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441Y1 - 공작기계의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441Y1
KR200171441Y1 KR2019970045539U KR19970045539U KR200171441Y1 KR 200171441 Y1 KR200171441 Y1 KR 200171441Y1 KR 2019970045539 U KR2019970045539 U KR 2019970045539U KR 19970045539 U KR19970045539 U KR 19970045539U KR 200171441 Y1 KR200171441 Y1 KR 200171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ash guard
opening
guard
workpiece
clos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773U (ko
Inventor
성기은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70045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44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7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25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물의 가공을 위해 스핀들에 클램핑하는 작업과 언클램핑된 공작물의 배출을 위해 개폐되는 스프래쉬 가드의 밀폐를 보다 확실하게 실현시키도록 하는 공작기계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공작물을 클램핑시키거나 언클램핑시키기 위해 로울러(15)(17)가 구비된 커버 하우징(10)의 상,하측의 가이드레일(14)(16)에 습동결합되는 한편, 분사되는 절삭유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해 폐(閉)상태를 유지하는 스프래쉬 가드(12)의 개폐구조에 있어서,
습동하는 상기 스프래쉬 가드(12)의 폐(閉)지점에 이르는 상부 또는 하부 가이드레일(14)(16)상에 로울러(15)(17)를 일정이상의 외압이 가하지 않는 한 개(開)시키지 않도록 하는 소정높이를 갖는 스토퍼(20)를 적어도 2개 이상 구성하도록 된 특징으로 갖는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
본 고안은 NC공작기계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물의 가공을 위해 스핀들에 클램핑하는 작업과 언클램핑된 공작물의 배출을 위해 개폐되는 스프래쉬 가드의 밀폐를 보다 확실하게 실현시키도록 하는 공작기계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NC공작기계는 3축, 4축, 5축도 동시에 제어하여 복잡한 형상을 용이하게 제어하여 복잡한 형상을 용이하게 높은 정밀도로 단시간에 가공할 수가 있다.
또한, 중요한 것은 기계를 운전하는 종업원은 작업의 순서 외는 항시 기계에 붙어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성력화를 추진할 수 있다. 또 NC공작기계에서는 가공지령정보(加工指令情報)의 교체가 용이하므로 차례차례로 다른 부품이 생겨도 용이하게 대처된다. 즉, 종래의 자동기에는 없는 유연성을 갖춘 자동가공기를 실현했다.
이같은 여러 점에서 NC공작기계는 다종 중·소량생산 공장에서의 합리화, 자동화에 뺄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NC공작기계는 가공기술상에 큰 변혁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공작기계의 관리면에 대단히 큰 변혁을 가져왔다. 수대 혹은 수십대의 NC공작기계의 무리를 공작물이나 공구 등을 운반하는 자동반송장치로 자동창고 등과 연결해서 이들을 컴퓨터로 관리하고, 생산계획에 따라서 차례차례로 많은 종류의 공작물을 가공하는 생산시스템의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는 다품종 중·소량생산공장에서의 공장자동화(FA :Factory Automatinn)의 중요한 열쇠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NC공작기계는 단독기로서 또 생산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기계공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연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NC공작기계는 서보모터의 고속회전으로 축이 연동하고 그 축에 공작물을 클램프할 수 있는 척이 끼워져 있는 스핀들 유니트와, 공작물의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중심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스핀들 유니트의 구동축과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여 공작물의 중심을 지지하도록 하는 심압대와, 상기 스핀들 유니트 상부의 베드상에 설치되고 수평 및 수직운동을 하는 이송대 유니트와, 상기 이송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공작물에 접근하여 바이트작업이나 선삭작업을 할 수 있게 다양한 공구가 구비된 터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척에 클램핑되어 고속회전하는 공작물은 접근하면서 가공하게 하는 공구에 의해 부산물인 절삭칩과 열이 상당히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절삭칩의 잔류는 공작물의 정밀도를 유지하는데 장애요소가 되고, 가공에 따른 열발생은 공구나 공작물에 변성이 발생되는 요인으로 작용되었을 뿐 아니라 양자의 내구성에 치명적이 였기에 일정한 분사압력을 갖는 절삭유의 공급장치가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보통 NC공작기계는 공급 분사되면서 비산하는 절삭유가 작업장의 외부로 분산되어 작업장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며, 외관의 미려함을 위해 기계본체를 포함시키는 커버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하우징(10)은 기계본체(도시안됨)를 가릴 수 있게 박스형태의 플레이트가 서로 조합되어 있고, 전방에는 공작물의 클램핑과 언클램핑을 위해 개폐되는 스프래쉬 가드(12)가 슬라이딩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프래쉬 가드(12)는 구체적으로 커버 하우징(10)의 상부 가이드레일(14)과 하부 가이드레일(16)상에 로울러(15)(17)에 의해 습동결합되어 있는 한편, 스프래쉬 가드(12)가 닫히는 지점의 하부 또는 상부 가이드레일(14)에는 상기 스프래쉬 가드(12)의 폐(閉)상태가 유지되게 그 스프래쉬 가드(12)의 면보다 낮은 요부(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조의 스프래쉬 가드는 닫혀지는 상태가 일부 유지되나 상기 스프래쉬 가드의 로울러가 습동하는 면이 요부의 면과 동일면이 아니기 때문에 완전히 밀폐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작업상태에서 분사되는 절삭유가 작업장으로 누유되어 작업환경이 불결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을 낳게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작물의 가공을 위해 스핀들에 클램핑하는 작업과 언클램핑된 공작물의 배출을 위해 개폐되는 스프래쉬 가드의 밀폐를 보다 확실하게 실현시키도록 하는 공작기계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공작물을 클램핑시키거나 언클램핑시키기 위해 로울러가 구비된 커버 하우징의 상,하측의 가이드레일에 습동결합되는 한편, 분사되는 절삭유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해 폐(閉)상태를 유지하는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에 있어서,
습동하는 상기 스프래쉬 가드의 폐(閉)지점에 이르는 로울러를 일정이상의 외압이 가하지 않는 한 개(開)시키지 않도록 하는 소정높이를 갖는 스토퍼를 상부 또는 하부 가이드레일상에 구성하도록 된 특징을 갖는다.
도 1a 는 종래의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커버 하우징을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1b 는 도 1a 의 측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공작기계의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3 은 도 2 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버 하우징, 12: 스프래쉬 가드,
14,16: 가이드 레일, 15,17: 로울러,
18: 요부, 20: 스토퍼,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공작기계의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공작물을 클램핑시키거나 언클램핑시키기 위해 로울러(15)(17)가 구비된 커버 하우징(10)의 상,하측의 가이드레일(14)(16)에 습동결합되는 한편, 분사되는 절삭유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해 폐(閉)상태를 유지하는 스프래쉬 가드(12)의 개폐구조에 있어서,
습동하는 상기 스프래쉬 가드(12)의 폐(閉)지점에 이르는 상부 또는 하부 가이드레일(14)(16)상에 로울러(15)(17)를 일정이상의 외압이 가하지 않는 한 개(開)시키지 않도록 하는 소정높이를 갖는 스토퍼(20)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스토퍼(20)는 스프래쉬 가드(12)가 밀폐범위에 속해져 있을 경우 스프래쉬 가드(12)의 로울러(15)(17)가 스토퍼(20)의 일측에 면접되도록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핀들(도시안됨)에 클램핑된 공작물로 가공작업이 실행되면 공작물의 연마면으로 발생되는 절삭칩과 열의 제거를 위해 절삭유가 분사된다. 이러한 절삭유는 분사력에 의해 비산되는데, 비산되는 절삭유가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프래쉬 가드(12)의 존재가치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프래쉬 가드(12)는 이러한 작업에 따라 밀폐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밀폐상태란 커버 하우징(10)과 그 스프래쉬 가드(12)가 긴밀히 면접되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밀폐상태에 이르기까지의 상태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프래쉬 가드(12)를 밀폐되는 방향으로 밀면 그 가드(12)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로울러(15)(17)가 해당 각 가이드 레일(14)(16)상에서 슬라이딩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스프래쉬 가드(12)가 밀폐되는 지점에 거의 다다르면 스토퍼(20)에 의해 걸리게 되고, 조작자가 스프레쉬 가드(12)의 완전한 밀폐의 목적으로 상기 스토퍼(20)의 범위로 진입되도록 밀게 되면 로울러(15)(17)가 약간의 요동과 함께 그 범위로 진입하면서 완전한 밀폐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게 되면, 스프래쉬 가드의 밀폐구조가 그 가드가 슬라이딩되는 면으로부터 동일면상에서 구성되기 때문에 가드의 완전한 밀폐시 가드와 가드 사이가 완전하게 밀폐되는 구조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절삭유의 누유현상 등이 방지되어 작업장의 환경도 좋아지는 간단하면서도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공작물을 클램핑시키거나 언클램핑시키기 위해 로울러(15)(17)가 구비된 커버 하우징(10)의 상,하측의 가이드레일(14)(16)에 습동결합되는 한편, 분사되는 절삭유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해 폐(閉)상태를 유지하는 스프래쉬 가드(12)의 개폐구조에 있어서,
    습동하는 상기 스프래쉬 가드(12)의 폐(閉)지점에 이르는 상부 또는 하부 가이드레일(14)(16)상에 로울러(15)(17)를 일정이상의 외압이 가하지 않는 한 개(開)시키지 않도록 하는 소정높이를 갖는 스토퍼(20)를 적어도 2개 이상 구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0)는 스프래쉬 가드(12)가 밀폐범위에 속해져 있을 경우 스프래쉬 가드(12)의 로울러(15)(17)가 스토퍼(20)의 일측에 면접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
KR2019970045539U 1997-12-31 1997-12-31 공작기계의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 KR200171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539U KR200171441Y1 (ko) 1997-12-31 1997-12-31 공작기계의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539U KR200171441Y1 (ko) 1997-12-31 1997-12-31 공작기계의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773U KR19990032773U (ko) 1999-07-26
KR200171441Y1 true KR200171441Y1 (ko) 2000-04-01

Family

ID=1952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539U KR200171441Y1 (ko) 1997-12-31 1997-12-31 공작기계의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4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851B1 (ko) * 2011-12-22 2018-06-28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도어의 이탈 방지장치
CN109571127A (zh) * 2019-01-24 2019-04-05 浙江意控机床有限公司 一种数控机床的自动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773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282607U (zh) 一种数控设备的机头
CN201109027Y (zh) 三切削头七轴三联动的定梁龙门式数控镗铣床
CN107052802B (zh) 一种车铣复合机床
ATE390985T1 (de) Drehmaschine mit zwei verfahrbaren arbeitsspindeln
KR870002902A (ko) 다면(多面) 가공장치
CN105773313A (zh) 一种用于对工件进行自动化加工的系统
US5343604A (en) Combined working machine
CN200988148Y (zh) 一种组合机床
KR200171441Y1 (ko) 공작기계의 스프래쉬 가드의 개폐구조
ES2028839T3 (es) Maquina-herramienta de carrera corta con cabezal de taladro y fresado situado en un montaje desplazable en direccion z vertical.
KR20190114170A (ko) 스핀들 클램프 장치
KR20200099359A (ko) 공작기계의 와이퍼 장치
KR102536393B1 (ko) 공작기계의 스핀들 장치
EP0192221A3 (de) Fräs- und/oder Bohrmaschine
JPH09295177A (ja) レーザ加工機
CN214641748U (zh) 一种门式加工中心
KR200169300Y1 (ko) 공작기계의 절삭유 누출방지구조
KR200171444Y1 (ko) 절삭유 비산방지구조를 갖는 공작기계용 공구
KR20190096015A (ko) 도어 장치
KR19990032756U (ko) 누유방지를 위한 공작기계의 커버하우징
CN214641749U (zh) 一种机床横梁和加工组件的连接结构和门式加工中心
JP4088460B2 (ja) 旋盤用ワーク押付け装置
GB2271947A (en) Machine tool with plurality of tools
ATE179351T1 (de) Verfahren zum bearbeiten eines werkstückes auf einem cnc-drehautomaten sowie cnc-drehautomat
JPH03378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