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654Y1 - 목재 가공용 전동톱 - Google Patents

목재 가공용 전동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654Y1
KR200173654Y1 KR2019990018686U KR19990018686U KR200173654Y1 KR 200173654 Y1 KR200173654 Y1 KR 200173654Y1 KR 2019990018686 U KR2019990018686 U KR 2019990018686U KR 19990018686 U KR19990018686 U KR 19990018686U KR 200173654 Y1 KR200173654 Y1 KR 2001736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wood
circular saw
mot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순
김영화
Original Assignee
안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순 filed Critical 안성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6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29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 B27B5/38Devices for braking the circular saw blade or the saw spindle; Devices for damping vibrations of the circular saw blade, e.g. silen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9/00Gripping, clamping, or holding devices for the trunk or log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Travelling trunk or log carriages
    • B27B29/02Clamping angles; Gripping equipment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 B27B5/18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3/00Arrangements for removing bark-zones, chips, waste, or dust,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wood-working machine or in wood-working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 등의 절단 작업 도중 원형톱에 이물질 또는 작업자의 인체등이 근접되면 즉시 원형톱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대에 목재 등이 재치되지 않을 때에는 원형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한 목재 가공용 전동톱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톱모터 및 이송모터가 함께 이송될 수 있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한 프레임에 설치되어 톱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됨과 아울러 이송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톱통로를 따라 전,후진되고, 이 작업대에 재치된 목재 등을 절단하기 위한 원형톱과; 상기한 작업대 또는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원형톱이 톱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될 때 이 원형톱에 인체 또는 이물질이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상기한 감지수단에 감지된 신호를 인가받아 즉시 원형톱의 회전을 순간 정지시켜 줌과 아울러 이송모터를 반대로 구동시켜 원형톱을 즉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줄 수 있도록 톱모터 및 이송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목재 가공용 전동톱{ELECTRIC MOTOR SAW FOR WORKING WOOD}
본 고안은 목재 가공용 전동톱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목재 등의 절단 작업 도중 원형톱에 이물질 또는 작업자의 인체등이 근접되면 즉시 원형톱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대에 목재 등이 재치되지 않을 때에는 원형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한 목재 가공용 전동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나 합판등(이하 '목재' 라 한다)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기 위하여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원형톱이 사용되며, 상기한 원형톱은 작업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원형톱을 이용하여 목재를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고자 할때는, 작업자는 원형톱이 고정된 작업대에 목재 등을 놓아주고, 이어서 구동모터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형톱으로 작업자가 목재 등을 직접 손으로 밀어서 절단하도록 하고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형톱 근처까지 목재를 밀어주어야 하므로 원형톱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었다.
상기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었으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목재가 놓여지는 작업대의 상부에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원형톱이 전,후진될 수 있도록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상기 원형톱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안내롤러가 구비되는 이송모터로 이루어지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목재 가공용 전동톱은 원형톱을 단순하게 자동으로 전,후진 이동시키면서 목재를 절단하게 되어 있으므로 절단 작업 도중 원형톱에 이물질 또는 작업자의 인체가 근접되어도 계속하여 원형톱이 회전되며, 따라서 원형톱의 회전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여전이 존재하게 됨은 물론 원형톱이 각종 이물질과 부딪히면서 쉽게 손상되며, 작업대에 목재 등이 재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형톱이 작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이송모터에는 이송스크류가 결합되어 원형톱을 전,후진시켜주므로 그 만큼 원형톱의 이송속도가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목재 등의 절단 작업 도중 원형톱에 이물질 또는 작업자의 인체등이 근접되면 즉시 원형톱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작업대에 목재 등이 재치되지 않을 때에는 원형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목재의 절단 작업 도중 또는 작업전에 원형톱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원형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대에 재치된 목재 등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목재의 절단 작업 도중 목재의 이탈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원형톱의 전,후진 이송속도를 최대한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목재 가공용 전동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원형톱으로 목재를 절단할 때 발생되는 톱밥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목재의 절단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목재 가공용 전동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작업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톱모터 및 이송모터가 함께 이송될 수 있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한 프레임에 설치되어 톱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됨과 아울러 이송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톱통로를 따라 전,후진되고, 이 작업대에 재치된 목재 등을 절단하기 위한 원형톱과;
상기한 작업대 또는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원형톱이 톱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될 때 이 원형톱에 인체 또는 이물질이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상기한 감지수단에 감지된 신호를 인가받아 즉시 원형톱의 회전을 순간 정지 시켜 줌과 아울러 이송모터를 반대로 구동시켜 원형톱을 즉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줄 수 있도록 톱모터 및 이송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가공용 전동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가공용 전동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가공용 전동톱은 목재등을 재치하여 절단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대(1)를 구성한다.
상기한 작업대(1)에는 톱모터(3) 및 이송모터(5)가 함께 이송될 수 있게 설치되는 프레임(7)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한 프레임(7)에는 톱모터(3)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됨과 아울러 이송모터(5)의 구동에 의하여 톱통로(9)를 따라 전,후진되고 이 작업대(1)에 재치된 목재 등을 절단하기 위한 원형톱(11)이 설치된다.
상기한 원형톱(11)은 프레임(7)과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한 톱통로(9)는 작업대(1)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작업대(1)에는 원형톱(11)이 톱통로(9)를 따라서 전,후진될 수 있도록 프레임(7)의 전,후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3)가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한 작업대(1) 또는 프레임(7)에는 원형톱(11)이 톱모터(3)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될 때 원형톱(11)의 회전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 원형톱에 인체 또는 이물질이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제공 된다.
상기한 감지수단에는 이에 감지된 신호를 인가받아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표시하며, 즉시 원형톱(11)의 회전을 순간 정지시켜 줌과 아울러 이송모터(5)를 반대로 구동시켜 원형톱(11)을 즉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줄 수 있도록 톱모터(3)와 이송모터(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가 연결된다.
상기한 감지수단은 작업대(1)의 일측면에 제공되고, 원형톱(11)주변을 향하여 광선을 발사하기 위한 발광부(17)와;
상기한 프레임(7)에 설치되고, 원형톱(11)에 이물질 또는 인체 등이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발광부(17)에서 발사한 광선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19)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어부(15)는 발광부(17)에서 발사된 광선이 반사부(19)에서 완전히 반사되지 않을 경우 원형톱(11)에 이물질 또는 인체 등이 근접된 것으로 인식하고 즉시 톱모터(3)를 정지시켜 줌과 아울러 이송모터(5)를 이송된 위치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준다.
상기한 제어부(15)는 자체에 형성된 시작스위치에 의하여 원형톱(11)의 작동과 이송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제어부(15)와 별도 연결된 풋 스위치(21)에 의하여 원형톱(11)의 작동과 이송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프레임(7)에는 작업대(1)에 재치된 목재 등에 이물질 특히, 못 또는 금속재 등을 감지하기 위한 이물질 감지센서(23)가 설치된다.
상기한 제어부(15)는 이물질 감지센서(23)가 이물질을 감지하게 되면, 이물 질에 의한 원형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즉시 원형톱(11)의 회전을 정지시켜 준다.
상기한 프레임(7)에는 작업대(1)에 목재가 재치되지 않을 때에는 제어부(15)가 원형톱(11)의 작동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작업대에 목재의 재치를 감지하기 위한 목재 감지센서(25)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한 작업대(1)의 상부로 위치하여 목재의 절단 작업시 목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목재등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바이스부재(27)와;
상기한 바이스부재(27)에 결합되고, 압축 공기가 공급되면 바이스부재(27)를 작업대 쪽으로 하강시켜 주기 위한 에어 실린더(29)와;
상기한 에어 실린더(29)와 연결관(31)에 의하여 연결되고, 목재의 절단 작업시 에어 실린더(29)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33)를 포함한다.
상기한 압축기(33)에 의한 압축 공기의 공급은 작업대(1)에 목재가 재치될 경우 제어부(15)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한 에어 실린더(29)는 작업대(1)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 프레임(35)에 설치된다.
상기에서는 바이스부재(27)의 이동을 에어 실린더(29)에 의하여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작업대(1)의 톱통로(9)에 연통 결합되고, 원형톱(11)에 의한 목재의 절단 작업시 형성되는 톱밥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37)이 형성되며,
상기한 배출관(37)에는 이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톱밥을 공기의 공급압력에 의하여 배출관(37)의 일단부에 제공된 톱밥저장부(39)로 토출시켜 주기 위한 압축 기(33)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관(41)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한 이송모터(5)의 구동축(44)에는 피니언기어(43)가 결합되고, 상기한 랙기어(43)는 원형톱(11)을 최대한 빠른 속도로 이송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13)를 따라 제공된 랙기어(45)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재 가공용 전동톱은 제어부(15)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또한 풋 스위치를 제어하여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목재 감지센서(25)가 작업대(1)에 재치된 목재를 감지하게 될 때 제어부(15)에 의하여 원형톱(11)의 작동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어부(15)의 시작스위치를 누른 후 풋 스위치(21)를 눌러주게 되면 압축기(33)가 작동되어 에어 실린더(29)가 하강 작동하여 바이스부재(27)가 작업대(1)에 재치된 목재를 눌러서 고정시켜 준다.
그리고 톱모터(3)가 구동되어 원형톱(11)이 고속으로 회전하여 목재를 절단하게 됨과 아울러 이송모터(5)가 구동되어 피니언기어(43) 및 랙기어(45)에 의하여 프레임(7)과 함께 원형톱(11)이 톱통로(9)를 따라 일정한 길이만큼 전진된다.
이때, 상기한 원형톱(11)에 이물질 또는 인체가 근접하게 되면, 감지수단의 발광부(17)와 반사부(19)가 이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5)에 전달한다.
상기한 제어부(15)는 작업자가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경고등을 발광하며, 톱모터(3)의 작동을 즉시 정지시켜 원형톱(11)의 작동을 정지하고, 일정한 시간 경과후 이송모터(5)를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켜 프레임(7)과 원형톱(11)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준다.
또한, 상기한 목재의 절단 작업중 이물질 감지센서(23)가 목재에 못 또는 금속재와 같은 이물질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15)는 작업자가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경고등을 발광하며, 즉시 톱모터(3)의 작동을 정지시켜 원형톱(11)의 작동을 정지하고, 일정한 시간 경과후 이송모터(5)를 반대로 구동시켜 프레임(7)과 원형톱(11)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한 압축기(33)에 의하여 에어 실린더(29)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배출되고, 상기한 바이스부재(27)가 작업대(1)의 상부로 상승하여 목재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다.
이와 아울러 목재의 절단 작업시 발생되는 톱밥은 배출관(37)으로 배출된 후 즉시 압축기(33)에 의하여 배출관(37)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배출관(37)의 끝쪽으로 토출된 후 톱밥저장부(39)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목재 등의 절단 작업 도중 원형톱에 이물질 또는 작업자의 인체등이 근접되면 즉시 원형톱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작업대에 목재 등이 놓여있지 않을 때에는 원형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목재의 절단 작업 도중 또는 작업전에 원형톱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원형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대에 놓여진 목재 등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목 재의 절단 작업 도중 목재의 이탈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원형톱의 전,후진 이송속도를 최대한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고, 원형톱으로 목재를 절단할 때 발생되는 톱밥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목재의 절단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작업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톱모터 및 이송모터가 함께 이송될 수 있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한 프레임에 설치되어 톱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됨과 아울러 이송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톱통로를 따라 전,후진되고, 이 작업대에 재치된 목재 등을 절단하기 위한 원형톱과;
    상기한 작업대 또는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원형톱이 톱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될 때 이 원형톱에 인체 또는 이물질이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상기한 감지수단에 감지된 신호를 인가받아 즉시 원형톱의 회전을 순간 정지시켜 줌과 아울러 이송모터를 반대로 구동시켜 원형톱을 즉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줄 수 있도록 톱모터 및 이송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감지수단은 작업대의 일측면에 제공되고, 원형톱 주변을 향하여 광선을 발사하기 위한 발광부와;
    상기한 프레임에 설치되고, 원형톱에 이물질 또는 인체 등이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발광부에서 발사한 광선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로 이루어지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임에는 작업대에 재치되는 목재 또는 이 목재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각각 설치되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업대의 상부로 위치하여 목재의 절단 작업시 목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목재등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바이스부재와;
    상기한 바이스부재에 결합되고, 압축 공기가 공급되면 바이스부재를 작업대 쪽으로 하강시켜 주기 위한 에어 실린더와;
    상기한 에어 실린더와 호스에 의하여 연결되고, 목재의 절단 작업시 에어 실린더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를 포함하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업대의 톱통로에는 원형톱에 의한 목재의 절단 작업시 형성되는 톱밥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결합되며,
    상기한 배출관에는 이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톱밥을 공기의 공급압력에 의하여 배출관의 일단부에 제공된 톱밥저장부로 토출시켜 주기 위한 압축기가 연결되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
KR2019990018686U 1999-09-03 1999-09-03 목재 가공용 전동톱 KR20017365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431A KR100326233B1 (ko) 1999-09-03 1999-09-03 목재 가공용 전동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431A Division KR100326233B1 (ko) 1999-09-03 1999-09-03 목재 가공용 전동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654Y1 true KR200173654Y1 (ko) 2000-03-15

Family

ID=196100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686U KR200173654Y1 (ko) 1999-09-03 1999-09-03 목재 가공용 전동톱
KR1019990037431A KR100326233B1 (ko) 1999-09-03 1999-09-03 목재 가공용 전동톱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431A KR100326233B1 (ko) 1999-09-03 1999-09-03 목재 가공용 전동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36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909B1 (ko) * 2000-08-17 2004-02-05 안성순 목재 가공용 전동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894B1 (ko) 2008-09-10 2011-06-16 전승표 목재 제재기 안전장치
KR101384989B1 (ko) * 2012-10-23 2014-04-29 이동국 목재 수직 절단장치
US20160016240A1 (en) * 2013-03-12 2016-01-21 Robert Bosch Gmbh Workpiece Material Detector for a Power Tool
KR200480415Y1 (ko) * 2015-12-02 2016-05-27 이정환 범용 절단부를 이용한 자동 절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909B1 (ko) * 2000-08-17 2004-02-05 안성순 목재 가공용 전동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213A (ko) 2001-04-06
KR100326233B1 (ko)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9737B2 (en) Multi-axis panel saw
US7658501B2 (en) Cutoff/milling device
US5685996A (en) Plasma arc pipe cutting apparatus
US20060101960A1 (en) Optical proximity device for power tools
US6772665B1 (en) Band saw with reciprocating workpiece and method of using
US20220176580A1 (en) Woodworking machine having a disengageable parallel stop
KR200173654Y1 (ko) 목재 가공용 전동톱
US4702137A (en) Automatic band-saw system
DE50300929D1 (de) Antrieb für Schnittgutwagen auf einer Aufschnittschneidemaschine
KR100416909B1 (ko) 목재 가공용 전동톱
KR200173656Y1 (ko) 목재 가공용 전동톱의 안전 제어 시스템
KR20200067013A (ko) 석판 절단장치
KR200211827Y1 (ko) 목재 가공용 전동톱
US5123464A (en) Table saw power feed
JP2007160774A (ja) クランプ装置
JP2999683B2 (ja) 形鋼加工機
CN219074554U (zh) 一种双头锯的输料装置
KR20200024973A (ko) 목재재단기의 톱 이송 표시방법 및 그 장치
JPH03128204A (ja) 送行丸のこ盤の安全装置
JP3009082B2 (ja) 長尺材の送材装置
AU652491B2 (en) Safety device for the operation of powered tools
US20060016305A1 (en) Apparatus for trimming a work piece
EP1083031A3 (de) Sägekette für ein Werkzeug zum Trennen von Sandwichplatten
JP4514255B2 (ja) 断裁装置
JPS61132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