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760Y1 - 배관연결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배관연결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760Y1
KR200177760Y1 KR2019990018375U KR19990018375U KR200177760Y1 KR 200177760 Y1 KR200177760 Y1 KR 200177760Y1 KR 2019990018375 U KR2019990018375 U KR 2019990018375U KR 19990018375 U KR19990018375 U KR 19990018375U KR 200177760 Y1 KR200177760 Y1 KR 200177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bolt
pi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김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욱 filed Critical 김동욱
Priority to KR2019990018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거리를 단축시켜 좁은 공간에서도 배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내구성 및 안전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배관방향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배관이 용이하게 되는 배관연결용 어댑터를 제공한다.
그 배관연결용 어댑터는,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기밀되게 연결시키기 위한 배관연결구조에 있어서, 제1연결부(10)상에서 볼트(36)에 의해 수축, 확장시키도록 볼트관통공 또는 고정탭이 형성된 수직플랜지(32,33)와, 제1연결부(10)에의 수축시 제1연결부(10)의 외주에 밀착되는 링부(31)와, 볼트(43,44)에 의해 고정되는 볼트관통공 또는 고정탭이 형성되는 플랜지부(34,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연결용 어댑터{ADAPTER FOR CONNECTING PIPES}
본 고안은, 배관연결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관거리를 단축시켜 좁은 공간에서도 배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내구성 및 안전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배관방향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배관이 용이하게 되는 배관연결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냉각수 라인, 온수라인, 에어라인 등의 종래의 배관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1)와 제2연결부(2)의 각각에 밀폐연결호스(3)를 삽입시키고, 각각 고정밴드(4,5)를 체결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제1연결부(1)와 제2연결부(2)를 유체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강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제1연결부(1)와 제2연결부(2)의 단부에 각각 플랜지를 형성시켜 볼트로 체결하거나, 별도의 플랜지를 이용하여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제1연결부(1)와 제2연결부(2)를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배관연결구조는, 고정밴드(4,5)와 밀폐연결호스(3)가 필요하며, 나아가, 그 고정밴드(4,5)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며, 도 1에서와 같은 엘보형인 경우 측방으로 상당히 돌출하게 되어 공간을 많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선박과 같이 공간상의 제약이 따르는 곳에서는 불리하게 된다.
또, 그 밀폐연결호스(3)는, 약간의 편심상의 제1연결부(1)와 제2연결부(2)를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강도면에서 취약하고 내구성 및 안전성면에서 플랜지형보다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플랜지형은, 강도 및 내구성면에서 우수하나, 여전히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편심진 제1연결부(1)와 제2연결부(2)를 연결하기에는 곤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거리를 단축시켜 좁은 공간에서도 배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내구성 및 안전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배관방향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배관이 용이하게 되는 배관연결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연결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의한 배관연결구조를 위한 분해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의한 배관연결구조를 도시한 부분 조립도,
도 4는 도 2의 어댑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제1연결부 2: 제2연결부
3: 밀폐연결호스 4,5: 고정밴드
10: 제1연결부 11: 확장부
20: 제2연결부 21: 플랜지
22: 고정탭 30: 어댑터
31: 링부 32,33: 수직플랜지
34,35: 플랜지부 41: 패킹
42: 동박판 43,44: 볼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의한 배관연결구조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기밀되게 연결시키기 위한 배관연결구조에 있어서, 제1연결부의 단부에 확장부를 형성하고, 확장된 상태에서 그 확장부를 통과시키고 제1연결부에서 수축시켜 그 제1연결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의 어댑터를 제1연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며, 그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사이에 패킹을 삽입하고, 그 패킹이 가압되어 기밀되도록 상기 어댑터에 제2연결부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부의 확장부는 가공하지 아니한 상태의 주물 또는 다이캐스팅구조로도 기밀성이 확보될 수 있어 바람직하며, 상기 어댑터의 일예는, 볼트에 의해 수축, 확장시키도록 볼트관통공 및 고정탭이 형성된 수직플랜지와, 제1연결부에 수축시 제1연결부의 외주에 밀착되는 링부와, 제2연결부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볼트관통공 및 고정탭이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연결부가 엘보형인 경우,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제2연결부의 곡률내측부분에 고정탭이 형성되고, 곡률외측부분에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이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의 기밀성을 증대시키고 파열을 방지하도록 상기 패킹과 제1연결부의 확장부사이에 동박판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기밀되게 연결시키기 위한 배관연결구조에 있어서, 제1연결부상에서 볼트에 의해 수축, 확장시키도록 볼트관통공 및 고정탭이 형성된 수직플랜지와, 제1연결부에의 수축시 제1연결부의 외주에 밀착되는 링부와, 제2연결부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볼트관통공 및 고정탭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용 어댑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의한 배관연결구조가 분해 부분단면도로 도시되며, 그 조립구조가 도 3에 도시되고, 도 4에는 도 2의 어댑터의 일예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본 고안의 어댑터에 의한 배관연결구조는 어댑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연결부(10)의 단부에 확장부(11)가 형성된다. 그 어댑터(30)는, 확장된 상태에서 그 확장부(11)를 통과하여 제1연결부(10)로 삽입되고 제1연결부(10)상에서 수축시켜 그 제1연결부(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어댑터(30)가 확장부(11)를 지니는 제1연결부(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 제1연결부(10) 및 제2연결부(20)사이에는 패킹(41)이 삽입되고, 그 패킹(41)이 가압되어 기밀되도록 볼트 등에 의해 상기 어댑터(30)에 제2연결부(2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배관연결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제1연결부(10)의 확장부(11)는 패킹(41)이 가압상태에 있기 때문에 가공하지 아니한 상태의 주물 또는 다이캐스팅구조로도 충분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제1연결부(10) 및 제2연결부(20)와 어댑터(30)를 금속구조로 함으로써 필요한 강도와 내구성을 지님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또, 어댑터(30)를 확장시킨 상태에서 제1연결부(10)의 확장부(11)를 통과하여 제1연결부(10)에 삽입한 후, 제2연결부(20)를 그 어댑터(30)에 볼트 등으로 체결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어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또한, 그 역순에 의해 분해도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어댑터(3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어댑터(30)는, 제1연결부(10)에 삽입하여 수축시킨 때에 제1연결부(10)의 외주에 밀착되는 링부(31)를 기본적인 몸체로 하고, 볼트(36)에 의해 수축, 확장시키도록 볼트관통공 및 고정탭이 형성된 수직플랜지(32,33)가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볼트 등으로 제2연결부(2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43,44)에 의해 고정되는 볼트관통공 및 고정탭이 형성되는 플랜지부(34,35)가 그 어댑터(30)의 일부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20)는, 종래와 같이 플랜지를 단부에 형성시켜 상기 어댑터(30)의 볼트관통공 및 고정탭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그 제2연결부(20)가 엘보형인 경우, 외부로의 돌출되는 길이, 즉 배관연결부의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20)의 곡률내측부분에 고정탭(22)을 형성하고, 곡률외측부분에만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플랜지(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킹(41)의 기밀성을 증대시키고 더욱 파열 내지 손상의 염려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패킹(41)과 제1연결부(10)의 확장부(11)사이에 동박판(42)이 개재시킨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배관연결구조에 있어서는, 단순한 어댑터(30)의 구성으로 종래의 플랜지형과 같은 정도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배관연결부의 공간이 적게 되어 배관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배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어댑터(30)를 저렴한 비용으로도 금속구조로 할 수 있어 내구성 및 안전성이 보장되게 된다.
또한, 어댑터(30)를 확장시켜 자유롭게 제1연결부(10)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어 배관방향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배관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용 어댑터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의 어댑터(30)에 의해 배관거리를 단축시켜 좁은 공간에서도 배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내구성 및 안전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배관방향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배관이 용이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정정)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기밀되게 연결시키기 위한 배관연결구조에 있어서,
    제1연결부(10)상에서 볼트(36)에 의해 수축, 확장시키도록 볼트관통공 또는 고정탭이 형성된 수직플랜지(32,33)와, 제1연결부(10)에의 수축시 제1연결부(10)의 외주에 밀착되는 링부(31)와, 볼트(43,44)에 의해 고정되는 볼트관통공 또는 고정탭이 형성되는 플랜지부(34,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용 어댑터.
  2.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배관연결용 어댑터가 제2연결부(20)상에도 설치되어 서로 볼트(43,44)에 의해 고정되어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기밀되게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용 어댑터.
  3. (정정)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가 제1연결부(10)의 단부에 확장부(11)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확장부(11)를 통과시키고 제1연결부(10)에서 수축시켜 그 제1연결부(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제1연결부(10) 및 제2연결부(20)사이에 패킹(41)을 삽입하고, 그 패킹(41)이 가압되어 기밀되도록 상기 어댑터(30)가 제2연결부(20)를 직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용 어댑터.
KR2019990018375U 1999-08-31 1999-08-31 배관연결용 어댑터 KR200177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375U KR200177760Y1 (ko) 1999-08-31 1999-08-31 배관연결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375U KR200177760Y1 (ko) 1999-08-31 1999-08-31 배관연결용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760Y1 true KR200177760Y1 (ko) 2000-04-15

Family

ID=1958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375U KR200177760Y1 (ko) 1999-08-31 1999-08-31 배관연결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7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6691C (zh) 金属密封件
KR940019339A (ko) 배관용 필터
KR960011375A (ko) 팽창밸브 부착부재
CN101897076A (zh) 电解腐蚀防止结构和波导连接结构
CN101573549B (zh) 管联接装置
KR200177760Y1 (ko) 배관연결용 어댑터
US5000490A (en) Adapter fitting
JPH08247291A (ja) レンズリングガスケット
KR970075817A (ko) 냉매호스연결구를 구비한 오일쿨러 및 그 제조방법
US5171944A (en) Pressure pulsation absorbing device
JP2002310350A (ja) 管継ぎ手
US20230147384A1 (en) Housing type pipe joint
JP2573880Y2 (ja) ビクトリック型管継手
CN219623504U (zh) 一种不锈钢弯管接头
JP2525821Y2 (ja) ビクトリック型管継手
CN210600664U (zh) 异径管连接处抢修装置
JP2533704Y2 (ja) 水道用器具の接続パッキン
KR200302177Y1 (ko) 나선관용 이음구 연결장치
KR200276843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
CN211901919U (zh) 不锈钢管的连接结构
KR200267337Y1 (ko) 변압기 및 중전기기류용 저압부싱
JPS5936789Y2 (ja) 管継手用パッキン
JP2023046180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KR200269987Y1 (ko) 관 이음 장치
JP2000193163A (ja) 管体の伸縮自在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