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680Y1 -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 구조 - Google Patents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680Y1
KR200173680Y1 KR2019990019295U KR19990019295U KR200173680Y1 KR 200173680 Y1 KR200173680 Y1 KR 200173680Y1 KR 2019990019295 U KR2019990019295 U KR 2019990019295U KR 19990019295 U KR19990019295 U KR 19990019295U KR 200173680 Y1 KR200173680 Y1 KR 200173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gnancy
urine
present
housing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문
박영남
Original Assignee
영동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동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동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9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6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6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S436/811Test for named disease, body condition or organ function
    • Y10S436/814Pregnanc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Cell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가정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임신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시료(뇨) 투입구를 형성함으로써 드로핑방법과 디핑 또는 인슈트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검사를 행할 수 있고 검사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을 형성하도록 한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내부에 임신진단 키트(15)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된 체결편(22)과 외측으로 천공된 과뇨배출구(21)를 바닥부에 형성한 하부케이스(20)와; 상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시료 투입구(11)와 검사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12)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0)를 일체로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 구조{Housing structure for pregnancy diagnose reagent}
본 고안은 일반가정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임신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시료(뇨) 투입구를 형성함으로써 드로핑방법과 디핑 또는 인슈트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검사를 행할 수 있고, 또 검사결과를 직접 확 인할 수 있는 투시창을 형성하도록 한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 질병 또는 건강에 대한 조기진단이 요구됨에 따라 일반가정에서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질병 및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각종의 시약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에 있으며, 현재 이러한 진단시약으로서 면역진단 시험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면역진단 시험지는 보관이나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보관과 사용의 편리성을 고려한 시험지 하우징이 개발되어 많은 면역진단의 시험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시험지 하우징의 구조는 별도의 기구 즉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시료를 하우징의 내부로 주입하여 진단할 수 있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지극히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를 실제 사용하는데 있어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개발된 임신진단 시험지를 일반인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1회용 임신진단시약을 제조하여 이를 검사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스포이드를 사용해서 뇨를 시료 투입구에 떨어트리는 방법과 시험지를 뇨가 들어있는 용기에 침지한 후 취출하여 검사하는 방법 및 스포이드나 용기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화장실에서 직접 소변을 받는 인슈트방법으로 검사할 수 있는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내측에 임신진단 시약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체결편과 외측으로 천공된 과뇨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케이스와; 상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시료(뇨) 투입구와 검사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형성된 상부케이스를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로부터 얻게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임신진단 시약을 삽입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상부케이스 11…시료투입구 12…투시창 13…손잡이
15…임신진단시약 20…하부케이스 21…과뇨배출구 22…체결편
도2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하부케이스(20)와 상부케이스(10)를 일체로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전체적인 구성은 내부에 임신진단 키트(15)를 안정적을 삽입하기 위한 체결편(22)을 하부케이스(20)의 바닥부에 등간격으로 적정수 배설하고, 일측부에는 과다한 시료(뇨)의 투입시 이를 배출시키기 위한 과뇨배출구(21)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하부케이스(20)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0)의 구성은 시료(뇨) 를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드로핑하거나 또는 화장실에서 직접 시료(뇨)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한 시료 투입구(11)를 상부케이스(10)의 상면 일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그 일측으로 임신의 가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투시창(12)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미설명 부호(13)은 용이하게 손으로 파지하도록하여 사용상의 펴니성을 고려한 손잡이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하부케이스(20)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는 체결편(22)의 내측에 임신진단 키트(15)를 삽입하여 체결한 후 상부케이스(10)를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의 사용방법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포이드를 이용한 드로핑방법 또는 디핑이나 인슈트방법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임신가부를 진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드로핑 방법은 스포이드에 뇨를 채취한 후 상부케이스(10)상에 형성된 시료투입구(11)에 적정량의 뇨를 떨어뜨리게 되면 뇨는 임신진단 시약(15)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상부로 흡수되면서 임신의 가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특유의 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투시창(12)으로 이의 판별결과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디핑방법은 하우징(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3)를 손으로 파지한 후 뇨가 담겨진 컵에 침지시키게 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임신진단 시약(15)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뇨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임신진단 여부를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인슈트 방법은 상부케이스(10)에 형성된 시료투입구(11)에 직접적으 로 시료(뇨)를 채취하는 방법으로서, 이의 작용상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서 과다한 량이 주입된 경우에는 하부케이스(20)에 구비되어 있는 과다뇨배출구(21)로 자동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임신진단에 필요로 하는 적정량의 뇨만이 이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을 구성하고 있는 하우징에 컵 형상의 시료(뇨) 투입구와 과뇨를 배출하기 위한 과뇨배출구 및 진단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을 형성한 구조로 드로핑방법은 물론 디핑이나 인슈트방법을 자유자재로 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내부에 임신진단 키트(15)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된 체결편(22)과 외측으로 천공된 과뇨배출구(21)를 바닥부에 형성한 하부케이스(20)와; 상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시료 투입구(11)와 검사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12)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0)를 일체로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의 구조.
KR2019990019295U 1999-09-10 1999-09-10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 구조 KR200173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295U KR200173680Y1 (ko) 1999-09-10 1999-09-10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295U KR200173680Y1 (ko) 1999-09-10 1999-09-10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680Y1 true KR200173680Y1 (ko) 2000-03-15

Family

ID=1958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295U KR200173680Y1 (ko) 1999-09-10 1999-09-10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6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3698B2 (en) Saliva-monitoring biosensor electrical toothbrush
US7927562B2 (en) Collection and assay device for biological fluid
US3774455A (en) Urine testing apparatus
US5260031A (en) Saliva sampling device with sample adequacy indicating system
US5882942A (en) Method for sampling feces
US7314453B2 (en) Handheld diagnostic device with renewable biosensor
JP3964009B2 (ja) リモートドーズ式分析物濃度計器
RU2003113551A (ru) Элемент ланцета, комплекс индикаторной полости, систем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концентраци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онцентраци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стера
US79932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analysis of saliva
JP2012132897A (ja) 検体採取具及び検体採取キット
JP4662891B2 (ja) 採便容器
HUT75560A (en) Uisposable device for collecting a body fluid
KR200173680Y1 (ko) 임신진단 시약용 하우징 구조
JP5416227B2 (ja) 生物学的流体のための収集および検定デバイス
JP2008532020A (ja) 皮膚組織コレステロールの非侵襲的測定法と器具
KR102041702B1 (ko) 소변컵
US20210197193A1 (en) Parts for diagnostic devices
CN209783993U (zh) 一次性女性尿液采集器
CN207992222U (zh) 多功能体外试剂诊断试剂盒
CN216410847U (zh) 检验用粪便内容物预处理装置
JPH0755496Y2 (ja) 採尿バック
JP2598856Y2 (ja) 採便器具
JPH0587567U (ja) 液体検査用具
JPH04203966A (ja) 簡易採便器兼用便潜血検査具及びこの検査具を用いる検査方法
CN208947966U (zh) 一种多功能试剂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