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626B1 -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626B1
KR100641626B1 KR1020060068455A KR20060068455A KR100641626B1 KR 100641626 B1 KR100641626 B1 KR 100641626B1 KR 1020060068455 A KR1020060068455 A KR 1020060068455A KR 20060068455 A KR20060068455 A KR 20060068455A KR 100641626 B1 KR100641626 B1 KR 10064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frame
hole
circular
fastening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68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각으로 절토된 비탈면의 붕락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되는 공동주택용 옹벽에 있어서; 원형상의 통체로 전후방측에는 조경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가 호형상의 요부로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며, 양측 전후방측으로는 상하로 관통된 전후방측 관삽입공이 형성되어 전후방측 관삽입공이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좌우측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하부원형틀과; 상기 하부원형틀 상단에 안착되어 하부원형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상의 통체로 전후방측에는 조경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가 호형상의 요부로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고정공의 연장선상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양측 전후방측으로는 상하로 관통된 전후방측 관삽입공이 형성되어 전후방측 관삽입공이 좌우측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안착되는 중간부원형틀과; 상기 중간부원형틀 상단에 안착되어 중간부원형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통체로 전후방측에는 조경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가 호형상의 요부로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관통공의 연장선상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양측 전후방측으로는 상하로 관통된 관삽입공이 형성되어 관삽입공이 좌우측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안착되는 상부원형틀과; 긴 봉체로 상부원형틀의 체결공과 중간부원형틀의 관통공과 하부원형틀의 고정공을 관통하여 직립고정되고, 좌우측으로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된 원형파일버팀대와; "∩" 형상으로 상기 근접된 하부원형틀과 중간부원형틀의 전후방측 관삽입공에서 근접된 부위부터 양측단이 순차적으로 삽입고정되어 직립고정되는 전후방측 고정체결핀과; 상기 하부원형틀과 중간부원형틀의 전 후방측 관삽입공에 삽입고정된 전후방측 고정체결핀의 사이에 위치되어 중간부원형틀과 상부원형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전후방측 고정체결핀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토사막이판과; 일단은 절곡되어 원형파일버팀대의 우측체결홀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인접된 다른 원형파일버팀대의 좌측체결홀에 삽입고정되는 상부체결봉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비탈 절개면의 붕락을 방지하면서도 주변 조성단지의 경관미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식재되는 조경식물에 의해서 자연스러운 배수가 이루어져 절개면을 안전되게 방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부원형틀, 중간부원형틀, 상부원형틀, 원형파일버팀대, 고정체결핀, 토사막이판, 상부체결봉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Retaining Wall in Environment Conservation for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종래 공동주택용 옹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원형틀 11 : 식재부
12 : 고정공 13,14 : 전후방측 관삽입공
20 : 중간부원형틀 21 : 식재부
22 : 관통공 23,24 : 전후방측 관삽입공
30 : 상부원형틀 31 : 식재부
32 : 체결공 33 : 관삽입공
40 : 원형파일버팀대 41,42 : 체결홀
50,51,70,71 : 전후방측 고정체결핀
60,80 : 토사막이판 90 : 상부체결봉
100 : 조경식물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비탈 절개면의 붕락을 방지하면서도 주변 조성단지의 경관미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식재되는 조경식물에 의해서 자연스러운 배수가 이루어져 절개면을 안전되게 방호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단지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단지 노상면을 정형하기 위해 자연토층을 절토하거나 기초지반 위에 성토를 취하는 공사를 건축 토공이라 한다. 여기서 노상면을 정형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자연 토층을 절토한 이후에는 이 절토된 부위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거나 비탈지게 성토를 다짐하게 된다. 이는 절토된 부위가 외부적인 기후 요인에 의해 조성 단지 내로 붕락되는 사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이러한 성토를 취하는데 있어서 성토 높이를 불가피하게 높게 형성할 경우, 성토 재료가 고함수비의 점성토 등 전단강도가 낮은 경우 붕괴 사태와 다량의 낙석을 유발시킬 염려가 있어 성토 비탈면 경사를 형성하는데 있어 신중한 검토가 요해진다. 그러므로, 성토 비탈면 경사는 성토 안정에 충분하도록 안정 계산으로 정해야하지만 보통은 성토 재료의 종류, 성토 높이에 따라서 시험적인 표준치가 주어져 있으므로 안정 계산을 할필요 없이 표를 참조하여 현 장의 지형, 토질, 기상 조건, 인접하는 물건, 비탈면 보호공의 종류, 시공법 등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한다.
도 3은 종래 공동주택용 옹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로, 콘크리트 철근재질의 역T형옹벽(110)에 의해서 공동주택의 단지내 도로(120)와 비탈면(130)을 분리되도록 시공하고 있다.
여기서, 비탈면(130) 보호공은 성토만을 취할 경우에는 외부적인 기후적 요인에 의해 비탈면(130)과 이에 연속된 사면의 안전을 꾀할 수 없으므로 비탈면(130)의 표면 지질과 토질에 적합한 방법으로 보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비탈면(130) 보호는 식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한 보호공이 보편적으로 취해진다. 이는 비탈면(130)에 콘크리트 철근재질의 역T형옹벽(110)을 설치하여 조성 단지 내로 비탈면(130)의 붕락의 유발을 사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그 구조가 비탈면(130)의 구조적인 안정과 낙석 방지를 효과적으로 기대하기에는 취약한 결점이 많았다. 즉, 콘크리트 철근재질의 역T형옹벽(110)이 전단 강도가 취약한 구조적 형태를 취하고 있어 과도한 토압이 전가되어 올 경우 및 강우시 또는 융설기 등에 그 내부에 침투한 물에 의해 안정을 잃고 붕괴하는 사태가 종종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속 용이한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당한 공기를 소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옹벽 시공을 취할 위치에 일정 형태의 거푸집을 형성시킨 후 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 건조시켜야만 하는 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면에 후면과 연통을 이룰 수 있게 형성시킨 배수공에 의해 배출되는 침투수가 옹벽 전면에 심각한 배수 얼룩을 발생시켜 주변 조성단지의 경관미를 심각히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비탈면(130)의 붕락만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 이외의 추가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는 기능상의 단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콘크리트 철근재질의 역T형옹벽(110) 구조물의 주변에는 필수적으로 배수로가 위치되어 있어야 하므로 주변을 통행하는 보행자에게 큰 불편을 제공함과 더불어 이러한 배수로를 주기적으로 관리하여야 함에 따른 여러 불편사항과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더불어 상술한 옹벽 구조물은 단지와 인접한 비탈면(130)을 안정되게 방호할 수 있는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게 개발되었을 뿐 그 이외의 추가적인 기능은 제공할 수 없는 단조로운 기능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비탈 절개면의 붕락을 방지하면서도 주변 조성단지의 경관미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식재되는 조경식물에 의해서 자연스러운 배수가 이루어져 비탈 절개면을 안전되게 방호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각으로 절토된 비탈면의 붕락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되는 공동주택용 옹벽에 있어서;
원형상의 통체로 전후방측에는 조경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가 호형상의 요부로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며, 양측 전후방측으로는 상하로 관통된 전후방측 관삽입공이 형성되어 전후방측 관삽입공이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좌우측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하부원형틀과;
상기 하부원형틀 상단에 안착되어 하부원형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상의 통체로 전후방측에는 조경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가 호형상의 요부로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고정공의 연장선상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양측 전후방측으로는 상하로 관통된 전후방측 관삽입공이 형성되어 전후방측 관삽입공이 좌우측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안착되는 중간부원형틀과;
상기 중간부원형틀 상단에 안착되어 중간부원형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통체로 전후방측에는 조경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가 호형상의 요부로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관통공의 연장선상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양측 전후방측으로는 상하로 관통된 관삽입공이 형성되어 관삽입공이 좌우측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안착되는 상부원형틀과;
긴 봉체로 상부원형틀의 체결공과 중간부원형틀의 관통공과 하부원형틀의 고정공을 관통하여 직립고정되고, 좌우측으로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된 원형파일버팀대와;
"∩" 형상으로 상기 근접된 하부원형틀과 중간부원형틀의 전후방측 관삽입공에서 근접된 부위부터 양측단이 순차적으로 삽입고정되어 직립고정되는 전후방측 고정체결핀과;
상기 하부원형틀과 중간부원형틀의 전후방측 관삽입공에 삽입고정된 전후방측 고정체결핀의 사이에 위치되어 중간부원형틀과 상부원형틀 사이의 공간을 밀폐 시켜 전후방측 고정체결핀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토사막이판과;
일단은 절곡되어 원형파일버팀대의 우측체결홀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인접된 다른 원형파일버팀대의 좌측체결홀에 삽입고정되는 상부체결봉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은, 직각으로 절토된 비탈면의 붕락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되는 옹벽으로, 조경식물(100)이 식재되는 하부원형틀(10)과, 하부원형틀(10) 상단에서 조경식물(100)이 식재되는 중간부원형틀(20)과, 중간부원형틀(20) 상단에서 조경식물(100)이 식재되는 상부원형틀(30)과, 상부원형틀(30) 중심에 삽입되어 중간부원형틀(20)과 하부원형틀(10)을 체결고정시키는 원형파일버 팀대(40)와, 인접된 하부원형틀(10)과 주안부원형틀(20)의 전후방측 관삽입공(13,14)(23,24)에 양단이 각각 삽입고정되어 토사막이판(60,80)을 고정지지하는 전후방측 고정체결핀(50,51)(70,71)과, 전후방측 고정체결핀(50,51)(70,71)에 의해 지지되어 중간부원형틀(20)과 상부원형틀(30) 사이의 틈새를 각각 밀폐시키는 토사막이판(60,80)과, 원형파일버팀대(40)를 서로 연결고정시키는 상부체결봉(9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원형틀(10)은 원형상의 통체로, 전후방측에는 조경식물(100)이 토사에 의해 식재되는 식재부(11)가 호형상의 요부로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12)이 형성되며, 양측 전후방측으로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전후방측 관삽입공(13,14)이 각각 형성되어 다수개의 전후방측 관삽입공(13,14)이 전방측과 후방측에서 각각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좌우측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중간부원형틀(20)은 상기 하부원형틀(10) 상단에 안착되어 하부원형틀(10)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상의 통체로, 전후방측에는 조경식물(100)이 토사에 의해 식재되는 식재부(21)가 호형상의 요부로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고정공(12)의 연장선상에 관통공(22)이 형성되며, 양측 전후방측으로는 상하로 관통된 전후방측 관삽입공(23,24)이 전후방측에 각각 다수개 형성되어 전후방측 관삽입공(23,24)이 전후방측에서 다수개가 좌우측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안착된다.
상기 상부원형틀(30)은 상기 중간부원형틀(20) 상단에 안착되어 중간부원형틀(20)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통체로, 전후방측에는 조경식물(100)이 토사에 의해 식재되는 식재부(31)가 호형상의 요부로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관통공(22)의 연장선상에 체결공(32)이 형성되며, 양측 전후방측으로는 상하로 관통된 관삽입공(33)이 다수개 형성되어 다수개 관삽입공(33)이 좌우측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안착된다.
상기 원형파일버팀대(40)는 긴 봉체로, 상부원형틀(30)의 체결공(32)과 중간부원형틀(20)의 관통공(22)과 하부원형틀(10)의 고정공(12)을 관통하여 직립고정되고, 좌우측으로 상부체결봉(90)의 선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체결홀(41,42)이 형성된다.
상기 전후방측 고정체결핀(50,51)(70,71)은 "∩" 형상으로 상기 근접된 하부원형틀(10)과 중간부원형틀(20)의 전후방측 관삽입공(23,24)에서 좌우측의 근접된 부위부터 양측단이 순차적으로 삽입고정되어 직립고정되어 하부원형틀(10)과 중간부원형틀(20)를 연결고정시킨다.
상기 토사막이판(60,80)은 상기 하부원형틀(10)과 중간부원형틀(20)의 전후방측 관삽입공(13,14)(23,24)에 삽입고정된 전후방측 고정체결핀(50,51)(70,71)의 사이에 위치되어 중간부원형틀(20)과 상부원형틀(3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전후방측 고정체결핀(50,51)(70,71)에 의해 지지고정되면서 비탈면의 토사를 막게 된다.
상기 상부체결봉(90)은 일단은 절곡되어 원형파일버팀대(40)의 우측체결홀(41)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인접된 다른 원형파일버팀대(40)의 좌측체결홀(42)에 삽입고정되어 원형파일버팀대(40)를 연결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비탈 절개면의 토사를 전후방측 고정체결 핀(50,51)(70,71)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토사막이판(60,80)에 의해서 완강히 지지고정시키면서 토사 내부의 수분은 상부원형틀(10)과 중간부원형틀(20) 및 하부원형틀(10)의 각 식재부(31,21,11)의 조경식물(100)에 의해서 소비되고 배수된다.
또한, 상부체결봉(90)에 의해서 연결고정되는 원형파일버팀대(40)에 의해서 상부원형틀(10)과 중간부원형틀(20) 및 하부원형틀(10)은 비탈 절개면의 토압에 대해서도 완강하게 지지고정시켜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변 조성단지의 경관미를 확보할 수 있고, 접한 지반으로부터 전달되는 우,오수 및 침출수를 효과적으로 유도 배출시킬 수 있어 도로 주변에 별도의 배수로 공사를 실시하지 않아도 상관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비탈 절개면의 붕락을 방지하면서도 주변 조성단지의 경관미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식재되는 조경식물에 의해서 자연스러운 배수가 이루어져 절개면을 안전되게 방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식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전단 강도가 우수하여 인접한 절개면의 구조적인 안정과 보호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으며, 접한 지반으로부터 전달되는 우,오수 및 침출수를 효과적으로 유도 배출시킬 수 있고, 도로 주변에 별도의 배수로 공사를 실시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직각으로 절토된 비탈면의 붕락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되는 공동주택용 옹벽에 있어서;
    원형상의 통체로 전후방측에는 조경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가 호형상의 요부로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며, 양측 전후방측으로는 상하로 관통된 전후방측 관삽입공이 형성되어 전후방측 관삽입공이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좌우측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하부원형틀과;
    상기 하부원형틀 상단에 안착되어 하부원형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상의 통체로 전후방측에는 조경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가 호형상의 요부로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고정공의 연장선상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양측 전후방측으로는 상하로 관통된 전후방측 관삽입공이 형성되어 전후방측 관삽입공이 좌우측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안착되는 중간부원형틀과;
    상기 중간부원형틀 상단에 안착되어 중간부원형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통체로 전후방측에는 조경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가 호형상의 요부로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관통공의 연장선상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양측 전후방측으로는 상하로 관통된 관삽입공이 형성되어 관삽입공이 좌우측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안착되는 상부원형틀과;
    긴 봉체로 상부원형틀의 체결공과 중간부원형틀의 관통공과 하부원형틀의 고정공을 관통하여 직립고정되고, 좌우측으로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된 원형파일버팀 대와;
    "∩" 형상으로 상기 근접된 하부원형틀과 중간부원형틀의 전후방측 관삽입공에서 근접된 부위부터 양측단이 순차적으로 삽입고정되어 직립고정되는 전후방측 고정체결핀과;
    상기 하부원형틀과 중간부원형틀의 전후방측 관삽입공에 삽입고정된 전후방측 고정체결핀의 사이에 위치되어 중간부원형틀과 상부원형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전후방측 고정체결핀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토사막이판과;
    일단은 절곡되어 원형파일버팀대의 우측체결홀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인접된 다른 원형파일버팀대의 좌측체결홀에 삽입고정되는 상부체결봉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
KR1020060068455A 2006-07-21 2006-07-21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 KR10064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455A KR100641626B1 (ko) 2006-07-21 2006-07-21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455A KR100641626B1 (ko) 2006-07-21 2006-07-21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626B1 true KR100641626B1 (ko) 2006-11-02

Family

ID=3764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455A KR100641626B1 (ko) 2006-07-21 2006-07-21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722B1 (ko) 2007-08-14 2008-12-05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역원추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148U (ko) 1986-08-13 1988-02-29
KR200178959Y1 (ko) 1999-11-04 2000-04-15 한승호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KR200390304Y1 (ko) 2005-04-19 2005-07-22 우수건설(주)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148U (ko) 1986-08-13 1988-02-29
KR200178959Y1 (ko) 1999-11-04 2000-04-15 한승호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KR200390304Y1 (ko) 2005-04-19 2005-07-22 우수건설(주)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722B1 (ko) 2007-08-14 2008-12-05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역원추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072B1 (ko) 투수 포장 구조체
KR102233633B1 (ko)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KR100684542B1 (ko) 도로용 법면 보호블록 설치구조
KR100641626B1 (ko)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20090012490A (ko)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KR100663091B1 (ko) 도로의 친환경적인 옹벽
KR102305348B1 (ko) 저영향개발(lid) 투수블록
CN210597199U (zh) 园林生态护坡
KR100616245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설치구조
KR100970494B1 (ko)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KR100536411B1 (ko) 도로용 법면보호블록 설치구조
KR100519910B1 (ko) 건축단지의 비탈면 방호시설
KR100515788B1 (ko) 건축 단지용 조립식 비탈 보호 옹벽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865518B1 (ko) 차량 충격 흡수를 위한 도로 옹벽의 친환경 조경물
KR100542617B1 (ko) 담장 벽면 및 사면 녹화용 조립식 콘크리트 식생옹벽과그의 시공방법
CN214301568U (zh) 一种水利工程用护坡支撑结构
KR100697637B1 (ko) 건축단지용 친환경적인 옹벽
KR20030001653A (ko) 비탈면 보호 블럭의 배수용 파이프
KR100747155B1 (ko) 보행자 통로확보를 위한 공동주택용 옹벽 전면배수덮개
KR100601894B1 (ko) 건축단지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KR100731930B1 (ko) 도로 비탈면의 슬라이딩 방지시설
KR100749047B1 (ko) 필터재가 설치된 식생 블록
JP4767116B2 (ja) 間知ブロックによる造成壁面の緑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