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966Y1 - 그네 - Google Patents

그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966Y1
KR200171966Y1 KR2019990017256U KR19990017256U KR200171966Y1 KR 200171966 Y1 KR200171966 Y1 KR 200171966Y1 KR 2019990017256 U KR2019990017256 U KR 2019990017256U KR 19990017256 U KR19990017256 U KR 19990017256U KR 200171966 Y1 KR200171966 Y1 KR 200171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back plate
seat
bolts
support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홍기
Original Assignee
강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홍기 filed Critical 강홍기
Priority to KR2019990017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용 그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좌판의 앞뒤에 고정한 지지보호대와 등판을 분리시키지 않고 작은 부피로 절첩시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어린이 엉덩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좌부가 오목하게 성형된 좌판의 바닥전면과 후면에 통공을 형성하고 양측내벽에는 지지보호대와 등받이양측단이 삽착되도록 다수의 요홈을 요설하고 좌판에 형성한 통공의 저면에는 고정너트가 끼워지도록 하고 양측 그네줄은 합쳐지도록 고정캡으로 결합하여서 된 그네가 공지되어있으나, 이는 작은 부피로 보관하거나 운반하고자 할때는 좌판에서 지지보호대와 등받이를 완전분리 하여야 하는 불편과 사용코져 할때는 완전분리된 것을 인력과 시간을 많이 소요하여 일일히 조립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네(1)의 좌판(2)의 측판(2')(2')에는 길다란 구멍(201)(201')(202)(202')을 형성하고 지지보호대(3)와 등판(4)에는 볼트(5)(5')(6)(6')를 고정하여 전기의 지지보호대(3)및 등판(4)에 고정한 볼트(5)(5')(6)(6')를 구멍(201)(201')(202)(202')에 끼워 너트(7)(7')(8) (8')로 조아 고정시킬 수 있는구조로 구성하여 보관 및 운반코져 할때는 너트(7) (7')(8)(8')를 느슨하게 풀어 지지보호대(3)와 등판(4)을 볼트(5)(5')(6)(6')를 축점으로 하여, 좌판(2)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작은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지보호대(3)와 등판(4)을 완전분리시키지 않고도 작은 부피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신속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그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네{SWING}
본 고안은 어린이용 그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좌판의 앞뒤에 고정한 지지보호대와 등판을 분리시키지 않고 작은 부피로 절첩시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어린이 엉덩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좌부가 오목하게 성형된 좌판의 바닥전면과 후면에 통공을 형성하고 양측내벽에는 지지보호대와 등받이양측단이 삽착되도록 다수의 요홈을 요설하고 좌판에 형성한 통공의 저면에는 고정너트가 끼워지도록 하고 양측 그네줄은 합쳐지도록 고정캡으로 결합하여서 된 그네가 공지되어있으나, 이는 작은 부피로 보관하거나 운반하고자 할때는 좌판에서 지지보호대와 등받이를 완전분리 하여야 하는 불편과 사용코져 할때는 완전분리된 것을 인력과 시간을 많이 소요하여 일일히 조립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네(1)의 좌판(2)의 측판(2')(2')에는 길다란 구멍(201)(201')(202)(202')을 형성하고 지지보호대(3)와 등판(4)에는 볼트(5)(5')(6)(6')를 고정하여 전기의 지지보호대(3)및 등판(4)에 고정한 볼트(5)(5')(6)(6')를 구멍(201)(201')(202)(202')에 끼워 너트(7)(7')(8) (8')로 조아 고정시킬 수 있는구조로 구성하여 보관 및 운반코져 할때는 너트(7) (7')(8)(8')를 느슨하게 풀어 지지보호대(3)와 등판(4)을 볼트(5)(5')(6)(6')를 축점으로 하여, 좌판(2)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작은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지보호대(3)와 등판(4)을 완전분리시키지 않고도 작은 부피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신속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그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 절첩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그네
2 : 좌판
2', 2' : 측판
201, 201' : 구멍
202, 202' : 구멍
3 : 지지보호대
4 : 등판
5, 5' : 볼트
6, 6' : 볼트
7, 7', 8, 8' : 너트
도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절첩작동단면도로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2')(2')을 형성한 좌판(2)의 전면에는 지지보호대(3)를, 후면에는 등판(4)을 고정하여서 된 그네(1)에 있어서, 측판(2')(2')에는 길다란 구멍(201) (201')(202)(202')을 형성하고 지지보호대(3)와 등판(4)에는 볼트(5)(5')(6)(6')를 고정하여 전기의 볼트(5)(5')(6)(6')를 구멍(201)(201')(202)(202')에 끼워 너트 (7)(7')(8)(8')로 조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너트(7)(7')(8)(8')를 느슨하게 풀어 지지보호대(3)와 등판(4)을 회전시켜 작은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A는 지지보호대(3)의 중간부가 끼워지는 요홈이고
2B는 등판(4)의 하단이 위치되는 요입부이고
13, 13'는 그네줄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좌판(2)의 측판(2')(2')에 형성한 구멍(201)(201')에는 지지보호대(3)의 볼트(5)(5')로 끼워 너트(7)(7')로 조아 고정하고 좌판(2)의 측판(2')(2')에 형성한 구멍(201)(202')에는 등판(4)의 볼트(6)(6')를 끼워 너트(8)(8')로 조아 고정하고 그네(1)의 그네줄(9)(9')을 그네지지대나 문틀에 고정한 철봉에 매달아 좌판(2)에 어린이를 앉힌 후 그네(1)를 흔들어 그네(1)를 태우게 되며, 이때 지지보호대(3)의 중간부의 끝은 좌판(2)의 요홈(2A)에 끼워진 상태이고 등판(4)의 하부는 좌판(2)의 요입부(2B)에 위치된 상태임으로 지지보호대(3)및 등판(4)은 더욱 견고한 고정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작은부피로 절첩하여 보관 및 휴대코져 할때는 너트(7) (7')(8)(8')를 느슨하게 풀어 도4와 같이 등판(4)을 실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등판(4)은 볼트(6)(6')를 축점으로 하여 용이하게 회전되고 지지보호대(3)도 도4와 같이 횡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한다. 이에 따라 지지보호대(3)및 등판(4)을 종래와 같이 분리시키지 않고도 간단히 회전시켜 신속 용이하게 작은 부피로 절첩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코져 할때는 등판(4)과 지지보호대(3)를 도4의 점선화살표방향으로 간단히 회전시키고 너트(7)(7')(8)(8')로 조아 고정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측판(2')(2')에는 길다란 구멍(201)(201')(202)(202')을 형성하고 지지보호대(3)와 등판(4)에는 볼트(5)(5')(6)(6')를 고정하여 전기의 볼트(5)(5')(6)(6')를 구멍(201)(201')(202)(202')에 끼워 너트(7)(7')(8)(8')로 조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였으므로 보관 및 운반코져 할 때는 지지보호대(3)및 등판(4)을 종래와 같이 좌판(2)에서 완전 분리시킬 필요없이 볼트(5)(5') (6)(6')를 축점으로 하여 간단히 회전시켜 작은 부피로 절첩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측판(2')(2')을 형성한 좌판(2)의 전면에는 지지보호대(3)를, 후면에는 등판(4)을 고정하여서 된 그네(1)에 있어서, 측판(2')(2')에는 길다란 구멍(201) (201')(202)(202')을 형성하고 지지보호대(3)와 등판(4)에는 볼트(5)(5')(6)(6')를 고정하여 전기의 볼트(5)(5')(6)(6')를 구멍(201)(201')(202)(202')에 끼워 너트 (7)(7')(8)(8')로 조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너트(7)(7')(8)(8')를 느슨하게 풀어 지지보호대(3)와 등판(4)을 회전시켜 작은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한 그네.
KR2019990017256U 1999-08-20 1999-08-20 그네 KR200171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256U KR200171966Y1 (ko) 1999-08-20 1999-08-20 그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256U KR200171966Y1 (ko) 1999-08-20 1999-08-20 그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966Y1 true KR200171966Y1 (ko) 2000-03-15

Family

ID=1958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256U KR200171966Y1 (ko) 1999-08-20 1999-08-20 그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9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6084B2 (en) Wheeled vehicle having a detachable rear frame
US20030010555A1 (en) Motorcycle saddlebag mounting system
US5193930A (en) Coupling for securing a handlebar stem of a bicycle
JP2000341868A5 (ko)
ITTO970264A1 (it) Raggio per ruota di bicicletta e ruota includente tale raggio.
USD503909S1 (en) Walker
US6886845B2 (en) Detachable bicycle
US5836600A (en) Tandem bicycle with detachable and foldable rear bicycle frame
US5904363A (en) Tricycle for children
US6694842B1 (en) Structure restraining movement of a handle of a children's cycle
US20030171175A1 (en) Bicycle rear derailleur
KR200171966Y1 (ko) 그네
ITRM940372A1 (it) Struttura di copertura di telaio di un veicolo di tipo motoscooter.
JP2004292131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ウェイト取付構造
US5293786A (en) Kickstand for bicycles
US3106412A (en) Velocipede frame structure
JP3063687U (ja) 自転車及びそのキャリア取付け機構
KR200292557Y1 (ko) 접철식 3륜 자전거
JP2000313390A5 (ko)
KR200175903Y1 (ko) 어린이용 그네
KR200448753Y1 (ko) 휴대용 작두조립체
KR200306845Y1 (ko)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KR200358889Y1 (ko)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KR200202919Y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KR960007162Y1 (ko) 식탁자 다리부착구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