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716Y1 -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 - Google Patents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716Y1
KR200494716Y1 KR2020190002226U KR20190002226U KR200494716Y1 KR 200494716 Y1 KR200494716 Y1 KR 200494716Y1 KR 2020190002226 U KR2020190002226 U KR 2020190002226U KR 20190002226 U KR20190002226 U KR 20190002226U KR 200494716 Y1 KR200494716 Y1 KR 200494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ody
engaging hook
cap
hook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671U (ko
Inventor
김민서
Original Assignee
김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배 filed Critical 김성배
Priority to KR2020190002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716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6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7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5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andrails
    • E04F2011/1827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andrails between baluster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횡주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간살; 및 상기 간살을 상기 횡주관에 연결하는 연결캡을 포함하고, 상기 간살은, 상기 연결캡에 삽입되는 말단삽입부와, 상기 말단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연결캡의 외부로 노출되는 중앙노출부를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말단삽입부에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되는 걸림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캡은,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횡주관의 결합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컵체부; 및 상기 컵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간살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진입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1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ASSEMBLY OF CONNECTING CAP AND COLUMN BAR, AND CONNECTING CAP USED THEREFOR}
본 고안은 계단 등에 설치되는 난간에서 간살과 횡주관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캡, 그리고 그 연결캡과 간살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계단이나 발코니, 외부 담장 등에는 보행자의 진입이나 추락 등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시설물로서 난간(펜스)이 설치된다. 또한, 난간은 도로, 교량 등에 있어서 차도 구간과 인도 구간을 구획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들의 안전을 도모하는 한편 보행자들이 차도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교통 시설물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난간은 일정 간격마다 세워진 포스트 사이를 연결하는 횡주관을 소정 높이에 상하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횡주관의 사이에는 연직 방향의 간살을 일정 간격마다 결합하여 프레임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횡주관은 계단의 경우 경사 방향으로 설치되고, 담장이나 발코니, 안전 난간과 같은 경우에는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된다.
간살과 횡주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캡이 사용된다. 이때, 연결캡과의 결합을 위해 간살에는 복잡한 가공이 필요하게 된다. 간살은 금속 재질이어서 그러한 가공은 간단하지 않고, 그 결과로 전체 난간 제작 공정을 복잡하고 생산성이 낮게 한다.
또한, 연결캡에 삽입된 간살이 연결캡에 대해 회전하기도 한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 간살이 횡주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들은 설치 공사의 마무리가 부실한 것으로 인식하여 불만을 제기하기도 한다.
본 고안의 일 목적은, 간살에 대한 가공을 간단화하여 난간 제작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간살과 연결캡 간의 견고한 결합은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캡에 결합된 간살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난간의 시공 완결성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는, 횡주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간살; 및 상기 간살을 상기 횡주관에 연결하는 연결캡을 포함하고, 상기 간살은, 상기 연결캡에 삽입되는 말단삽입부와, 상기 말단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연결캡의 외부로 노출되는 중앙노출부를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말단삽입부에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되는 걸림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캡은,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횡주관의 결합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컵체부; 및 상기 컵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간살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진입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1 걸림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캡은, 상기 컵체부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횡주관에 걸리는 제2 걸림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걸림후크는, 상기 컵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걸림후크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말단삽입부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이 형성된 평탄면을 구비하고, 상기 컵체부는, 상기 평탄면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간살이 상기 컵체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평면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후크는, 상기 제한평면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연결캡은,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횡주관의 결합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컵체부; 상기 컵체부에 형성되어, 간살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진입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간살의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1 걸림후크; 및 상기 컵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컵체부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횡주관에 걸리는 제2 걸림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후크와 상기 제2 걸림후크는, 상기 컵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컵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후크를 정의하는 제1 슬롯; 및 상기 컵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후크를 정의하는 제2 슬롯이 더 구비될 때,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컵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컵체부는, 상기 간살의 평탄면에 대응하여, 상기 간살이 상기 컵체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평면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걸림후크 및 상기 제2 걸림후크는, 상기 제한평면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에 의하면, 간살과 횡주관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캡에 대응하여 간살의 말단삽입부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걸림홀이 형성되고 그에 대응해서는 연결캡에 제1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간살이 연결캡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걸림후크는 탄성 변형하면서 걸림홀에 삽입 고정된다. 그에 의해, 간살에 대한 프레스 가공은 단순히 걸림홀을 타공하는 것만 수행되므로, 그 가공이 복잡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그러면서도 간살과 연결캡 간의 결합은 제1 걸림후크가 걸림홈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간살은 걸림홀을 형성하는 프레스 가공시에 평탄면을 가지도록 동시에 가공될 수 있고, 그 평탄면에 대응하여 연결캡에는 제한평면영역이 형성되므로, 연결캡에 삽입된 간살은 평탄면과 제한평면영역 간의 맞물림에 의해 연결캡에 대해 회전하지 않아, 난간의 시공 완결성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난간(100)에 대한 설치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난간(100)에 사용되는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2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간살(21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연결캡(23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라인(Ⅴ-Ⅴ)에 따른 연결캡(230)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난간(100)에 대한 설치 상태의 정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난간(100)은 계단의 가장 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난간(100)은, 고정지주(110)와, 횡주관(130)과, 간살(150)을 가질 수 있다.
고정지주(110)는 계단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설치되는 기둥이다. 이러한 고정지주(110)는 계단의 바닥면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횡주관(130)은 한 쌍의 고정지주(110)를 서로에 대해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횡주관(130)은 고정지주(110)의 상단 측과 하단 측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횡주관(130) 중에 상측에 위치하는 것은, 계단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것이다.
간살(150)은 한 쌍의 횡주관(130)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간살(150)은 횡주관(130)에 대해 교차 방향으로 배치되고, 고정지주(110)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간살(150)은 한 쌍의 고정지주(110)와 한 쌍의 횡주관(130)이 한정하는 영역을 차단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간살(150)과의 연결을 위해, 횡주관(130)에는 결합홀(130', 도 2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30')은 간살(150) 하나 하나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난간(100)에 있어서, 횡주관(130)과 간살(150) 사이의 결합 구조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도 1의 난간(100)에 사용되는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2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횡주관(130, 도 1)과 간살(150) 사이의 결합을 위해서는, 연결캡(230)이 채용된다. 또한, 간살(150)은 연결캡(230)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져서, 이하에서는 다른 참조 번호를 이용하여 간살(210)로 칭한다. 이러한 연결캡(230)과 간살(210)은 서로 간에 결합되어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200)를 구성한다.
간살(210)은 대체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로드(rod) 형태의 몸체를 가진다. 상기 몸체는, 중앙노출부(211)와 말단삽입부(215)를 가질 수 있다. 중앙노출부(211)는 연결캡(2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라면, 말단삽입부(215)는 연결캡(230)에 삽입되는 부분이 된다. 말단삽입부(215)에는 걸림홀(217)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캡(230)은 간살(21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간살(210)이 금속 재질임에 비하여, 연결캡(230)은 수지 사출물일 수 있다. 연결캡(230)에는 간살(210), 구체적으로 말단삽입부(215)가 삽입된다. 그 과정에서, 간살(210)의 걸림홀(217)은 연결캡(230)의 제1 걸림후크(233)에 걸리게 된다. 이에 의해, 간살(210)과 연결캡(230)의 결합이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그들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연결캡(230)이 횡주관(130)의 결합홀(13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제2 걸림후크(237)가 횡주관(130)의 하면에 걸림에 의해서는, 연결캡(230)은 횡주관(130)에서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캡(230)의 낙하 방지턱(239)은 횡주관(130)의 상면에 걸려서, 연결캡(230)이 횡주관(130)의 내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의 간살(210)의 구체적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간살(21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간살(210)의 상기 몸체에 있어서, 중앙노출부(211)는 상기 몸체의 양단부 측에 위치한 말단삽입부(215)를 제외한 중앙 영역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그와 달리, 말단삽입부(215)는 연결캡(23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 형상에 있어서, 중앙노출부(211)는 원형 단면을 갖는 파이프일 때, 말단삽입부(215)는 트랙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에 의해, 말단삽입부(215)는 평탄면(215a)과 곡면(215b)을 가질 수 있다.
중앙노출부(211)와 말단삽입부(215)의 형상의 차이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는 기본적으로 파이프 형태의 로드(rod)로서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것을 기초로 제작될 수 있다. 이후, 프레스 가공을 통해 말단삽입부(215)에 대응하는 부분을 트랙형으로 가공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상기 로드 전체를 압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로드의 양단부 영역만을 압착함에 의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말단삽입부(215)는 3 내지 4 cm에 불과하여 상기 몸체의 전체 길이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5% 정도에 불과하므로, 그 부분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는 프레스 가공은 상기 몸체 전체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비해 현저히 간단하고 수월함은 명확하다. 그에 따라, 중앙노출부(211)는 말단삽입부(215) 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프레스 가공된 평탄면(215a)에는 아울러, 상기 프레스 가공과 동시에 걸림홀(217)이 타공될 수 있다. 걸림홀(217)은 곡면(215b)이 아닌 평탄면(215a)에 사각 형태로 개구되는 형태로서, 평탄면(215a)에 대한 압착과 타공이 한 번의 공정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연결캡(230)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연결캡(23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라인(Ⅴ-Ⅴ)에 따른 연결캡(230)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연결캡(230)은 앞서 설명한 제1 걸림후크(233), 제2 걸림후크(237), 및 낙하 방지턱(239)이 형성되는 컵체부(23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컵체부(231)는 대체로 컵 형상을 가지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컵체부(231)의 바닥은 대체로 트랙 형상을 가지고, 벽은 상기 바닥에 대응하여 높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벽에는 자유곡면영역(231a)과 제한평면영역(231b)이 구성될 수 있다. 자유곡면영역(231a)은 대체로 곡면 형상을 가지는 부분이고, 제한평면영역(231b)은 자유곡면영역(231a)에 이어지면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지는 부분이다. 자유곡면영역(231a)은 간살(210)의 곡면(215b)에 대응하고, 제한평면영역(231b)은 간살(210)의 평탄면(215a)에 대응하게 된다.
컵체부(231)에 있어서, 상기 벽과 상기 바닥에 의해서는 수용 공간(231c)이 정의될 수 있다. 수용 공간(231c)은 간살(210)의 말단삽입부(215)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수용 공간(231c)에 말단삽입부(215)가 삽입되는 경우에, 평탄면(215a)은 제한평면영역(231b)에 대응한다. 나아가, 곡면(215b)은 자유곡면영역(231a)에 대응한 상태가 된다. 평탄면(215a)과 제한평면영역(231b)이 서로 맞물림에 의해, 간살(210)은 컵체부(231) 내에서 회전이 제한된다.
제1 걸림후크(233)와 제2 걸림후크(237)는 모두 제한평면영역(231b)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평탄면(215a)에 걸림홀(217)이 형성됨에 따라, 평탄면(215a)에 대응하는 제한평면영역(231b)에 그들이 형성되게 한 것이다. 그에 의해, 평탄면(215a) 자체의 가공과 걸림홀(217)의 타공이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는 연관 조건이 갖추어지게 된다. 또한, 제1 걸림후크(233)와 제2 걸림후크(237)는 컵체부(2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걸림후크(233)와 제2 걸림후크(237)는 각각 제1 슬롯(234) 및 제2 슬롯(238)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슬롯(234) 및 제2 슬롯(238)은 대체로 'ㄷ'자 형상을 이루어서, 제1 걸림후크(233)와 제2 걸림후크(237)가 각기 외팔보(캔틸레버) 형태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제1 슬롯(234) 및 제2 슬롯(238)은 또한 컵체부(231)이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1 걸림후크(233)와 제2 걸림후크(237)는 각기 말단삽입부(215)와 횡주관(130)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걸림홀(217) 또는 횡주관(130)의 저면에 걸리게 된다.
제1 걸림후크(233)와 제2 걸림후크(237)의 돌출되는 부분은 컵체부(231)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을 향하게 된다. 제1 걸림후크(233)는 수용 공간(231c) 내로 삽입되는 말단삽입부(215)의 걸림홀(217)에 대응하여 컵체부(23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그에 반해, 제2 걸림후크(237)는 횡주관(130)의 결합홀(130')에 대응하여 컵체부(231)의 외측으로 돌출하게 된다.
제1 걸림후크(233)에 대응하여, 컵체부(231)의 상기 바닥에는 통과홀(235)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과홀(235)은 금형의 일부가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금형의 일부는 제1 걸림후크(233)의 돌출 부분에 대응하는 것이다. 나아가, 낙하 방지턱(239)은 컵체부(231)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면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컵체부(231)와 횡주관(130)의 배치 관계에 대응하여, 낙하 방지턱(239)은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걸림 후크(233) 및 제2 걸림 후크(237) 각각의 몸체부(233a,237a)는 컵체부(2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몸체부(233a,237a)는 컵체부(231)의 외면과 동일한 윤곽면을 형성하고, 그의 단부 측에는 경사면(233b,237b)이 형성된다. 여기서, 컵체부(231)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경사면(233b,237b)의 길이는 몸체부(233a,237a)의 길이 보다 짧다. 또한, 경사면(233b,237b) 너머에는 걸림면(233c,237c)이 형성되는데, 이는 경사면(233b,237b)이 눌려짐에 따라 몸체부(233a,237a)가 탄성 변형되어 복원되면서 횡주관(130) 또는 간살(210)에 걸리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간살(210)과 횡주관(130)의 결합을 위해서는, 먼저 연결캡(230)이 횡주관(130)의 결합홀(130')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연결캡(230)을 결합홀(130')에 밀어 넣으면, 제2 걸림후크(237)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결합홀(130')을 한정하는 횡주관(130)의 저면에 걸리게 된다. 나아가, 낙하 방지턱(239)은 횡주관(130)의 결합홀(130')을 한정하는 부분의 상면에 걸리게 된다. 그에 의해, 연결캡(230)이 횡주관(130)의 결합홀(130')에 걸려서, 상하 방향 모두에 대해 이동하지 않는 견고한 결합 상태가 된다.
이후, 연결캡(230)의 수용 공간(231c)에는 간살(210)이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간살(210)은 평탄면(215a)과 제한평면영역(213b)에 의해 연결캡(230)에 대해 특정 방향으로만 삽입되고 회전 또한 제한된다. 그러한 삽입 과정에서, 제1 걸림후크(233)은 걸림홀(217)에 대응하여 정렬된다. 간살(210)은 제1 걸림후크(233)를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수용 공간(231c)으로 진입하고, 제1 걸림후크(233)는 걸림홀(217)에 대응하는 순간에 반대로 탄성 변형되면서 걸림홀(217)에 삽입되어 그에 걸리게 된다. 그에 의해, 간살(210)과 연결캡(23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상의 결합 방식과 달리, 간살(210)과 연결캡(230)을 먼저 결합하여 그들의 결합체를 형성한 후에, 그 결합체를 횡주관(130)의 결합홀(130')에 삽입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난간 110: 포스트
130: 횡주관 150: 간살
200: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210: 간살
211: 중앙노출부 215: 말단삽입부
217: 걸림홀 230: 연결캡
231: 컵체부 233: 제1 걸림후크
237: 제2 걸림후크

Claims (7)

  1. 횡주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간살; 및
    상기 간살을 상기 횡주관에 연결하고, 수지 사출물인 연결캡을 포함하고,
    상기 간살은,
    상기 연결캡에 삽입되며 트랙 형태인 말단삽입부와, 상기 말단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말단삽입부 보다 큰 길이를 가지며 상기 연결캡의 외부로 노출되며 파이프 형태인 중앙노출부를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말단삽입부에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되어, 사각 형태로 개구된 걸림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캡은,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횡주관의 결합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컵체부; 및
    상기 컵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간살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진입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1 걸림후크; 및
    상기 컵체부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횡주관에 걸리는 제2 걸림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후크 및 상기 제2 걸림후크 각각은,
    상기 컵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컵체부의 외면과 동일한 윤곽면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단부 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보다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짧은 길이를 갖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 너머에 위치하고, 상기 경사면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몸체부가 탄성 변형되어 복원되면서 상기 횡주관 또는 상기 간살이 걸리는 걸림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후크는,
    상기 컵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걸림후크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인,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삽입부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이 형성된 평탄면을 구비하고,
    상기 컵체부는,
    상기 평탄면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간살이 상기 컵체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평면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후크는,
    상기 제한평면영역에 형성되는,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4.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횡주관의 결합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컵체부;
    상기 컵체부에 형성되어, 간살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진입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간살의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1 걸림후크; 및
    상기 컵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컵체부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횡주관에 걸리는 제2 걸림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후크 및 상기 제2 걸림후크 각각은,
    상기 컵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컵체부의 외면과 동일한 윤곽면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단부 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보다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짧은 길이를 갖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 너머에 위치하고, 상기 경사면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몸체부가 탄성 변형되어 복원되면서 상기 횡주관 또는 상기 간살이 걸리는 걸림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후크와 상기 제2 걸림후크는,
    상기 컵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고, 각각의 경사면은 상기 컵체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인, 연결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컵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후크를 상기 캔틸레버 형태로 정의하는 제1 슬롯; 및
    상기 컵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후크를 상기 캔틸레버 형태로 정의하는 제2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컵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되는, 연결캡.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컵체부는,
    상기 간살의 평탄면에 대응하여, 상기 간살이 상기 컵체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평면영역을 더 포함하는, 연결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후크 및 상기 제2 걸림후크는,
    상기 제한평면영역에 형성되는, 연결캡.
KR2020190002226U 2019-05-30 2019-05-30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 KR200494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26U KR200494716Y1 (ko) 2019-05-30 2019-05-30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26U KR200494716Y1 (ko) 2019-05-30 2019-05-30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71U KR20200002671U (ko) 2020-12-09
KR200494716Y1 true KR200494716Y1 (ko) 2021-12-09

Family

ID=73787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26U KR200494716Y1 (ko) 2019-05-30 2019-05-30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7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390B1 (ko) * 2022-02-24 2022-07-29 (주)영풍금속 난간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754B1 (ko) * 2023-08-08 2023-10-24 (주)영풍금속 난간 및 그에 사용되는 간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4734A1 (en) * 2007-12-17 2010-11-11 Tern (Qld) Pty Ltd Interlocking assembly system
KR101852576B1 (ko) * 2017-07-28 2018-04-27 (주)영풍금속 난간용 연결 캡과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난간용 연결 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4734A1 (en) * 2007-12-17 2010-11-11 Tern (Qld) Pty Ltd Interlocking assembly system
KR101852576B1 (ko) * 2017-07-28 2018-04-27 (주)영풍금속 난간용 연결 캡과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난간용 연결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390B1 (ko) * 2022-02-24 2022-07-29 (주)영풍금속 난간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71U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716Y1 (ko)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
KR102266307B1 (ko) 이탈착식 데크로드
KR102024717B1 (ko) 안전난간 및 안전난간용 지주
KR101138829B1 (ko) 고속도로의 중앙분리대 및 교량용 난간방호벽의 개량공법과 그 중앙분리대 및 그 난간방호벽
KR20200053252A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EP2065541B1 (en) Metal fence
US7168689B2 (en) Apparatus for pedestrian railing with snap-in spacer and method of making
KR100835681B1 (ko) 건축용 비계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KR101852576B1 (ko) 난간용 연결 캡과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난간용 연결 캡
KR102534390B1 (ko) 난간 지주의 베이스부재
KR102426390B1 (ko) 난간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 캡
KR200459021Y1 (ko) 건설현장용 작업발판 보호대
KR101072007B1 (ko) 정자와 파고라를 포함하는 조경 시설물용 기둥
KR102173124B1 (ko) 제작이 용이한 난간
KR102592754B1 (ko) 난간 및 그에 사용되는 간살
KR100832403B1 (ko) 대나무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134851A (ko)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JPH0416832Y2 (ko)
KR102647623B1 (ko) 난간용 마감캡과 이를 이용한 난간
EP2065542A1 (en) Assemblable elements for realising metal fences
KR20130030929A (ko) 난간 패널의 결합 구조
US20080001135A1 (en) Fencing system and method
KR102315853B1 (ko) 데크용 난간의 설치구조
JP6189106B2 (ja) 筒状部材の端面隠蔽部材および端面隠蔽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