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529Y1 - 작품걸이대 - Google Patents

작품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529Y1
KR200173529Y1 KR2019990020620U KR19990020620U KR200173529Y1 KR 200173529 Y1 KR200173529 Y1 KR 200173529Y1 KR 2019990020620 U KR2019990020620 U KR 2019990020620U KR 19990020620 U KR19990020620 U KR 19990020620U KR 200173529 Y1 KR200173529 Y1 KR 200173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hanger
present
calligraph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종
Original Assignee
김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종 filed Critical 김진종
Priority to KR2019990020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5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5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5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connecting to a surface other than a flat wall, e.g. room corner, ceiling, wind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2001/1693Hand-tools for lifting picture frames onto hoo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품걸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예나 서화, 회화 등과 같은 작품을 걸어 보관 또는 감상할 수 있는 작품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작품걸이대는, 몸체내에 다수개의 로울러와 기어부를 구성하고 하단부에 결속끈을 양측으로 구성하며 일측끝단에 작동끈을 구성한 장형의 승, 하강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 하강장치의 하부에 구성된 결속끈에, 판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판과, 이 고정판의 일측면에 걸이판이 결합되어 구성된 걸이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에 의하면, 그림이나 서예등이 담긴 작품을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걸이대에 부착하여 전시 또는 보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이대의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단가의 절감을 가져옴으로써 누구나 저렴한 비용으로 작품걸이대를 이용하여 작품을 걸을 수 있다.
또한, 작품걸이대의 미려한 외관에 의해서 공들인 작품의 부가가치를 한 층 더 높을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작품걸이대{PERFORMANCE HANGER}
본 고안은 작품걸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예나 서화, 회화 등과 같은 작품을 걸어 보관 또는 감상할 수 있는 작품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예, 회화 또는 서화와 같은 작품을 완성한 후, 전시하거나 감상하기 위해서는 작품을 표구하거나 아니면 전시대에 압정등을 이용하여 작품을 걸어 감상 내지는 전시하곤 하였다.
이와같이 작품을 전시하기 위해서 작품을 표구할 경우 별도의 비용이 추가되어 가계에 적지않은 부담을 주었으며, 또한 작품을 전시대에 압정등과 같은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걸 경우에 고정수단에 의해 작품에 손상을 주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으로써 공들인 작품이 못쓰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작품을 전시할 경우에 미관상 좋지 않아 작품 전체에 해를 입히게 되어 요즈음은 거의 표구를 하여 작품을 전시 또는 감상하는 실정이다.
또한, 학원이나 학교등에서 학원생들이나 학생들이 공들여 제작한 작품을 건조시킬 경우에 별도의 도구 없이 바닥이나 책상등에 작품을 올려놓고 건조시킴으로써 자칫 잘못으로 인해 애써 그리거나 쓴 회화, 서화 및 서예작품이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항시 도사리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서예작품화지걸이대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걸이대는, 승, 하강이 가능한 몸체의 하부에 걸이대를 구성하여 작품을 걸이대에 걸어 보관, 전시 감상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걸이대는 작품을 걸이대에 고정하는 수단이 집게로 구성되어 집게에 물려있는 작품이 담긴 화지의 상부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자칫 잘못으로 인하여 화지가 찢어지거나 작품 전체에 훼손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집게의 구성상 생산단가의 상승을 초래하여 널리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회화, 서화 및 서예 작품의 전시 및 보관에 있어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제반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석을 이용한 작품걸이대를 제공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작품을 보관 및 전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미려한 외관에 의해 작품의 부가가치를 한 층 더 상승시키고, 또한 간단하게 작품을 걸거나 뗄 수 있도록 한 작품걸이대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작품걸이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절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절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걸이판 2 : 고정판
3 : 승, 하강작동구 5 : 화지
7 : 자석 9 : 접착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는,
몸체내에 다수개의 로울러와 기어부를 구성하고 하단부에 결속끈을 양측으로 구성하며 일측끝단에 작동끈을 구성한 장형의 승, 하강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 하강장치의 하부에 구성된 결속끈에, 판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판과, 이 고정판의 일측면에 걸이판이 결합되어 구성된 걸이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의 절감은 물론 작품을 걸거나 떼어내는 작업이 간단하여 누구나 간편하게 걸이대에 작품을 걸어 감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특징 및 작용효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측절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100)는, 몸체내에 승, 하강작동부가 구성되고, 일측끝단에는 작동구(31)가 구성되며, 하부에 양측으로 결속끈(32)이 적어도 하나이상 아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진 공지된 장형의 승, 하강 작동구(3)의 하부양측에 돌출된 결속끈(32)(32)들에 의해서 결속된 고정판(2)의 일측면에 걸이판(1)을 리벳팅하여 결합한다.
상기 고정판(2)은, 결속끈(32)(32)들에 의해 결속되어 승, 하강이 가능토록 하기위해 상기 결속끈(32)(32)들과 동일한 위치에 결속공(21)(21)들이 통공된다.
상기 걸이판(1)은, 고정판(2)의 일측면에 결합되지 위해서 결합공(11)이 적어도 하나이상 통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이판(1)의 재질로는 철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인 작품걸이대에 작품을 거는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림을 그리거나 붓글씨등을 쓴 회화, 서화 및 서예작품이 담긴 화지(5)의 상부를, 상기 고정판(2)의 일측면에 돌출된 걸이판(1)에 위치시킨 후, 자석(7)을 화지(5)의 전면상단에 부착하면 자석(7)의 자력에 의해서 작품이 담긴 화지(5)가 걸이판(1)에 견고하게 부착한다.
상기 작품이 부착된 걸이판(1)을 상기 승, 하강작동구(3)의 일측끝단에 구성된 작동구(31)를 이용하여 감상하기 가장 좋은 높이로 맞추게 되면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100)의 미려한 외관과 함께 그림이나 서예등의 작품이 한층 더 돋보이게 된다.
도면에 상기 고정판(2)의 형상을 파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어느형상이든지 무방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고정판(2)에 결합되는 걸이판(1)을 상기 고정판(2)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구성하지 아니하고 고정판(2)에 끼움홈을 형성하여 이 끼움홈에 걸이판(1)을 접착제(9)를 이용하여 접착하면 상기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갖을 수 있게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작품걸이대(100)에 고정판(2)을 구성하지 아니하고 걸이판(1)을 상기 결속끈에 연결하여 결속한 후, 결손끈에 결속된 걸이판의 전면부에 그림이나 글씨등이 인쇄된 판박지등을 부착하여도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걸이판을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작품걸이대에 의하면, 그림이나 서예등이 담긴 작품을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걸이대에 부착하여 전시 또는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이대의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단가의 절감을 가져옴으로써 누구나 저렴한 비용으로 작품걸이대를 이용하여 작품을 걸을 수 있다.
또한, 작품걸이대의 미려한 외관에 의해서 공들인 작품의 부가가치를 한 층 더 높일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몸체내에 다수개의 로울러와 기어부를 구성하고 하단부에 결속끈(32)(32)을 양측으로 구성하며 일측끝단에 작동구(31)를 구성한 장형의 승, 하강작동구(3)에 있어서,
    상기 승, 하강작동구(3)의 하부에 구성된 결속끈(32)(32)에, 판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판(2)과, 이 고정판(2)의 일측면에 걸이판(1)이 결합되어 구성된 걸이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걸이대.
KR2019990020620U 1999-09-22 1999-09-22 작품걸이대 KR200173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620U KR200173529Y1 (ko) 1999-09-22 1999-09-22 작품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620U KR200173529Y1 (ko) 1999-09-22 1999-09-22 작품걸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529Y1 true KR200173529Y1 (ko) 2000-03-15

Family

ID=1959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620U KR200173529Y1 (ko) 1999-09-22 1999-09-22 작품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5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8734U (ja) 収納機能を有する装飾板
US8341862B1 (en) Greeting card display systems
JP3121144U (ja) カレンダー固定構造
KR200173529Y1 (ko) 작품걸이대
CN214531679U (zh) 一种挂持式多功能护墙收纳装置
US20080070228A1 (en) Versatile Messaging System
JP3124480U (ja) 吊り下げ型表示具
KR100653239B1 (ko) 다용도 디스플레이 보드
JP3099823U (ja) ホワイトボード
JP3219449U (ja) 磁石付き額縁
KR200388492Y1 (ko) 다용도 디스플레이 보드
CN210300398U (zh) 具有隐藏式悬挂组件的展柜
CN209846668U (zh) 多功能学习桌
JP2002091355A (ja) 吸着体及び被吸着体一体型マグネット掲示具
KR200305463Y1 (ko) 부착기능을 갖는 달력걸이
JP4033653B2 (ja) 筆記板等のボード
JP2943057B2 (ja) 書道作品等の壁掛けホルダー
KR200404903Y1 (ko) 종합 메모대
KR200377105Y1 (ko) 자석컵받침
JP3092629U (ja) 壁掛けボード
CN208593202U (zh) 一种多功能画写板
JP2010125600A (ja) 本開き維持具
KR200175292Y1 (ko) 광고부착부를 갖는 메모판
KR200178674Y1 (ko) 병풍
JP3014789U (ja) 表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