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492Y1 - 윷놀이 세트 - Google Patents

윷놀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492Y1
KR200176492Y1 KR2019990022657U KR19990022657U KR200176492Y1 KR 200176492 Y1 KR200176492 Y1 KR 200176492Y1 KR 2019990022657 U KR2019990022657 U KR 2019990022657U KR 19990022657 U KR19990022657 U KR 19990022657U KR 200176492 Y1 KR200176492 Y1 KR 200176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s
plate
present
gam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희
Original Assignee
황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지희 filed Critical 황지희
Priority to KR2019990022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4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23Foldable, rollable, collapsible or segmented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윷놀이 세트를 포장하는 포장상자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여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윷 놀이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윷놀이 세트는 윷짝의 일측면에 상하면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표식만이 형성되어 있어 우리나라 고유의 민속놀이임을 나타낼 수 없음은 물론 놀이과정에서 종이 말판이 쉽게 흔들리고, 찢기어지며, 오염되는 등의 내구성이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네개의 윷짝(1)과 말판(2)에 우리나라 고유의 문양을 인쇄시키고, 상기 말판(2)을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체로 형성시키며, 상기 판체를 다수의 작은 조각(22)으로 분할형성시키고, 분할된 각각의 조각(22)에 근접한 조각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3)을 부여하여 구성함으로써, 윷놀이가 우리나라 고유의 놀이문화임을 세계에 널리 알리 수 있는 효과는 물론이고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키고, 포장상자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물류비용 절감과 휴대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윷놀이 세트 { Yut game set }
본 고안은 윷놀이의 도구인 윷과 놀이진행 과정을 표시하는 말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윷놀이 세트를 포장하는 포장상자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여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윷놀이 세트에 관한 것이다.
윷놀이는 작고 둥근 통나무 두개를 반으로 쪼개어 네 쪽으로 만들고, 이를 투척하여 네개의 윷이 놓인 모양에 따라 도, 개, 걸, 윷, 모 다섯등급으로 나누어 승부를 다투는 놀이로써 우리민족 고유의 민속놀이 이다.
윷놀이 도구로는 넷짝의 윷과 다수의 말과, 말이 가는 길이 그려진 말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우리나라 고유의 민속놀이인 윷놀이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윷놀이 도구를 관광상품화하여 외국관광객은 물론 외국을 ??는 내국인이 선물용으로 애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우리의 놀이문화를 외국에 널리 알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종래에 있어서의 상품화된 윷놀이 세트는 넷짝의 윷과, 원형의 말과, 말이 가는 길이 그려진 말판이 하나의 포장상자에 수납 포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윷놀이 세트는 윷짝이 나무 본래의 무늬를 가지며, 윷짝의 일측면에 상하면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표식만이 형성되어 있어 우리나라 고유의 민속놀이임을 나타낼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윷놀이 세트를 하나의 포장상자에 포장시키기 위하여는 말판을 두께가 얇은 종이로 형성시킬 수 밖에 없었다.
두께가 얇은 종이로 말판을 구성시키는 경우 휴대보관의 장점은 있으나, 이는 제품의 품위를 저하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욕구를 상실케 하는 문제점과 아울러 놀이과정에서 종이 말판이 쉽게 흔들리고, 찢기어지며, 오염되는 등의 내구성이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윷놀이를 잘아는 사람의 경우에는 새로이 말판을 제작할 수 있겠으나, 외국인 또는 교포의 경우 말판의 제작기술이 없어 윷놀이 자체를 포기하게 되어 우리나라 고유의 놀이문화를 알릴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윷놀이가 우리나라 고유의 놀이문화임을 세계에 알리 수 있게 함은 물론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키고, 포장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윷놀이 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윷짝과 말판에 우리나라 고유의 문양 또는 문화재를 인쇄시켜, 말판을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체로 형성시키며, 이를 다수개로 분할시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인 휴대 및 포장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말판 사용시 각 조각들간에 결합 안정성이 없어 말판의 조각들이 쉽게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말판조각들이 끼워지는 틀을 형성시키고, 상기 틀을 절첩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또한 별도의 틀을 제작하여야만 되어 말판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과 아울러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틀의 절첩한계로 인하여 포장부피에 장애요인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말판을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체로 형성시키고, 이와 같은 판체를 다수의 작은 조각으로 분할시키며, 분할된 조각에 다른 조각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부여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윷놀이 세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윷놀이 세트가 포장상자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윷짝 2. 말판
3. 결합수단 10. 포장상자
22. 단위조각 30. 돌기
32. 홈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윷놀이 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윷놀이 세트가 포장상자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네개의 윷짝(1)과 말판(2)에 우리나라 고유의 문양을 인쇄시키고, 상기 말판(2)을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체로 형성시키며, 상기 판체를 다수의 작은 조각(22)으로 분할형성시키고, 분할된 각각의 조각(22)에 근접한 조각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3)을 부여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수단(3)은 분할된 각각의 단위 조각들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돌기(30)와 홈(32)을 형성시켜 구성하되, 돌기부(30)가 접촉되는 대응면에는 돌기(30)와 동일한 형상의 홈(32)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윷놀이를 하고자 하는 경우 포장상자(10)로부터 다수의 말판조각(22)을 인출시킨 다음 각각의 조각(22)을 조립하여 하나의 말판(2)을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각각의 조각(22)에 형성된 돌기(30)와 홈(32)을 결합시켜 말판(2)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퍼즐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조립이 완료된 말판(2)은 돌기(30)와 홈(32)의 결합에 의해 견고한 결합력을 발휘하여 외부 충격이 가하여 진다 하더라도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말판(2)을 포장상자(10)의 내부에 수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조각(22)을 분해하여 말판(2)의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포장상자(10)내에 수납시킴에 따라 포장상자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물류비용은 절감시킬 수 있게 되고, 사용자에게는 휴대 및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윷놀이가 우리나라 고유의 놀이문화임을 세계에 널리 알리 수 있는 효과는 물론이고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키고, 포장상자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물류비용 절감과 휴대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네개의 윷짝(1)과 말판(2)에 우리나라 고유의 문양을 인쇄시키고, 상기 말판(2)을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체로 형성시키며, 상기 판체를 다수의 작은 조각(22)으로 분할형성시키고, 분할된 각각의 조각(22)에 근접한 조각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3)을 부여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윷놀이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은 분할된 각각의 단위 조각들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돌기(30)와 홈(32)을 형성시켜 구성하되, 돌기부(30)와 접촉하는 대응면에는 돌기(30)와 동일한 형상의 홈(32)을 형성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윷놀이 세트.
KR2019990022657U 1999-10-20 1999-10-20 윷놀이 세트 KR200176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657U KR200176492Y1 (ko) 1999-10-20 1999-10-20 윷놀이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657U KR200176492Y1 (ko) 1999-10-20 1999-10-20 윷놀이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492Y1 true KR200176492Y1 (ko) 2000-04-15

Family

ID=1959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657U KR200176492Y1 (ko) 1999-10-20 1999-10-20 윷놀이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4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6492Y1 (ko) 윷놀이 세트
KR200280247Y1 (ko) 재활용 포장상자
CN213691086U (zh) 一种方块拼单词装置
CN203157467U (zh) 具游戏功能的笔组合
CN211097520U (zh) 一种益智系列故事盒子
CN211097458U (zh) 一种梦幻城堡系列的拼图装置
JP3239186U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
KR200322988Y1 (ko) 딱지
JP3230912U (ja) マンカラ用ゲームボード
JP4402261B2 (ja) 提手付き紙箱
KR100445765B1 (ko) 교습구 제작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교습구
US8439361B2 (en) Slat puzzle
JP2002255242A (ja) 子供向け商品用装飾台紙
KR200221341Y1 (ko) 퍼즐이 부착된 동화책
CA2419564C (en) Jigsaw puzzle
JPH08309028A (ja) 玩具用シート
KR200165251Y1 (ko) 그림변형이가능한조립식딱지
WO1989004705A1 (en) A jigsaw puzzle for the formation of mosaic compositions for educational and/or ornamental use
JP3012355U (ja) カード型玩具
JP3194271U (ja) 組み合わせパズルおもちゃ
JP3205968U (ja) 絵合わせパズル制作用キット
JP2566973Y2 (ja) 絵合わせパズル
EP1299162B1 (en) Playthings
JP2003033584A (ja) カード型玩具
JPH08318686A (ja) 絵合せパズル付き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