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576Y1 -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 - Google Patents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576Y1
KR200174576Y1 KR2019990021986U KR19990021986U KR200174576Y1 KR 200174576 Y1 KR200174576 Y1 KR 200174576Y1 KR 2019990021986 U KR2019990021986 U KR 2019990021986U KR 19990021986 U KR19990021986 U KR 19990021986U KR 200174576 Y1 KR200174576 Y1 KR 200174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damper
reclaimer
centr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복
정양기
박기철
최광석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1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5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슈트상부에서 낙하하는 원,연료가 충격이 흡수되면서 항상 슈트하측의 이송컨베이어상에 균일한 상태로 적치토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은, 리크레이머 버켓의 인접한 중앙 슈트(10)의 상측 덮개부(20)내에 설치되는 상부댐퍼판(30) 및, 상기 중앙슈트(10)의 외측으로 상하 및 좌우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이동부(40)에 연결바아(50)로서 연결되며, 상기 슈트(10)의 내부에 다단식으로 설치되며, 사이에는 스프링(60)이 탄설되어 일단이 상기 슈트(10)의 측벽상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40)의 작동으로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다수의 댐퍼판(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저장된 석탄등과 같은 제철공장의 원,연료가 리크레이머 버켓으로서 중앙슈트내에 투입되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댐퍼판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충격이 완화되면서 하측의 이송 컨베이어상에 항상 일정하게 적치토록 되어 이송컨베이어의 파손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Damper apparatus in reclaimer central chute}
본 고안은 저장된 연,원료가 리크레이머(reclaimer)의 버켓(bucket)으로서 중앙슈트(central chute)내에 불출될때, 상기 원,연료가 슈트 하측의 이송컨베이어상에 편심되지 않고 균일한 상태로 적치되도록 한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슈트 외부에 설치된 작동바아에 연결되고 슈트내에 다단식으로 스프링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댐퍼판들로 인하여, 슈트 상부에서 낙하하는 원,연료가 상기 댐퍼판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면서 이송컨베이어상에 편심되지 않고 적치 이송될 수 있도록 한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적장등에 저장된 석탄등과 같은 제철산업용 연,원료는 리크레이머(reclaimer)의 버켓(bucket)으로서 중앙슈트에 불출되고, 상기 중앙슈트의 하측에 설치된 지상 이송컨베이어에 낙하되어 투입장소로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크레이머의 중앙 슈트의 내부에는 버켓으로서 불출된 원,연료의 낙하상태를 제어하고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댐퍼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는 도 1 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슈트(100)의 상측으로 겹쳐져 고정된 덮개부(110)내에 제 1 댐퍼판(112)이 설치되고, 상기 슈트(100)의 내부 하측 에는 상기 덮개(110)의 제 1 댐퍼판(122)과 반대방향으로 제 2 댐퍼판(102)이 설치되며, 따라서 리크레이머 버켓(140)으로서 중앙슈트(100)내에 불출되는 원,연료 (130)는 상기 제 1,2 댐퍼판(112)(102)으로서 충격이 완화되면서 슈트(100) 하측의 지상 이송컨베이어(120)상에 낙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중앙슈트의 댐퍼장치에 있어서는,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크레이머 버켓(140)의 불출각도에 따라 실질적으로는 제 1,2 댐퍼판(112)(102)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낙하하지만, 낙하방향이 편심되면서 슈트 (100) 하측의 지상 이송컨베이어(120)상에는 한쪽으로 치우져 낙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시간당 1000 -1500 톤 가량 불출되는 원,연료의 이송컨베이어 편심적치로 인하여, 원활한 원,연료의 수송이 어렵게 됨은 물론, 이송 컨베이어(120)가치우친 하중으로 손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게 되는 한편, 심한 경우 이송컨베이어 (120)의 절손이 발생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슈트 외부에 설치된 작동바아에 연결되고 슈트내에 다단으로 스프링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댐퍼판들로 인하여, 리크레이머의 버켓으로서 불출되어 중앙슈트내에서 낙하하는 원,연료가 다수의 댐퍼판들에 의하여 충격이 효율적으로 완화되는 동시에, 슈트 하측의 이송컨베이어에는 항상 균일하게 적치되어 원,연료의 원활한 수송이 수행되는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의 (a),(b) 및 (c)는 종래 리크레이머의 중앙 슈트에 의한 연,원료 낙하상태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의 (a) 및 (b)는 본 고안인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5의 (a) 및 (b)는 본 고안인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에 의한 연,원료 낙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댐퍼장치 10.... 중앙슈트
20.... 덮개부 30.... 상부댐퍼판
40.... 이동부 50.... 연결바아
60.... 스프링 70.... 댐퍼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리크레이머의 버켓을 통하여 중앙슈트내에 불출되는 원,연료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슈트 하측의 이송컨베이어상에 균일하게 적치토록 하는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슈트의 상측 덮개부내에 설치되는 상부댐퍼판과,
상기 중앙슈트의 외측으로 상하 및 좌우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이동부에 연결바아로서 연결되며, 상기 슈트의 내부에 다단식으로 설치되며, 사이에는 스프링이 탄설되어 일단이 상기 슈트의 내측벽상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의 작동으로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다수의 댐퍼판으로 구성되는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며, 도 4의 (a) 및 (b)는 본 고안인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5의 (a) 및 (b)는 본 고안인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에 의한 연,원료 낙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고안인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1)는 상부댐퍼판(30) 및, 다수의 댐퍼판(70)들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댐퍼판(30)은, 야적된 석탄등과 같은 제철공장의 원,연료를 리크레이머의 버켓으로서 투입토록 인입구(20a)가 마련되고 리크레이머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중앙 슈트(10)의 상측 덮개부(20)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슈트(10)내에 투입 낙하하는 원,연료를 보다 안장적으로 충격완화토록 하는 상기 댐퍼판(70)들은, 상기 중앙슈트(10)의 외측으로 상하 및 좌우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이동부(40)에 연결바아(50)로서 연결되며, 상기 슈트(10)의 내부에 다단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댐퍼판(70)들 사이에는 스프링(60)이 탄설되어 상기 슈트(10)내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슈트(10)의 외벽 하부에 수평설치된 고정판(10a)에 하단이 힌지 고정되는 유압블록(42)과, 상기 유압블록(42)의 로드(42a)가 내측에 탄설된 스프링(44)에 연결되는 완충블록(46) 및, 상기 완충블록(46)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작동바아(48) 및, 상기 작동바아(48)의 상측으로 연결되고 슈트(10)의 외벽 상부에 수평설치된 유압실린더(49a)가 상단부에 연설되는 고정바아(49)를 구비하여 상기 유압블록(46) 및 유압실린더(49a)의 작동시 상기 작동바아 (48)의 양측으로 힌지 연결된 연결바아(50)를 이동토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슈트(10)내의 댐퍼판(70)들은 상,하측 댐퍼판(70a)(70b)을 구비하여 그 각각은 슈트(10)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토록 횡설된 힌지바아(72)의 주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상.하측 댐퍼판(70a)(70b)사이에 탄설되는 상기 스프링(60) 은 댐퍼판(70)의 적정각도를 유지토록 탄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된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석탄등과 같은 원,연료를 리크레이머의 버켓으로서 중앙 슈트(10)내에 투입시킬때, 낙하하는 원,연료를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원,연료를 중앙 슈트 (10)의 하측 이송컨베이어(80)상에 항상 일정하게 적치될 수 있도록 한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야적된 석탄등과 같은 제철공장의 원,연료를 리크레이머의 버켓으로서 인접하여 위치된 중앙슈트(10)의 상부 덮개(20)의 인입구(20a)를 통하여 낙하시키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상부덮개(20) 및 슈트(10)내의 각 댐퍼판(30)(70)들로서 안내되면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덮개(20)의 내측으로 설치된 상부댐퍼판(30)에 투입된 원,연료가 1 차적으로 안내되면, 이에 충격이 흡수되면서 그 하측의 댐퍼판(70)들에 의하여 교차적으로 접촉 충격이 완화된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슈트(10)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하 및 전후 이동하는 이동부(40)의 작동바아(48)에 힌지 고정되는 연결바아(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댐퍼판(70)들은 슈트(10)내에서 상,하방향 또는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연료의 낙하방향에 따라 위치가 조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슈트(10)의 외벽 하부에 수평 설치된 고정판(10a)에 하단이 힌지 고정되는 유압블록(42)의 로드(42a)에는 내측에 스프링(44)이 탄설되는 완충블록 (46)이 연결되고, 상기 완충블록(46)의 상측에는 상기 댐퍼판(70)들과 연결되는 연결바아(50)가 힌지 고정되는 작동바아(48)가 연설되고, 상기 작동바아(48)의 상측에는 슈트(10)의 외벽 상부에 수평 설치된 유압실린더(49a)가 상단부에 연설된 고 정바아(49)가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블록(42)의 로드(42a)가 상승 작동되면, 완충블록(46)을 개재하여 작동바아(48)가 상승되고, 이에 힌지 고정된 연결바아(50)는 일체로 상승하면서 상기 하측 댐퍼판(70b)을 위로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하부 댐퍼판(70b)의 상측으로 스프링(60)으로서 탄설된 상측 댐퍼판(70a)도 위로 이동되게 되며, 결국 상기 슈트(10)내에 양측에 설치된 댐퍼판(70)들이 위로 이동하면, 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반대로 상기 작동바아(48)에 따라 연결바아(50)가 하강하면 상기 댐퍼판(70)들간의 간격은 확장되어 원,연료의 낙하량에 따라 조정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유압실린더(49a)가 작동되면, 상기 고정바아(49), 작동바아 (48), 완충블록(44) 및 유압블록(42)이 하측 고정판(10a)을 축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는 연결바아(50)로서 연결된 댐퍼판(70)이 슈트(10)의 내측 중심선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토록 하며, 결국 리크레이머 버켓에 의한 슈트 인입구(20a)에 투입되어 낙하되는 원,연료(S)의 방향에 따라 댐퍼판(70)들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슈트(10)내에 투입 낙하되는 원, 연료의 낙하방향 및 낙하량에 따라 상기 댐퍼판(70)들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낙하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함은 물론, 슈트(10) 하측의 이송컨베이어(80)상에 편심되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적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판(70)들은 슈트 내벽에 힌지블록(72)으로서 일단이 회전 가능하고, 그 사이에는 스프링(60)이 탄설됨으로 인하여, 낙하하는 원,연료의 낙하에 의한 충격이 효율적으로 흡수되며, 상기 스프링(60)은 상측 및 하측의 대펌판(70a)(70b)들의 각도를 적정하게 유지토록 하는데, 이는 상기 댐퍼판(70a)(70b)들의 각도가 너무 크거나 작으면, 댐퍼작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리크레이머 버켓으로서 중앙슈트(10)내에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석탄등과 같은 원,연료가 어떠한 방향으로 낙하되어도 상기 슈트(10) 하측의 지상 이송컨베이어(80)에는 보다 안정적으로 항상 균일하게 낙하 적치되며, 이는 이송컨베이어(80)의 파손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에 의하면, 슈트 외부에 설치된 작동바아에 연결되고 슈트내에 다단으로 스프링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댐퍼판들로 인하여, 리크레이머의 버켓으로서 불출되어 중앙슈트내에서 낙하하는 원,연료가 다수의 댐퍼판들에 의하여 충격이 효율적으로 완화되는 동시에, 슈트 하측의 이송컨베이어에는 항상 균일하게 적치되어 원,연료의 원활한 수송이 수 행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리크레이머의 버켓을 통하여 중앙슈트내에 불출되는 원,연료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슈트 하측의 이송컨베이어상에 균일하게 적치토록 하는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슈트(10)의 상측 덮개부(20)내에 설치되는 상부댐퍼판(30)과,
    상기 중앙슈트(10)의 외측으로 상하 및 좌우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이동부 (40)에 연결바아(50)로서 연결되며, 상기 슈트(10)의 내부에 다단식으로 설치되며, 사이에는 스프링(60)이 탄설되어 일단이 상기 슈트(10)의 측벽상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40)의 작동으로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다수의 댐퍼판(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레이머 중앙슈트의 댐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슈트(10)의 외벽 하부에 수평설치된 고정판(10a)에 하단이 힌지 고정되는 유압블록(42)과, 상기 유압블록(42)의 로드(42a)가 내측에 탄설된 스프링(44)에 연결되는 완충블록(46) 및, 상기 완충블록(46)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작동바아(48) 및, 상기 작동바아(48)의 상측으로 연결되고 슈트(10)의 외벽 상부에 수평설치된 유압실린더(49a)가 상단부에 연설되는 고정바아(49)를 구비하여 상기 유압블록(46) 및 유압실린더(49a)의 작동시 상기 작동바아(48)의 양측으로 힌지 연결된 연결바아(50)를 이동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레이머 중앙슈트의 댐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10)내의 댐퍼판(70)들은 상,하측 댐퍼판 (70a)(70b)를 구비하여 그 각각은 슈트(10)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토록 횡설된 힌지바아(72)의 주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하측 댐퍼판(70a)(70b)사이에 탄설되는 상기 스프링(60)은 댐퍼판(70)의 적정각도를 유지토록 탄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레이머 중앙슈트의 댐퍼장치
KR2019990021986U 1999-10-13 1999-10-13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 KR200174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986U KR200174576Y1 (ko) 1999-10-13 1999-10-13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986U KR200174576Y1 (ko) 1999-10-13 1999-10-13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576Y1 true KR200174576Y1 (ko) 2000-03-15

Family

ID=1959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986U KR200174576Y1 (ko) 1999-10-13 1999-10-13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576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374B1 (ko) 2005-10-05 2007-02-01 삼환환경 주식회사 완충장치를 갖는 폐기물 선별장치
KR101007313B1 (ko) 2010-07-06 2011-01-13 (주)기승산업기계 단조제품용 충격흡수장치
KR101149145B1 (ko) * 2010-04-29 2012-05-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에어슈터 시스템의 완충장치
KR101207726B1 (ko) * 2010-12-09 2012-12-03 주식회사 포스코 운송설비의 운송물 탑재 유도장치
KR101411852B1 (ko) * 2012-10-29 2014-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KR101543955B1 (ko) 2014-03-19 2015-08-11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물 중앙유도장치
CN115262324A (zh) * 2022-08-08 2022-11-01 山东省交通科学研究院 一种沥青拌合站高性能沥青混合料用改性剂干法投放装置
CN117022983A (zh) * 2023-09-01 2023-11-10 河北捷士达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料流方向可调整以及除尘环保的转载溜槽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374B1 (ko) 2005-10-05 2007-02-01 삼환환경 주식회사 완충장치를 갖는 폐기물 선별장치
KR101149145B1 (ko) * 2010-04-29 2012-05-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에어슈터 시스템의 완충장치
KR101007313B1 (ko) 2010-07-06 2011-01-13 (주)기승산업기계 단조제품용 충격흡수장치
KR101207726B1 (ko) * 2010-12-09 2012-12-03 주식회사 포스코 운송설비의 운송물 탑재 유도장치
KR101411852B1 (ko) * 2012-10-29 2014-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KR101543955B1 (ko) 2014-03-19 2015-08-11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물 중앙유도장치
CN115262324A (zh) * 2022-08-08 2022-11-01 山东省交通科学研究院 一种沥青拌合站高性能沥青混合料用改性剂干法投放装置
CN115262324B (zh) * 2022-08-08 2024-02-02 山东省交通科学研究院 一种沥青拌合站高性能沥青混合料用改性剂干法投放装置
CN117022983A (zh) * 2023-09-01 2023-11-10 河北捷士达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料流方向可调整以及除尘环保的转载溜槽
CN117022983B (zh) * 2023-09-01 2024-02-23 河北捷士达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料流方向可调整以及除尘环保的转载溜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4576Y1 (ko) 리크레이머 중앙 슈트의 댐퍼장치
EP0040293B1 (en) System to fill the cases in a uniform manner with fruit and vegetables
US7055674B2 (en) Self-cleaning enclosed belt conveyor for loose materials
AU2002331287A1 (en) Self-cleaning enclosed belt conveyor for loose materials
US3229806A (en) Coin feeder
US3487910A (en) Scraper and conveyor apparatus
JP6192592B2 (ja) ヤード積付量の増加装置
KR100723133B1 (ko) 벨트 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장치
KR200331979Y1 (ko) 스테커의 편적 및 낙광 방지장치
EP1013575B1 (en) Kil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particularly for ceramic products
CN110451178A (zh) 一种快速移置地埋式带式输送机
KR100516463B1 (ko) 원료불출설비의 트리퍼부 더블컨베이어
CN215796910U (zh) 一种皮带运输分流装置
CN214934251U (zh) 一种储存装车装置
CN220765364U (zh) 一种集装箱卸料输送设备
CN210001115U (zh) 用于固废垃圾处理系统的上料机
US3835997A (en) Mobile device for reception, precleaning and piling of beets
KR200208268Y1 (ko) 언로더의 벨트컨베이어 낙광제거장치
KR100509274B1 (ko) 골재의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 장치
US671825A (en) Feeding device for conveyers, &c.
JP2656704B2 (ja) バラ物輸送機械のコンベヤー乗継ぎシュート
US3831735A (en) Bulk material blending and reclaiming apparatus
KR100797962B1 (ko) 컨베이어 스커트 자동 조절장치를 구비한 언로더
KR20020003038A (ko) 석탄저장 및 배출 호퍼용 이물질 분리 스크린의 막힘방지장치
US2581067A (en) Multiple level dump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