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711Y1 -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711Y1
KR200176711Y1 KR2019990023388U KR19990023388U KR200176711Y1 KR 200176711 Y1 KR200176711 Y1 KR 200176711Y1 KR 2019990023388 U KR2019990023388 U KR 2019990023388U KR 19990023388 U KR19990023388 U KR 19990023388U KR 200176711 Y1 KR200176711 Y1 KR 200176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or roll
nozzle
steel sheet
washing liquid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형
서병철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3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7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7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64Isolat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35In radia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판의 폭변화에 맞추어 자동으로 개폐동작되도록 노즐을 갖추어 이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으로서 디플렉터롤표면에 묻어 있는 오염용액을 청소할수 있도록 개선한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복수개의 T자연결관(11)이 중간관(13)을 매개로 상기 디플렉터롤(4)과 나란하게 롤폭방향으로 연속조립되어 세척액공급관(9)으로부터 세척액이 공급되고, 상기 디플렉터롤(4)과 서로 대응하는 T자연결관(11)의 노즐구(12)에는 노즐공(17)과 안내공(17)을 각각 전면에 형성한 노즐(15)이 조립되는 분사부(10);와, 상기 안내공(17)에 전후진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바(31)의 선단에는 자석부재(33)가 교체가능하게 조립되는 자석집(32)을 장착하고, 후단에는 상기 노즐(15)내에 배치된 스프링부재(35)에 의해서 일측으로 항상 탄력지지되는 개폐볼(34)을 장착하는 한편, 상기 디플렉터롤(4)의 직하부에 분사된 세척액이 집적되는 처리조(21)를 갖추어 상기 자석부재(33)와 강판과의 대응유무에 따라 상기 노즐(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30);를 포함하는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 표면세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APPARATUS FOR CLEANING THE SURFACE OF DEFLECTOR ROLL OF ELECTRO-GILDING CELL}
본 고안은 전기도금조에 설치되는 디플렉터롤(deflector roll)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염용액을 세척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강판의 폭변화에 맞추어 자동으로 개폐동작되도록 노즐을 갖추어 이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으로서 디플렉터롤표면에 묻어 있는 오염용액을 청소할수 있도록 개선한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전기도금설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금용액이 담겨지는 복수개의 도금조(2)와, 도금용액에 침지되는 콘턱터롤(3), 그 상부에 설치되는 디플렉터롤(4), 용액공급배관(5), 순환펌프(6), 순환탱크(7) 및 드레인배관(8)을 갖추어 상기 롤부재(3)(4)에 감겨 일방향 진행하는 강판 표면을 도금처리하였다.
그리고, 도금처리된 강판이 감겨 진행되고, 고무재료로 구성되는 디플렉터롤(4)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금용액에 의해서 오염된 롤표면을 세척할수 있도록 롤폭방향으로 나란하고, 롤표면측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노즐(9a)을 복수개 장착한 세척액공급관(9)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플렉터롤(4)표면을 세척하는 종래의 작업은 강판의 통과유무 및 통과하는 강판의 폭크기에 맞추어 상기 세척액공급관(9)에 장착된 각 노즐(9a)의 개폐를 미도시된 개폐밸브로서 수작업으로 조정해야만 하였다.
즉, 상기 디플렉터롤(4)에 강판이 감겨 통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롤표면 전체에 세척액을 분사할수 있도록 상기 세척액공급관(9)에 설치된 노즐(9a)을 모두 수작업으로 개방해야만 하고, 상기 강판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강판폭크기에 맞추어 상기 강판이 감기지 않는 롤 양에지부에만 세척액을 분사할수 있도록 상기 노즐(9a)을 수작업으로 개방해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디플렉터롤(4)에 감겨진행되는 강판 폭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그 폭변화에 맞추어 작업자가 상기 세척액공급관(9)의 노즐(9a)을 선택적으로 개방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강판의 폭변화시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강판 폭변화에 맞추어 신속하게 노즐(9a)의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없고, 롤 전폭에 걸친 세척액분사시에는 세척액 사용량이 불필요하게 많아지고, 과다하게 소비되는 세척액이 도금조(2)내로 공급되어 농도를 저하시킴으로서 도금품질을 저하시키고, 도금액농도 보정시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강판의 폭변화에 맞추어 세척액이 분사되는 노즐의 개폐를 자동으로 조절할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경감시키고, 세척액 사용을 최소량으로 줄여 도금용액의 농도저하를 방지하여 용액농도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수 있는 도금조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도금설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플렉터롤의 표면을 세척하는 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도금조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도금조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에 채용되는 분사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도금조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에 채용되는 작동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도금조 디플렉터롤 면 세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도금조 4 ...... 디플렉터롤
11 ..... T자연결관 12 ..... 노즐연결구
13 ..... 중간관 15 ..... 노즐
31 ..... 작동바 32 ..... 자석집
33 ..... 자석부재 34 ..... 개폐볼
35 ..... 스프링부재 39 ..... 간격조정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고안은,
콘덕터롤과 디플렉터롤에 감겨 진행되는 강판을 도금하는 전기도금설비에 있어서,
복수개의 T자연결관이 중간관을 매개로 상기 디플렉터롤과 나란하게 롤폭방향으로 연속조립되어 세척액공급관으로부터 세척액이 공급되고, 상기 디플렉터롤과 서로 대응하는 T자연결관의 노즐구에는 노즐공과 안내공을 각각 전면에 형성한 노즐이 조립되는 분사부;와,
상기 안내공에 전후진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바의 선단에는 자석부재가 교체가능하게 조립되는 자석집을 장착하고, 후단에는 상기 노즐내에 배치된 스프링부재에 의해서 일측으로 항상 탄력지지되는 개폐볼을 장착하는 한편, 상기 디플렉터롤의 직하부에 분사된 세척액이 집적되는 처리조를 갖추어 상기 자석부재와 강판과의 대응유무에 따라 상기 노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 표면세척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도금조 디플렉터롤 표면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도금조 디플렉터롤 표면세척장치에 채용되는 분사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도금조 디플렉터롤 표면세척장치에 채용되는 작동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도금조 디플렉터롤 표면 세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세척장치(1)는 도 3 내지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플렉터롤(4)과 나란하게 장착되어 강판폭변화에 맞추어 롤표면상에 묻어 있는 오염용액을 청소할수 있도록 세척액을 분사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1)는 분사부(10)와 작동부(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디플렉터롤(4)측으로의 세척액분사가 이루어지는 분사부(10)는 도 3과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세척하고자 하는 디플렉터롤(4)측으로 세척액을 분사할수 있도록 롤폭방향으로 복수개의 T자연결관(11)이 중간관(13)을 매개로 하여 상기 디플렉터롤(4)과 나란하도록 연속조립되며, 복수개 T자연결관(11)중 일측단은 세척액 공급이 가능하게 세척액공급관(9)과 연통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T자연결관(11)과 중간관(13)의 연결부위가 교체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연속조립되는 T자연결관(11)은 디플렉터롤(4)의 전폭에 걸쳐서 세척액을 분사할수 있을 정도의 갯수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관(13)이 조립되지 않고, 상기 디플렉터롤(4)과 서로 대응하는 T자연결관(11)의 노즐구(12)는 그 선단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함에 따라, 이에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한 노즐(15)가 교체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러한 노즐(15)의 전면 중앙에는 안내공(16)이 천공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테두리에는 세척액을 분사할수 있도록 노즐공(17)을 형성한다.
한편, 강판이 감기지 않은 디플렉터롤(4)표면에만 세척액을 분사할수 있도록 상기 노즐(15)의 유로를 개폐하는 작동부(30)는 도 3과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바(31), 자석집(32),자석부재(33),개폐볼(34) 및 스프링부재(35)로 구성되는바, 상기 작동바(31)는 상기 노즐(15)의 안내공(16)에 전후진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디플렉터롤(4)과 서로 대응하는 작동바(31)의 선단에는 ㄷ자형의 안내홈(32a)을 양단에 형성한 자석집(32)이 장착되고, 상기 자석집(32)에는 일정세기의 자력을 발생하는 영구자석인 자석부재(33)가 다수개의 볼트부재(33a)에 의해서 교체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작동바(31)는 상기 디플렉터롤(4)과 자석부재(33)사이의 간격(G)을 조절할수 있도록 상기 작동바(31)의 길이중간을 절단하여 형성된 제 1,2연결나사부(39d)(39e)가 선,후단에 각각 체결되는 템바클(39a)과, 제 1,2고정나사(39b)(39c)로 이루어진 간격조절구(39)를 갖추어 구성하며, 상기 작동바(31)는 전후진작동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다각단면형상을 갖는 바부재로 갖추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바(31)의 선단에 조립되는 자석집(32)과 자석부재(33)는 디프렐터롤(4) 또는 이에 감겨 진행되는 강판과의 간섭을 최대한으로 억제하면서 간격(G)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디플렉터롤(4)의 외부곡률과 유사한 크기의 내부곡률을 갖는 곡선형으로 갖추어지며, 상기 자석집(32)은 상기 강판이 곡선형으로 감겨 밀착되는 디플렉터롤(4)의 외부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31)의 후단에는 수나사부(31a)을 형성하여 이에 나사조립되는 암나사부(34a)를 몸체내에 형성한 구형(球型) 개폐볼(34)을 조립하며, 상기 개폐볼(34)은 상기 안내공(16)후면과 개폐볼(34)선단사이의 노즐(15)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서 일측, 상기 디플렉터롤(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탄력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볼(34)의 후방과 대응하는 T자연결관(11)의 내측면에는 이를 통한 세척액흐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후진된 개폐볼(34)의 후면이 밀착되는 반원홈(11a)을 함몰형성하고, 상기 개폐볼(34)의 전방과 대응하는 상기 노즐(15)의 후단에는 이를 통한 세척액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전진된 개폐볼(34)의 전면이 밀착되는 라운드부(15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플렉터롤(4)의 직하부에는 상기 노즐(15)로부터 분사된 세척액이 도금조(2)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세척액이 집적되고, 모아진 세척액을 외부로 드레인배출하는 드레인배관(22)을 갖는 처리조(21)를 갖추어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금조(2)에 침지시켜 표면에 도금처리한 강판을 콘덕터롤(3)과 디플렉터롤(4)에 감아 일방향 진행하는 도금공정중 상기 디플렉터롤(4)의 표면에 잔류하는 도금용액을 세척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세척액공급관(9)과 연통연결되어 세척액이 공급되는 T자연결관(11)을 상기 디플렉터롤(4)과 나란하도록 중간관(13)을 매개로 하여 롤폭전체에 걸쳐서 설치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각 T자연결관(11)의 노즐구(12)에 조립된 노즐(15)은 디플렉터롤(4)과 서로 대응하고, 작동바(31)의 선단에 장착된 자석집(32)의 자석부재(33)는 상기 디플렉터롤(4)에 감겨 진행되는 강판의 폭크기에 따라 자성체인 강판 또는 비자성체인 디플렉터롤(4)과 서로 대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자성체인 강판이 통과하는 곳에 배치된 자석부재(33)는 이와 상기 강판사이에 자력을 발생시켜 노즐(15)의 안내공(16)에 조립된 작동바(31)를 강판측으로 전진시킨다. 이때, 상기 자석부재(33)의 자력의 세기는 상기 노즐(15)내에 배치된 스프링부재(35)의 탄성력 보다 충분히 크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부재에 의해서 후방측으로 탄력지지되어 반원홈(11a)에 위치하던 개폐볼(34)은 상기 스프링부재(35)를 압축시키면서 노즐(15)측으로 전진되어 상기 노즐(15)후단에 형성된 라운드부(15a)에 밀착된다.
이러한 개폐볼(34)의 전진동작에 의해서 상기 세척액공급관(9), T자연결관(11) 및 노즐(15)의 노즐공(17)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되던 세척액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여 세척액의 분사를 중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비자성체인 디플렉터롤(4)과 이와 서로 대응하는 자석부재(33)사이에는 자력이 전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노즐(15)내에 배치된 스프링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작동바(31)는 후진상태를 유지하고, 개폐볼(34)은 노즐(15)후단과 이격되도록 후방측으로 탄력지지되어 반원홈(11a)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척액공급관(9), T자연결관(11) 및 노즐(15)로 유입된 세척액은 상기 노즐(15)의 노즐공(17)을 통해 강판이 감겨 진행되지 않는 디플렉터롤(4)의 외부면으로 분사되어 그 표면에 잔류하는 도금용액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프렉터롤(4)의 표면세척후 하부로 떨어지는 세척액은 상기 디플렉터롤(4)의 하부에 설치된 처리조(21)에 모아진 다음, 드레인배관(22)을 통해 후처리된다.
한편, 상기 디플렉터롤(4) 또는 강판과 자석부재(33)사이의 간격(G)을 조절하면서 상기 자석부재(33)의 자력세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작동바의 길이중간에 설치되는 간격조절구(39)의 제 1,2연결나사부(39d)(39e)에 체결된 제 1,2고정나사(39b)(39c)를 풀어 이를 자유롭게 한 다음, 템바클(39a)의 선,후단에 각각 조립된 제 1,2연결나사부(39d)(39e)사이의 거리를 줄이거나 늘여 상기 작동바(31)의 길이를 가변하여 상기 간격(G)을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디플렉터롤에 감겨진행되는 강판의 폭크기에 따라 자성체인 강판 또는 비자성체인 디플렉터롤과 대응하는 T자연결관의 노즐을 자석부재의 자력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서, 강판이 감겨진행되지 않는 디플렉터롤의 외부면에만 세척액을 분사할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업무부담을 종래에 비하여 줄일수 있고, 도금조의 도금용액 농도저하를 방지하여 강판도금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세척액의 무분별한 사용을 줄여 원가상승을 방지할수 있는 실질적인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5)

  1. 콘덕터롤(3)과 디플렉터롤(4)에 감겨 진행되는 강판을 도금하는 전기도금설비에 있어서,
    복수개의 T자연결관(11)이 중간관(13)을 매개로 상기 디플렉터롤(4)과 나란하게 롤폭방향으로 연속조립되어 세척액공급관(9)으로부터 세척액이 공급되고, 상기 디플렉터롤(4)과 서로 대응하는 T자연결관(11)의 노즐구(12)에는 노즐공(17)과 안내공(17)을 각각 전면에 형성한 노즐(15)이 조립되는 분사부(10);와,
    상기 안내공(17)에 전후진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바(31)의 선단에는 자석부재(33)가 교체가능하게 조립되는 자석집(32)을 장착하고, 후단에는 상기 노즐(15)내에 배치된 스프링부재(35)에 의해서 일측으로 항상 탄력지지되는 개폐볼(34)을 장착하는 한편, 상기 디플렉터롤(4)의 직하부에 분사된 세척액이 집적되는 처리조(21)를 갖추어 상기 자석부재(33)와 강판과의 대응유무에 따라 상기 노즐(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자연결관(11)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폐볼(34)의 후면이 밀착되는 반원홈(11a)을 함몰형성하고, 상기 노즐(15)의 후단에는 상기 개폐볼(34)의 전면이 밀착되는 라운드부(15a)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31)는 상기 디플렉터롤(4)과 자석부재(33)사이의 간격(G)을 조절할수 있도록 상기 작동바(31)의 길이중간을 절단하여 형성된 제 1,2연결나사부(39d)(39e)가 선,후단에 각각 체결되는 템바클(39a)과, 제 1,2고정나사(39b)(39c)로 이루어진 간격조절구(39)를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집(32)과 자석부재(33)는 디프렐터롤(4) 또는 이에 감겨 진행되는 강판과의 접촉간섭을 최대한으로 억제하면서 간격(G)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디플렉터롤(4)의 외부곡률과 유사한 크기의 내부곡률을 갖는 곡선형으로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집(32)은 상기 강판이 곡선형으로 감겨 밀착되는 디플렉터롤(4)의 외부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
KR2019990023388U 1999-10-28 1999-10-28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 KR200176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388U KR200176711Y1 (ko) 1999-10-28 1999-10-28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388U KR200176711Y1 (ko) 1999-10-28 1999-10-28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711Y1 true KR200176711Y1 (ko) 2000-04-15

Family

ID=1959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388U KR200176711Y1 (ko) 1999-10-28 1999-10-28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7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712B1 (ko) * 2001-12-21 2008-02-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크롬처리설비의 링거롤 오염원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712B1 (ko) * 2001-12-21 2008-02-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크롬처리설비의 링거롤 오염원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6607B1 (en) Spraying washing device of drum washing machine, washing method thereof and the drum washing machine
JP4035662B1 (ja) 浴室洗浄装置及び浴室ユニット
KR20220006748A (ko) 파이프용 세척장치
CN213352017U (zh) 一种生箔阴极辊在线抛光装置
JP2906951B2 (ja) オフセット印刷機の湿し水供給装置
KR200176711Y1 (ko) 전기도금조의 디플렉터롤표면 세척장치
KR100934003B1 (ko) 단계별 절수조절수단이 구비된 샤워기
CN208485958U (zh) 一种智能化的铜合金线水洗装置
JPH05185041A (ja) スパイラルブラシロール全自動洗浄処理法および装置
KR100893249B1 (ko) 분사폭 가변형 크롬용액 분사장치
KR100833022B1 (ko) 카로셀을 통과한 도금강판상의 용액내 금속성 칩 제거장치
CN214492104U (zh) 一种清洗机构和清洗装置
CN210788635U (zh) 一种防止乳化液外溢的线圈拉丝机
CN216704724U (zh) 一种可节水的花洒装置
KR0123920Y1 (ko) 분사노즐이 부착된 배관 청소기구
KR20090010392A (ko) 다용액 분사장치
CN204417631U (zh) 一种电镀阳极自动冲洗装置
CN209998060U (zh) 一种用于单入口容器清洗装置的喷射杆组件
CN220514842U (zh) 一种光伏玻璃压延机上辊清洗装置
CN219059589U (zh) 一种自动清理流浆箱出口挡浆板积浆的装置
CN217709634U (zh) 一种镀锌效果好的绝缘子铁帽热镀锌装置
KR100762495B1 (ko) 도금판 이송용 굴절롤의 표면 부착칩 제거장치
CN220758250U (zh) 一种平移式喷灌机水渠反冲洗过滤器
CN220467690U (zh) 污水处理用的絮凝剂自动投放机
CN214492105U (zh) 一种清洗机构和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