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702B1 - 소변컵 - Google Patents

소변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702B1
KR102041702B1 KR1020180023438A KR20180023438A KR102041702B1 KR 102041702 B1 KR102041702 B1 KR 102041702B1 KR 1020180023438 A KR1020180023438 A KR 1020180023438A KR 20180023438 A KR20180023438 A KR 20180023438A KR 102041702 B1 KR102041702 B1 KR 10204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main body
cup
urine cup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673A (ko
Inventor
배시현
권유정
김소희
권현아
김은지
박창우
Original Assignee
선린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린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린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3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70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컵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름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하단에 고정홀이 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측단에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소변컵에 의하면, 소변컵의 내부에 필름지를 형성하여 채뇨과정에서 발생되는 소변의 튐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여 이로인한 오염 및 감염등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변컵 {Urine Cup}
본 발명은 소변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을 채취하는 채뇨작업을 시행할 때 사용되는 소변컵의 내부에 필름지를 형성하여 채뇨작업 시 발생되는 소변의 튐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고, 소변컵의 내측에 가이드부와 회전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첫소변과 중간소변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변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병원에 내원하면, 질환의 진단 및 치료 계획의 수립을 위해 엑스레이 촬영, 심전도, 소변 등 일정의 기초적인 검사를 받게 된다.
이러한 검사들 중 임상 병리 검사로서 대부분의 병원에서 전체 검사량의 약 30% 정도를 점유할 만큼 필수적인 소변검사의 경우에는,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으면서 손쉽게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장과 요로의 질환이나 심장이나 내분비선 또는 그 밖의 여러 기관의 기능과 관련된 질환의 진단 및 치료 계획의 수립에 중요한 임상 지표로 사용되어 필수적으로 시행하는 루틴(Routine) 검사로 인식되고 있다.
여기서, 소변 검사란 소변의 성분을 검사함으로써 전신의 상태, 병을 알아내는 진단법으로, 소변을 생성하는 신장을 비롯하여, 또한 소변 속에는 전신의 대사산물이 배설되고 있으므로 비뇨기 이외의 전신적인 질환의 진단에도 널리 시행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진행하는 소변검사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중에 가장 기본으로 시행되는 검사는 대부분 동시에 총 10개 항목의 임상적 지표 (당, 단백, 잠혈, 산도 등)를 검사할 수 있는 시험지검사법 (Dipsticktest)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육안 판정 또는 자동분석장치를 통한 기계판정으로 임상적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된다.
염증뇨(Infection urine)를 확인하기 위해 현미경 관찰을 통해 한 필드당 백혈구의 수치가 얼마나 나오는지 수를 세거나 스틱에서 잠혈(Occult blood)이 발견될 경우도 필드당 적혈구의 수치를 세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현미경 관찰의 질을 떨어뜨리게 되는 소변 내 성분 중 상피세포의 분포를 피하기 위해 첫 소변(소변의 약1/3정도; 보통 성인의 경우 2 cc정도)을 버리고 나머지 소변(최소 4 cc 이상)을 통해 검사를 진행하게 되므로 검사대상자에게 첫 소변을 버리게 교육한 후 소변 양이 그려진 종이컵에 소변을 받아오게 한다.
그러나 검사를 받는 대상자가 여러 이유로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의 증세가 있거나 나이가 어리거나(유아) 많은 노약자인 경우 첫 소변을 버리고 나머지 소변을 받기 위하여 소변을 중간에 참는 것에 많은 불편을 느끼며, 영유아나 마비환자, 의식불명환자의 경우는 검사가 불가능하다. 또한 소변 검사용 종이컵을 성기(외음부)주변으로 유도되면서 소변이 손에 묻거나 흘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버리는 첫 소변의 양을 전체 소변의 1/3으로 교육하고 있으나 그 양이 검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기초하는 경우가 많아 나머지 소변을 충분히 받지 못하거나 너무 적게 첫 소변을 버려 소변 내 상피세포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소변검사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변검사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한계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검사 작업자가 소변 검사용 종이컵에서 유린 컵(Urine Cup) 또는 유린 튜브(Urine Tube)로 소변을 손으로 옮길 때 흐르거나 주변에 튀어 묻음으로써 오염과 타 시료에 혼합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732843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변컵의 내부에 필름지를 형성하여 채뇨과정에서 발생되는 소변의 튐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여 이로인한 오염 및 감염 등이 방지되도록 하는 소변컵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첫소변과 중간소변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배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채뇨과정을 위해 요의를 참았던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소변컵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첫소변과 중간소변의 분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소변샘플을 채취하도록 하여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고 상피세포가 충분하게 제거된 상태의 소변이 확보되도록 하는 소변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소변컵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컵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름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하단에 고정홀이 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측단에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필름지는 소변에 의해 녹는 폴리비닐 알코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필름지의 일단은 상기 본체부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필름지의 타단은 상기 회전부의 상부 일단에 부착되어, 상기 필름지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원판부의 중앙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철성분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소변컵의 외측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채뇨작업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원판부는 외부가 코팅처리되거나 방수재질로 형성되어, 소변이 상기 원판부에 닿을때 소변이 흡수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의 하부방향으로 소변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소변컵에 의하면, 소변컵의 내부에 필름지를 형성하여 채뇨과정에서 발생되는 소변의 튐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여 이로인한 오염 및 감염 등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첫소변과 중간소변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배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채뇨과정을 위해 요의를 참았던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첫소변과 중간소변의 분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소변샘플을 채취하도록 하여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고 상피세포가 충분하게 제거된 상태의 소변이 확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변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변컵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변컵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변컵의 가이드부와 회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변컵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소변컵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소변컵으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변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소변컵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소변컵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변컵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컵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름지(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부(300)와,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구배되는 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가요성이 낮은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어 채뇨작업시에 상기 본체부(100)가 손가락 압력에 의해 모양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채뇨가 이루어지는 작업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소변의 정확한 양이 측정되도록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컵 형상이면, 후술되는 상기 가이드부(300) 및 상기 회전부(400)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이를테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이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는 하부로 갈수폭 폭이 좁아지는 컵 형상으로만 이루어지면 본 발명의 소변컵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소변컵의 범용성을 넓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110)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자성체(110)는 상기 본체부(110)의 하단에 탈부착 가능한 고무자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성을 가지는 물질을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에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재(120)가 형성되어 채뇨작업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여 채뇨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20)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를 파지하였을 때 사용자의 엄지손가락과 중지손가락이 위치하는 곳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채뇨작업시 첫소변이 상기 필름지(20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필름지(200)는 소변을 흡수함과 동시에 소변이 접촉되면 녹게 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변이 닿는 부분은 녹게 되고 소변과 닿지 않은 부분은 남아 있어서, 남아 있는 부분에 튀는 소변이 닿도록 하여 소변이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소변의 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뇨작업이 보다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필름지(200)는 소변에 의해 녹을 수 있는 폴리비닐 알코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지(200)는 상부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 일단에 부착되고, 하부가 상기 회전부(400)의 상부 일단에 부착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부(400)가 상기 필름지(200)에 의해 어느 정도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소변이 수집될 때, 상기 필름지(200)가 상기 회전부(400)의 일단을 고정하여, 첫소변의 양이 어느정도 채워지는 일정시간동안 상기 회전부(4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도록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필름지(200)는 상기 회전부(400)의 한쪽면에만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필름지(200)가 소변의 무게에 의해 상기 필름지(200)가 상기 본체부(100)에서 분리되면, 상기 회전부가(40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채뇨작업시 소변을 상기 회전부(400)가 형성된 방향으로 안내하여 채뇨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에는 고정홀(32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그 자체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걸쳐져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300)가 상기 본체부(100) 내측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100)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300)의 상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310)와 상기 고정홀(320)은 후술되는 상기 회전부(400)가 상기 가이드부(30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4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는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400)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400)는 상기 가이드부(3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판부(410)와 상기 원판부(410)의 측단에 형성되는 고정부(420)와 상기 원판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재(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420)는 상기 가이드부(300)의 고정홀(530)에 끼움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420)를 힌지로 하여 상기 회전부(400)가 상기 가이드부(300) 의 결합부재(310)에서 회동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회전부의 구성을 도 4를 통해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소변컵의 가이드부와 회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20)는 상기 고정홀(32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400)가 상기 고정부(420)를 힌지로 하여 상기 결합부재(310)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원판부(400)의 상단에, 소변의 유입 등으로 인한 외압이 가해지면 상기 원판부(40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310)와 상기 원판부(41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공간을 통해 소변이 유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300)와 상기 회전부(4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컵의 형상이면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컵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판부(410)는 외부가 코팅처리되거나 방수재질로 형성되어, 소변이 상기 원판부(410)에 닿을때 소변이 흡수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방향으로 소변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는(430) 상기 원판부(410)의 중앙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철성분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자성체(110)와 자성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430)의 상단에는 무게추(431)가 형성되어 상기 무게추(431)에 의해 상기 원판부(4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회전 후 상기 원판부(410)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소변컵(10)의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변컵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소변컵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소변컵으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뇨작업 전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필름지(20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400)는 상기 필름지(200)에 의해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후 채뇨작업을 위해 본 발명의 소변컵(10)에 사용자가 소변(U)을 담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지(200)가 소변(U)을 흡수한 후 소변(U)이 닿는 부분이 녹게 되어, 소변(U)이 닿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의해 소변의 튐 현상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필름지(200)는 소변에 의해 녹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변이 지속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필름지(200)지는 채뇨과정중 점차 녹아서 소멸되게 된다.
이후 계속되는 방뇨에 의해 상기 회전부(400)의 상부는 첫소변(U1)으로 채워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형성된 상기 필름지(200)에 의해 상기 회전부(400)가 바로 회전되지 않고, 첫소변(U1)이 어느정도 채워질 때까지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서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후, 첫소변(U1)이 상기 가이드부(300)에 일정량만큼 채워지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의 무게에 의해 상기 필름지(200)가 분리되고, 상기 필름지(200)가 분리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400)가 상기 고정부(420)를 힌지로 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첫소변이 상기 회전부(400)와 상기 결합부재(520) 사이에 발생되는 유출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방뇨작업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첫소변(U1)이 어느정도 채워지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400)가 완전하게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재(430)의 상단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자성체(110)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재(430)는 철성분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재(430)는 상기 자성체(110)와 자성력에 의해 붙어있으려는 성질로 인해 도 7과 같은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돌출부재(430)에 형성된 상기 무게추(431)에 의해 상기 회전부(400)가 뒤집어진 후 수평방향이 유지되도록 하고, 자성을 가지는 상기 자성체(110)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재(430)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부(400)의 회전 및 수평유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를 종이컵으로 형성하게 되면, 종이컵의 하부에 고무자석 등 자성체를 가진 물질을 부착하여 자성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기 돌출부재(4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400)가 완전히 뒤집어진 상태에서 배뇨작업이 계속 이루어지기 때문에, 첫소변(U1)은 상기 회전부(4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중간소변(U2)은 상기 회전부(4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중간소변(U2)만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300)의 외주면이 상기 걸림부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부(300)가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변컵(10)에 의하면, 소변컵(10)의 상부에 필름지(200)를 형성하여 채뇨과정에서 발생되는 소변의 튐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여 이로인한 오염 및 감염 등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첫소변과 중간소변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배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채뇨과정을 위해 요의를 참았던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첫소변과 중간소변의 분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소변샘플을 채취하도록 하여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고 상피세포가 충분하게 제거된 상태의 소변이 확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를 종이컵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컵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의 소변컵의 범용성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변컵(10)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소변컵 100 : 본체부
110 : 자성체 120 : 미끄럼방지부재
200 : 필름지 300 : 가이드부
310 : 결합부재 320 : 고정홀
400 : 회전부 410 : 원판부
420 : 고정부 430 : 돌출부재
431 : 무게추

Claims (8)

  1.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컵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름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하단에 고정홀이 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측단에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지의 일단은 본체부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필름지의 타단은 회전부의 상부 일단에 부착되어, 상기 필름지에 의해 회전부가 본체부 내부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지는 소변에 의해 녹는 폴리비닐 알코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컵.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의 중앙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철성분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컵의 외측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채뇨작업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는 외부가 코팅처리되거나 방수재질로 형성되어, 소변이 상기 원판부에 닿을때 소변이 흡수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의 하부방향으로 소변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컵.
KR1020180023438A 2018-02-27 2018-02-27 소변컵 KR102041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438A KR102041702B1 (ko) 2018-02-27 2018-02-27 소변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438A KR102041702B1 (ko) 2018-02-27 2018-02-27 소변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673A KR20190102673A (ko) 2019-09-04
KR102041702B1 true KR102041702B1 (ko) 2019-11-06

Family

ID=6795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438A KR102041702B1 (ko) 2018-02-27 2018-02-27 소변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256B1 (ko) * 2020-06-29 2023-04-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2차 소변 자동 분리용 검체 포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764B2 (ja) * 1991-11-06 2000-12-18 株式会社ナ・デックス 抵抗溶接制御方法
KR101732843B1 (ko) * 2015-11-06 2017-05-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의 분리 및 감염 관리를 위한 진보된 소변 검사용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925A (ja) * 1992-08-06 1994-03-04 Hideki Fukuzaki 容 器
JP3117764U (ja) * 2005-10-19 2006-01-12 勇吉 泉 女性用採尿体と女性用採尿器
KR20110001962U (ko) * 2009-08-20 2011-02-28 이윤직 휴대용 소변 장치
KR20150072279A (ko) * 2013-12-19 2015-06-29 이재용 컵 소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764B2 (ja) * 1991-11-06 2000-12-18 株式会社ナ・デックス 抵抗溶接制御方法
KR101732843B1 (ko) * 2015-11-06 2017-05-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의 분리 및 감염 관리를 위한 진보된 소변 검사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673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3226B2 (ja) 女性用尿レシーバ
US20220387001A1 (en) Urine collection system
US20200367864A1 (en) Integrated urine testing device
CN107714099A (zh) 一种泌尿外科用尿三杯实验采样装置
EP3141902B1 (en) Urine test device
KR102041702B1 (ko) 소변컵
US11109845B2 (en) Urine test container for urine separation and infection control
KR102498295B1 (ko) 밀폐식 일체형 표적검사키트
US11331084B2 (en) Portable liquid collection device
KR102522256B1 (ko) 2차 소변 자동 분리용 검체 포트
CN112690831A (zh) 婴幼儿大小便检验样品采集专用纸尿裤
EP3530243A1 (en) Diaper for collecting biological samples
JPS6333668B2 (ko)
KR20220001864A (ko) 소변검체용 포트
CN214804884U (zh) 一种手柄可分离式尿杯
US11234680B2 (en) Diaper for collecting biological samples
CN216022375U (zh) 一种尿液收集引流袋
CN209863899U (zh) 一种多功能的医用标本收集器
CN215018011U (zh) 一种取尿专用纸尿裤
CN215078945U (zh) 一种防撒漏的尿液存储管
JP3056777U (ja) 採尿カップ
CN207384271U (zh) 一种用于医疗护理的便捷集液器
KR200465729Y1 (ko) 소변검사용 일회용 용기
KR20240036421A (ko) 소변 검사 채취 기능이 있는 기구
KR200459746Y1 (ko) 소변 검취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