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891Y1 -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 - Google Patents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891Y1
KR200173891Y1 KR2019970017386U KR19970017386U KR200173891Y1 KR 200173891 Y1 KR200173891 Y1 KR 200173891Y1 KR 2019970017386 U KR2019970017386 U KR 2019970017386U KR 19970017386 U KR19970017386 U KR 19970017386U KR 200173891 Y1 KR200173891 Y1 KR 200173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ll
forming member
piping
spac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309U (ko
Inventor
이인섭
장명석
Original Assignee
이인섭
장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섭, 장명석 filed Critical 이인섭
Priority to KR2019970017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89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3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8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의 발코니 등 벽체에 수도관을 배관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거푸집에 고정하여 수도관을 지지하도록 하는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발코니 등의 벽체에 수도관을 배관하기 위해서는 각목이나 이와 유사한 형태의 공간형성부재를 세우고, 상기한 공간형성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한 후 콘그리트를 타설한다음, 콘크리트가 소결되면 거푸집과 함께 상기한 공간형성부재를 떼어내고 상기한 공간형성부재가 위치했던 자리에 수도관 을 배관한 후 빈 공간은 다시 콘크리트로 채워넣어 마무리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술은 수도관을 배관한 후 다시 빈 공간을 메꾸어주는 공정이 필요하므로서, 시간과 공수가 낭비되고, 또한 공간형성부재(110)의 체적이 상대적으로 커서, 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보관에도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점유할 뿐만 아니라, 원가 부담도 높은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본 고안은, 수도관(20)에 나삽되는 나사봉(11)을 일측 중앙에 형성하며, 못구멍(13)이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한 못구멍(13)은 상기한 나사봉(11)의 위치와 같은 방향에 못머리자리(13a)를 형성하며, 상기한 나사봉(11)이 위치하는 다른 일측 중앙에는 드라이버홈(14)이 형성된 플랜지(12)로 구성되어, 수도관의 벽체 배관을 마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하여 이중으로 시행하던 작업공정을 한 번으로 끝내도록한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임.

Description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
본 고안은 건물의 벽체건축시에 사용되는 수도관 배관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파트의 발코니 등 벽체에 수도관을 배관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거푸집에 고정하여 수도관을 지지하도록 하는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발코니 등의 벽체(100)에 수도관을 배관하기 위해서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각목 등의 공간형성부재(110)를 사용하고 있다.
즉 바닥면에 배관된 수도관의 위치 위에 각목 이나 이와 유사한 형태의 공간형성부재(110)를 세우고, 상기한 공간형성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한 후 콘그리트를 타설한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소결된 후 거푸집과 함께 상기한 공간형성부재를 떼어내면, 상기한 공간형성부재가 위치했던 자리에 수도관을 배관할수 있는 공간(10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에 수도관 을 배관한 후 빈 공간은 다시 콘크리트로 채워넣어 마무리하고 있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라 벽체(100)에 수도관 배관을 위한 공간(101)을 형성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런데 종래의 공간형성부재(110)를 이용하여 벽체(100)에 수도관을 배관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같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즉 벽체(101)에 상당길이의 공간을 형성하고, 수도관을 배관한 후 다시 빈 공간을 메꾸어주는 공정이 필요하므로서, 시간과 공수가 낭비된다.
또한 상기한 공간형성부재(110)의 체적이 상대적으로 커서, 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보관에도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점유할뿐만 아니라, 원가 부담도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서는 수도관의 벽체 배관을 마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하여 시공시간 및 공수를 줄이고, 보관 및 관리도 간편할뿐만 아니라 제작비용도 저렴한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공정 순차 단면도로서,
a는 결합 전 분리 상태 단면도,
b는 수도관과 거푸집에 본 고안이 고정된 상태,
c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
d는 거푸집을 떼어낸 상태,
e는 본 고안을 이탈시킨 상태를 나타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후의 발코니 벽체의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간형성부재의 사시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라 벽체에 수도관 배관 공간을 형성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 11: 나사봉
12: 플랜지 13: 못구멍
14: 드라이버홈 15: 경사면
20: 수도관 30: 못
40: 거푸집 50: 콘크리트
100: 벽체 101: 공간
110: 공간형성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는, 수도관에 나삽되는 나사봉을 일측 중앙에 형성하며, 못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한 못구멍은 상기한 나사봉의 위치와 같은 방향에 못머리자리를 형성하며, 상기한 나사봉이 위치하는 다른 일측 중앙에는 드라이버홈이 형성된 플랜지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1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수도관 배관 지지구(10)는, 수도관(20)에 나삽되는 나사봉(11)을 일측 중앙에 형성한 플랜지(12)로 구성된다.
상기한 플랜지(12)에는 못구멍(13)이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한 못구멍(13)은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하여 못(30)을 쳤을 때 못머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한 나사봉(11)의 위치와 같은 측에 못머리자리(13a)를 형성하고, 상기한 나사봉(11)이 위치하는 다른 일측 중앙에는 본 배관 지지구(10)를 수도관(20)으로부터 이탈시키기위한 드라이버홈(14)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한 플랜지(12)는 벽체(100)로부터 이탈시키기 용이하도록 플랜지의 주면에 경사각(15)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알아본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공정 순차 단면도로서,
a는 결합 전 분리 상태,
b는 수도관(20)과 거푸집(40)에 본 배관 지지구(10)가 고정된 상태,
c는 콘크리트(50)를 타설한 상태,
d는 거푸집(40)을 벽체로부터 떼어낸 상태,
e는 본 배관 지지구(10)를 벽체에서 이탈시킨 상태를 나타낸것이다.
도 3a, b, c, d,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한 작업공정은 먼저 수도관(20)을 원하는 위치에 배관한 후 본 배관 지지구(10)를 수도관(20)에 나삽한다음, 콘크리트 거푸집(40)을 설치한후, 본 배관 지지구(10)의 플랜지에 형성된 못구멍(13)을 이용해 못(30)을 쳐서 거푸집(4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콘트리트(50)를 타설하여 소결되면, 거푸집(40)을 떼어내고, 드라이버홈(14)을 이용하여 본 배관 지지구(10)를 벽체(100)로부터 이탈시킨다. 이 때에 못머리는 플랜지(12)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못머리자리(13a) 속으로 삽입되어 있어서 걸림이 없게 된다. 도 4는 본 배관 지지구(10)를 벽체(100)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 후 수도꼭지(21)를 나삽하고 본 배관 지지구(10)의 플랜지자리(51)를 가볍게 마감처리하는 것으로서, 벽체의 수도관 배관공사를 완성한다.
상술한 작업공정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10)는 벽체 콘트리트 거푸집(40)에, 플랜지(12)와 나사봉(11)을 이용하여 수도관(20)을 지지 고정하여, 배관 공간(101) 형성의 과정이 필요없이 직접 콘크리트(50)를 타설할수 있게하는 것이다.
상기한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에 따르면, 벽체에 수도관을 배관시, 수도관의 벽체 배관을 마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하여 이중으로 시행하던 작업공정을 한 번으로 끝내도록함으로써, 시공시간 및 공수를 줄이고, 부피가 작아 보관 및 관리가 간편할뿐만 아니라, 제작비용도 저렴하여 여러 가지 잇점을 갖는 매우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수도관(20)에 나삽되는 나사봉(11)을 일측 중앙에 형성하며, 못구멍(13)이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한 못구멍(13)은 상기한 나사봉(11)의 위치와 같은 방향에 못머리자리(13a)를 형성하며, 상기한 나사봉(11)이 위치하는 다른 일측 중앙에는 드라이버홈(14)이 형성된 플랜지(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
KR2019970017386U 1997-07-01 1997-07-01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 KR200173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386U KR200173891Y1 (ko) 1997-07-01 1997-07-01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386U KR200173891Y1 (ko) 1997-07-01 1997-07-01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309U KR19990004309U (ko) 1999-02-05
KR200173891Y1 true KR200173891Y1 (ko) 2000-03-02

Family

ID=1950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386U KR200173891Y1 (ko) 1997-07-01 1997-07-01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8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309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8161A (en) Wall construction
US2080618A (en) Structural unit
US5074088A (en) Building block
CA2216182A1 (en) Cellular resin block and structure unit for exterior structure using such block
CN110453812A (zh) 一种新型建筑装配结构
KR200173891Y1 (ko) 벽체 수도관 배관 지지구
US6237291B1 (en) Floor receiving concrete block
KR100444726B1 (ko) 치장 벽돌벽 스페이서
JP305392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部材同士の端部接続構造と端部接続方法
US3691714A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wall
CN218028474U (zh) 一种房屋建造施工不规则构造柱
JPH08144581A (ja) フェンスの基礎構造
JPH09242144A (ja) コンクリート埋設用排水管継手
JPS6127428Y2 (ko)
JPH0526125Y2 (ko)
JPS583911Y2 (ja) 連結用函渠ブロツク
JPS5831929Y2 (ja) 有孔石材ブロック用孔補強環
JPH0352360Y2 (ko)
JPH027973Y2 (ko)
JPS5921229Y2 (ja) 端太角受け具
JPS6038768Y2 (ja) 構築用勾配付l型ブロツク
KR810000120Y1 (ko) 스라브 배수구
JPS6222601Y2 (ko)
JPS6223961Y2 (ko)
JPS5836724Y2 (ja) 結露防止用インサ−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