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252B1 -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화단구조물 - Google Patents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화단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252B1
KR102541252B1 KR1020220177930A KR20220177930A KR102541252B1 KR 102541252 B1 KR102541252 B1 KR 102541252B1 KR 1020220177930 A KR1020220177930 A KR 1020220177930A KR 20220177930 A KR20220177930 A KR 20220177930A KR 102541252 B1 KR102541252 B1 KR 102541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er unit
shaped
planter
unit
flowe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민
장대희
고세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7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252B1/ko
Priority to KR1020230070832A priority patent/KR102601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Y자 플랜터유닛, I자 플랜터유닛, V자 플랜터유닛 및 통형상 플랜터유닛을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종류로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마감 플랜터유닛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플랜터유닛을 원하는 개수와 종류로, 그리고 원하는 배열로 배치하여 조립함으로써, 현장 상황에 맞는 다양하고 미려한 화단구조물을 자유롭게 조성하여 구축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도심지 등 다양한 장소에서 필요에 맞춰서 다양한 식물을 다양한 형태로 식재하여 성장시켜서 아름다운 조경을 만들어서 미관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고, 식물 식재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을 이룰 수 있는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과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화단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화단구조물{Module System for Flowerbed, and Flowerbed constructed Using such Module System}
본 발명은 여러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 종류의 플랜터유닛(planter unit)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개의 종류로 선택하고 각각의 선택된 플랜터유닛을 1개 내지 복수개로 조립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화단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및 이러한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축된 화단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Y자 플랜터유닛, I자 플랜터유닛, V자 플랜터유닛 및 통형상 플랜터유닛을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종류로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마감 플랜터유닛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플랜터유닛을 원하는 종류와 개수로, 그리고 원하는 배열로 배치하여 조립함으로써, 현장 상황에 적합한 다양하고 미려한 화단구조물을 자유롭게 조성하여 구축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도심지 등 다양한 장소에서 필요에 맞춰서 다양한 식물을 다양한 형태로 식재하여 성장시켜서 아름다운 조경을 만들어서 미관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고 식물 식재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을 이룰 수 있는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과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화단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가 심화되고 도시인구가 증가됨에 따라 에너지 사용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이산화탄소 발생과 관련된 환경문제가 주요 도시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시 내 탄소흡수원 증대를 위한 이산화탄소 저감방안이 강구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방안의 일환으로 건축물 옥상/벽면, 보행공간, 도로변, 시설물 등의 인공지반 녹화 화단을 확대 적용하는 추세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식물식재용 플랜터(planter)를 제작함에 있어서 고로슬래그와 이산화탄소 반응제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저감형 무기계 조성물에 관한 특허 제10-2406620호를 취득하였다. 상기한 특허 제10-2406620호의 무기계 조성물을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플랜터 즉, 화단구조물을 고려할 수 있다.
종래의 화단구조물은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의 석재를 이용하여 조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화단구조물로는 최근 요구되는 조경의 장식성을 만족시킬 수 없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분절화된 조각(유닛/unit)을 조립하여 화단구조물을 조성하는 모듈(module)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다. 일본 특허 제4642190호에는 이와 같이 모듈시스템으로 화단구조물을 조성하는 기술의 일예로서 조립식 플랜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아직 초보적인 단계의 기술로서 여전히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아름다운 조경을 조성하는데는 극히 미흡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06620호(2022. 06. 02. 공고). 일국 특허 제4642190호(2020. 12. 10.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다양한 상황과 조건에 맞춰서 다양하고 미려한 화단구조물을 자유롭게 조성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도심지 등 다양한 장소에서 필요에 맞춰서 다양한 식물을 다양한 형태로 식재하여 성장시켜서 아름다운 조경을 만들어서 미관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고, 식물 식재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평면 형상이 정삼각형을 이루되 삼각형의 각 변은 삼각형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사전에 정해진 연직두께와 폭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진 Y자 플랜터유닛; 사전에 정해진 연직두께와 폭을 가지는 직선 빔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I자 플랜터유닛; 막대부재로 이루어지되, 그 길이방향 중앙이 곡선 형태로 절곡되어 평면 형상이 V자 형태를 이루는 부재로 이루어진 V자 플랜터유닛; 및 제1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2측면과,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3,4측면과, 바닥판을 가지고 상부는 개방된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통형상 플랜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터유닛 중에서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개 종류의 플랜터유닛이 하나 내지 복수개의 개수로 연결되어 배치됨으로써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화단구조물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축되는 화단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종류의 플랜터유닛을 필요에 따라 한 가지 종류 내지 복수개의 종류로 선택하고, 그 개수도 필요에 맞춰서 선택하며, 이를 다양한 형태로 쉽게 조립하여 조합함으로써,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단구조물 구조물을 조성할 있고, 이러한 화단구조물 구조물은 아름다운 조경이 될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저감을 이룰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Y자 플랜터유닛을 바라보는 방향을 각각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I자 플랜터유닛을 바라보는 방향을 각각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V자 플랜터유닛을 바라보는 방향을 각각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Y자 플랜터유닛을 이용하여 구축한 본 발명에 따른 화단구조물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단구조물을 조성하기 위하여 Y자 플랜터유닛을 서로 조립하여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I자 플랜터유닛과 V자 플랜터유닛을 이용하여 구축한 본 발명에 따른 화단구조물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단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I자 플랜터유닛과 V자 플랜터유닛을 서로 조립하여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I자 플랜터유닛과 V자 플랜터유닛을 조합하여 조립하고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여 구축한 화단구조물의 또다른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각각 I자 플랜터유닛과 Y자 플랜터유닛을 이용하여 구축한 본 발명에 따른 화단구조물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화단구조물에 V자 플랜터유닛을 더 조립 결합한 화단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Y자 플랜터유닛과 V자 플랜터유닛을 이용하여 구축한 본 발명에 따른 화단구조물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화단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Y자 플랜터유닛과 V자 플랜터유닛을 서로 조립하여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Y자 플랜터유닛, I자 플랜터유닛 및 V자 플랜터유닛의 모두를 이용하여 구축된 본 발명에 따른 화단구조물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화단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I자 플랜터유닛과 V자 플랜터유닛을 서로 조립하여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의 (a) 및 (b)는 각각 마감 플랜터유닛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의 (a) 및 (b)는 각각 플랜터유닛의 단차부에 마감 플랜터유닛이 조립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17의 (a) 및 (b)는 각각 통형상 플랜터유닛을 바라보는 방향을 각각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의 (a) 및 (b)는 각각 통형상 플랜터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9는 통형상 플랜터유닛을 이용하여 구축된 본 발명에 따른 화단구조물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의 (a) 및 (b)는 각각 도 19의 화단구조물을 조성하기 위하여 통형상 플랜터유닛을 적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각각 통형상 플랜터유닛을 이용하여 구축된 본 발명에 따른 화단구조물의 또다른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3은 통형상 플랜터유닛을 이용하여 조성한 원통형의 화단구조물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은 여러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 종류의 플랜터유닛에서 필요한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종류의 플랜터유닛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개로 조립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화단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플랜터유닛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화단구조물을 구축한다"는 표현을 "화단을 조성한다", "화단구조물을 조성한다" 또는 "화단구조물을 시공한다"라는 표현으로 달리 기재할 수 있지만, 이들 문장은 모두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의 (a) 및 (b)에는 본 발명의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에 구비되는 Y자 플랜터유닛(1)을 바라보는 방향을 각각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 Y자 플랜터유닛(1)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평면 형상이 대략 정삼각형을 이루지만 삼각형의 각 변은 직선이 아니라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삼각형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내측으로 오목한 곡선의 각 변을 가지는 정삼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며 소정 연직두께를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Y자 플랜터유닛(1)은 삼각형의 중심에서부터 세 꼭짓점 방향으로 "가지(branch)부"가 형성되어 있는 평면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Y자 플랜터유닛(1)의 삼각형 꼭짓점에 해당하는 부분 즉, 가지부의 끝단에는 단차부(10)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연직두께가 다른 부분의 1/2이 된다. 이와 같이 단차부(10)의 연직두께가 다른 부분 즉, 단차부 이외의 본체 부분의 연직두께의 1/2이 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것처럼 본 발명에서 동일한 플랜터유닛 또는 서로 상이한 플랜터유닛을 평면상에서 서로 이웃하게 배치하여 결합시킬 때, 각각의 단차부를 서로 포개지게 배치하더라도 전체적으로는 단차부 이외의 분체부분과 동일한 연직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단차부(10)에는 또다른 Y자 플랜터유닛 또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종류의 플랜터유닛과의 조립을 위한 체결공(11)이 연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Y자 플랜터유닛(1)에서 3개의 단차부(10)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모두의 한쪽 면(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일부는 상면에 형성되고 일부는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Y자 플랜터유닛(1)의 삼각형 중심 위치에도 필요에 따라 관통공(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Y자 플랜터유닛(1)이 연직하게 적층된 상태에서 관통공(12)에 연직 지지봉을 삽입함으로써, 적층된 Y자 플랜터유닛(1)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 2의 (a) 및 (b)에는 각각 본 발명의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에 구비되는 또다른 플랜터유닛으로서 I자 플랜터유닛(2)을 바라보는 방향을 각각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의 (a) 및 (b)에는 각각 본 발명의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에 구비되는 또다른 플랜터유닛으로서 V자 플랜터유닛(3)을 바라보는 방향을 각각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I자 플랜터유닛(2)은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직선 빔(beam)형상의 부재로서, 앞서 살펴본 Y자 플랜터유닛(1)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연직두께가 다른 부분의 1/2이 되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10)가 각각 존재하며, 단차부(10)에는 체결공(11)이 연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I자 플랜터유닛(2)의 경우도 단차부(10)에서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단차가 양단부 모두에서 상면이나 하면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일측 단부에서는 상면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서는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단차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I자 플랜터유닛(2)의 연직두께는 Y자 플랜터유닛(1)의 연직두께와 동일하고, I자 플랜터유닛(2)의 폭은 Y자 플랜터유닛(1)의 삼각형 꼭짓점에 해당하는 가지부의 끝단 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I자 플랜터유닛(2)과 Y자 플랜터유닛(1)에서 그 연직두께와 폭이 서로 동일하면 후술하는 것처럼 I자 플랜터유닛(2)과 Y자 플랜터유닛(1)을 조립하여 매우 다양한 형태의 화단을 연출하여 조성할 때, 측면이나 상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이 연속적인 면을 이루는 형태를 만들 수 있다. I자 플랜터유닛(2)의 중앙에도 Y자 플랜터유닛(1)과 마찬가지로 연직 지지봉이 관통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 및 (b)에 예시된 것처럼 V자 플랜터유닛(3)은 I자 플랜터유닛(2)처럼 막대부재로 이루어지되, 그 길이방향 중앙이 절곡되어 연직평면 형상이 V자 형태를 이루는 부재이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V자 플랜터유닛(3)의 중앙 절곡부는 완만한 곡선 형태로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V자 플랜터유닛(3)의 양단부의 단차부(10)와 체결공(11), 그리고 연직두께와 폭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I자 플랜터유닛(2)에 대해 서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바,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서는 Y자 플랜터유닛(1), I자 플랜터유닛(2) 및 V자 플랜터유닛(3)을 조합하여 구축할 수 있는 화단구조물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것들은 본 발명의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에 구비되는 플랜터유닛을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화단구조물의 일예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을 이용하면, 조합될 플랜터유닛의 종류, 각각의 플랜터유닛의 사용 개수, 적층수, 수평면에서 서로 연결하는 개수, 연결 형태 등을 원하는 대로 변경함으로써 도면에 예시된 것 이외에 다양한 모양과 구조를 가지면서도 미려하고 각종 식물에 식재와 활착, 그리고 생육에 적합한 화단을 연출하여 조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1 및 도 2의 Y자 플랜터유닛(1)을 서로 조립하고 적층하여 구축한 화단구조물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화단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도 1의 Y자 플랜터유닛(1)을 서로 조립하여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도 1의 Y자 플랜터유닛(1)을 수평면에서 이웃하는 또다른 Y자 플랜터유닛(1)과 그 단차부(10)가 서로 포개어지도록 배치한 후 단차부(10)의 체결공(11)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관통설치하여 이웃하는 Y자 플랜터유닛(1)을 서로 연결하여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토사부(21)가 채워지는 공간(20)을 형성하고, 공간(20)에 채워진 토사에 다양한 식물을 필요에 따라 식재하는 형태로 화단구조물을 조성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웃하는 Y자 플랜터유닛(1)의 단차부(10)를 서로 포개어지게 한 후 단차부(10)의 체결공(11)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관통설치하여 일체로 체결하는 방식은 Y자 플랜터유닛(1)간의 결합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I자 플랜터유닛(2) 및 V자 플랜터유닛(3)의 각각 내지, 이들 3가지 종류의 플랜터유닛(1, 2, 3) 간의 선택적인 결합에서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된다.
도 6 및 도 7에는 각각 상기한 I자 플랜터유닛(2)와 V자 플랜터유닛(3)을 조합하여 조립하고 적층하여 구축한 화단구조물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6는 화단구조물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도 6의 화단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I자 플랜터유닛(2)과 V자 플랜터유닛(3)을 서로 조립하여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8에는 I자 플랜터유닛(2)과 V자 플랜터유닛(3)을 조합하여 조립하고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여 구축한 화단구조물의 또다른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예시된 것처럼 I자 플랜터유닛(2)과 V자 플랜터유닛(3)을 하나의 평면 상에서 배치하여 서로 조립 결합하면,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을 만들 수 있다. 이 때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에서 삼각형 모서리 부분에는 V자 플랜터유닛(3)이 배치되고, 삼각형 형태의 각 변에는 I자 플랜터유닛(2)이 한 개 내지 복수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I자 플랜터유닛(2)과 V자 플랜터유닛(3)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진 삼각형 형태의 프레임은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것처럼 복수개로 연직적층하고, 이렇게 복수개의 층으로 연직적층된 것을 다시 각도를 변경해가면서 다시 적층하며, 그 중앙의 빈 공간 내에 식물을 식재하는 형태로 화단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예시된 것처럼 I자 플랜터유닛(2)과 V자 플랜터유닛(3)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진 삼각형 형태의 프레임을 연직하게 세워서 복수개를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넝쿨 식물들과 같은 식물이 용이하게 식재되어 활착할 수 있게 되는 화단구조물을 조성할 수도 있다.
도 9의 (a) 및 (b)에는 각각 I자 플랜터유닛(2)과 Y자 플랜터유닛(1)을 하나의 평면 상에서 배치하여 서로 조립 결합하여 잔디밭을 구획하여 조성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에 구비되는 I자 플랜터유닛(2)과 Y자 플랜터유닛(1)을 하나의 평면 상에서 그 개수와 연결 형태를 달리하여 배치하고 조립함으로써 잔디밭을 다양한 형태의 미려한 무늬가 만들어지도록 구획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는 앞서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Y자 플랜터유닛(1)의 조립 적층으로 만들어진 화단구조물에 V자 플랜터유닛(3)을 추가로 더 조립 결합하여 조성한 화단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Y자 플랜터유닛(1)의 조립 적층으로 만들어진 화단구조물에 V자 플랜터유닛(3)을 더 조립함으로써 화단구조물을 더욱 말끔하고 단정된 모습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는 Y자 플랜터유닛(1)과 V자 플랜터유닛(3)을 조합하여 조립 결합하고 적층함으로써 만들어진 화단구조물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의 화단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Y자 플랜터유닛(1)과 V자 플랜터유닛(3)을 서로 조립하여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는 Y자 플랜터유닛(1), I자 플랜터유닛(2) 및 V자 플랜터유닛(3)의 모두를 조합하여 결합하고 적층한 형태의 화단구조물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의 화단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Y자 플랜터유닛(1), I자 플랜터유닛(2) 및 V자 플랜터유닛(3)을 서로 조립하여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위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에 구비되는 Y자 플랜터유닛(1), I자 플랜터유닛(2) 및 V자 플랜터유닛(3)의 하나 내지 복수개의 종류를 선택하고, 각각의 개수도 필요에 따라 선정한 후, 이들을 조립하여 화단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화단구조물의 외곽 말단부에서 자칫 단차부(10)가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말단부에서 단차부(10)만 존재하게 되는 경우, 마감 플랜터유닛(4)을 말단부의 단차부(10)에 결합 설치함으로써, 안전을 도모하고 미관의 미려함을 더 배가할 수 있게 된다. 도 15의 (a) 및 (b)에는 각각 마감 플랜터유닛(4)을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의 (a) 및 (b)에는 각각 플랜터유닛의 단차부(10)에 마감 플랜터유닛(4)이 조립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마감 플랜터유닛(4)은 Y자 플랜터유닛(1), I자 플랜터유닛(2) 및 V자 플랜터유닛(3)의 단차부(10)와 동일한 평면 형상과 크기를 가지면서 단차부(10)와 마찬가지로 본체 두께의 1/2의 두께를 가지며, 체결공(11)이 연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감 플랜터유닛(4)이 화단구조물의 외곽 말단부에 존재하는 단차부(10)를 덮도록 배치되면 단차부(10)와 마감 플랜터유닛(4)의 체결공은 서로 연통하게 되고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공에 관통시켜 체결하면 마감 플랜터유닛(4)이 단차부(10)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어 화단구조물을 형성하고 있는 플랜터유닛은 그 말단부에 단차부가 보이지 않는 형태가 되어 그 미려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에는 Y자 플랜터유닛(1), I자 플랜터유닛(2) 및 V자 플랜터유닛(3)와 같이 전체적으로 본체의 두께가 일정하고(단차부 제외) 평면적인 부재로 이루어진 플랜터유닛뿐만 아니라, 식생을 위한 토사를 담을 수 있는 오목한 공간이 형성된 "통형상 플랜터유닛(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7의 (a) 및 (b)에는 각각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바라보는 방향을 각각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의 (a) 및 (b)에는 각각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8의 (a)는 도 17의 (a)에서 화살표 P-P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8의 (b)는 도 17의 (a)에서 화살표 Q-Q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통형상 플랜터유닛(5)은 서로 마주보는 제1,2측면과, 서로 마주보는 제3,4측면과, 바닥판(50)을 가지며 상부는 개방된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서로 마주보는 제1측면(5-1)과 제2측면(5-2)는 아래로 가면서 둘 사이의 간격(제1방향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마주하고 있다. 편의상 제1측면(5-1)과 제2측면(5-2) 사이로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고 기재하고, 이와 직교하는 방향을 "제2방향"이라고 기재한다.
제3,4측면은 제1,2측면과 직교하게 배치된다. 즉, 제3,4측면은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배치되는 것이다. 제3측면은 위아래로 제3측면 상부(5-3a)와 제3측면 하부(5-3b)로 구분되고, 제4측면 역시 위아래로 제4측면 상부(5-4a)와 제4측면 하부(5-4b)로 구분되는데, 제3측면 상부(5-3a)와 제4측면 상부(5-4a)은 아래로 가면서 둘 사이의 폭이 넓어지도록 마주하며, 제3측면 하부(5-3b)와 제4측면 하부(5-4b)은 아래로 가면서 둘 사이의 폭이 넓어지도록 마주한다. 따라서 제3측면과 제4측면은 외측으로 볼록한 면을 이루게 된다.
제3측면 상부(5-3a)와 제4측면 상부(5-4a)에는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오목하게 파여서 제거된 형상의 개방부(5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통형상 플랜터유닛(5)에 담겨지는 토사에 식재된 식물이 상기 개방부(51)를 통해서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개방부(51)를 통해서도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오목한 통형상 내부 공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통형상 플랜터유닛(5)은 바닥판(50)이 존재하는데, 바닥판(50)에는 하면에서부터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돌출부는 제1측면(5-1)과 제2측면(5-2) 사이에서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닥판(50)에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도 1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볼 경우,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하면에는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오목부(55)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가진다. 즉, 하면에 형성되는 오목부(55)에 의해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내부 공간에는 돌출부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오목부(55)가 존재하므로 제1측면(5-1)과 제2측면(5-2) 각각의 하단 가장자리는 오목하게 파여 있는 단차형상이 존재하게 된다. 후술하는 것처럼 통형상 플랜터유닛(5)이 Y자 플랜터유닛(1), I자 플랜터유닛(2) 및 V자 플랜터유닛(3)와 선택적으로 조립될 때, I자 플랜터유닛(2) 및 V자 플랜터유닛(3), 그리고 Y자 플랜터유닛(1)의 가지부가 오목부(55)에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바닥판(50)에는 연직 방향의 유체 배출공(5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측면(5-1)과 제2측면(5-2) 각각의 상단 가장자리 중앙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수평돌출부(52)가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수평돌출부(52)는 바닥판(50)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55) 내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수평돌출부(52)의 외측방향 가장자리에는 관통체결공의 절반에 해당하는 체결오목홈(5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이 수평방향으로 이웃하게 되면 체결오목홈(520)은 원형의 구멍을 이루게 된다. 통형상 플랜터유닛(5)이 복층으로 적층되면서 위,아래 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이 연직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될 경우, 체결오목홈(520)이 원형의 구멍으로 되면서 아래에 위치하는 통형상 플랜터(5)에 중앙에 형성된 유체 배출공(56)과 연직방향으로 그 위치가 일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직방향으로 결합봉(棒)을 위,아래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에 삽입함으로써 통형상 플랜터유닛(5)이 연직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매우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은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오목한 공간에는 식생을 위한 토사가 담겨질 수 있는 바, 마치 화분처럼 통형상 플랜터유닛(5)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제1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하고, 그 위에 또다른 통형상의 플랜터유닛(5)을 제1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하여 적층할 수 있다. 도 19에는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복수개 층으로 적층 배치하여 화단구조물을 조성한 일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의 (a) 및 (b)에는 각각 도 19의 화단구조물을 조성하기 위하여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적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벽면에 기대어서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연직하게 적층할 경우에는 최하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제1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함에 있어서는 평평한 지면에 바닥판(50)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놓을 수도 있다.
그런데 도 20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I자 플랜터유닛(2)을 제1방향으로 연속 결합하여 지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이에 더하여 Y자 플랜터유닛(1)을 더 결합하여 지면에 설치한 후, I자 플랜터유닛(2) 또는 Y자 플랜터유닛(1)의 가지부가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오목부(55)에 삽입되도록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I자 플랜터유닛(2) 또는 Y자 플랜터유닛(1)의 가지부 위에 올려놓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벽면에 기대어서 연직하게 적층하지 않고, 벽면 없이 또는 벽면의 지지력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통형상 플랜터유닛(5)이 제2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통형상 플랜터유닛(5) 만으로도 연직하게 적층하여 화단구조물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저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이 제1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후, 그 위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올려놓을 때 위, 아래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이 연직방향으로 동일한 형태 즉, 바닥판(50)이 모두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적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 20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저층에 위치하는 2개의 이웃한 통형상 플랜터유닛(5) 사이에 위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이 놓이도록, 즉 아래층과 위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이 서로 교번하는 위치에 존재하도록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저층에 위치하는 2개의 이웃한 통형상 플랜터유닛(5)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던 수평돌출부(52)는, 위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에 형성된 오목부(55)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위, 아래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 사이에는 요철에 의한 기계적인 체결이 형성되며, 그에 따라 위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은 매우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도 21 및 도 22에는 각각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복수개 층으로 적층 배치하여 화단구조물을 조성한 또다른 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개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제1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하고, 그 위에 또다른 통형상의 플랜터유닛(5)을 제1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하여 적층하는 형태로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복수개 층으로 적층 배치하여 화단구조물을 조성함에 있어서, 도 21에 예시된 것처럼 위아래 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서로 뒤집어서 배치하고, 이렇게 뒤집은 상태가 교번하여 존재하는 형태로 화단구조물을 조성할 수 있다. 이 때, 위,아래 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은 수평돌출부(52)가 서로 위,아래로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위아래 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서로 뒤집어서 배치하고, 이렇게 뒤집은 상태가 교번하여 존재하되,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제1방향으로 위아래층의 교번 상태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여 화단구조물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3에는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이용하여 화단구조물을 조성한 또다른 예가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된 화단구조물의 경우, 원통형의 벽체(300)가 존재하고, 원통형의 벽체(300)의 외면에 밀착하여 통형상 플랜터유닛(5)이 적층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이 때, 벽체(300)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하나의 층을 이루게 되는데, 하나의 층에서 이웃하는 통형상 플랜터유닛(5) 사이에는 또다른 통형상 플랜터유닛(5)이 그 위쪽으로 배치될 수 있을 만한 간격이 존재한다.
위와 같은 형태로 벽체(300)의 원주를 따라 통형상 플랜터유닛의 하층이 배치된 후, 그 위에 통형상 플랜터유닛의 상층이 벽체(300)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는데, 상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은 하층의 서로 이웃하는 통형상 플랜터유닛 사이의 간격에 배치된다. 이 때, 하층의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통형상 플랜터유닛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수평돌출부(52)는, 위층에 놓이게 되는 하나의 통형상 플랜터유닛(5)에 형성된 오목부(55) 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벽체(300)의 원주를 따라 통형상 플랜터유닛의 하층이 배치된 후, 그 위에 상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은 하층의 서로 이웃하는 통형상 플랜터유닛 사이의 간격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층이 형성되어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의 벽체(30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의 화단구조물이 조성될 수 있다. 이 때, 통형상 플랜터유닛이 원통형 벽체(300)의 외면에서 설치된 위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수할 수 있도록, 관통봉(棒)(310)을 연직방향으로 복수개 층의 통형상 플랜터유닛에 관통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은, Y자 플랜터유닛(1), I자 플랜터유닛(2), V자 플랜터유닛(3) 및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로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마감 플랜터유닛(4)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바, 본 발명의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에 포함되는 플랜터유닛 중에서 원하는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플랜터유닛 각각에 대해 사용할 개수를 선택하며, 선택된 플랜터유닛들을 원하는 형태로 배치하여 조립함으로써, 현장 상황에 맞는 다양하고 미려한 화단구조물을 자유롭게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심지에서도 다양한 식물이 다양한 형태로 식재되어 성장되어 있는 아름다운 화단구조물을 자유롭게 조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도심을 아름답게 조경할 수 있고 식물 식재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이라는 매우 유효하고 중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1: Y자 플랜터유닛
2: I자 플랜터유닛
3: V자 플랜터유닛
4: 마감 플랜터유닛
5: 통형상 플랜터유닛

Claims (6)

  1. 평면 형상이 정삼각형을 이루되 삼각형의 각 변은 삼각형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사전에 정해진 연직두께와 폭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진 Y자 플랜터유닛(1);
    사전에 정해진 연직두께와 폭을 가지는 직선 빔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I자 플랜터유닛(2);
    막대부재로 이루어지되, 그 길이방향 중앙이 곡선 형태로 절곡되어 평면 형상이 V자 형태를 이루는 부재로 이루어진 V자 플랜터유닛(3); 및
    제1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2측면(5-1, 5-2)과,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3,4측면과, 바닥판(50)을 가지고 상부는 개방된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통형상 플랜터유닛(5)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터유닛(1, 2, 3, 5) 중에서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개 종류의 플랜터유닛이 하나 내지 복수개의 개수로 연결되어 배치됨으로써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화단구조물을 이루게 되며;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서로 마주보는 제1측면(5-1)과 제2측면(5-2)은 아래로 가면서 둘 사이의 폭이 좁아지도록 마주하고 있으며;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배치되는 제3측면 및 제4측면에서, 제3측면은 위아래로 제3측면 상부(5-3a)와 제3측면 하부(5-3b)로 구분되고, 제4측면은 위아래로 제4측면 상부(5-4a)와 제4측면 하부(5-4b)로 구분되는데, 제3측면 상부(5-3a)와 제4측면 상부(5-4a)는 아래로 가면서 둘 사이의 폭이 넓어지도록 마주하며, 제3측면 하부(5-3b)와 제4측면 하부(5-4b)는 아래로 가면서 둘 사이의 폭이 좁아지도록 마주하게 되어, 제3측면과 제4측면은 외측으로 볼록한 면을 이루고 있으며;
    제3측면 상부(5-3a)와 제4측면 상부(5-4a)에는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오목하게 파여서 제거된 형상의 개방부(5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바닥판(50)에는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며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돌출부(54)가 형성되어 있고,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하면에는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오목부(55)가 형성되어 있어서, 통형상 플랜터유닛(5)이 I자 플랜터유닛(2) 또는 V자 플랜터유닛(3) 위에 놓일 때, I자 플랜터유닛(2)과 V자 플랜터유닛(3)이 오목부(55)에 삽입되어 통형상 플랜터유닛(5)의 전도가 억제되는 것을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Y자 플랜터유닛(1)의 삼각형 꼭짓점에 해당하는 부분의 끝단에는 그 연직두께가 다른 부분의 1/2인 단차부(10)가 형성되어 있고, 단차부(10)에는 연직방향으로의 관통공 형태의 체결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I자 플랜터유닛(2) 및 V자 플랜터유닛(3) 각각의 끝단에도 그 연직두께가 다른 부분의 1/2인 단차부(10)가 형성되어 있고, 단차부(10)에는 연직방향으로의 관통공 형태의 체결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터유닛을 평면 상에서 서로 결합하여 연결할 때에는 단차부(10)를 서로 포개어지게 한 후 단차부(10)의 체결공(11)에 체결부재를 관통설치하여 일체로 체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형상 플랜터유닛(5)에서 제1측면(5-1)과 제2측면(5-2) 각각의 상단 가장자리 중앙에는 바닥판(50)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55) 내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면서 외측으로 돌출된 수평돌출부(52)가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랜터유닛의 단차부(10)와 동일한 평면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플랜터유닛의 단차부 이외의 부분 두께의 1/2의 두께를 가지며, 체결공(11)이 연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고, 플랜터유닛의 단차부(10)를 덮도록 배치되는 마감 플랜터유닛(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6.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의한 화단조성 모듈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축되는 화단구조물로서,
    Y자 플랜터유닛(1), I자 플랜터유닛(2), V자 플랜터유닛(3) 및 통형상 플랜터유닛(5)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개 종류의 플랜터유닛이 복수개의 개수로 배치되어 조립됨으로써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구조물.
KR1020220177930A 2022-12-19 2022-12-19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화단구조물 KR102541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930A KR102541252B1 (ko) 2022-12-19 2022-12-19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화단구조물
KR1020230070832A KR102601920B1 (ko) 2022-12-19 2023-06-01 버켓형 통형상의 플랜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930A KR102541252B1 (ko) 2022-12-19 2022-12-19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화단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0832A Division KR102601920B1 (ko) 2022-12-19 2023-06-01 버켓형 통형상의 플랜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252B1 true KR102541252B1 (ko) 2023-06-13

Family

ID=867625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930A KR102541252B1 (ko) 2022-12-19 2022-12-19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화단구조물
KR1020230070832A KR102601920B1 (ko) 2022-12-19 2023-06-01 버켓형 통형상의 플랜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0832A KR102601920B1 (ko) 2022-12-19 2023-06-01 버켓형 통형상의 플랜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12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1889A (ja) * 1995-05-17 1996-11-26 Paritei Jipangu:Kk 可撓連結型擁壁ブロック
JP4642190B2 (ja) 2000-07-11 2011-03-02 株式会社ナム 組立式プランター
KR101041683B1 (ko) * 2011-04-07 2011-06-16 주식회사 신우엘에스산업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101076425B1 (ko) * 2011-06-07 2011-10-25 주식회사 미래와바다 친환경 호안블록
KR102363548B1 (ko) * 2019-10-23 2022-02-16 최현석 레고형 건축 블록, 레고형 건축 블록 모듈, 레고형 건축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406620B1 (ko) 2021-11-09 2022-06-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로슬래그와 이산화탄소 반응제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저감형 무기계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플랜터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플랜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508B1 (ko) * 2019-06-27 2021-11-02 최상화 적층식 화분
KR20210141029A (ko) * 2020-05-15 2021-11-23 김세년 원예작물 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1889A (ja) * 1995-05-17 1996-11-26 Paritei Jipangu:Kk 可撓連結型擁壁ブロック
JP4642190B2 (ja) 2000-07-11 2011-03-02 株式会社ナム 組立式プランター
KR101041683B1 (ko) * 2011-04-07 2011-06-16 주식회사 신우엘에스산업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101076425B1 (ko) * 2011-06-07 2011-10-25 주식회사 미래와바다 친환경 호안블록
KR102363548B1 (ko) * 2019-10-23 2022-02-16 최현석 레고형 건축 블록, 레고형 건축 블록 모듈, 레고형 건축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406620B1 (ko) 2021-11-09 2022-06-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로슬래그와 이산화탄소 반응제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저감형 무기계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플랜터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플랜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920B1 (ko)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2877A (en) Modular landscape borders
US3686791A (en) Walls, screens and the like
US20090277087A1 (en) The vegetation block frame and the vegetation block
US4262467A (en) Modular elements forming by assembly a set of vertical or horizontal spaces in a single plane or offset planes
US5535568A (en) Self indexing landscape module
US4707962A (en) Cascade wall structure
AU2020318661A1 (en) Module for drainage and method of assembly
KR102541252B1 (ko)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화단구조물
US5233806A (en) Articulating stone edging construction
US20030089031A1 (en) Edging border devices for plants, lawns and gardens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KR100765341B1 (ko) 녹화가 가능한 벽구조물
KR102157856B1 (ko) 조립식 포트
JP3491020B2 (ja) 植栽用容器
KR100827783B1 (ko) 블록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539400B1 (ko)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방음기능 개비온
KR101041683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US20080196327A1 (en) Crypt Arrangement
JPH0421853Y2 (ko)
KR101232238B1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102238975B1 (ko) 자연사면 복원 및 보강을 위한 테라스형 식생블록
JP2001025323A (ja) 壁形成用プランター
KR200275387Y1 (ko) 식생옹벽 구조체
KR0148881B1 (ko) 식생용벽구조물
CA2223685C (en) Overlapped boxed elements for the vertical plant culti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