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283Y1 - 난간용지주캡 - Google Patents

난간용지주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283Y1
KR200172283Y1 KR2019970013223U KR19970013223U KR200172283Y1 KR 200172283 Y1 KR200172283 Y1 KR 200172283Y1 KR 2019970013223 U KR2019970013223 U KR 2019970013223U KR 19970013223 U KR19970013223 U KR 19970013223U KR 200172283 Y1 KR200172283 Y1 KR 200172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andrail
holding
pipe
ben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503U (ko
Inventor
한상언
Original Assignee
한상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언 filed Critical 한상언
Priority to KR2019970013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283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2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난간대등에 사용되는 난간용지주캡에 관한분야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의 난간대나 차단대등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지주용파이프와 원형태로 된 난간용지주캡 사이에 난간용연결구의 사용이 필수적이였는데 그 이유는 반원 형태외 상·하부캡을 서로 응착시켜 만든 원형태의 지주캡 구조때문이였던바, 따라서 오늘날까지도 필수화되고 있다시피 한 원형태의 지주캡으로 인하여 시공작업의 번거로움은 물론, 부품수의 과다로 인한 보관 및 분실등 관리상의 여러 어려움이 뒤따르는 폐단이 있음.
3. 고안이 해결방법의 요지
난간대등에 설치·사용되는 난간용지주캡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부캡과 하부캡을 연접시켜 난간용지주캡을 형성하되, 상부캡(2)(2')을 반원 형태로 형성하고 하부캡(3)(3')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캡의 하단부에 파이프연결구(4)(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뒤, 상부캡(2)(2')과 하부캡(3)(3')을 서로 접목시켜 용착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상부캡(2")에 상단절곡부(6)를 하부캡(3")에는 하단절곡부(7)를 형성한뒤 상단절곡부(6)와 하단절곡부(7)를 억지 맞춤시켜 하나의 난간용 지주캡(1")이 완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그 요지로 삼고 있음.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난간대나 차단대등에 사용됨.

Description

난간용 지주캡
본 고안은 난간용 지주캡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부캡과 하부캡을 별도로 분리·형성한 상태에서 이들을 결합시키되, 반원 형태의 상부캡과 파이프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캡을 용착시켜 하나의 독립된 난간용지주캡을 완성하고 이러한 난간용지주캡에 난간용파이프 및 지주용파이프를 곧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의 효율적인 관리와 함께 난간대등의 설치작업에 획기적인 공정개선이 이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익히 알려져 있다시피 각종 계단이나 다리교량, 고저가 다른 각종시설물에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대 내지 차단대가 설치되기 마련인데 이러한 난간대 등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지주용파이프(10) 및 난간용연결구(9)와 난간용지주캡(8)이 차례로 연설되고 이어 난간용지주캡(8)의 일측면에 또다른 난간용연결구(9') 및 난간용파이프(11)가 차례로 설치되는 것이 최근까지 실시되고 있는 시공공법이고 이보다 앞서 실시되어오던 예가 제6도 (나)에서 보듯 지주용파이프(10)에 곧바로 난간용파이프(11)를 연결하여 공법이였던 것이다.
어쨌든 난간대등을 설치함에 있어서 과거부터 최근까지 변함없이 이용되고 있는 부품들은 난간용지주캡(8)과 난간용연결구(9)(9') 및 파이프(10)(11)라 할수 있고 이중에서도 더욱더 변함없는 것은 바로 둥근원 형태로 형성된 난간용지주캡(8)과 파이프(10)(11)라 할 수 있다.
이가운데에서도 예나 제나 지금까지 변함없이 애용되어 오고 있는 난간용지주캡(8)의 제조과정에 대해서만 잠깐 살펴보면, 하나의 납작한 둥근원판을 반구형 형태의 금형돌기부에 갖다 대고 둥글게 말아 내는 해라공정을 거쳐 제5도(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반원 형태의 캡(12)을 형성하거나 또는 둥근원판을 프레스(Press)기의 단일공정을 통해 반형 형태의 캡(12)을 형성하고 이어 반원 형태의 캡(12) 2개를 상·하로 붙여놓고 용접한 후 용접된 부분을 다시 보기좋게 연마하고 마지막으로 광택작업을 행함으로써 감쪽같은 원형태의 난간용 지주캡(8)이 형성되도록 하였던바, 이러한 작업공정은 십수년이래 한결같이 행해져오고 있던 것이고, 더군다나 업계종사자 대부분이 난간용지주캡(8)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방법이외에는 제조할 수 없거나 제조 한다해도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코스트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것으로 굳게 믿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할 것이다.
사정이 이러한고로 난간대등의 부품제조업자들은 변화시킬수 있는 여지가 없다고 여겨온 파이프와 원형태의 난간용 지주캡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구를 다수 개발하여 제6도의 예와 같이 실시하도록 유도하였던 것이고 난간대의 시공업자 역시 제6도와 같은 대안을 최선의 설치공정으로 여겨 다수 실시해오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결국, 지주용파이프(10)와 난간용연결구(9), 그리고 원형태로 된 난간용지주캡(8)의 세가지 부품으로 이어지는 지주연결장치 또는 난간용파이프(11)와 난간용 연결구(9') 그리고 난간용지주캡(8)으로 이어지는 난간연결장치는 반원 형태로 된 두개의 상·하부캡을 서로 용접함으로써 원형으로 된 하나의 난간용지주캡(8)을 제조할 수 밖에 없다는, 거의 고정화된 관념에서 비롯되었다 할 수 있는 것이고 또는 2개의 반원 형태의 상·하부캡으로 제조하는 것만이 제조공정이나 코스트면에서 볼때 절대유리하다는 인식 역시 위의 관념을 부추키는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한편, 원형태로 된 난간용지주캡(8)이외에 지주용파이프 상단에 부착되는 다른 형태의 장식구도 무수히 있었지만 원형의 난간용지주캡(8)만이 오랜기간동안 변함없이 애용되고 있을뿐 대부분의 다른 장식구들은 거의 도태되었거나 수명이 짧았음을 업계 종사자 대다수가 너무나 잘알고 있어 난간대용 장식구하면 으례히 원형태로 된 난간용지주캡(8)을 떠올리고 있으며, 이로인해 난간용지주캡(8)은 파이프(10)(11)와 함께 개발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인식이 굳어져 있는 실정인 것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문제점을 살펴보면, 종래의 구성은 난간용연결구(9)의 위에 원형태의 난간용 지주캡(8)이 얹혀진 상태이기 때문에 난간용연결구(9)의 내부에서 용접을 하더라도 난간용 지주캡(8)을 측방향에서 힘껏 밀거나 충격을 가하면 쉽게 떨어져 나갈 수 밖에 없는 구성이므로, 설치후 난간용 지주캡(8)이 떨어져 나가 보기 흉한 상태가 되는 수가 많았으며, 심지어는 어린이들이 고의로 난간용 지주캡(8)을 떼어내서 놀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다반사 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제반사정을 충분히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의 관념 즉 지주용파이프의 상단에는 원형태로 된 난간용지주캡이 설치되어야 한다는 전제를 충분히 충족시키면서도 원형태로 된 지주캡의 하단부에 종래의 난간용연결구 역활을 대신할 파이프연결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지주용파이프와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또 중요한 장식기능을 하는 공형태의 난간용 지주캡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를 예방 하며, 아울러 상기 지주캡의 제조공정이 보다 손쉬우면서도 제조코스트 또한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개발품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또 하나의 실시상태 단면도
제4도 (가)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하나의 결합사시도
(나)는 제4도(가)의 결합단면도
제5도 (가)는 종래 난간용 지주캡의 분해사시도
(나)는 종래 난간용 지주캡의 결합단면도
제6도 (가)는 종래 난간용 지주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도
(나)는 종래 난간용 지주 연결장치의 또다른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난간용 지주캡(2)(2')(2"):상부캡
(3)(3')(3"):하부캡(4)(4')(4"):파이프연결구
(5):단턱(6):상단절곡부
(7):하단절곡부(8):종래의 난간용 지주캡
(9)(9'):종래의 난간용 연결구(10):지주용 파이프
(11):난간용 파이프(12):종래의 반원형캡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하나의 난간용지주캡(1)을 형성함에 있어서, 종래처럼 반원 형태의 상·하부캡을 용착시켜 원형태로 된 난간용지주캡(8)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캡(2)만은 종래와 같이 반원 형태로 형성하되, 하부캡(3)만은 프레스(Press)기에 의한 다단계 공정을 거쳐 반원 형태의 하부캡 하단부에 밑이터진 파이프연결구(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뒤 상부캡(2)과 하부캡(3)을 나란히 붙여 용착시킴으로써 하나의 완성된 난간용지주캡(1)이 형성되어지도록 함을 그 구성요지로 삼고 있다.
그리고 파이프연결구(4)에 지주용 파이프(10)를 삽입할때는 파이프연결구(4)의 내부로 삽입할수도 있고 외부로 삽입할수도 있으나 내부로 삽입하는것이 외관상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또다른 난간용지주캡(1') 하나를 살펴보면, 제3도에서 보듯이 하부캡(3')을 형성함에 있어서 전술한바처럼 프레스기로 반원 형태의 하부캡과 파이프연결구(4')를 일체로 형성시키되, 파이프연결구(4')의 중단부위에 또 하나의 단턱(5)을 형성함으로써 제1도의 경우와는 약간 달리 지주용파이프(10)를 파이프연결구(4')에 외삽시키면서 단턱(5) 부분까지만 삽설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밖에 제4도에 도시된 또다른 하나의 난간용지주캡(1")에 관하여 살펴보면, 상부캡(2")을 형성함에 있어 이번에는 제1도 및 제3도의 경우처럼 하나의 둥근원판으로 해라공정을 거쳐 반원 형태의 상부캡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캡(2")역시 프레스기에 의한 다단계 공정을 거쳐 상단절곡부(6)를 가진 상부캡(2")을 형성토록하고 하부캡(3")도 프레스기에 의한 다단계 공정을 거쳐 하단절곡부(7)와 파이프연결구(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뒤 상부캡(2")의 상단절곡부(6)와 하부캡(3")의 하단절곡부(7)가 서로 맞물려지도록 억지끼움과 함께 동시에 해라공정을 통해 상단절곡부(6)의 밑부분을 하단절곡부(7)의 안쪽으로 강제 밀착시켜 하나의 완성된 난간용지주캡(1")이 형성되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4도에 따른 파이프연결구(4") 또한 제3도의 경우와 같이 단턱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령, 계단용난간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주용파이프(10)를 세운뒤 그위에 난간용연결구(9)와 종래의 난간용지주캡(8)을 차례로 용접결합하는 것이 오늘날까지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 설치방법이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 지주용 파이프(10)를 세우고 그위에 난간용지주캡(1)(1')(1")를 바로 꽂은후 파이프연결구(4)의 끝에 2~3개소 용접만 하면 지주연결작업은 완료되며 이어 난간용지주캡(1)(1')(1")상단의 일측지점에 공지된 종래의 난간용연결구(9')를 연설하고 난간용파이프(11)를 종래의 난간용연결구(9')에 연이어 설치하거나 아니면 난간용 파이프(11)를 곧바로 지주용파이프(10)에 연접·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주용파이프(10)를 난간용지주캡(1)(1")의 파이프연결구(4)(4")에 꼽아 넣고 좌·우한군데씩 용접하거나 아니면 그대로 꼽아 넣었을 경우에는 지주용파이프(10) 상단에 마치 원형태로 난간용지주캡만이 덧씌워져 있는 형태가 되며 이밖에 지주용파이프(10)를 단턱(5)이 형성되어 있는 난간용지주캡(1')의 파이프연결구(4')에 꼽아넣고 좌·우한군데씩 용접하거나 아니면 그대로 꼽아 넣었을 경우에는 지주용파이프(10)와 난간용지주캡(1')사이에 마치 종래와 같은 난간용연결구(9)가 형성되어 있는 듯한 형태를 이루게 되면서도 난간용지주캡(1)(1')(1")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게되며, 또한 기존의 관념을 충족하면서도 설치시공이 간편함 마저 도모한 것임을 잘 알 수 있는 것이다.
지주용파이프(10)가 파이프연결구(4)(4')(4")이 외측편에서 끼워질지 내측편으로 삽설되도록 할는지 여부는 제조하기 나름인, 선택적 실시사항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처럼 난간용지주캡을 원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종래의 난간용연결구와 합쳐진 형태 즉 종래의 난간용지주캡(8)과 종래의 난간용연결구(9)(9')를 각기 별개로 제조한후 시공작업과정에서 이들을 서로 합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난간용지주캡(1)(1')(1")의 제조과정에서 기히 상부캡과 하부캡을 구분·형성토록하되, 하부캡(3)(3')(3")의 상부는 반원 형태의 캡형태를 이루도록하고 하부는 지주용파이프(10)의 삽입이 가능할수 있도록 파이프연결구(4)(4')(4")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본고안에 따른 난간용지주캡(1)(1')(1")으로 난간대등을 시공할시 엄청난 시공작업개선 효과와 강도보강 효과가 나타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난간용지주캡등의 부품 취급업자 입장에서 볼 때 부품의 보관 및 장소협소, 분·망실우려등의 갖가지 애로사항을 한결 덜 수 있게 될 것이며, 제조업자 입장에서 볼때에도 종래와 거의 같은 제조코스트로서 제조가 가능함과 아울러 제조공정의 꾸준한 개선으로 상당한 이익마저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난간용지주캡의 수요는 비단 아파트등의 계단난간용 뿐만아니라 차단대나 안내대, 그리고 다방이나 레스토랑등지의 인테리어 시설등지에서도 다량 소요되고 있고 또 매일 수만개씩 설치·사용되어지는 부품인고로 본 고안에 따른 개발요지는 비록 간단해보여도 사실상 건축업계 및 각종의 인테리어 시설업계에 미치는 파급효과만은 상상하기 힘들정도로 매우 엄청난, 유익한 고안이라 할 것이다.

Claims (2)

  1. 난간대등에 설치·사용되는 난간용지주캡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부캡과 하부캡을 연접시켜 난간용지주캡을 형성하되, 상부캡(2)을 반원 형태로 형성하고 하부캡(3)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캡의 하단부에 파이프연결구(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뒤, 상부캡(2)과 하부캡(3)을 서로 접목시켜 용착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캡의 하단부에 단턱(5)이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연결구(4')를 일체로 형성한뒤 상부캡(2')과 하부캡(3')을 나란히 붙여 용착토록함으로써 하나의 난간용지주캡(1)(1")이 완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지주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캡(2")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단절곡부(6)를 구성하고 하부캡(3")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단부에는 하단절곡부(7)와 파이프연결구(4")를 일체로 형성한뒤 상부캡(2")의 상단절곡부(6)와 하부캡(3")의 하단절곡부(7)를 억지 맞춤함과 동시에 해라공정을 통해 상단절곡부(6)의 밑부분을 하단절곡부(7)의 안쪽으로 강제·밀착시켜 하나의 난간용지주캡(1")이 완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지주캡.
KR2019970013223U 1997-05-28 1997-05-28 난간용지주캡 KR200172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223U KR200172283Y1 (ko) 1997-05-28 1997-05-28 난간용지주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223U KR200172283Y1 (ko) 1997-05-28 1997-05-28 난간용지주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503U KR19980068503U (ko) 1998-12-05
KR200172283Y1 true KR200172283Y1 (ko) 2000-03-02

Family

ID=1950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223U KR200172283Y1 (ko) 1997-05-28 1997-05-28 난간용지주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2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503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2283Y1 (ko) 난간용지주캡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USRE42912E1 (en) Universal rail mounting bracket
KR200494716Y1 (ko)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
CN114233095A (zh) 一种便于组装的弧形护栏及其制备工艺
KR200226498Y1 (ko) 난간용 지주의 조립식 구조관
KR200372506Y1 (ko)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KR100671478B1 (ko)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CN213143661U (zh) 一种仿古建筑的栏杆的连接结构
KR200175403Y1 (ko) 계단용 난간 이음구조(stair a railing join structure)
KR200196175Y1 (ko) 난간용 브래킷
KR100585344B1 (ko) 공동주택 및 일반건축물의 계단 난간 설치구조
KR102247780B1 (ko) 펜스용 수직바 및 그 제조방법
CN211548475U (zh) 一种便于安装的栏杆
KR200201319Y1 (ko) 난간 고정용 지주
KR200168810Y1 (ko) 개량 난간 장식구 및 연결구조
KR20130030929A (ko) 난간 패널의 결합 구조
KR19990037149U (ko) 조립식난간
CN210947472U (zh) 一种旋转楼梯结构
KR200349955Y1 (ko) 안전난간대 설치용 강관고정장치
CN211775258U (zh) 一种新型楼梯拐角扶手
KR200384090Y1 (ko) 베란다용 난간대
KR200303015Y1 (ko) 난간용 지주의 연결장치
KR200152671Y1 (ko) 조립식 난간
KR200421499Y1 (ko) 장식난간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