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983Y1 - 포장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983Y1
KR200397983Y1 KR20-2005-0015107U KR20050015107U KR200397983Y1 KR 200397983 Y1 KR200397983 Y1 KR 200397983Y1 KR 20050015107 U KR20050015107 U KR 20050015107U KR 200397983 Y1 KR200397983 Y1 KR 200397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 line
plate
packaging box
fold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정
Original Assignee
문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정 filed Critical 문현정
Priority to KR20-2005-0015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9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9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2External covering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착 부재의 적용 없이 손으로 접는 과정만으로 입체적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포장 상자와 이 포장 상자를 퍼즐용 맞춤조각으로 활용한 퍼즐, 그리고 상기 포장 상자의 각 면에 부착되어 퍼즐을 형성하는 퍼즐용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포장 상자는 종래의 포장 상자와 달리 일정한 길이 범위 내의 날개부와 이중 측면판을 통해 접착 부재의 적용 없이 손으로 접는 과정만으로 입체적 형상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다시 해체하여 보관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포장 상자를 퍼즐용 맞춤조각으로 활용하여 단순한 포장의 기능을 뛰어 넘어 놀이도구 또는 지능개발 도구로서의 퍼즐 기능까지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포장 상자의 각 면에 부착되어 퍼즐을 형성하는 퍼즐용 스티커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선물을 제공하는 사람의 의사를 개성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또한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 상자{Packing Box}
본 고안은 포장 상자, 이를 이용한 퍼즐 및 퍼즐용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접착 부재의 적용 없이 손으로 접는 과정만으로 입체적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포장 상자와 이 포장 상자를 퍼즐용 맞춤조각으로 활용한 퍼즐, 그리고 상기 포장 상자의 각 면에 부착되어 퍼즐을 형성하는 퍼즐용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포장 상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를 구성하는 6 개의 판 중 일부의 판에 연장 형성된 접착부(10)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10)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스테이플러 등으로 상기 접착부(10)와 인접하는 각 판을 고정하여 입체적 형상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포장 상자는 손으로 접는 과정 외에 전술한 접착제의 도포나 스테이플러로 고정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추가비용의 발생이 불가피하다. 뿐만 아니라 접착제의 품질 자체 또는 접착제와 상자용 소재와의 부적합으로 인해 접착 부위가 다시 분리되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스테이플러를 사용한 경우에도 습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시 스테이플러 고정편의 표면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고, 상자 소재 자체가 얇은 경우 상기 고정편이 돌출되어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
무엇보다, 종래의 포장 상자는 일단 입체적 형태로 조립되고 나면 다시 평면 상태로 펼칠 수 없어 보관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은 포장 상자 제조업체로서도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선물을 받은 당사자 입장에서도 상기 포장 상자가 불필요하게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재활용되기보다는 서둘러 폐기되는 경우가 많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접착 부재의 적용 없이 손으로 접는 과정만으로 입체적 형상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다시 해체하여 보관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포장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포장 상자를 퍼즐용 맞춤조각으로 활용한 퍼즐 및, 상기 포장 상자의 각 면에 부착되어 퍼즐을 형성하는 퍼즐용 스티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포장 상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한 변을 배면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바닥판과 연결된 사각형의 배면판으로서, 상기 배면판은 양측 변을 날개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배면판과 연결된 한 쌍의 날개부를 구비한 배면판;
상기 배면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정면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바닥판과 연결된 사각형의 정면판으로서, 상기 정면판은 양측 변을 날개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정면판과 연결된 한 쌍의 날개부를 구비한 정면판;
상기 배면 접이선과 인접한 한 변을 제 1 좌측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바닥판과 연결된 사각형의 제 1 좌측면판으로서, 상기 제 1 좌측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제 2 좌측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제 1 좌측면판과 연결된 제 2 좌측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좌측면판은 상기 제 2 좌측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좌측 접힘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제 2 좌측면판과 연결된 좌측 접힘부를 구비한 제 1 좌측면판;
상기 제 1 좌측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제 1 우측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바닥판과 연결된 사각형의 제 1 우측면판으로서, 상기 제 1 우측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제 2 우측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제 1 우측면판과 연결된 제 2 우측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우측면판은 상기 제 2 우측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우측 접힘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제 2 우측면판과 연결된 우측 접힘부를 구비한 제 1 우측면판; 및
상기 배면 접이선과 마주보는 배면판의 변을 덮개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배면판과 연결된 사각형의 덮개판으로서, 상기 덮개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삽입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덮개판과 연결된 삽입부를 구비한 덮개판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 접이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날개부의 폭은 상기 제 1 좌측 접이선 또는 제 1 우측 접이선의 길이의 1/3 내지 1/2이고,
상기 접힘 접이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좌측 접힘부 또는 우측 접힘부의 폭은 배면 접이선 또는 정면 접이선의 길이의 1/3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좌측 연결부와 제 2 좌측 연결부가 연결부 접이선을 중심으로 대칭 형성된 좌측 연결부가 제 1 좌측면판과 제 2 좌측면판 사이에 형성되고,
제 1 우측 연결부와 제 2 우측 연결부가 연결부 접이선을 중심으로 대칭 형성된 우측 연결부가 제 1 우측면판과 제 2 우측면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접이선의 길이는 상기 좌측 접이선 또는 상기 우측 접이선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이선은 용이 절곡을 위한 눌림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힘 접이선은 상기 접힘 접이선을 제외한 접이선과 반대 방향으로 눌림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 접이선과 마주보는 상기 날개부의 변의 길이는 상기 날개 접이선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접힘 접이선과 마주보는 상기 접힘부의 변의 길이는 상기 접힘 접이선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면 접이선과 마주보는 상기 정면판의 변 중앙에 호 형태의 홈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판, 정면판, 배면판, 두 쌍의 날개부, 덮개판 및 삽입부의 안쪽으로 접히는 면, 및
상기 제 2 좌측면판, 제 2 우측면판 및 한 쌍의 접힘판의 바깥 면
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판, 배면판, 바닥판 및 정면판을 포함하는 안쪽으로 접히는 면이 편지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포장 상자를 맞춤조각으로 하는 퍼즐은
퍼즐의 맞춤상태에서 그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틀 내부에,
상기 본 고안의 포장 상자 다수 개가 서로 밀착하여 배열되고,
상기 포장 상자의 적어도 한 면이 상기 퍼즐의 맞춤조각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틀은 직육면체 형상의 포장용 상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장용 상자는 투명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맞춤조각면은 도안 또는 글씨가 도시된 스티커 또는 판박이를 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포장 상자에 부착되어 퍼즐용 맞춤조각면을 형성하는 퍼즐용 스티커는
배면은 접착제가 도포되고, 정면은 다수의 격자형 절개선으로 구획되고, 상기 격자의 규격은 상기 맞춤조각면의 규격과 동일한 상부층; 및
정면이 접착제와 용이 탈착가능하도록 코팅처리된 하부층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층의 각 격자는 상기 맞춤조각면에 부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층의 정면은 직접 서화가 가능하도록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포장 상자의 전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장 상자는 입체적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접착부(10)를 구비해야 한다. 상기 접착부(10)의 존재는 상자의 전개도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포장 상자를 만들 때 공정이 복잡하고 품질의 균일화를 기하기 어려우며, 접착제 자체의 불량 또는 접착제와 상자 소재와의 부적합으로 인해 접착 부위의 분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도 1과 같은 종래의 포장 상자는 일단 제작하면 계속 입체적 형상을 유지해야 하므로 보관시 지나치게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포장 상자에 대한 일 실시예의 전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장 상자는 사각형의 바닥판(100)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바닥판(100)의 한 변을 배면 접이선(401)으로 하여 상기 바닥판(100)과 연결된 사각형의 배면판(400)을 가지고 있다. 이 때 배면판(400)은 상기 배면 접이선(401)과 만나는 두 변을 각각 좌배 날개 접이선(411) 및 우배 날개 접이선(421)으로 하여 각각 좌측 배면 날개부(410) 및 우측 배면 날개부(420)와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의 포장 상자는 상기 배면 접이선(401)과 마주보는 상기 바닥판(100)의 변을 정면 접이선(301)로 하여 상기 바닥판(100)과 연결된 사각형의 정면판(300)을 가지고 있다. 이 때 정면판(300)은 상기 정면 접이선(301)과 만나는 두 변을 각각 좌정 날개 접이선(311) 및 우정 날개 접이선(321)으로 하여 각각 좌측 정면 날개부(310) 및 우측 정면 날개부(320)와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의 포장 상자는 상기 배면 접이선(401) 및 정면 접이선(301)과 만나는 바닥판(100)의 한 변을 제 1 좌측 접이선(511)으로 하여 상기 바닥판(100)과 연결된 사각형의 제 1 좌측면판(510)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좌측면판(510)은 상기 제 1 좌측 접이선(511)과 마주보는 변을 제 2 좌측 접이선(521)으로 하여 사각형의 제 2 좌측면판(52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좌측면판(520)은 상기 제 2 좌측 접이선(521)과 마주보는 변을 좌측 접힘 접이선(531)으로 하여 사각형의 좌측 접힘부(530)와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의 포장 상자는 상기 제 1 좌측 접이선(511)과 마주보는 바닥판(100)의 변을 제 1 우측 접이선(611)으로 하여 상기 바닥판(100)과 연결된 사각형의 제 1 우측면판(610)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우측면판(610)은 상기 제 1 우측 접이선(611)과 마주보는 변을 제 2 우측 접이선(621)으로 하여 사각형의 제 2 우측면판(62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우측면판(620)은 상기 제 2 우측 접이선(621)과 마주보는 변을 우측 접힘 접이선(631)으로 하여 사각형의 우측 접힘부(630)와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의 포장 상자는 상기 배면 접이선(401)과 마주보는 상기 배면판(400)의 변을 덮개 접이선(200)으로 하여 사각형의 덮개판(2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200)은 상기 덮개 접이선(201)과 마주보는 변을 삽입 접이선(211)으로 하여 삽입부(210)와 연결된다.
본 고안의 포장 상자에서 상기 날개부(310, 320, 410, 420)의 상기 날개 접이선(311, 321, 411, 421)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은 상기 제 1 좌측 접이선(511) 또는 제 1 우측 접이선(611)의 길이의 1/3 내지 1/2이고, 상기 접힘부(530, 630)의 상기 접힘 접이선(531, 631)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은 상기 배면 접이선(401) 또는 정면 접이선(301)의 길이의 1/3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포장 상자를 도 1의 종래 포장 상자와 비교하면, 각 측면판(510, 520, 610, 620)이 이중으로 형성되고, 날개부(310, 320, 410, 420)의 폭이 길며, 폭이 긴 접힘부(530, 630)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본 고안의 포장 상자를 입체형으로 조립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입체적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직접 선물의 포장까지 하는 최근의 DIY(Do it yourself) 추세와도 잘 어울린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조립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조립은 먼저, 상기 배면 접이선(401)을 경계로 하여 배면판(400)을 직각으로 세우고, 정면 접이선(301)을 경계로 하여 정면판(300)을 직각으로 세운다. 이어서 각 날개부(310, 320, 410, 420)를 역시 직각이 되게 안쪽으로 접는다.
그 다음, 제 1 좌측 접이선(511)을 경계로 제 1 좌측면판(510)을 직각으로 세우고, 제 1 우측 접이선(611)을 경계로 제 1 우측면판(610)을 직각으로 세운다.
그 다음, 좌측 접힘부(530)를 바깥쪽으로 접은 다음, 제 2 좌측 접이선(521)을 경계로 제 2 좌측면판(520)을 180 ° 접어 좌측 배면 날개부(410)와 좌측 정면 날개부(310)를 감싼다. 이 때 좌측 접힘부(530)는 바닥판(100)의 위쪽을 덮게 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접힘부(630)를 바깥쪽으로 접은 다음, 제 2 우측 접이선(621)을 경계로 제 2 우측면판(620)을 180 ° 접어 우측 배면 날개부(420)와 우측 정면 날개부(320)를 감싼다. 이 때 우측 접힘부(630)는 바닥판(100)의 위쪽을 덮게 된다.
그 다음, 삽입 접이선(211)을 경계로 삽입부(210)를 안쪽으로 접고, 덮개 접이선(201)을 경계로 덮개판(200)을 수직으로 접고, 상기 삽입부(210)를 정면판(300) 안쪽으로 밀착시켜 삽입함으로써 본 고안의 포장 상자를 완성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조립된 본 고안의 포장 상자는 제 2 좌측면판(520)과 제 1 좌측면판(510)이 좌측 배면 날개부(410) 및 좌측 정면 날개부(310)를 감싸고, 제 2 우측면판(620)과 제 1 우측면판(610)이 우측 배면 날개부(420)와 우측 정면 날개부(320)를 감싸는 구조적 특징으로 말미암아, 별도의 접착제를 위시한 접착 부재의 적용 없이도 포장 상자의 입체적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바닥판(100)의 위쪽에 위치하는 좌측 접힘부(530) 및 우측 접힘부(630) 위에 포장의 내용물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내용물이 각 접힘부(530, 630)를 눌러 상기 입체적 구조의 안정성은 더욱 증대된다.
조립 완성된 본 발명의 포장 상자에 수납된 내용물을 선물로서 받은 사람 또는 상기 포장 상자를 제작하는 상자 제작업자 및 선물용품 제공업자는 상기 포장 상자의 보관시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해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해체 순서는 상기 조립 순서의 역순이 될 것인 바, 먼저 정면판(300)에 형성된 홈부를 통해 삽입부(210)를 위로 밀어 올려 덮개판(200)을 연 다음, 제 2 좌측면판(520) 및 제 2 우측면판 (620)을 위로 밀어 올리면 본 발명의 포장 상자는 쉽게 해체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평면 상태의 상기 포장 상자를 적층 배열함으로써 보관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본 발명의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포장 상자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전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포장 상자의 조립도이다.
본 고안의 포장 상자는 제 1 좌측면판(510)과 제 2 좌측면판(520) 사이, 그리고 제 1 우측면판(610)과 제 2 우측면판(620) 사이에 연결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존재로 인해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덮개판(200) 방향의 안정성이 증대되어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이러한 안정성 증대 효과는 본 고안의 포장 상자 여러 개를 수직으로 쌓아 올렸을 때 더욱 두드러진다.
상기 연결부 중 좌측 연결부는 제 1 좌측면판(510)과 제 2 좌측면판(520) 사이에, 좌측 연결부 접이선(545)을 중심으로 대칭 형성된 제 1 좌측 연결부(540) 및 제 2 좌측 연결부(550)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연결부는 제 1 우측면판(610)과 제 2 우측면판(620) 사이에, 우측 연결부 접이선(645)을 중심으로 대칭 형성된 제 1 우측 연결부(640) 및 제 2 우측 연결부(65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포장 상자의 조립방법은 상기 도 2 내지 도 6의 포장 상자의 조립방법과 대부분 동일하며, 상기 연결부의 조립방법에서만 차이가 있다.
즉, 좌측면의 조립시 우선 좌측 연결부 접이선(545)를 경계로 180 ° 접은 다음 좌측 연결 접이선(541) 및 제 2 좌측 접이선(521)을 함께 접어 제 1 좌측 연결부(540)가 덮개판(200)에 앞서 내용물을 향하게 하고, 우측면 역시 우측 연결부 접이선(645)를 경계로 180 ° 접은 다음 우측 연결 접이선(641) 및 제 2 우측 접이선(621)을 함께 접어 제 1 우측 연결부(640)가 내용물을 향하게 한다.
나아가, 상기 연결부 접이선(545, 645)의 길이는 제 2 좌측 접이선(521) 및 제 2 우측 접이선(621)의 길이보다 짧게 하여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제 접이선은 이를 경계로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눌림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이 절곡선은 접어야 할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주고 쉽게 접을 수 있도록 해 준다. 본 고안의 포장 상자가 접착 부재의 적용 없이 단순히 손으로 접는 과정만으로 입체적 형상을 구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용이 절곡선을 위한 눌림 처리는 본 고안의 상기 특징을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게 해 준다.
나아가, 상기 용이 절곡선의 눌림 처리 방향은 접히는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접힘 접이선(531, 631) 및 연결 접이선(541, 641)을 제외하고는 모두 같은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 접이선(311, 321, 411, 421)과 마주보는 날개부(310, 320, 410, 420)의 각 변의 길이는 상기 날개 접이선(311, 321, 411, 421)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접힘 접이선(531, 631)과 마주보는 접힘부(530, 630)의 각 변의 길이는 상기 접힘 접이선(531, 631)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입체적 형상화를 위한 조립시 날개부(310, 320, 410, 420)가 제 2 좌측면판(520), 제 2 우측면판(620) 및 덮개판(200)을 미는 현상과, 접힘부(530, 630)의 모서리가 정면판(300) 및 배면판(400)에 의해 밀리거나 접히는 현상을 막을 수 있어, 전체적으로 본 고안의 포장 상자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정면 접이선(301)과 마주보는 정면판(300)의 변 중앙에 호 형태의 홈부를 구비하여, 조립된 포장 상자를 쉽게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포장 상자에 수납될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내용물과 접촉되는 면을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용물과 접촉되는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구성부는 바닥판(100), 정면판(300), 배면판(400), 날개부(310, 320, 410, 420), 덮개판(200) 및 삽입부(210)의 안쪽으로 접히는 면과 제 2 좌측면판(520), 제 2 우측면판(620) 및 접힘부(530, 630)의 바깥 면이다. 도 7 및 도 8의 포장 상자의 경우 제 1 좌측 연결부(540) 및 제 1 우측 연결부(640)도 내용물 접촉면에 포함된다.
이러한 코팅은 상기 면들 외에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 상기 안쪽으로 접히는 면을 포함하여 안쪽 면 전체를 코팅할 수도 있고, 나아가 상자 외부의 수분 침투 방지 및 포장 인쇄를 위해 안팎면 모두를 코팅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내부가 편지지로 인쇄된 실시예의 전개도이다.
본 고안의 포장 상자는 펼쳤을 때 그 내부가 편지지를 구성하도록 인쇄 처리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200), 배면판(400), 바닥판(100) 및 정면판(200)의 안쪽으로 접하는 면에 편지 내용을 쓸 수 있도록 선 또는 배경 그림이 인쇄되고, 제 2 좌측면판(520)에는 받는 사람이, 제 2 우측면판(620)에는 보내는 사람이 표시되도록 하고, 나머지 면에는 장식 그림 등이 인쇄될 수 있다. 그 밖에 날개부(310, 320, 410, 420)나 제 1 좌측면판(510), 제 1 우측면판(610) 역시 편지 내용을 쓰는 공간으로 하여 편지 내용이 긴 경우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포장 상자의 내면에 편지를 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장 상자에 담긴 선물을 받은 사람에게 보내는 사람의 선물하는 취지가 잘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포장 상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진 퍼즐의 맞춤상태에 대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포장 상자는 퍼즐용 틀(900)에 연속 배열되어 완성된 퍼즐을 형성하는 퍼즐용 맞춤조각일 수 있다. 이 경우 선물을 받는 사람은 상기 포장 상자 내부의 선물 뿐만 아니라, 놀이도구 또는 지능개발 도구로서의 퍼즐도 함께 선물받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포장 상자로 이루어진 퍼즐은 상기 포장 상자가 정육면체인 경우 각 면마다 퍼즐용 맞춤조각면을 형성할 수 있어, 모두 6 가지의 완성된 퍼즐면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퍼즐용 틀(900)은 그 자체가 포장용 상자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의 틀(900)은 상기 포장용 상자의 배면판, 정면판 및 양 측면판의 단면을 나타내며, 덮개판은 도시 생략된 형태이다.
퍼즐용 틀(900)이 포장용 상자인 경우 상기 포장용 상자 내부에 본 고안의 포장 상자를 연속 배열되도록 한 층으로 깔아 완성된 퍼즐을 형성하고 그 위에 부피가 큰 별도의 선물을 얹어 받는 사람에게 선물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포장용 상자의 높이는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한 접이선의 길이와 동일하여 한 층만 배열할 수 있거나, 위와 같이 한 접이선의 길이보다 길어 별도의 선물을 수납할 수도 있고, 복층의 퍼즐 형성이 가능하게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퍼즐용 틀(900)을 구성하는 포장용 상자가 투명한 소재로 제작된 경우 내부의 완성된 퍼즐을, 상자를 열지 않고도 바로 확인할 수 있어 퍼즐로서의 효용성이 더욱 증대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일면에 부착되어 퍼즐용 도안을 형성하는 퍼즐용 스티커의 사시도이다.
한편, 본 고안의 포장 상자를 퍼즐용 맞춤조각으로 하는 경우 퍼즐을 구성하는 도안이 상기 포장 상자의 각 면에 인쇄된 형태일 수도 있고, 상기 도안이 도시된 스티커 또는 판박이를 상기 포장 상자의 각 면에 부착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두 가지 형태를 조합하여 덮개판(200)의 바깥면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면에는 퍼즐을 위한 도안을 미리 인쇄하되, 상기 덮개판(200)의 바깥면에만 스티커나 판박이를 부착하는 형태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 경우 스티커에 도시되는 도안 역시 미리 인쇄된 것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물을 제공하는 사람의 의사를 개성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스티커 상에 직접 글씨를 쓰거나 컬러 매직 또는 물감 등으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티커는 정면이 접착제와 용이 탈착 가능하도록 코팅 처리된 하부층 위에, 배면은 접착제가 도포되고 정면은 상기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각 면과 동일한 크기로 격자형 절개선이 구획된 상부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티커가 부착된 포장 상자는 보내는 사람의 정성이 받는 사람에게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포장 상자 중 그 크기가 상이한 포장 상자들을 모아서 함께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쵸컬릿, 악세서리, 사탕, 스넥, 호두, 땅콩 등이 수납된, 내부가 코팅되고 크기가 작은 본 고안의 포장 상자는 복층으로 쌓고, 장미나 긴 스넥, 두루말이 편지 등이 수납된, 길쭉한 모양의 포장 상자(투명 소재 포함)와, 의복류 등이 수납된 큰 부피의 포장 상자를 조합하여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형성한 후 포장용 끈으로 묶거나 별도의 상자(투명 소재 포함)에 넣은 다음 리본 등으로 장식하여 선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포장 상자의 각 면을 퍼즐용 맞춤조각면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고안의 포장 상자 외에 종래 포장 상자와의 조합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원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포장 상자는 종래의 포장 상자와 달리 접착 부재의 적용 없이 손으로 접는 과정만으로 입체적 형상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다시 해체하여 보관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포장 상자를 퍼즐용 맞춤조각으로 활용하여 단순한 포장의 기능을 뛰어 넘어 놀이도구 또는 지능개발 도구로서의 퍼즐 기능까지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포장 상자의 각 면에 부착되어 퍼즐을 형성하는 퍼즐용 스티커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선물을 제공하는 사람의 의사를 개성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또한 거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포장 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포장 상자에 대한 일 실시예의 전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조립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포장 상자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포장 상자의 조립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내부가 편지지로 인쇄된 실시예의 전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포장 상자가 배열되어 이루어진 퍼즐의 맞춤상태에 대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포장 상자의 일면에 부착되어 퍼즐용 도안을 형성하는 퍼즐용 스티커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포장 상자 중 그 크기가 상이한 포장 상자들을 모아서 함께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접착부 100: 바닥판
200: 덮개판 201: 덮개 접이선
210: 삽입부 211: 삽입 접이선
300: 정면판 301: 정면 접이선
310: 좌측정면 날개부 311: 좌정 날개 접이선
320: 우측정면 날개부 321: 우정 날개 접이선
400: 배면판 401: 배면 접이선
410: 좌측배면 날개부 411: 좌배 날개 접이선
420: 우측배면 날개부 421: 우배 날개 접이선
510: 제 1 좌측면판 511: 제 1 좌측 접이선
520: 제 2 좌측면판 521: 제 2 좌측 접이선
530: 좌측 접힘부 531: 좌측접힘 접이선
540: 제 1 좌측 연결부 541: 좌측 연결 접이선
545: 좌측 연결부 접이선 550: 제 2 좌측 연결부
610: 제 1 우측면판 611: 제 1 우측 접이선
620: 제 2 우측면판 621: 제 2 우측 접이선
630: 우측 접힘부 631: 우측접힘 접이선
640: 제 1 우측 연결부 641: 우측 연결 접이선
645: 우측 연결부 접이선 650: 제 2 우측 연결부
900: 틀

Claims (14)

  1. 사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한 변을 배면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바닥판과 연결된 사각형의 배면판으로서, 상기 배면판은 양측 변을 날개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배면판과 연결된 한 쌍의 날개부를 구비한 배면판;
    상기 배면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정면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바닥판과 연결된 사각형의 정면판으로서, 상기 정면판은 양측 변을 날개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정면판과 연결된 한 쌍의 날개부를 구비한 정면판;
    상기 배면 접이선과 인접한 한 변을 제 1 좌측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바닥판과 연결된 사각형의 제 1 좌측면판으로서, 상기 제 1 좌측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제 2 좌측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제 1 좌측면판과 연결된 제 2 좌측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좌측면판은 상기 제 2 좌측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좌측 접힘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제 2 좌측면판과 연결된 좌측 접힘부를 구비한 제 1 좌측면판;
    상기 제 1 좌측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제 1 우측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바닥판과 연결된 사각형의 제 1 우측면판으로서, 상기 제 1 우측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제 2 우측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제 1 우측면판과 연결된 제 2 우측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우측면판은 상기 제 2 우측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우측 접힘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제 2 우측면판과 연결된 우측 접힘부를 구비한 제 1 우측면판; 및
    상기 배면 접이선과 마주보는 배면판의 변을 덮개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배면판과 연결된 사각형의 덮개판으로서, 상기 덮개 접이선과 마주보는 변을 삽입 접이선으로 하여 상기 덮개판과 연결된 삽입부를 구비한 덮개판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 접이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날개부의 폭은 상기 제 1 좌측 접이선 또는 제 1 우측 접이선의 길이의 1/3 내지 1/2이고,
    상기 접힘 접이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좌측 접힘부 또는 우측 접힘부의 폭은 배면 접이선 또는 정면 접이선의 길이의 1/3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좌측 연결부와 제 2 좌측 연결부가 연결부 접이선을 중심으로 대칭 형성된 좌측 연결부가 제 1 좌측면판과 제 2 좌측면판 사이에 형성되고,
    제 1 우측 연결부와 제 2 우측 연결부가 연결부 접이선을 중심으로 대칭 형성된 우측 연결부가 제 1 우측면판과 제 2 우측면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접이선의 길이는 상기 좌측 접이선 또는 상기 우측 접이선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상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선은 용이 절곡을 위한 눌림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상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접이선은 상기 접힘 접이선을 제외한 접이선과 반대 방향으로 눌림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상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접이선과 마주보는 상기 날개부의 변의 길이는 상기 날개 접이선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접힘 접이선과 마주보는 상기 접힘부의 변의 길이는 상기 접힘 접이선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상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접이선과 마주보는 상기 정면판의 변 중앙에 호 형태의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상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정면판, 배면판, 두 쌍의 날개부, 덮개판 및 삽입부의 안쪽으로 접히는 면, 및
    상기 제 2 좌측면판, 제 2 우측면판 및 한 쌍의 접힘판의 바깥 면
    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상자.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 배면판, 바닥판 및 정면판을 포함하는 안쪽으로 접히는 면이 편지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상자.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20-2005-0015107U 2005-05-27 2005-05-27 포장 상자 KR200397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107U KR200397983Y1 (ko) 2005-05-27 2005-05-27 포장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107U KR200397983Y1 (ko) 2005-05-27 2005-05-27 포장 상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554U Division KR200408002Y1 (ko) 2005-09-05 2005-09-05 포장 상자를 이용한 퍼즐을 위한 퍼즐용 스티커
KR2020050025552U Division KR200408001Y1 (ko) 2005-09-05 2005-09-05 포장 상자를 이용한 퍼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983Y1 true KR200397983Y1 (ko) 2005-10-12

Family

ID=4369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107U KR200397983Y1 (ko) 2005-05-27 2005-05-27 포장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9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3549B2 (en) 2011-11-09 2014-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cking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3549B2 (en) 2011-11-09 2014-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cking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1822B1 (en) Gift receptacle and kit for assembling same
US6023866A (en) Triple-view picture kit
KR200397983Y1 (ko) 포장 상자
KR200408002Y1 (ko) 포장 상자를 이용한 퍼즐을 위한 퍼즐용 스티커
KR200408001Y1 (ko) 포장 상자를 이용한 퍼즐
JP3240229U (ja) 額縁キット
US8431059B2 (en) Method for making a mosaic-style art product
CN210904966U (zh) 一种积木玩具单元及积木玩具
JP3210117U (ja) 絵合わせパズル組立用キット
TWM598283U (zh) 公仔展示包裝盒
JP4402261B2 (ja) 提手付き紙箱
JPS6137625Y2 (ko)
CN216636005U (zh) 一种浮雕涂绘套装
CN210643494U (zh) Diy式快装手摇照片播放器
WO2016180603A1 (en) Picture frame kit
CN214165581U (zh) 一种糖果礼盒
KR101956909B1 (ko)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
JP3109267U (ja) おみくじ
JPS629218Y2 (ko)
KR100494858B1 (ko) 케익 포장 상자
CN2464558Y (zh) 一种立体画
JPH0539100Y2 (ko)
JPH08299604A (ja) 人形箱
KR200363508Y1 (ko) 입체장식 카드
KR200370719Y1 (ko) 케익 포장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