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420Y1 -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 - Google Patents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420Y1
KR200176420Y1 KR2019960012175U KR19960012175U KR200176420Y1 KR 200176420 Y1 KR200176420 Y1 KR 200176420Y1 KR 2019960012175 U KR2019960012175 U KR 2019960012175U KR 19960012175 U KR19960012175 U KR 19960012175U KR 200176420 Y1 KR200176420 Y1 KR 200176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ull
plunger
key switch
sta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2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872U (ko
Inventor
박형보
Original Assignee
에릭 발리베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 발리베,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 발리베
Priority to KR2019960012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420Y1/ko
Publication of KR970062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4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7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the start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는 은 차량에 설치된 엔진을 시동시키는 스타터의 전자 스위치가 안정하게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순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치단상태로 되는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키스위치를 오프시킬 경우에 풀인 코일 및 홀딩 코일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여 플런저를 확실하게 원상복귀시키고, 2개의 접점을 개방시켜 모터부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접점과 풀인 코일의 사이에 다이오드를 연결하여 키스위치를 온할 경우에는 풀인 코일 및 홀딩 코일이 자화되고, 키스위치를 오프할 경우에는 풀인 코일 및 홀딩 코일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여 자화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
제1도는 종래의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플런저 12 : 모터부
KSW11: 키스위치 PL11: 풀인 코일
HL11: 홀딩 코일 B11, C11: 접점
D11: 다이오드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된 엔진을 시동시키는 스타터의 전자 스위치가 안정하게 동작되도록 하는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된 엔진은 내연기관으로서 자가시동을 할 수 없으므로 외력에 의해 엔진의 크랭크 축을 회전시켜야 된다.
또한 엔진의 크랭크 축은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을 경우에 엔진을 시동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엔진에는 스타터가 부착되어 엔진을 시동 즉, 엔진의 크랭크 축을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부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스타터의 모터는 엔진의 실린더 용적, 압축 능력 및 마찰력을 이겨내고, 엔진을 시동 가능한 회전 속도로 크랭크 축을 회전시켜야 되므로 시동 토르크가 큰 것이 요구되고, 또한 소형 경량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직류 직권 모터가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타터의 모터를 구동시키는 데에는 통상적으로 마그네트 스위치가 채용되고 있다.
마그네트 스위치는, 배터리의 전원을 모터부에 공급 및 차단하는 2개의 접점과, 이들 접점을 접속 및 개방시키는 플런저를 구비하고, 키스위치를 온할 경우에 플런저가 2개의 접점을 접속시키게 하는 풀인 코일과, 2개의 접점을 접속시킨 플런저가 현 상태를 계속 유지시키게 하는 홀딩 코일을 구비한다.
이러한 마그네트 스위치를 제1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BAT1)의 전원이 일측 접점(B1)에 인가되게 접속되고, 또한 배터리(BAT1)의 전원이 키스위치(KSW1)를 통해, 플런저(1)의 흡인 상태를 유지시키는 홀딩코일(HL1)에 인가되게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이 플런저(1)를 흡인시키는 풀인 코일(PL1)을 통한 후 타측 접점(C1)과 함께 모터부(2)의 필드 코일(FL1) 및 브러시(2A)를 통해 아마츄어(2B)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는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하여 키스위치(KSW1)를 접속시키면, 배터리(BAT1)의 전원이 키스위치(KSW1)를 통한 후, 홀딩 코일(HL1)에 인가됨과 아울러 풀인 코일(PL1), 모터부(2)의 필드 코일(FL1), 브러시(2A), 아마츄어(2B) 및 브러시(2A)를 순차적으로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홀딩 코일(HL1) 및 풀인 코일(PL1)이 자화되어 자력선을 발생하게 된다.
이 때, 홀딩 코일(HL1) 및 풀인 코일(PL1)이 발생하는 자력선은 동일한 방향으로서 플런저(1)를 흡인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플런저(1)가 2개의 접점(B1)(C1)에 접촉되어 접점(B1)(C1)을 상호간에 접속시키게 된다.
그리고 모터부(2)에도 배터리(BAT1)의 전원이 공급되나, 흐르는 전류가 매우 적으므로 모터부(2)는 구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2개의 접점(B1)(C1)이 플런저(1)에 의해 접속되면, 배터리(BAT1)의 전원이 접점(B1), 플런저(1) 및 접점(C1)을 순차적으로 통해 모터부(2)에 인가되므로 모터부(2)가 구동되어 엔진을 시동시키게 된다.
이 때, 2개의 접점(B1)(C1)이 플런저(1)를 통해 상호간에 접속됨에 따라 풀인 코일(PL1)의 양단 전위는 동일하게 되므로 풀인 코일(PL1)이 동작하지 않아 자력선을 발생하지 않고, 홀딩 코일(HL1)이 발생하는 자력선으로 플런저(1)의 흡인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2개의 접점(B1)(C1)이 계속 접속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엔진의 시동이 완료되어 구동되고, 키스위치(KSW1)를 개방시키면, 키스위치(KSW1)를 개방시키는 초기에 배터리(BAT1)의 전원이 접점(B1), 플런저(1), 접점(C1), 풀인 코일(PL1) 및 홀딩 코일(HL1)을 순차적으로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된다.
이 때, 풀인 코일(PL1)로 흐르는 전류는 상기의 키스위치(KSW1)를 접속시킬 경우와는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으로서 풀인 코일(PL1) 및 홀딩 코일(HL1)이 발생하는 자력선은 상호간에 상쇄되고, 이로 인하여 플런저(1)가 원상 복귀되어 접점(B1)(C1)이 상호간에 개방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마그네트 스위치는 키스위치(KSW1)를 오프시킬 경우에 풀인 코일(PL1) 및 홀딩 코일(HL1)이 발생하는 자력선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풀인 코일(PL1) 및 홀딩 코일(HL1)이 발생하는 자력선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발생한 자력선이 모두 상쇄되지 않고, 잔존하게 되어 프런저(1)가 계속 흡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엔진의 시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플런저(1)가 접점(B1)(C1)을 계속 접속시켜 모터부(2)를 정지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풀인 코일(PL1) 및 홀딩 코일(HL1)이 발생하는 자력선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도록 하기 위하여 풀인 코일(PL1) 및 홀딩 코일(HL1)의 권선수를 동일하게 하면 되나, 권선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은 회로의 설계 및 제작에 많은 제약을 주게 됨은 물론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키스위치를 오프시킬 경우에 풀인 코일 및 홀딩 코일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여 플런저를 확실하게 원상 복귀시키고, 2개의 접점을 개방시켜 모터부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는 순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차단 상태로 되는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접점과 풀인 코일의 사이에 다이오드를 연결하여 키스위치를 온할 경우에는 풀인 코일 및 홀딩 코일이 자화되고, 키스위치를 오프할 경우에는 풀인 코일 및 홀딩 코일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여 자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제2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BAT11)의 전원이 일측 접점(B11)에 인가되게 접속되고, 또한 배터리(BAT11)의 전원이 키스위치(KSW11)를 통해, 플런저(11)의 흡인 상태를 유지시키는 홀딩코일(HL11)에 인가되게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이 플런저(11)를 흡인시키는 풀인 코일(PL11) 및 다이오드(D11)를 통한 후 타측 접점(C11)과 함께 모터부(12)의 필드 코일(FL11) 및 브러시(12A)를 통해 아마츄어(12B)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는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하여 키스위치(KSW11)를 접속시키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배터리(BAT11)의 전원이 키스위치(KSW11)를 통한 후, 홀딩 코일(HL11)에 인가됨과 아울러 풀인 코일(PL11) 및 다이오드(D11)를 다시 통해 모터부(12)로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홀딩 코일(HL11) 및 풀인 코일(PL11)이 자화되어 자력선을 발생하게 되고, 발생한 자력선에 의해 플런저(11)가 흡인되면서 2개의 접점(B11)(C11)을 상호간에 접속시키게 된다.
2개의 접점(B11)(C11)이 접속되면, 배터리(BAT11)의 전원이 접점(B11), 플런저(11) 및 접점(C11)을 순차적으로 통해 모터부(12)에 인가되므로 모터부(12)가 구동되어 엔진을 시동시키게 된다.
이 때, 풀인 코일(PL11)의 양단 전위는 동일하여 자력선을 발생하지 않고, 홀딩 코일(HL11)이 발생하는 자력선으로 플런저(11)의 흡인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2개의 (B11)(C11)이 계속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엔진의 시동이 완료되어 구동되고, 키스위치(KSW11)를 개방시키면, 개방시킨 초기에 배터리(BAT11)의 전원이 접점(B11), 플런저(11) 및 접점(C11)을 통해 흐르게 되나, 다이오드(D11)에 의해 풀인 코일(PL11) 및 홀딩 코일(HL11)로 흐르지 못하게 되므로 풀인 코일(PL11) 및 홀딩 코일(HL11)이 자화되지 않아 자력선을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플런저(11)가 원상 복귀되어 접점(B11)(C11)이 개방되고, 모터부(12)가 정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키스위치를 오프시킬 경우에 풀인 코일 및 홀딩 코일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풀인 코일 및 홀딩 코일이 자화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플런저가 확실하게 원상 복귀되어 모터부를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엔진을 시동시키는 모터부(12)와, 키스위치(KSW11)를 온할 경우에 자화되어 자력선을 발생하는 풀인 코일(PL11) 및 홀딩 코일(HL11)과, 상기 풀인 코일(PL11) 및 홀딩 코일(HL11)이 발생하는 자력선에 의해 흡인되면서 접점(B11)(C11)을 접속시켜 상기 모터부(12)로 구동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풀인 코일(PL11)이 자화되지 않도록 하는 플런저(11)와, 키스위치(KSW11)를 오프시킬 경우에 상기 접점(B11)(C11) 및 플런저(11)를 통한 전원이 상기 풀인 코일(PL11) 및 홀딩 코일(HL11)로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다이오드(D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
KR2019960012175U 1996-05-16 1996-05-16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 KR200176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175U KR200176420Y1 (ko) 1996-05-16 1996-05-16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175U KR200176420Y1 (ko) 1996-05-16 1996-05-16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872U KR970062872U (ko) 1997-12-11
KR200176420Y1 true KR200176420Y1 (ko) 2000-04-15

Family

ID=1945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175U KR200176420Y1 (ko) 1996-05-16 1996-05-16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4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872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060458A (ja) 内燃機関用スタータ
US6737759B2 (en) Engine starter system having duty-controlled switching device
EP1630945B1 (en) Stopping noise reduction circuit for start motor using resistor
KR200176420Y1 (ko) 스타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안정화회로
JPS58187515A (ja) 内燃機関のウオ−タポンプ
US6806585B2 (en) Stabilization circuit of magnet switch for starter
JP3750926B2 (ja) 始動用電動機装置
KR930002818Y1 (ko) 스타트모타의 마그네트 스위치
JP3885568B2 (ja) スタータ
JPH0444848Y2 (ko)
US6877475B2 (en) Fuel cut-off device for engine
JP2005127280A (ja) 内燃機関始動装置
KR20000019559A (ko) 차량 엔진 시동장치
KR100590651B1 (ko) 보조회전식 스타팅 모터
KR200264243Y1 (ko) 스타터 구동용 전자식 스위치
JP2003262176A (ja) スタ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581470Y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始動停止装置
KR20050038346A (ko) 자동차용 시동모터의 오버런 방지 시스템
KR100515987B1 (ko) 차량 엔진 시동장치와 그 제어방법
JPS5941335Y2 (ja) 内燃機関の始動回路
KR0129040Y1 (ko) 차량의 엔진 기동장치
JP2766593B2 (ja) 内燃機関点火装置
KR100756489B1 (ko) 자기자화모터 구동회로
JPH022944Y2 (ko)
JPH031267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