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997Y1 - 엔씨선반의도어구조 - Google Patents

엔씨선반의도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997Y1
KR200177997Y1 KR2019970045529U KR19970045529U KR200177997Y1 KR 200177997 Y1 KR200177997 Y1 KR 200177997Y1 KR 2019970045529 U KR2019970045529 U KR 2019970045529U KR 19970045529 U KR19970045529 U KR 19970045529U KR 200177997 Y1 KR200177997 Y1 KR 200177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ash guard
top door
door
lathe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763U (ko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70045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997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7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7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9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23B25/04Safety guards specially designed for tur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75Wipers for clearing foreign matter from slideways or slidable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91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arranged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갠트리 로더의 작업공간의 확보 및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스프래쉬 가드와 탑도어를 분리하도록 하는 NC선반의 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갠트리 로더(20)의 그립퍼(22)에 의해 가공할 공작물이나 가공한 공작물을 그립핑하여 척(18)으로 이송 또는 반송시키기 위해 상부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는 NC선반의 도어구조에 있어서, 선반(10)의 상,하측단에 슬라이딩결합되어 그 전면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스프래쉬 가드(16)와; 그립퍼(22)의 로딩상태를 인식하여 길이방향으로 작동하는 실린더(34)와; 일측단은 상기 실린더(34)와 고정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스프래쉬 가드(16)와 슬라이딩결합되어 그 스프래쉬 가드(16)와 별개로 개폐되는 탑도어(14)를 포함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엔씨 선반의 도어구조
본 고안은 NC선반의 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갠트리 로더의 작업공간의 확보 및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스프래쉬 가드와 탑도어를 분리하도록 하는 NC선반의 도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 즉 NC선반은 서보모터의 고속회전으로 축이 연동하고 그 축에 공작물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척이 개재되어 있는 스핀들 유니트와, 공작물의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중심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스핀들 유니트의 구동축과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여 공작물의 중심을 지지하도록 하는 심압대 유니트와, 상기 스핀들 유니트 상부의 베드상에 설치되고 수평 및 수직운동을 하는 볼스크류 유니트와, 상기 볼스크류 유니트의 이송대 상부에 설치되고 공작물에 접근하여 바이트작업이나 선삭작업을 할 수 있게 다양한 공구가 구비된 공구대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공을 위한 공작물의 공급과 가공한 공작물의 이송을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갠트리 로더(20)가 사용된다. 상기 갠트리 로더(20)는 가공을 위한 공작물 또는 가공한 공작물을 그립핑하는 그립퍼(22)를 조작하는 수직이동수단(24)과 회전수단(26)이 구비되어 있고 그러한 작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일정위치까지 이송하는 리니어 가이더(28)가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갠트리 로더(20)에서 그립퍼(22)를 포함하는 작동부가 척(18)에 물린 공작물(29)을 그립핑하기 위해서는 NC선반(10)내로 진입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실린더(12)를 작동수단으로 하는 탑도어(14)가 선반 상부에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NC선반에서 상기 탑도어(14)는 선반의 전방에 위치한 스프래쉬 가드(16)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되는 폭이 적을 수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탑도어(14)의 열림은 스프래쉬 가드(16)에 의해 결정되는데 그 스프래쉬 가드(16)의 개폐의 폭이 설치상 극히 한정적이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탑도어(14)의 개폐에 따라 스프래쉬 가드(16)가 함께 연동하기 때문에 높은 자중에 따른 실린더(12)의 큰 작동력이 요구되었고, 필요없는 스프래쉬 가드(16)의 잦은 개폐로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갠트리 로더를 사용함에 따른 작업공간의 확보 및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스프래쉬 가드와 탑도어를 분리하도록 하는 NC선반의 도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갠트리 로더의 그립퍼에 의해 가공할 공작물이나 가공한 공작물을 그립핑하여 척으로 이송 또는 반송시키기 위해 상부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는 NC선반의 도어구조에 있어서, 선반의 상,하측단에 슬라이딩결합되어 그 전면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스프래쉬 가드와; 그립퍼의 로딩상태를 인식하여 길이방향으로 작동하는 구동수단과; 일측단은 상기 구동수단과 고정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스프래쉬 가드와 슬라이딩결합되어 그 스프래쉬 가드와 별개로 개폐되는 탑도어를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제1도는 공작물의 이송을 위한 갠트리 로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종래 NC선반의 도어구조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NC선반의 도어구조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 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NC선반의 도어구조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NC선반 12 : 실린더
14 : 탑도어 16 : 스프래쉬 가드
18 : 척 20 : 갠트리 로더
22 : 그립퍼 24 : 수직이동수단
26 : 회전수단 28 : 리니어 가이더
29 : 공작물 30 : 로울러 가이더
31 : 레이디얼 볼 베어링 32 : 로울러
33 : 양방향 습동부재 33a : 슬라이딩 팩
33b : 지지 플레이트 33c : 상부 슬라이더
33d : 하부 슬라이더 34 : 실린더
34a : 피스톤 로드 34b : 체결수단
35 : 탑도어 와이퍼 36 : 탑도어 가이드
37 : 스프래쉬 가드 와이퍼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NC선반의 도어구조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NC선반의 도어구조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성요소의 도면부호는 종래의 그것과 동일할 경우 동일한 부호를 따른다.
본 고안의 구성은, 갠트리 로더(20)의 그립퍼(22)에 의해 가공할 공작물이나 가공한 공작물을 그립핑하여 척(18)으로 이송 또는 반송시키기 위해 상부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는 NC선반의 도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NC선반(10)의 정면에 위치되는 스프래쉬 가드(16)와 상면에 위치되는 탑도어(14)를 서로 분리되게 구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스프래쉬 가드(16)의 하부는 선반(10)측에 고정되는 로울러 가이더(30)에 구름결합하고 레이디얼 볼 베어링(31)에 의해 습동결합되는 로울러(32)가 구성되어 있고, 그 상부는 탑도어(14)에 고정 설치되어 습동을 가이드하는 양방향 습동부재(33)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양방향 습동부재(33)를 좀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서로 대향되게 고정설치되고 양측에 길이방향의 슬라이딩 팩(33a)을 개재하는 지지 플레이트(33b)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스프래쉬 가드(16)측과 고정결합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33b)에 개재된 슬라이딩 팩(33a)과 구름결합하는 상부 슬라이더(33c)가 구비되는 한편, 그 하부에도 상기와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상기 상부 슬라이더(33c)와 대응하는 하부 슬라이더(33d)에는 탑도어(14)의 일측과 고정결합하고, 탑도어(14)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탑도어 가이드(36)을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탑도어(14)의 타측은 역시 선반(10)의 다른 측단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탑도어(14)의 슬라이딩 결합단측에는 유체(공압 또는 유압)를 작동수단으로 하여 탑도어(14)를 개폐하는 실린더(34)가 고정되어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린더(34)의 피스톤 로드(34a)와 탑도어(14)가 체결수단(34b)에 의해 서로 연동되게 고정결합되어 있다.
또한, 서로 분리되어 따로 동작하는 스프래쉬 가드(16)와 탑도어(14)에 의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지만 일체가 아니기 때문에 비산되는 절삭유의 누유가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은 다음의 기술에서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서로 분리되는 탑도어(14)와 스프래쉬 가드(16)의 결합단에는 절삭유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탑도어 와이퍼(35)와 스프래쉬 가드 와이퍼(37)을 설치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척(18)에 클램핑되어 고속회전하는 공작물은 공구대(도시안됨)에 구비된 공구의 접근에 의해 가공되고,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은 리니어 가이더(28)를 통한 직선이동에 의한 갠트리 로더(20)의 그립퍼(22)에 의해 그립핑됨과 동시에 가공할 공작물을 척킹시키기 위해 탑도어(14)를 개방시킨다.
그 동작은 먼저 갠트리 로더(20)의 이송작동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그립퍼(22)의 이동도중에 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4a)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작동되게 작동유체가 출입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로드(34a)는 체결수단(34b)에 의해 탑도어(14)와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실린더, 즉 피스톤로드(34a)의 작동에 따라 탑도어(14)가 슬라이딩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딩은 탑도어(14)와 스프래쉬 가드(16)에 습동결합된 양방향 습동부재(33)에 의해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프래쉬 가드(16)에 고정결합된 상기 상부 슬라이더(33c)와 탑도어(14)에 고정결합된 하부 슬라이더(33d)가 지지 플레이트(33b)에 의해 위치고정된 슬라이딩 팩(33a)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습동하게 된다. 또한 탑도어 가이드(36)에 의해 안내되어 탑도어(14)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의 작동은 스프래쉬 가드(16)와는 별개이다.
한편, 스프래쉬 가드(16)는 로울러(32)와 양방향 습동부재(33)의 상부 슬라이더(33c)에 각각 습동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탑도어(14)의 동작에 전혀 간섭을 주지 않으며 독립적으로 개폐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스프래쉬 가드(16)와 탑도어(14)의 내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면접하는 탑도어 와이퍼(35)와 스프래쉬 가드 와이퍼(37)에 의해 비산되는 절삭유의 누유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에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게 되면, 스프래쉬 가드와 탑도어가 서로 일체가 아니라 서로 독립된 별도의 슬라이딩부재이기 때문에 탑도어의 개폐공간을 스프래쉬 가드에 영향을 받지 않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갠트리 로더에 의한 상대적으로 큰 공작물의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시 선반과의 간섭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공작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스프래쉬 가드는 탑도어와 별개로 동작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3)

  1. 갠트리 로더(20)의 그립퍼(22)에 의해 가공할 공작물이나 가공한 공작물을 그립핑하여 척(18)으로 이송 또는 반송시키기 위해 상부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는 NC선반의 도어구조에 있어서, 선반(10)의 상,하측단에 슬라이딩결합되어 그 전면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스프래쉬 가드(16)와; 그립퍼(22)의 로딩상태를 인식하여 길이방향으로 작동하는 실린더(34)와; 일측단은 상기 실린더(34)와 고정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스프래쉬 가드(16)와 슬라이딩결합되어 그 스프래쉬 가드(16)와 별개로 개폐되는 탑도어(14)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선반의 도어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래쉬 가드(16)와 탑도어(14)와의 슬라이딩 결합부에는 스프래쉬 가드(16)의 슬라이딩과 탑도어(14)의 슬라이딩을 동시에 가이드하는 양방향 습동부재(33)를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NC선반의 도어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슬라이딩결합하는 상기 스프래쉬 가드(16)와 탑도어(14) 사이의 밀폐력을 확보하기 위해 서로 면접촉하는 탑도어 와이퍼(35) 및 스프레쉬 가드 와이퍼(37)를 구비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NC선반의 도어구조.
KR2019970045529U 1997-12-31 1997-12-31 엔씨선반의도어구조 KR200177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529U KR200177997Y1 (ko) 1997-12-31 1997-12-31 엔씨선반의도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529U KR200177997Y1 (ko) 1997-12-31 1997-12-31 엔씨선반의도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763U KR19990032763U (ko) 1999-07-26
KR200177997Y1 true KR200177997Y1 (ko) 2000-04-15

Family

ID=1952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529U KR200177997Y1 (ko) 1997-12-31 1997-12-31 엔씨선반의도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9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763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168305T1 (de) 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bohr- und fräsmaschine
US4506569A (en) Multiple axis slant bed machine
DE102005058347B4 (de) Werkzeugmaschine zur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DE502005003555D1 (de) Drehmaschine mit zwei verfahrbaren arbeitsspindeln
KR200171446Y1 (ko) 로테이션에 따른 에이 피 씨 도어의 간섭 및 누유방지장치
GB2348385A (en) Machining centre, tool support, tool changer, coupling device and pallet changer
KR200177997Y1 (ko) 엔씨선반의도어구조
DE3775673D1 (de) Kurzhub-werkzeugmaschine mit einem an einem maschinengestell in vertikaler (z-)richtung verfahrbar gelagerten bohr- und fraesspindelstock.
JP3943360B2 (ja) 工作機械のワーク搬送装置
JP3712090B2 (ja) パレットチェンジャー
JPH09295177A (ja) レーザ加工機
US6582168B2 (en) Machine tool
KR20200099359A (ko) 공작기계의 와이퍼 장치
KR100600026B1 (ko) 자동 파렛트 교환장치의 기울어짐 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1235443B1 (ko) 공작기계의 공작물 언로더의 버킷부 개폐장치
US4200014A (en) Workpiece changing mechanisms for lathes
KR200171441Y1 (ko) 공작기계의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
KR200186359Y1 (ko) 장축 공작물의 유압작동식 방진구
JPH0811035A (ja) 工作機械のドア装置
KR20000014034U (ko) 공작기계의 툴 매거진 도어 개폐장치
KR102540537B1 (ko) 체인구동 공구 매거진용 위치결정장치
KR102497169B1 (ko) 자동 공구 교환 장치
KR100445262B1 (ko) 수치제어 선반의 스플래시 도어 이송용 레일 서포트
JP2541702Y2 (ja) 工作機械用カバー
JP4313179B2 (ja) 木材プレカット加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