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942Y1 - 튜브용 밸브 - Google Patents

튜브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942Y1
KR200175942Y1 KR2019990021534U KR19990021534U KR200175942Y1 KR 200175942 Y1 KR200175942 Y1 KR 200175942Y1 KR 2019990021534 U KR2019990021534 U KR 2019990021534U KR 19990021534 U KR19990021534 U KR 19990021534U KR 200175942 Y1 KR200175942 Y1 KR 200175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valve
contents
injection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봉
Original Assignee
임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희봉 filed Critical 임희봉
Priority to KR2019990021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9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7/00Portable flexible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튜브공이나 파우치 등과 같이 짜내어 쓰게 되는 용기(튜브)의 주입구에 장착되어 튜브 내에 주입된 내용물의 흐름을 차단시키거나 개방시켜 주도록 된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개가 형성되지 않아도 내용물의 차단이 가능하면서 내용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된 튜브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일반적인 튜브용 밸브의 구조는 밸브체의 내부에 내용물의 주입을 위한 주입관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주입관의 하부 단부에는 내용물의 주입 압력과 토출압에 의하여 저절로 개방되거나 막혀지도록 일측으로만 절첩되는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밸브는 주입관과 차단막 사이이 틈으로 내용물의 원치않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를 반드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밸브의 제조 원가가 상승되고, 또한 튜브를 눌러서 내용물을 배출시킬 경우에도 차단막에 의하여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밸브체(1)에 삽입된 주입관(2)의 하부 단부를 납작하게 합체시키고 상기 주입관(2)의 납작해진 단부에 절개선(3)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절개선(3)에 의하여 주입관(2)의 하단부가 막혀지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되는 차단살(4)이 형성토록 한 것으로, 차단살(4)이 밀착되면 튜브 내로 주입된 내용물이 전혀 외부로 유출되지 않토록 되고 밀착된 차단살(4)을 벌어지도록 하면 내용물이 용이하게 배출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튜브용 밸브.

Description

튜브용 밸브 {A valve for the tube}
본 고안은 튜브공이나 파우치 등과 같이 짜내어 쓰게 되는 용기(튜브)의 주입구에 장착되어 튜브 내에 주입된 내용물의 흐름을 차단시키거나 개방시켜 주도록 된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개가 형성되지 않아도 내용물의 차단이 가능하면서 내용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된 튜브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튜브용 밸브(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형태의 밸브체(2) 내부에 주입관(1)이 삽입된 상태에서 밸브체(2) 내부에 내장된 주입관(1)의 하부 단부에는 일측으로만 절첩되는 차단막(101)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관(1)의 상부에는 마개(102)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00) 내부에 내용물(40)을 주입하면 주입되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하여 차단막(101)이 개방되고 주입이 완료된 후에는 튜브 내부에 주입된 내용물(40)의 토출압에 의하여 차단막(101)이 막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밸브는 차단막(101)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주입관(2)과 차단막(101) 사이의 틈(103)으로 원치 않은 내용물의 유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의 마개(102)를 형성하여야만 내용물을 차단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로 인한 밸브의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튜브(200)로부터 내용물(40)을 배출시킬 경우에도 차단막(101)에 의하여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밸브체(1)에 삽입된 주입관(2)의 하부 단부를 납작하게 합체시키고 상기 주입관(2)의 납작해진 단부에 절개선(3)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절개선(3)에 의하여 주입관(2)의 하부 단부가 막혀지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되는 차단살(4)이 형성토록 하여, 차단살(4)이 밀착되면 튜브 내로 주입된 내용물이 전혀 외부로 유출되지 않토록 되고 밀착된 차단살(4)을 벌어지도록 하면 내용물이 용이하게 배출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주입관 하단부의 절개선을 나타낸 밸브의 저면도.
도 3은 밸브체에 삽입된 주입관의 상태를 나타낸 밸브의 종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밸브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 밸브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튜브에 장착된 본 고안 밸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밸브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종래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11은 종래 튜브용 밸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밸브체 2: 주입관
3: 절개선 4: 차단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명칭 및 부호가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튜브용 밸브(10)는 캡 형태의 밸브체(1)에 삽입된 주입관(2)의 일 측은 상부로 돌출되어 있고, 타 측은 밸브체(1) 내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하부로 점진적으로 축소되면서 납작하게 합체되어 있는 주입관(1) 하단부의 중심에 일직선상의 절개선(3)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선(3)에 의하여 주입관(2)의 하부가 막혀지거나 벌어지게 되는 차단살(4)이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상기의 절개선(3)은 주입관(2) 하단부의 상,하부에 어느 정도의 간격(5)이 유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벌어진 차단살(4)의 밀착이 가능토록 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 밸브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의 주입관(2)이 상,하단이 막혀진 다면체 형태의 밸브체(1)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밸브체(1)의 상,하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튜브용 밸브를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공(20)이나 파우치(30) 등의 튜브 용기의 주입구에 장착하여 주입관(2)으로부터 내용물(40)을 주입시키면, 주입관(2)의 하부가 점진적으로 축소되면서 납작하게 되어 있는 차단살(4)의 밀착된 부분으로 내용물(40)의 주입되는 압력이 집중되면서 밀착되어 있는 차단살(4)이 벌어지게 되어 내용물의 주입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고, 상기의 내용물(40)이 튜브공(20)이나 파우치(30)의 내부에 충분히 채워지면, 튜브공(20)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40)의 토출력에 의하여 벌어진 차단살(4)이 밀착되면서 내용물(40)이 전혀 유출되지 않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40)이 채워진 튜브공(20)이나 파우치(30)로부터 내용물(40)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차단살(4)이 밀착된 상태의 주입관(2) 하부를 절개선(3) 방향으로 오므리면 차단살(4)이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되기 때문에 내용물(40)의 용이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튜브용 밸브는 별도의 마개를 형성하지 않아도 밸브의 주입관에 형성된 차단살의 밀착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튜브공이나 파우치 등에 채워진 내용물의 차단이 가능하면서 내용물이 용이하게 배출됨으로서, 밸브 제조 원가의 절감은 물론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밸브를 젤 형태의 음료가 담겨지는 합성수지 팩 등에 장착하게 되면, 합성수지 팩의 외부로 돌출된 밸브의 주입관으로 빨대를 삽입하여 음료가 가능토록 되면서, 남겨진 음료는 빨대를 밸브의 주입관으로부터 빼내면 밸브의 차단살이 막혀지면서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캡 형태의 밸브체(1)에 삽입된 주입관(2)의 일측은 상부로 돌출되어 있고, 타측은 밸브체(1) 내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하부로 점진적으로 축소되면서 납작하게 합체되어 있는 주입관(1) 하단의 중심에 일직선상의 절개선(3)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선(3)에 의하여 주입관(2)의 하부가 막혀지거나 벌어지게 되는 차단살(4)이 형성됨이 특징인 튜브용 밸브(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2)이 상,하단이 막혀진 다면체 형태의 밸브체(1)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밸브체(1)의 상,하단으로 돌출됨이 특징인 튜브용 밸브(10).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의 절개선(3)은 차단살(4)의 중앙에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 밸브(10).
KR2019990021534U 1999-10-07 1999-10-07 튜브용 밸브 KR200175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534U KR200175942Y1 (ko) 1999-10-07 1999-10-07 튜브용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534U KR200175942Y1 (ko) 1999-10-07 1999-10-07 튜브용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942Y1 true KR200175942Y1 (ko) 2000-03-15

Family

ID=1959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534U KR200175942Y1 (ko) 1999-10-07 1999-10-07 튜브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9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93127A1 (fr) Contenant de distribution
ES2361946T4 (es) Cierre de recipiente que tiene un medio para introducir un aditivo en el contenido del recipiente.
US20030071136A1 (en) Spill resistant drinking straw
KR200175942Y1 (ko) 튜브용 밸브
JP4039507B2 (ja) チューブ容器
ES2247674T3 (es) Bolsa de dispensacion para mezclador dinamico.
WO2004054888A1 (en) Pouch container with spou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863424B1 (ko) 이단 굴신부를 구비한 스파우트 캡
BRPI0615971A2 (pt) recipiente para um lìquido e um gás propulsor que contém uma válvula
KR200185918Y1 (ko) 용기용 밸브
KR200277791Y1 (ko) 배출구의 공기차단변을 형성한 튜브용기
KR102658348B1 (ko)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KR200292087Y1 (ko) 맥주캔
KR20030027918A (ko) 체크벨브를 갖고 있는 데코레이션 백
CN210540546U (zh) 防漏饮料杯
KR101070152B1 (ko) 연포장 용기에 사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배출대
KR19990045792A (ko) 용기목을하방으로하여이를별도의기계장치에장착그내용물을배출시키는구조에사용된특징의용기에있어서,수축용백이내장된포장용기와그구조
TWI641535B (zh) Cap with nozzle
KR200270814Y1 (ko) 일체형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200389076Y1 (ko) 화장품 포장용 튜브
KR100452119B1 (ko) 일체형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20230001423U (ko) 사출방식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보틀
KR200260397Y1 (ko) 대나무로 제조된 주류포장용기
KR100738639B1 (ko) 파우치 용기
KR19980062544U (ko) 음료용기용 원터치 위생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