27)의 각각의 상단부에는 유수로(流水路) 홈(W)이 상기 중심축 설치용 관통구멍(H)쪽으로부터 상기 공간부(S)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KR2019990024433U 1999-11-04 1999-11-09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KR200178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433U KR200178959Y1 (ko) 1999-11-04 1999-11-09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681A KR100342647B1 (ko) 1999-11-04 1999-11-04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KR2019990024433U KR200178959Y1 (ko) 1999-11-04 1999-11-09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681A Division KR100342647B1 (ko) 1999-11-04 1999-11-04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8959Y1 true KR200178959Y1 (ko) 2000-04-15

Family

ID=2663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433U KR200178959Y1 (ko) 1999-11-04 1999-11-09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95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521B1 (ko) * 2000-11-09 2003-12-01 서경화 벽면 녹화장치
KR100641626B1 (ko) 2006-07-21 2006-11-02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
KR100780295B1 (ko) 2006-01-25 2007-11-28 페이빙스톤(주) 담의 구조
KR101108587B1 (ko) * 2009-04-08 2012-02-20 주식회사 신세계석재산업 인테리어용 마감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521B1 (ko) * 2000-11-09 2003-12-01 서경화 벽면 녹화장치
KR100780295B1 (ko) 2006-01-25 2007-11-28 페이빙스톤(주) 담의 구조
KR100641626B1 (ko) 2006-07-21 2006-11-02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
KR101108587B1 (ko) * 2009-04-08 2012-02-20 주식회사 신세계석재산업 인테리어용 마감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6791A (en) Walls, screens and the like
US4349293A (en) Compound block kit
US20190380287A1 (en) Drip emitter
KR200178959Y1 (ko)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US53833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owing strongly-rooted trees, and preventing root damage to hardscapes
KR100342647B1 (ko)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US6758410B2 (en) Retaining supporter of rotary sprinkler
US5692338A (en) Water spike
CA2858946C (en) Modular reservoir wick
US5437127A (en) Stone surround for defining a grave site
US20080203185A1 (en) Volatile Liquid Disseminating Device
DE3523004A1 (de) Vorrichtung zur langzeitversorgung von pflanzen
JP3037833U (ja) 基礎くい
JP2000023568A (ja) 植栽用ボックス
JP2003000066A (ja) 栽培容器用補助具
KR102541252B1 (ko)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화단구조물
JP3244888U (ja) プランター
CN105613095A (zh) 室内组装式垂直绿化模块组件
SU1069719A1 (ru) Увлажнитель
KR0135548Y1 (ko) 이단의 내부 구성을 갖는 화분
WO1994008448A1 (en) Plant pot
CN210226325U (zh) 一种可拆卸的树木栽植装置
JP2001078578A (ja) 組立式植木鉢
JPH09141703A (ja) プール育苗箱の成型用金型
JPH10178915A (ja) プランター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