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548Y1 -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548Y1
KR200178548Y1 KR2019990024170U KR19990024170U KR200178548Y1 KR 200178548 Y1 KR200178548 Y1 KR 200178548Y1 KR 2019990024170 U KR2019990024170 U KR 2019990024170U KR 19990024170 U KR19990024170 U KR 19990024170U KR 200178548 Y1 KR200178548 Y1 KR 200178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ome switch
dome
keypa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176U (ko
Inventor
양윤홍
Original Assignee
유일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80016113U external-priority patent/KR19980065449U/ko
Application filed by 유일전자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일전자공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000041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1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548Y1/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돔 스위치와 키를 단일화시킴으로서 조립을 쉽게 할 수 있으며, 각 키의 중심에 메탈돔의 중심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키 작동의 균일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키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접점을 갖는 인쇄회로기판과, 이 인쇄회로기판상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와, 이 돔 스위치 위쪽면에 위치하는 필름과, 이 필름과 상기한 돔 스위치를 눌러주는 키가 접착되어 일체화된 키패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인쇄회로기판과 필름은 접착부로 접착되어 일체형의 돔 스위치 어셈블리로 형성되고, 이 돔 스위치 어셈블리는 키와 점착되어 하나로 일체화된 구조를 갖추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METAL DOME SINGLE BODY TYPE OF KEY PAD}
본 고안은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돔 스위치 키를 단일화시킴으로서 조립을 쉽게 할 수 있으며, 각 키의 중심에 메탈돔의 중심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키 작동의 균일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키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는 유무선 통신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유선 통신기는 사무용이나 가정용 전화기가 대표적이며, 무선 통신기는 휴대폰 이라 불리는 셀룰러폰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통신기는 어느 것이나 신호 발생을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키를 갖고 있으며, 이 키는 접점을 갖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대개의 경우 셀룰러폰의 스위치 장치는 작동감을 얻을 수 있도록 돔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돔 스위치는 인쇄회로기판상에 붙여진 상태로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위치 장치 조립시 키패드와 별도로 분리하여 돔 스위치를 인쇄회로기판상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키패드의 접촉돌기 와 메탈돔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기 쉽고, 조립시마다 그 조건에 따라 감촉이 달라지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도 3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필름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있고, 도 3b에서와 같이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것이 있다.
필름타입으로 이루어진 키패드의 키(50)는 키탑(52)과 이 키탑(52) 저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접촉돌기(54)로 이루어지고,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경우의 키(50)는 베이스(51)와, 이 베이스(5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키탑(52)과, 이 키탑(52)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접촉돌기(54)를 갖는다.
이러한 필름타입의 키탑(52) 외측면에는 필름면(55)이 접착되며, 각각의 키(50)는 도시되지 않은 전화기의 프론트 하우징 외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접촉돌기(54)가 형성된 아래쪽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한 돔 스위치(56)가 위치하며, 이 돔 스위치(56)의 아래쪽으로 인쇄회로기판(58)상에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재(60)가 위치한다.
이러한 키패드는 키탑(52)을 누르게 되면, 이 키탑(52)의 저면에 형성된 접촉돌기(54)가 돔 스위치(5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인쇄회로기판(58)상에 고정 설치된 접촉부재(60)와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키패드의 조립은 상기한 키탑(52)의 저면에 형성된 접촉돌기(54)와 돔 스위치(56)의 정확한 중심을 맞추어서 조립하기가 어렵고, 각 키의 중심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키 접점과 접촉이 불량하게 되어 정확한 호출신호를 발생시키기 어려웠으며, 조립할 때마다 각 부품의 기구적 특성이 조금씩 차이가 생김으로서 키 작동시 균일성이 결여되는 현상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98년 2월 17일자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43호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출원의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는 조립시 키패드와 별도로 분리된 돔 스위치를 인쇄회로기판상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키패드의 접촉돌기와 메탈돔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기 쉽고, 조립시마다 그 조건에 따라 감촉이 달라지게 된다.
게다가 키패드와 돔 스위치가 각각 제작되어 조립함으로써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돔 스위치와 키를 단일화시킴으로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각 키의 중심에 메탈돔의 중심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키 작동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접점을 갖는 인쇄회로기판과, 이 인쇄회로기판상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와, 이 돔 스위치 위쪽면에 위치하는 필름과, 이 필름과 상기한 돔 스위치를 눌러주는 키가 접착되어 일체화된 키패드를 제공한다.
상기한 인쇄회로기판과 필름은 접착부로 접착되어 일체형의 돔 스위치 어셈블리로 형성되고, 이 돔 스위치 어셈블리는 키와 점착되어 하나로 일체화된 구조를 갖추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키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는 전화기의 프론트 하우징(2)에 형성된 다수의 홀(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다수의 키(6)와, 이 키(6)가 작동함에 따라서 인쇄회로기판(8)상에 고정 설치된 고정접점(10)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 스위치(12)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는 필름타입인 경우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데, 상기한 키(6)는 사각형이나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 키(6)의 형상에 따라서 전화기의 프론트 하우징(2)에 형성된 홀(4)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키(6)는 전화기에 조립시 외부로 노출되는 키탑(14)과 전화기의 프론트 하우징(2) 내측으로 위치하고 상기한 돔 스위치(12)와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접촉돌기(16)로 구성된다.
상기한 키탑(14) 외측면에는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는 필름면(18)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필름면(18)은 키패드 조립시 키(6) 사이는 전화기의 프론트 하우징(2)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가 되어 상기한 키(6)들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돔 스위치(12)는 소정의 탄력성을 보유하여 키(6)를 누를 경우 자체 탄성력으로 복원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돔 스위치(12) 위쪽면에는 인쇄회로기판(8)과 접착된 필름(20)이 위치하는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필름(20)은 키(6) 작동시 돔 스위치(12)가 용이하게 눌러질 수 있도록 연성의 탄성력을 갖춘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좋고 접착부(22)는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20)은 돔 스위치(12)가 위치한 부분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 부분에 자외선 점착액을 실크 프린팅 방식으로 도포 후 자외선 조사기를 통과하여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자외선 점착제(24)를 형성한다.
이 자외선 점착제(24)에는 키패드 조립 전까지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형지를 덮어 돔 스위치 어셈블리(26)를 제작한다.
상기한 돔 스위치 어셈블리(26)와 키(6)를 조립하는 방법은 상기한 자외선 점착제(24)에 덮혀 있는 이형지를 떼어 낸 다음 키(6)의 저면에 형성된 접촉돌기(16)와 돔 스위치(12)의 중심을 지그 등을 통해 일치시킨 후 상기한 키(6)에 압력을 가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한 자외선 점착제(24)에 접촉돌기(16)가 접착되어 하나의 단일체로 이루어진 키패드가 완성된다.
이러한 단일체로 이루어진 키패드는 전화기에 조립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조립조건에 따라 돔 스위치와 접촉돌기의 중심이 일치하지 못하여 발생될 수 있는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는, 키(6)를 누르게 되면 이 키(6)의 밑면에 형성된 접촉돌기(16)가 이동하면서, 이 접촉돌기(16)와 접착된 필름(20)이 아래쪽으로 눌려진다.
이러한 작용이 진행되면서 필름(20)과 접촉되어 있는 돔 스위치(12)가 눌려져 인쇄회로기판(8)상에 설치된 고정접점(10)과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서 전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신호가 입력된다.
이렇게 신호를 발생시킨 후 누르고 있던 키(6)에서 손을 떼면, 상기한 돔 스위치(12)와 필름(20)이 자체 탄력으로 상승하여 키(6)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온다.
도 2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키패드인 경우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제2실시예의 도면이다.
상기한 실리콘 키패드의 키(6)는 전화기에 조립시 외부로 노출되는 키탑(14)과, 전화기의 프론트 하우징(2) 내측으로 위치하고 상기한 키탑(14)의 아래쪽 측면으로 제공되는 베이스(28)와, 상기한 돔 스위치(12)와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돌기(16)로 구성된다.
상기한 키탑(14)과 베이스(28)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키(6)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한 키탑(14)의 아래쪽 주변부분은 베이스(28)보다 얇게 형성한다.
상기한 베이스(28)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돔 스위치 어셈블리(26)를 이루고있는 필름(20)에 양면테이프(30)를 사용하여 접착시킴으로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제작할 수 있다.
이렇게 키패드를 일체화시킴으로서 조립시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키(6)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베이스(28)와 돔 스위치 어셈블리(26)가 양면테이프(30)로 접착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인쇄회로기판에 메탈돔이 위치할 때 보다 일정하면서도 정확한 호출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필름상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졌으나 본 고안에 의한 키패드는 이러한 절개부 없이 제작 가능함으로서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는, 돔 스위치 어셈블리와 키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키의 중심과 메탈돔의 중심이 항상 일치되므로 정확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접점을 갖는 인쇄회로기판과, 이 인쇄회로기판상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와, 이 돔 스위치 위쪽면에 위치하는 필름과, 상기한 돔 스위치를 눌러주는 키를 포함하는 통신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한 인쇄회로기판과 필름은 접착부로 접착되어 일체형의 돔 스위치 어셈블리로 형성되고, 이 돔 스위치 어셈블리는 키와 점착되어 하나로 일체화된 구조를 갖추도록 이루어지는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돔 스위치 어셈블리와 키의 점착은, 돔 스위치가 위치한 필름상에 자외선 점착액을 도포하여 경화시키고, 경화된 점착제와 키의 저면에 형성된 접촉돌기가 점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돔 스위치 어셈블리와 키의 점착은 키의 주변부 저면에 형성된 베이스와, 이 베이스와 돔 스위치 어셈블리는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
KR2019990024170U 1998-08-27 1999-11-05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 KR20017854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113U KR19980065449U (ko) 1998-02-17 1998-08-27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113U Division KR19980065449U (ko) 1998-02-17 1998-08-27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176U KR20000004176U (ko) 2000-02-25
KR200178548Y1 true KR200178548Y1 (ko) 2000-04-15

Family

ID=1953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170U KR200178548Y1 (ko) 1998-08-27 1999-11-05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5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335B1 (ko) 2004-12-02 2008-07-15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클릭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
CN113871228A (zh) * 2021-09-29 2021-12-31 歌尔科技有限公司 按键模组的组装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335B1 (ko) 2004-12-02 2008-07-15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클릭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
CN113871228A (zh) * 2021-09-29 2021-12-31 歌尔科技有限公司 按键模组的组装设备
CN113871228B (zh) * 2021-09-29 2023-12-01 歌尔科技有限公司 按键模组的组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4993B1 (ko) 이엘램프 내장 일체형 키패드
KR100342959B1 (ko)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US4366355A (en) Keyboard
KR100310040B1 (ko)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KR200178548Y1 (ko)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
KR19980065449U (ko)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
KR20000004176U (ko)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
JPH117862A (ja) キースイッチ
WO2000038206A1 (fr) Commutateur, bouton de commutateur, et procede de fixation dudit bouton de commutateur
KR100275297B1 (ko) 필름성형 키캡과 실리콘 고무 조합 키패드 제작방법
JP2007179923A (ja) メタルドーム押さえシート及びメタルドームスイッチ
KR20020080687A (ko)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제조 방법
KR100685142B1 (ko) 휴대폰용 키패드 및 그 제작방법
KR20090109862A (ko) 키패드 어셈블리
KR20060000264A (ko) 전자기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344970B1 (ko)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KR200375006Y1 (ko) 이엘램프가 내장된 메탈 일체형 키패드
KR19980024783U (ko) 통신기의 스위치 장치
KR20050122042A (ko) 인쇄를 이용한 휴대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H06349377A (ja) プッシュボタンスイッチ
KR100289034B1 (ko) 이동 통신기용 키패드 제작방법
KR100472000B1 (ko) 박막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282132Y1 (ko) 셀룰라폰용 키패드
KR200378607Y1 (ko) 메탈 키패드
KR200372897Y1 (ko) 본딩력 강화 기능이 구비된 키패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