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889Y1 -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889Y1
KR200358889Y1 KR20-2004-0013212U KR20040013212U KR200358889Y1 KR 200358889 Y1 KR200358889 Y1 KR 200358889Y1 KR 20040013212 U KR20040013212 U KR 20040013212U KR 200358889 Y1 KR200358889 Y1 KR 200358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bracket
bicycle
connection
low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식
최현진
Original Assignee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3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8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8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6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n unthreaded element, e.g. pin or n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물건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후면 및 저면에 제 1연결부(11) 및 제 2연결부(13)가 각각 구비되는 바구니(10)와, 선단이 상기 제 1연결부(11)에 높이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향 절곡되고 후단이 자전거의 전륜축(X)의 일지점에 고정되는 상단 브라켓(20) 및 후단이 상기 전륜축(X)에 체결되고, 상기 후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휘어져 선단이 상기 제 2연결부(13)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하단 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하단 브라켓(30)에 버링 가공에 의한 하단 연결공(31)을 형성하여 하나의 나사(40)만으로 바구니(10)를 자전거에 체결할 수 있어 바구니(10)를 자전거에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The Basket Structure For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의 바구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구니를 자전거에 결합하기 위한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바구니가 구비된 일반적인 어린이용 자전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에 대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구니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프레임(1)의 선단에는 헤드튜브(2)를 관통하고 앞포크(3a)가 연결되는 포크스템(3)이 구비되어 핸들스템(2a)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핸들(2b)의 하부에는 핸들스템(2a), 포크스템(3) 및 앞포크(3a)가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두 갈래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앞포크(3a)에는 전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레임(1)의 후단에는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1)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4)이 장착된다.
한편, 프레임(1)의 선단에는 바구니(5)가 설치된다. 바구니(5)는 사용자가 필요한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것으로, 상단 및 하단 브라켓(6, 7)에 체결되어 설치된다.
바구니(5)는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후면 및 저면에 관통 형성된 제 1연결부(5a)와 제 2연결부(5b)가 각각 구비된다.
상단 브라켓(6)의 선단은 제 1연결부(5a)를 통해 바구니(5)와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상단 연결공(6b)이 형성되고, 후단은 포크스템(3)에 끼워질 수 있도록 포크스템(3)의 직경에 대응하는 체결구(6a)가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포크스템(3)의 하단에는 앞포크(3a)가 연결되고, 헤드튜브(2)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단에는 상단 브라켓(6)의 체결구(6a)가 끼워진다.
하단 브라켓(7)의 후단은 앞브레이크(3b)와 포크스템(3) 사이의 앞브레이크축(3c)에 끼워지고, 선단은 제 2연결부(5b)를 통해 바구니(5)와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단 연결공(7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단 브라켓(6)의 연결부위 및 하단 브라켓(7)의 연결부위에는 각각 바구니(5)의 내측으로 볼트(9a)가 제 1연결부(5a) 및 제 2연결부(5b)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판(8)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바구니(5)를 상단 브라켓(6) 및 하단 브라켓(7)에 각각 고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4개의 볼트(9a) 및 너트(9b)가 필요하다. 즉, 상단 브라켓(6)의 연결공(6b)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9a)와 너트(9b) 각 2개씩과 하단 브라켓(7)의 연결공(7a)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9a)와 너트(9b) 각 2개씩이 필요하다.
따라서 바구니(5)를 자전거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총 4번의 볼트결합을 해야 함으로써 자전거가 대량생산되고 자전거에 바구니(5)가 장착되어 출시되는 현 시스템에서 조립작업에 시간 및 인력이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자전거는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로보다는 조건이 좋지 않은 길을 달리는 경우가 많다. 즉, 보도블럭, 자갈길, 흙길 등이 자전거로 보통 이용되는 길이므로 자전거는 운행 도중 요동이 많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바구니(5)를 상단 및 하단 브라켓(6, 7)에 체결한 볼트결합이 쉽게 느슨해 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풀리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이 때마다 느슨해 지거나 풀려진 너트(9b)를 볼트(9a)와 단단히 조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더구나 너트(9b)가 볼트(9a)로부터 이탈하여 분실된 경우는 볼트결합이 불가능하여 따로 너트(9b)를 구입해야 하고, 볼트결합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전거를 타게 되면 바구니(5)가 자전거에서 흔들리거나 분리되면서 사고로 연결될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나사만으로 바구니와 결합할 수 있어 자전거에 바구니를 탈부착하는 것이 간단한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단 브라켓의 관통공을 버링 가공하여 너트없이 체결이 가능함으로써 운행도중 너트가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바구니가 구비된 일반적인 자전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구니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는 본 고안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구니 11 : 제 1연결부
13 : 제 2연결부 20 : 상단 브라켓
21 : 상단 연결공 23 : 체결구
30 : 하단 브라켓 31 : 하단 연결공
40 : 나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프레임의 선단에 구비되는 헤드튜브와 상기 헤드튜브를 관통하고 앞포크가 연결되는 포크스템 및 상기 포크스템에 연결되어 상기 포크스템과 동시에 회전가능한 핸들스템이 체결되어 전륜축을 형성하는 자전거에 있어서, 내부에 물건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후면 및 저면에 제 1연결부 및 제 2연결부가 각각 구비되는 바구니와, 선단이 상기 제 1연결부에 높이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향 절곡되고, 후단이 상기 전륜축의 일지점에 고정되는 상단 브라켓, 및 후단이 상기 전륜축에 체결되고, 상기 후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휘어져 선단이 상기 제 2연결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하단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단 브라켓의 선단은, 상기 바구니의 후면을 따라 상기 상단 브라켓이 상기 제 1연결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 브라켓의 선단에는, 상기 하단 브라켓이 상기 제 2연결부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하단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의 저면에는, 상기 바구니를 상기 하단 브라켓에 나사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하단 연결공에 대응하는 형상 및 위치에 결합장공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 연결공은, 상기 바구니 및 상기 하단 브라켓이 너트 없이 상기 나사로만 결합이 가능하도록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바구니와 하단 브라켓의 연결은, 상기 하단 브라켓의 선단이 상기 제 2연결부에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가 상기 결합장공 및 하단 연결공을 통해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연결부에는, 내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단 브라켓의 선단은, 상기 제 1연결부 내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걸림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단 연결공이 더 형성된다.
제 1연결부의 상면에는, 공구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에 결합된 상단 브라켓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해체공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나사만으로 바구니를 자전거에 체결할 수 있어 자전거에 바구니를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기술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원용하여 설명한다.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는 본 고안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구니 구조는 어린이용 자전거에 사용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명칭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와 같은 구조가 성인용 자전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고안에 따른 구조는 크게 바구니(10), 상단 브라켓(20) 및 하단 브라켓(30)으로 구성된다.
바구니(10)는 내부에 물건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후면 및 저면에 제 1연결부(11) 및 제 2연결부(13)가 각각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바구니(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 1연결부(11)는 이하에서 설명될 상단 브라켓(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내부에는 삽입된 상단 브라켓(2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림부(11a)가 구비된다. 또한 제 1연결부(11)의 상면에는, 드라이버(미도시) 등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11a)에 끼움 결합된 상단 브라켓(20)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해체공(11b)이 형성된다. 그러나 제 1연결부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제1연결부(11)는 걸림부(11a) 없이 단순히 상단 브라켓(20)이 제 1연결부(11)에 형상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걸림부(11a)가 형성되지 않으면 해체공(11b)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걸림부(11a)의 형성 유무에 따라 해체공(11b)도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연결부(13)는 바구니(10)의 저면 외부에 형성되는데, 이하에서 설명될 하단 브라켓(30)이 관통하며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하단 브라켓(30)의 진행방향을 따라 양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바구니(10)의 저면에는, 하단 브라켓(30)이 제 2연결부(13)에 끼워진 때 바구니(10)를 하단 브라켓(30)에 나사(40)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단 브라켓(30)의 진행방향을 따라 제 2연결부(13)의 후측에 장공형의 결합장공(15)이 관통 형성된다.
결합장공(15)이 장공형으로 구성되는 것은, 이하에서 설명될 하단 브라켓(30)이 제 2연결부(13)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하단 브라켓(30)의 하단 연결공(31) 위치가 약간씩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나사(40)를 체결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결합장공(1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단 연결공(31)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단 브라켓(20)은 선단이 제 1연결부(11)에 높이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향 절곡되고, 후단이 포크스템(3)의 상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포크스템(3)의 직경에 대응하는 체결구(23)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단 브라켓(20)은 전체적으로 "ㄴ"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ㄴ" 형상의 절곡된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변을 선단 및 후단으로 각각 구분하면, 선단은 제 1연결부(11)의 걸림부(11a)에 끼워질 수 있는 상단 연결공(21)이 형성되고, 후단은 체결구(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구(23)는 포크스템(3)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상단 브라켓(20)의 후단에 관통 형성된다.
그러나 상단 브라켓(20) 후단의 연결위치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면, 상단 브라켓(20)의 후단은 헤드튜브(2)와 포크스템(3) 및 핸들스템(2a)으로 이루어지는 전륜축(X)의 어느 일지점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체결구(23)가 형성됨이 없이 상단 브라켓(20)의 후단이 볼트 등을 통해 포크스템(3)에 체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단 연결공(21)은 상단 브라켓(20)이 제 1연결부(11)를 따라 삽입되면서 걸림부(11a)에 끼워지므로 걸림부(11a)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하는 위치 및 크기로 상단 브라켓(20)에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단 연결공(21)은,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걸림부(11a)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상단 브라켓(20)에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단 브라켓(20)의 선단 및 후단은 길이방향으로 폭이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ㄴ" 형상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제 1연결부(11)에 삽입되는 상단 브라켓(20)의 선단은 제 1연결부(11)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반면에, 체결구(23)가 형성된 상단 브라켓(20)의 후단은 상기 선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연결부(11)의 저면부는 상단 브라켓(20) 후단의 폭에 대응하여 부분 절개되는 절개부(11c)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단 브라켓(20)의 선단이 제 1연결부(11)에 삽입되면 상단 브라켓(20) 후단의 시작지점이 제 1연결부(11)의 상기 절개부(11c)에 안치되어 자전거의 운행중 바구니(1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아울러, 상단 브라켓(20)의 선단은 바구니(10)의 후면을 따라 상단 브라켓(20)이 제 1연결부(11)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모서리가 소정각으로 절개된 안내경사면(25)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본 고안은 하단 브라켓(30)이 먼저 제 2연결부(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 브라켓(20)을 제 1연결부(11)에 삽입한다. 이 때 바구니(10)가 가진 탄성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상단 브라켓(20)의 선단 진입부의 각으로 인해 바구니(10)의 후면과 마찰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 바구니(10)의 후면이 긁힐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경사면(25)은 바구니(10)와의 마찰을 줄여 최대한 부드럽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모따기 형태로 절개된다.
그리고 이러한 안내경사면(25)은 상단 브라켓(20)의 상단 연결공(21)이 걸림부(11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안내경사면(25)은 상단 브라켓(20)을 제 1연결부(11)로부터 해체하기 위하여 해체공(11b)을 통해 공구가 삽입되었을 때 제 1연결부(11)의 내부에서 상기 공구의 이동공간을 확보해 주는 기능도 있다.
하단 브라켓(30)은, 바구니(10)의 저면에 체결되어 상단 브라켓(20)과 함께 바구니(10)를 자전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하단 브라켓(30)의 후단은 상기 포크스템(3)에 체결되도록 절개되고, 선단은 상기 후단으로부터 휘어져서 상기 제 2연결부(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포크스템(3)에는 앞브레이크(3b)를 볼트결합을 통해상기 포크스템(3)에 체결하기 위한 앞브레이크축(3c)이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앞브레이크축(3c)에 끼워지는 것이 하단 브라켓(30)의 후단이다. 따라서 하단 브라켓(30)의 후단은 앞브레이크(3b)를 포크스템(3)으로부터 완전히 해체함이 없이 상기 앞브레이크축(3c)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반원형으로 함몰된 절개면(33)이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하단 브라켓(30)의 후단은 포크스템(3)에 연결된 앞브레이크축(3c)에 체결되는 대신에, 상기 전륜축(X)의 어느 일지점에 체결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전륜축(X)의 일지점, 예를 들면 상기 헤드튜브(2)에 상기 포크스템(3)과 유사한 결합구조(볼트결합구조 등)가 마련된다면 상기 하단 브라켓(30)의 후단은 절개면(33)을 통해 헤드튜브(2)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하단 브라켓(30)의 후단에 절개면(33)이 형성되지 않고 볼트 등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전륜축(X)의 일지점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이하에서는 하단 브라켓(30)의 후단이 포크스템(3)에 체결되는 경우만 설명될 것이다.
하단 브라켓(30)의 선단이 제 2연결부(13)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하단 브라켓(30)이 후단으로부터 선단으로 거의 직각으로 휘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하단 브라켓(30)은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절곡면(35)이 형성된다. 즉, 하단 브라켓(30)은 길이방향의 일지점 이상에서 소정각으로 절곡되어 하단 브라켓(30)의 선단과 후단이 대략적으로 직각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단 브라켓(30)은 후단으로부터 선단으로 3개의 지점에서 소정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총 4개의 절곡면(35)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하단 브라켓(30)은 길이방향 일지점에서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거나 부드럽게 완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단 브라켓(30)의 선단에는 하단 브라켓(30)이 제 2연결부(13)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하단 연결공(31)이 형성된다. 즉, 하나 이상의 하단 연결공(31)은 하단 브라켓(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바구니(1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공(15)과 연통되어 나사(40)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하단 연결공(31)은 바구니(10) 및 하단 브라켓(30)을 나사(40)로 체결할 때 너트 없이 상기 나사(40)로만 결합이 가능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나사(40)는 바구니(10)를 하단 브라켓(30)과 체결할 때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도록 나사(40)의 머리는 십자형 또는 일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구니(10)와 하단 브라켓(30)의 연결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수단, 예를 들면, 볼트, 리벳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의 조립 순서 및 해체 순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조립순서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스패너(미도시)로 앞브레이크(3b)를 포크스템(3)에 체결하는 볼트결합을 풀고, 상기 앞브레이크축(3c)에 하단 브라켓(30)의 후단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단 브라켓(30)의 선단을 바구니(10)의 제 2연결부(13)에 삽입한다.이 때 하단 브라켓(30)은 아직 바구니(10)에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제 2연결부(13)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 후 후단이 체결구(23)를 통해 포크스템(3)에 끼워져 있는 상단 브라켓(20)의 선단을 제 1연결부(11)에 삽입시키면서, 하단 브라켓(30)의 후단에 형성된 부분 절개면(33)을 상기 앞브레이크축(3c)의 상기에서 형성된 공간(틈새)에 끼운다. 이 때 상단 브라켓(20)의 선단은, 상단 연결공(21)이 제 1연결부(11)에 형성된 걸림부(11a)에 끼움결합될 때까지 제 1연결부(11)를 따라 슬라이드된다.
이와 같이 상단 브라켓(20)이 제 1연결부(11)에 완전히 삽입되고, 하단 브라켓(30)이 앞브레이크축(3c)에 끼워지면 앞브레이크(3b)를 포크스템(3)에 다시 볼트결합한다.
그리고 바구니(10)를 하단 브라켓(30)에 고정하기 위해 바구니(10)의 결합공(15)을 통해 하단 브라켓(30)의 하단 연결공(31)에 나사(40)로 결합한다. 이 때 바구니(10)를 적당히 기울기로 조절하여 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단 연결공(31)에 대한 볼트결합은, 하단 브라켓(30)의 하단 연결공(31)을 버링 가공에 의해 형성하였으므로 너트 없이도 체결 가능하다. 또한 이미 하단 브라켓(30)이 제 2연결공(13)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나사(40)만 체결하여도 종래 구조에서 2개의 볼트(9a)에 상응하는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의 조립은 단 하나의 나사(40)만이 사용되므로, 종래의 구조에서 3 ~ 4개의 볼트(9a) 및 너트(9b)를 사용한 조립에 비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의 해체 순서는, 대체적으로 상기의 조립 순서의 역순이다. 즉, 먼저 하단 연결공(31)에 결합된 나사(40)를 제거하고, 앞브레이크(3b)를 포크스템(3)에 연결하는 볼트결합을 푼다. 따라서 하단 브라켓(30)은 제 2연결부(13)로부터 해체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후 상단 브라켓(20)의 선단은 제 1연결부(11)의 걸림부(11a)에 끼움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연결부(11)로부터 해체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필요하다. 즉, 제 1연결부(11) 상단의 해체공(11b)으로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상단 브라켓(20)의 상단 연결공(21)을 걸림부(11a)로부터 해체시킨다. 이 때 바구니(10)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계열이 사용되므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로 상단 브라켓(20)을 걸림부(11a)와 이격시켜 걸림부(11a)와 상단 연결공(21)을 해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단 브라켓(20)의 상단 연결공(21)이 제 1연결부(11)의 걸림부(11a)로부터 해체되면 바구니(10)를 들어 올려 하단 브라켓(30)의 후단을 앞브레이크축(3c)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의 해체가 완료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의 조립 순서와 해체 순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다른 방식에 의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에 의하면, 상단 브라켓(20)은 "ㄴ" 형상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후단이 선단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작도록 구성되고, 제 1연결부(11)의 걸림부(11a)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 연결공(21)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단 브라켓(20)의 선단 및 후단의 폭이 동일하고, 제 1연결부(11)의 걸림부(11a)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 1연결부(11)에 삽입되는 상기 선단의 양측면이 걸림부(11a)의 위치에 대응하여 부분 절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는, 상단 브라켓을 바구니에 끼움결합으로 연결하고 하단 브라켓에 하나의 나사만으로 바구니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전거에 바구니를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하단 브라켓의 하단 연결공을 버링 가공에 의해 형성하여 너트없이 체결이 가능함으로써 운행도중 너트가 이탈됨으로 해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프레임의 선단에 구비되는 헤드튜브와 상기 헤드튜브를 관통하고 앞포크가 연결되는 포크스템 및 상기 포크스템에 연결되어 상기 포크스템과 동시에 회전가능한 핸들스템이 체결되어 전륜축을 형성하는 자전거에 있어서,
    내부에 물건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후면 및 저면에 제 1연결부 및 제 2연결부가 각각 구비되는 바구니;
    선단이 상기 제 1연결부에 높이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향 절곡되고, 후단이 상기 전륜축의 일지점에 고정되는 상단 브라켓; 및
    후단이 상기 전륜축에 체결되고, 상기 후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휘어져 선단이 상기 제 2연결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하단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브라켓의 선단은, 상기 바구니의 후면을 따라 상기 상단 브라켓이 상기 제 1연결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브라켓의 선단에는, 상기 하단 브라켓이 상기 제 2연결부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하단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의 저면에는, 상기 바구니를 상기 하단 브라켓에 나사로 고정할수 있도록 상기 하단 연결공에 대응하는 형상 및 위치에 결합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연결공은, 상기 바구니 및 상기 하단 브라켓이 너트 없이 상기 나사로만 결합이 가능하도록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와 하단 브라켓의 연결은, 상기 하단 브라켓의 선단이 상기 제 2연결부에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가 상기 결합장공 및 하단 연결공을 통해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에는, 내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단 브라켓의 선단은, 상기 제 1연결부 내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걸림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단 연결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연결부의 상면에는, 공구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에 결합된 상단 브라켓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해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KR20-2004-0013212U 2004-05-12 2004-05-12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KR200358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12U KR200358889Y1 (ko) 2004-05-12 2004-05-12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12U KR200358889Y1 (ko) 2004-05-12 2004-05-12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889Y1 true KR200358889Y1 (ko) 2004-08-11

Family

ID=4943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212U KR200358889Y1 (ko) 2004-05-12 2004-05-12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8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03B1 (ko) * 2019-11-27 2021-05-31 송봉택 자전거 프레임 확장 마운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03B1 (ko) * 2019-11-27 2021-05-31 송봉택 자전거 프레임 확장 마운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95305U (zh) 拖车踏板
CN102198540B (zh) 链锯
US7401675B2 (en) Detachable vehicle body that is assembled and disassembled easily and rapidly
US5193930A (en) Coupling for securing a handlebar stem of a bicycle
US5947493A (en) Children's wagon front bolster
US6398247B1 (en) Bicycle having an easily mountable rear carrier
US5465634A (en) Handlebar assembly for cycles
US10814929B2 (en) Mounting bar, mounting bracket, and kit for use with a bicycle
US6578884B2 (en) Latch assembly adapted to be mounted on a recessed door of a cabinet for closing the same
RU2442703C2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велосипеда с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EP0754615A2 (en) Front fender mounting structure for motorcycle or tricycle
US6199887B1 (en) Extension tube assembly with lengthened life for a bicycle
US20040144589A1 (en) Mount frame for an electric motor-driven wheeled vehicle
KR200358889Y1 (ko) 자전거용 바구니 구조
US20050056763A1 (en) Spare tire bracket
US11571798B2 (en) Multi-function tool
US20050269465A1 (en) Configurable mounting bracket
US20040202000A1 (en) Vehicle rear gate
US20050093261A1 (en) System for coupling vehicle frame members to a steering column, and scooter including same
KR950001974Y1 (ko) 운송기계용 브레이크 보조발판
KR20060107023A (ko) 무체인자전거의 조립구조
AU2018205152B2 (en) Arm assembly for a side view mirror
JP2003170881A (ja) 自転車の折り畳み構造
US20070036631A1 (en) Draw key assembly for securing a kingpin
US10836304B2 (en) Security mounting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