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506Y1 -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506Y1
KR200372506Y1 KR20-2004-0024939U KR20040024939U KR200372506Y1 KR 200372506 Y1 KR200372506 Y1 KR 200372506Y1 KR 20040024939 U KR20040024939 U KR 20040024939U KR 200372506 Y1 KR200372506 Y1 KR 200372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railing
fixed
fixed structur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대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원시스템 filed Critical (주)대원시스템
Priority to KR20-2004-0024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5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85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 E04F2011/1889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main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비철금속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형 난간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양 판넬을 제외한 난간 외부 프레임과 기둥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강성재질을 사용하여 문양 판넬과 결합시키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며, 난간의 외부 프레임과 기둥 사이에 문양판넬이 고정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문양판넬(10)의 외곽 테두리(6)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연결부(11)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11)는 난간의 외부프레임 및 기둥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난간의 외부프레임과 기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A fixing structure for complex type guardrail}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비철금속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형 난간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양 판넬을 제외한 난간 외부 프레임과 기둥을 스테인레스와 같은 강성재질을 사용하여 문양 판넬과 결합시키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이라 하면 건물의 발코니 내지 베란다의 가장자리 부위에 대한 안전공사로서 금속재질의 난간구조물을 발코니 및 베란다 단턱의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시공하는 형태의 난간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난간은 대개 창살 형태의 것으로 모양보다는 안전성을 중시하였다. 하지만 근래에는 디자인을 중시하므로 다양한 모양의 난간이 요구되고 미적으로 뛰어난 난간을 소비자들이 요구하고 있다.
기존의 스테인레스 난간의 내부 형상은 재질의 특성상 다양한 문양을 표현하여 제작하기에 제조상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모양을 쉽게 형성할 수 있는 알루미늄 같은 재질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강성이 요구되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재질을 같이 사용하여야 하고, 두 재질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결합하여 고정되는 구조가 필요하다.
상기 난간은 알루미늄으로 디자인 판넬을 형성하여 꽃이나 나비등의 모양을 형성하고, 기둥은 강성이 뛰어난 철제나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러한 두개의 상이한 재질은 결합시 그 결합강도를 보장하기 어려우므로 안전성이 요구되는 난간의 경우 견고하게 서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조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2가지 재질 뿐만 아니라 같은 재질의 구조물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난간의 외부 프레임과 기둥 사이에 문양판넬이 고정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문양판넬의 외곽 테두리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연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는 난간의 외부프레임 및기둥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난간의 외부프레임과 기둥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는 문양판넬의 주조시 외곽프레임에 연결파이프의 단부를 삽입하여 일체로 성형하며, 상기 연결파이프의 단부에 다수개의 요철과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파이프의 단부에 나사산 형태의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파이프의 단부에 전체적으로 요철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파이프는 그 단면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꽃모양, 별모양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부는 문양판넬의 외곽프레임에 일체로 다수개의 돌출형상부를 성형하고, 상기 돌출형상부에 난간의 외부프레임과 동일재질의 연결파이프를 억지 끼움으로 삽입 고정하며, 상기 돌출형상부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형상부와 연결파이프는 그 단면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꽃모양, 별모양 중에 하나이며,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측 단부에 요철 또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a, 도 2b, 도 2c는 본 고안의 복합형 난간의 문양판넬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a의 A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4a, 도 4b, 도 4c는 본 고안의 연결파이프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도 5b, 도 5c, 도 5d, 도 5e는 본 고안의 연결파이프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 도 6b, 도 6c는 본 고안의 본합형 난간의 문양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a의 A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8은 본 고안의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는 본 고안의 연결파이프와 돌출형상부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a, 도 10b는 본 고안의 연결파이프에 형성되는 돌기와 요철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주기둥 2 : 보조기둥
3 : 상부레일 4 : 하부레일
6 : 외곽프레임 7 : 고정받침부
10, 10', 10" : 문양판넬 11 : 연결부
20, 20-1, 20-2, 20-3, 20-4, 20-5 : 연결파이프
21, 24 : 요철 22, 23 : 돌기
30, 30-1, 30-2, 30-3, 30-4, 30-5 : 돌출형상부
31 : 경사부 33 : 돌기
32, 32-1, 32-2, 32-3, 32-4, 32-5 : 연결파이프
35 : 요철 36 : 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기둥이 받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주기둥의 사이에 횡으로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사이에 보조기둥이 고정되는 난간 외부 프레임의 내측으로 문양 판넬을 고정한다.
상기 난간 외부 프레임과 기둥은 전술한 형상외에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문양판넬은 외곽프레임의 내부로 문양이 형성되며, 상기 외곽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난간의 외부 프레임과 기둥에 용접등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의 재질은 난간의 외부 프레임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문양판넬(10)(10')(10")은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6a, 도 6b,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6)(6')(6")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문양이 형성된다. 적용되는 문양은 꽃과 나비등의 사물을 도형화하여 형성할 수 있고, 로고(12)를 형성하거나, 캐릭터(13)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상기 문양판넬은 다 같이 적용되는 것으로 문양판넬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부(11)는 난간의 외부 프레임 및 기둥과 동일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1)가 문양 패널(10)에 형성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우선 문양 판넬(10)의 주조시 문양판넬(10)에 사용되는 용탕의 재질과는 다르고 난간의 외부프레임과 동일한 재질의 연결파이프(20)를 형틀에 삽입한 후 알루미늄 용탕을 주입하여 함께 성형한다.
그리고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지반이나 저부에 고정되는 고정받침부(7)에 주기둥(1)이 고정되고, 상기 주기둥(1) 사이에 횡으로 상부레일(3)과 하부레일(4)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레일(3)과 하부레일(4) 사이에 수직으로 보조기둥(2)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난간의 외부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강성이 뛰어난 스테인레스를 사용한다.
상기 연결파이프(20)는 외곽프레임에 삽입되는 단부에 다수개의 요철(21)과 돌기(22)를 형성한다. 이때 요철(21)만을 형성하거나, 돌기(22)만 형성할 수 있으며, 요철(21)과 돌기(22)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20)에 형성되는 돌기(23)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할 수 있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전체적으로 요철(2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와 요철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20)는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연결파이프(20-1)는 가장 일반적인 원형의 파이프 형태이고, 도 5b에 도시된 연결파이프(20-2)는 단면이 삼각형인 형태이며, 도 5c의 연결파이프(20-3)는 단면이 사각형인 형태이고, 도 5d의 연결파이프(20-4)는 단면이 꽃모양인 형태이며, 도 5e의 연결파이프(20-5)는 단면이 별모양인 연결파이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 실시예의 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돌기와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20)는 난간의 외부 프레임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문양 판넬(10)의 외곽프레임(6)에 일단이 삽입되어 성형되므로 난간의 외부 프레임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와 외부 프레임과의 고정은 용접으로 고정하며, 기둥과의 고정도 용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난간의 외부 프레임 및 기둥과 동일 재질로 연결파이프(32)를 형성하고, 문양판넬(10)을 사형 주조시 상기 연결파이프(32)를 끼울 수 있도록 외곽프레임(6)의 외벽면에 다수개의 돌출형상부(30)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형상부(30)는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부(31)가 형성되며, 연결파이프(32)와 잘 끼워져 고정되도록 돌기(3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출형상부(30)에 상기 연결파이프(32)를 끼워서 타격하게 되면, 억지 끼움 방식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고정된 연결파이프(32)는 난간의 외부프레임과 기둥에 용접등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돌출형상부(30)와 연결파이프(32)는 도 9a 내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에는 원형의 돌출형상부(30-1)와 원형의 연결파이프(32-1)를 도시하였고, 도 9b에는 단면이 삼각형인 돌출형상부(30-2)와 단면이 삼각형인 연결파이프(32-2)를 도시하였으며, 도 9c에는 단면이 사각형인 돌출형상부(30-3)와 단면이 사각형인 연결파이프(32-3)를 도시하였고, 도 9d에는 단면이 꽃모양인 돌출형상부(30-4)와 단면이 꽃모양인 연결파이프(32-4)를 도시하였으며, 도 9e에는 단면이 별모양인 돌출형상부(30-5)와 단면이 별모양인 연결파이프(32-5)를 도시하였다.
상기 연결파이프에 내측 단부에는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6)가 형성되거나, 요철(3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요철이나 돌기는 돌출형상부의 외곽테두리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른 재질 또는 같은 재질의 판넬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고정한 판넬은 다양한 형상으로 미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고, 문양패널을 용이하게 기둥이나 외부 프레임에 고정시킬수 있도록 연결부를 형성하므로 상기 연결부와 기둥 및 외부프레임을 용접 강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문양판넬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난간의 외부 프레임과 기둥 사이에 문양판넬이 고정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문양판넬(10)의 외곽 테두리(6)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연결부(11)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11)는 난간의 외부프레임 및 기둥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난간의 외부프레임과 기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는 문양판넬(10)의 주조시 외곽프레임(6)에 연결파이프(20)의 단부를 삽입하여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20)의 단부에 다수개의 요철(21)과 돌기(2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20)의 단부에 나사산 형태의 돌기(2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20)의 단부에 전체적으로 요철(2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20)는 그 단면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꽃모양, 별모양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는 문양판넬(10)의 외곽프레임(6)에 일체로 다수개의 돌출형상부(30)를 성형하고, 상기 돌출형상부(30)에 난간의 외부프레임과 동일재질의 연결파이프(32)를 억지 끼움으로 삽입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상부(30)에 다수개의 돌기(3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상부(30)와 연결파이프(32)는 그 단면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꽃모양, 별모양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32)의 내측 단부에 요철(35) 또는 돌기(3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KR20-2004-0024939U 2004-08-31 2004-08-31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KR200372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939U KR200372506Y1 (ko) 2004-08-31 2004-08-31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939U KR200372506Y1 (ko) 2004-08-31 2004-08-31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002A Division KR100671478B1 (ko) 2004-08-31 2004-08-31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506Y1 true KR200372506Y1 (ko) 2005-01-14

Family

ID=4944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939U KR200372506Y1 (ko) 2004-08-31 2004-08-31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5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739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회전 성능을 갖는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KR102563057B1 (ko) * 2023-04-21 2023-08-04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자살 방지용 안전펜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739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회전 성능을 갖는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KR102563057B1 (ko) * 2023-04-21 2023-08-04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자살 방지용 안전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2506Y1 (ko)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KR100671478B1 (ko)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US6260829B1 (en) Design enhancement device for attachment to a post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KR101712376B1 (ko) 아연각관을 심재로 하는 목재난간지주
CN201738266U (zh) 一种钢质组合式护栏
KR200279221Y1 (ko) 난간
KR200491057Y1 (ko) 계자난간 조립체
KR100878871B1 (ko) 조립식 난간용 하부몰딩
KR200368258Y1 (ko) 밴드를 이용한 판넬 고정구조
KR200421499Y1 (ko) 장식난간 조립장치
KR200327065Y1 (ko) 난간동자
KR200274990Y1 (ko) 핸드 레일과 지주의 접합구조
KR200201319Y1 (ko) 난간 고정용 지주
KR200452952Y1 (ko) 문양이 성형되고 강도를 보강하는 무늬레일이 포함된 발코니 난간
KR102647623B1 (ko) 난간용 마감캡과 이를 이용한 난간
KR200390716Y1 (ko) 계단 난간용 기둥
CN219261558U (zh) 一种钢砼一体式楼梯
KR200340238Y1 (ko) 건축물 계단 마감재의 구조
CN213143661U (zh) 一种仿古建筑的栏杆的连接结构
KR200347889Y1 (ko) 조립식 울타리
KR200490267Y1 (ko)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KR200172283Y1 (ko) 난간용지주캡
KR200406222Y1 (ko) 난간의 결합 구조
KR200260465Y1 (ko) 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