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003Y1 -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 - Google Patents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003Y1
KR200178003Y1 KR2019970028125U KR19970028125U KR200178003Y1 KR 200178003 Y1 KR200178003 Y1 KR 200178003Y1 KR 2019970028125 U KR2019970028125 U KR 2019970028125U KR 19970028125 U KR19970028125 U KR 19970028125U KR 200178003 Y1 KR200178003 Y1 KR 200178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diesel engine
sponge
perforat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955U (ko
Inventor
정지영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70028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00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003Y1/ko

Links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차 여과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흡입시 발생하는 흡기소음을 줄이고, 제품의 신뢰도와 에어클리너의 보전성을 높이도록 한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타공망(12)의 외주면에 흡입구멍(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타공망(12)의 둘레에 흡입구멍(13)을 덮어서 스폰지(20)가 감싸져 있는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10)에 있어서, 상기 타공망(12)과 상기 스폰지(20)의 사이에 기름을 적신 메탈라스(30)를 개재하고, 이 메탈라스(30)의 양단을 지지하는 타공망 커버(40)(41)를 상기 타공망(12)의 양단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
본 고안은 먼지나 미세 이물질의 여과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흡입시 발생하는 흡기소음을 줄이고, 제품의 신뢰도와 에어클리너의 보전성을 높이도록 한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에서와 같이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10)는 타공망(12)의 외주면에 다수의 흡기구멍(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타공망(12)의 외주면에 흡기구멍(13)을 덮어서 스폰지(20)가 감싸져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에어클리너(10)가 디젤엔진에 장착되어 디젤엔진이 구동을 하게 되면 디젤엔진의 바깥측 여과전 공기가 화살표 A방향으로 스폰지(20)를 통과하고, 1차 여과된 공기가 화살표 B방향으로 엔진흡입구를 거쳐 엔진 내부로 유입되어 기관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공급되고, 깨끗하게 공급된 공기는 피스톤 등 부품의 마모방지 및 원활한 운전이 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도 1의 에어클리너(10)는 스폰지(20)에 의해 1차적인 흡기 여과밖에 할 수 없어서 미세 먼지나 유해물질 등의 여과효과를 기대하기 힘들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조밀한 입자의 스폰지(20)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스폰지(20)에 형성되어 있는 수많은 흡입구멍이 빨리 막히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디젤엔진의 연소기능 약화, 과소음 발생원인 및 잦은 에어클리너의 교환으로 제품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미세 먼지와 유해물질을 2차적으로 여과시키고 흡기소음을 대폭 저감시키도록 한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타공망(12)의 외주면에 스폰지(20)가 감싸져 흡입공기를 여과시키는 디젤엔진의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타공망(12)과 상기 스폰지(20)의 사이에는 기름이 적셔진 여과망체(30)가 개재되어, 디젤엔진의 흡입력에 의해 스폰지(20)를 통과한 흡기에 포함된 먼지나 미세 이물질이 여과망체(30)의 기름에 흡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에어클리너의 반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에어클리너의 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클리너 12 : 타공망
13 : 흡입구멍 20 : 스폰지
30 : 여과망체 40,41 : 타공망 커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에어클리너(10)의 전단면도로서, 타공망(12)은 강판재로 통형으로 형성하고, 이 타공망(12)의 둘레에 수많은 흡입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공망(12)의 양측에는 각각의 타공망 커버(40)(41)가 조립되어 있고, 각 타공망 커버(40)(41)의 둘레에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40A)(41A)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40A)(41A)의 내측면에는 여과망체(30)의 양단이 지지되어 있고, 상기 타공망 커버(40)의 일측에는 엔진흡입구(도시안됨)에 연결되는 짧은 접속관(4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여과망체(30)는 기름이 적셔져 있는 상태로 여러개의 여과층을 형성하고 있고, 각 여과층마다 흡입공기를 여과시키는 작은 슬릿이 절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망체(30)는 상기 타공망 커버(40)(41)에 의해 좌우로 이동이 안되게 고정되어 있고, 또 타공망(12)의 외주면을 감싸서 흡입구멍(13)을 덮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망체(30)의 둘레에는 1차 공기를 여과시키는 스폰지(20)가 덮어 씌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에서 에어클리너(10)의 접속관(42)이 도시안된 디젤엔진의 엔진흡입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디젤엔진이 구동하게 되면, 디젤엔진 밖의 외기공기가 화살표로 표시한 A방향으로 스폰지(20)에 흡입되고, 여과망체(30)를 통과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유해물질이 스폰지(20)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여과되고, 이어서 여과망체(30)의 슬릿을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잔유 먼지 및 잔유 물질을 여과시키게 된다. 이때 여과망체(30)에 적셔져있는 기름에는 스폰지(20)에서 걸러지지 못한 잔유 먼지 등이 달라붙게 된다.
이같이 스폰지(20)와 여과망체(30)를 통과한 깨끗한 공기는 화살표 C방향으로 흘러서 엔진흡입구에 공급된다.
따라서 디젤엔진은 2차적으로 여과된 깨끗한 공기를 사용하게 되어 연료와 혼합되어 완전 연소되어 폭발하게되므로 연소효율이 높아지고, 피스톤, 실린더 보어 등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망체(30)가 2차적인 여과기능을 발휘하게 되어 상기 스폰지(20)의 입자구멍을 약간 크게 할 수 있어 미세 먼지와 유해물질로 인한 막힘 정도가 적어 흡기소음을 줄일 수 있고 종래 보다 교환주기를 길게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스폰지에 의해 걸러지지 못한 여과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 및 유해물질을 기름이 적셔진 여과망체에 의해 달라붙도록 해서 2차적으로 흡입공기를 여과시켜 디젤엔진의 엔진흡입구에 공급함으로써 기관의 완전 연소가 가능하고, 주요 엔진 부품인 피스톤 등의 마멸방지에 효과가 크고, 에어클리너의 교환주기 연장 및 흡기소음의 저감으로 제품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타공망(12)의 외주면에 스폰지(20)가 감싸져 흡입공기를 여과시키는 디젤엔진의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타공망(12)의 양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40A)(41A)를 갖는 각각의 타공망 커버(40)(41)를 체결하고, 상기 플랜지부(40A)(41A)의 내측면에 여과망체(30)의 양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타공망(12)과 상기 스폰지(20)의 사이에 여과망체(30)를 개재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
KR2019970028125U 1997-10-10 1997-10-10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 KR200178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125U KR200178003Y1 (ko) 1997-10-10 1997-10-10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125U KR200178003Y1 (ko) 1997-10-10 1997-10-10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955U KR19990014955U (ko) 1999-05-15
KR200178003Y1 true KR200178003Y1 (ko) 2000-04-15

Family

ID=1951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125U KR200178003Y1 (ko) 1997-10-10 1997-10-10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0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955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9121B1 (en) Air filter
JPS5933890Y2 (ja) 内燃機関用エアクリ−ナエレメント
DE50010294D1 (de) Luftfilt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5935281A (en) Filter apparatus
MXPA05000739A (es) Elemento filtrante de aire tipo panel con deflector integral.
US5417727A (en) Noise attenuating air cleaner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40025810A1 (en) Air cleaner assembly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200178003Y1 (ko) 디젤엔진에 장착되는 에어클리너
US5897776A (en) Filter media configuration
EP0480991B1 (en) Filter device, particularly intake air filter device for combustion engines
CA2208670C (en) Spin-on liquid filter with unique straight through flow path
US20040060439A1 (en) Replaceable filter element assembly
KR930005288B1 (ko) 미스트 제거장치
JP2014034941A (ja) 作業機用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
KR100304596B1 (ko) 가스터빈의 흡기 정화용 에어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9036065A (ja) 内燃機関の空気濾過清浄器
JPH05248226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ガス中の黒煙除去装置
KR940002805Y1 (ko) 자동차용 침적식 에어크리너
KR200248299Y1 (ko) 2중 쐐기형 스월윙 에어크리너
KR200172067Y1 (ko) 가스터빈의 흡기 정화용 에어필터
WO2002074409A1 (en) A filter system
KR0119294Y1 (ko) 항타 크레인의 디젤파일 해머용 오염 및 소음방지 필터
RU2159338C1 (ru) Глушитель, снабженный средством очистки
JPS6012929Y2 (ja)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ナ
KR100570002B1 (ko) 연료펌프의 이물질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