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788Y1 - 카메라필름되감기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필름되감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788Y1
KR200176788Y1 KR2019960020519U KR19960020519U KR200176788Y1 KR 200176788 Y1 KR200176788 Y1 KR 200176788Y1 KR 2019960020519 U KR2019960020519 U KR 2019960020519U KR 19960020519 U KR19960020519 U KR 19960020519U KR 200176788 Y1 KR200176788 Y1 KR 200176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wind
selecting
rewind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291U (ko
Inventor
박은관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2019960020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788Y1/ko
Publication of KR980009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2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7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름 되감기 동작을 선택하는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과, 카메라의 설정된 다수의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수단과, 상기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과 상기 기능 선택 수단이 작동된 경우에만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필름 되감기 신호에 따라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필름 모터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필름 되감기 동작을 선택하는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과, 상기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이 연속하여 두번 이상 눌려지는 경우에만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필름 되감기 신호에 따라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필름 모터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그 결과 필름 되감기 스위치가 일정 회수 이상 작동되는 경우, 또는 필름 스위치가 작동되고 다른 기능 스위치가 작동된 경우에만 필름 되감기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필름을 되감기는 경우를 없애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여 사용자가 언제든지 안전하게 필름을 되감을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되감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시도이고,
제2도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되감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되감기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촬영선택부 20 : 되감기선택부
30 : 카메라모드선택부 40 : 제어부
50 : 필름모터구동부
본 고안은 카메라 필름(film) 되감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카메라의 필름이 남아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실수로 필름을 되감고자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종래의 카메라 되감기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되감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시도이고,
제2도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되감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가 필름을 되감기 위해서는 뾰족한 핀(pin)이나 볼펜 등으로 필름 되감기 버튼(button)을 눌러야 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사용자의 실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지만 항상 핀과 같은 기구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카메라 외관에 날카로운 기구로 인한 손상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도의 종래필름 되감기 장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손톱등으로 누르기 쉽게 버튼을 넓게 만들었고, 쉽게 눌려서 원하지 않는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해 크기는 대부분 작게 만들어져 있다.
하지만, 손톱 등으로 누르는 구조는 사용자의 실수로 쉽게 동작하여 원하지 않는 필름 되감기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도전율이 작기 때문에 간혹 필름 되감기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다른 종래 필름 되감기 장치인 필름 모드(mode) 전환 방식은 카메라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방식처럼 필름 되감기 모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필름 되감기 모드를 설정하면 필름 되감기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사용자는 필름 되감기 모드를 몇 단계씩 거쳐야 하고, 사용 설명서를 읽지 않으면 사용하기 읽지 않으며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는 상기 필름 되감기 구조의 불편함과 불안전 또는, 필름 되감기 모드 방식의 복잡함으로 사용자의 의도대로 필름을 되감고자 하는 것이 불편하고, 촬영 도중에 실수로 필름 되감기 버튼이 눌려져서 필름을 낭비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 도중에 사용자가 필름 되감기 버튼이 두 번 이상 연속하여 눌려지는 경우에만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필름 되가기 버튼이 눌려짐과 동시에 다른 선택 버튼이 작동된 경우에만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함으로서 필름이 남아 있는 경우에 실수로 필름 되감기를 하여 발생되는 필름의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필름 되감기 할 수 있는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성은,
필름 되감기 동작을 선택하는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
카메라의 설정된 다수의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수단;
상기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이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기능 선택 수단이 작동된 경우에만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필름 되감기 신호에 따라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필름 모터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은,
필름 되감기 동작을 선택하는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
상기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이 눌러지고,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이 다시 눌려지는 경우에만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필름 되감기 신호에 따라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필름 모터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되감기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첨부한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의 구성은,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을 포착할 때 누르는 버튼으로, 릴리즈 1단, 2단으로 연속하여 동작하는 촬영 스위치(s1)와,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필름 되감기 스위치(s2)와,
카메라 설정된 기능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 스위치(s3)와,
상기 촬영 스위치(s1)와 필름 되감기 스위치(s2)와 기능 스위치(s3)의 동작 신호를 받아 해당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의 필름 되감기 동작 신호를 출력받아 필름을 감기할 수 있는 필름 모터 구동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카메라에 필름을 장착시키면 제어부(40)는 촬영을 위하여 카메라의 모든 상태를 초기화한 다음, 사용자가 촬영 스위치(s1)를 눌러서 릴리즈1단이 동작하면 주변 휘도량과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노출량을 연산하고, 계속하여 릴리즈2단이 동작되면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00).
상기에서 촬영이 이루어진 다음 제어부(40)는 필름 모터 구동부(50)를 작동시켜 촬영된 1커트(cut) 필름을 감은 다음, 촬영된 필름 매수를 +1 시킨다(단계 S110).
상기 제어부(40)는 장착된 필름의 촬영 가능한 필름 매수와 촬영된 필름 수를 비교하여 촬영 가능한 필름 매수와 촬영된 필름 수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카메라에 장착된 필름이 모두 촬영된 상태로 판단하여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하고, 촬영 가능한 필름 매수가 촬영된 필름 수 보다 많으면 필름 되감기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검사한다(단계 S120).
상기 제어부(40)에서 필름 되감기 스위치(20)의 동작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30).
상기에서 필름 되감기 스위치(20)의 작동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 신호가 인가되면, 카메라에 장착된 다른 기능 스위치(30)가 작동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에서 장착된 필름이 모두 촬영되지 않는 경우에 필름 되감기 스위치(20)가 작동되고, 상기 기능 스위치(30)가 작동되면, 제어부(40)는 필름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필름 되감기 동작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필름 되감기 신호를 필름 모터 구동부(50)에 출력한다(단계 S140).
상기 필름 모터 구동부(50)는 상기 제어부(40)의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받아 필름을 되감기 한다(단계 S150).
상기 필름 모터 구동부(50)의 동작으로 필름을 모두 되감기 되면 촬영은 모두 마치게 된다(단계 S160).
상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의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촬영 스위치(s1) 동작에 따른 촬영 동작은 상기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촬영이 이루어진 다음 제어부(40)는 상기 필름 되감기 스위치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단계 S135).
상기에서 필름 되감기 스위치(20)의 작동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필름 되감기 스위치(20)가 설정된 시간(약 1초)안에 재작동을 하는지 판단한다.
상기에서 필름 되감기 스위치(30)가 작동된 다음 다시 설정 시간안에 제작동되면 필름이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필름 되감기 동작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40)는 필름 되감기 신호를 필름 모터 구동부(50)로 출력한다(단계 S145).
상기 필름 모터 구동부(50)는 상기 제어부(40)의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받아 장착된 필름을 모두 되감기 한다(단계 S150).
상기 필름 모터 구동부(50)의 동작으로 필름을 모두 되감기 촬영은 모두 마치게 된다(단계 S160).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필름 되감기 스위치가 일정 회수 이상 작동되거나, 필름 스위치가 작동되고 다른 기능 스위치가 작동된 경우에만 필름 되감기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필름이 되감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필름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여 사용자가 언제든지 안전하게 필름을 되감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필름 되감기 동작을 선택하는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과;
    카메라의 설정된 다수의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수단과;
    상기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이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기능 선택 수단이 작동된 경우에만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필름 되감기 신호에 따라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필름 모터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능 선택 수단은,
    촬영 신호를 출력하는 촬영 스위치와,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 수단은,
    촬영이 이루어지면 촬영된 필름수를 +1 증가 시켜 촬영 가능한 필름 매수와 비교한 다음, 촬영된 필름수가 촬영 가능한 필름수보다 작은 경우에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이 작용되면, 기능 선택 수단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능 선택이 작동된 경우에만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
  4. 필름 되감기 동작을 선택하는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
    상기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이 눌려지고,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이 다시 눌려지는 경우에만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필름 되감기 신호에 따라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필름 모터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 수단은,
    촬영이 이루어지면 촬영된 필름수를 +1 증가시켜 촬영 가능한 필름 매수와 비교한 다음, 촬영된 필름수가 촬영 가능한 필름수보다 작은 경우에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이 작동되면, 상기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이 재작동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필름 되감기 선택 수단이 재 작동된 경우에만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필름 되감기 장치.
KR2019960020519U 1996-07-11 1996-07-11 카메라필름되감기장치 KR200176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519U KR200176788Y1 (ko) 1996-07-11 1996-07-11 카메라필름되감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519U KR200176788Y1 (ko) 1996-07-11 1996-07-11 카메라필름되감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291U KR980009291U (ko) 1998-04-30
KR200176788Y1 true KR200176788Y1 (ko) 2000-04-15

Family

ID=1946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519U KR200176788Y1 (ko) 1996-07-11 1996-07-11 카메라필름되감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7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291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07485A1 (en) Image pickup apparatus
US6643458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7508444B1 (en) Electronic camera with quick view and quick erase features
US20050093988A1 (en) Digital camera with automatic mode detection
KR200176788Y1 (ko) 카메라필름되감기장치
US7453515B2 (en) Data processing device for controlling audio recording and picture taking
US7116362B2 (en) Camera and computer program
US5678092A (en) Camera display responsive to movement of lens cap
KR0141080B1 (ko) 캠코더의 페이드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
JP5049570B2 (ja) カメラ装置及び該カメラ装置における撮影モード選択補助方法
US5502539A (en) Camera capable of controlling a supply of power and related control method
JP2004165782A (ja) 電子機器
JPH0990196A (ja) レンズ鏡筒制御装置及びカメラ
KR950007027B1 (ko) 줌 카메라의 스냅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20170B2 (ja) 起動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起動方法
KR0181275B1 (ko) 카메라 녹화 우선 방법
KR0166684B1 (ko) 카메라의 동작기능 선택장치 및 그 실현방법
JP2005101951A (ja) 表示部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JPH11164473A (ja) 記録装置
JP2000023025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2003005270A (ja) カメラ用接続ケーブル
JP2782056B2 (ja) カメラのセルフ制御装置
JPH0715640A (ja) カメラ
JPH0318187A (ja) 静止画録画装置
JPH10228688A (ja) カメラ一体型映像音声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